KR101508898B1 -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Google Patents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8898B1 KR101508898B1 KR20140140447A KR20140140447A KR101508898B1 KR 101508898 B1 KR101508898 B1 KR 101508898B1 KR 20140140447 A KR20140140447 A KR 20140140447A KR 20140140447 A KR20140140447 A KR 20140140447A KR 101508898 B1 KR101508898 B1 KR 101508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upport bar
- vertical
- support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수직벽체와 테두리 지지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테두리 지지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테두리 지지바에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지지프레임이 결합된 테두리 지지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지지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지지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110 : 벽체 몸체 120 : 돌출판
130 : 벽체 볼트 삽입공 140 : 보강리브
200 : 테두리 지지바
210 : 지지바 몸체 211 : 상부 지지바
212 : 수직 지지바 213 : 하부 지지바
220 : 밀착턱 230 : 수직 지지바 볼트 삽입공
240 : 상부지지바 볼트 삽입공 250 : 지지바 몸체 고정구
251 : 볼트공
300 : 지지프레임
310 : 몸체 프레임 320 : 제 1수직프레임
330 : 제 1수평프레임 331 : 철근 삽입홈
340 : 제 2수직프레임 350 : 제 2수평프레임
351 : 제 1수평프레임 삽입홈
400 : 보강 와이어 메쉬
500 : 보강철근
Claims (6)
-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되어 사방이 밀폐된 벽체 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벽체 몸체(110)의 하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돌출판(120)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판(120)에 고정볼트가 삽입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벽체 볼트 삽입공(130)이 구비되고, 상기 벽체 몸체(110)의 외면에 외면을 따라 소정 간격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심 각도가 커지도록 양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V형상 보강리브(140)가 구비된 수직 벽체(100)와;
상부 지지바(211)와 수직 지지바(212), 하부 지지바(213)가 ㄷ형상으로 구비된 지지바 몸체(210)와, 상기 상부 지지바(211)와 하부 지지바(213)의 일측단에 다른 지지바 몸체(210)의 타측단이 직각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된 밀착턱(220)과, 상기 지지바 몸체(210)의 수직 지지바(212) 양측에 구비된 수직 지지바 볼트 삽입공(230)과, 상기 지지바 몸체(210)의 상부 지지바(211)에 수직 벽체(100)의 벽체 볼트 삽입공(130)과 동일한 위치에 이격되도록 다수 구비된 상부 지지바 볼트 삽입공(240)과, 상기 다수의 지지바 몸체(210)가 직각방향으로 밀착된 상부 지지바(211)와 하부 지지바(213) 사이 모서리에 삽입되어 외면이 수직 지지바(212)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직각방향으로 굴곡되고, 양측에 볼트공(251)이 구비된 지지바 몸체 고정구(250)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 벽체(100)의 돌출판(120)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테두리 지지바(200)와;
상기 테두리 지지바(200)의 내측으로 양측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전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판형의 몸체프레임(310)과;
상기 몸체프레임(310)의 선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 1수직프레임(320)과;
상기 제 1수직프레임(320)의 끝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제 1수평프레임(330)과;
상기 몸체프레임(310)의 후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제 1수직프레임(320)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제 2수직프레임(340)과;
상기 제 2수직프레임(340)의 끝단부에서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제 1수평프레임(330)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제 2수평프레임(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부에 설치되는 보강 와이어 메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철근(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또는 엘이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제 1수평프레임(330)은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하부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상부에 다수의 철근 삽입홈(331)이 구비되고, 제 2수평프레임(350)은 상부에 철근삽입홈(331)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하부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상부에 철근 삽입홈(311)의 돌출부 하부가 삽입되는 제 1수평프레임 삽입홈(3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40447A KR101508898B1 (ko) | 2014-10-17 | 2014-10-17 |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40447A KR101508898B1 (ko) | 2014-10-17 | 2014-10-17 |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8898B1 true KR101508898B1 (ko) | 2015-04-08 |
Family
ID=5303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40447A Active KR101508898B1 (ko) | 2014-10-17 | 2014-10-17 |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889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83698A (zh) * | 2019-01-18 | 2019-03-19 |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预制墙板门洞模具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6084A (ko) * | 2007-11-05 | 2009-05-11 | 엄기형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
KR100905432B1 (ko) * | 2007-06-28 | 2009-07-02 | 엄기형 | 집수정 결합구조 |
KR20130071763A (ko) * | 2011-12-21 | 2013-07-01 | 엄기형 | 저면 이격형 집수정 및 그 설치방법 |
KR101318957B1 (ko) * | 2010-08-25 | 2013-10-16 |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
-
2014
- 2014-10-17 KR KR20140140447A patent/KR10150889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5432B1 (ko) * | 2007-06-28 | 2009-07-02 | 엄기형 | 집수정 결합구조 |
KR20090046084A (ko) * | 2007-11-05 | 2009-05-11 | 엄기형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
KR101318957B1 (ko) * | 2010-08-25 | 2013-10-16 |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
KR20130071763A (ko) * | 2011-12-21 | 2013-07-01 | 엄기형 | 저면 이격형 집수정 및 그 설치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83698A (zh) * | 2019-01-18 | 2019-03-19 |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预制墙板门洞模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68846B2 (ja) |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 |
KR102143636B1 (ko) |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 |
KR101518682B1 (ko) | 탈형 데크 | |
KR101272601B1 (ko) | 옥상 조형물의 피씨 접합 구조 | |
KR101511504B1 (ko) | 연결부 휨 강화 기능을 갖는 탈형 데크 플레이트 | |
KR101760775B1 (ko) | 벽체 성형용 거푸집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237333B1 (ko) |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 |
KR101447360B1 (ko) | 결합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패널 횡벽 설치방법 | |
KR101609759B1 (ko) | 탈형 데크 | |
KR20130034669A (ko) |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간의 연결구조 | |
KR101234673B1 (ko) | 천정패널 클립바 및 그를 이용한 취부구조 | |
KR100806221B1 (ko) | 거푸집용 판넬폼 및 이 거푸집용 판넬폼을 이용한 벽체거푸집 어셈블리 | |
KR101439866B1 (ko) | 모듈러를 이용한 수평증축 연결장치 | |
KR101508898B1 (ko) |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
KR20160025961A (ko) | 조립식 앵커 | |
KR101530961B1 (ko) | 건축용 벽체패널 조립체 | |
KR20120107365A (ko) |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 |
KR101278686B1 (ko) |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
JP2015063852A (ja) | 地下ピット構造 | |
KR20070027432A (ko) |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 |
KR101576224B1 (ko) |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 |
KR200473612Y1 (ko) |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 |
KR101824021B1 (ko) |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 |
KR20120066878A (ko) |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 |
KR20160003959U (ko) | T형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거푸집의 제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