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12Y1 -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612Y1
KR200473612Y1 KR2020110011182U KR20110011182U KR200473612Y1 KR 200473612 Y1 KR200473612 Y1 KR 200473612Y1 KR 2020110011182 U KR2020110011182 U KR 2020110011182U KR 20110011182 U KR20110011182 U KR 20110011182U KR 200473612 Y1 KR200473612 Y1 KR 200473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eck plate
bracket
convex surfac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044U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시스템챤넬(주) filed Critical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to KR2020110011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61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6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이 연결되는 찬넬연결체를 천정면의 내부에 위치시킬 때, 천정면을 형성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데크플레이트에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는 천정면에 찬넬연결체가 위치되도록 하여 배관지지가대의 설치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오목면(11)들과, 이들 오목면(11)들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면(12)으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10)에 있어서, 상기 볼록면(12)에는 위치결합공(13)을 더 통공하고, 상기 위치결합공(13)에는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20)이 연결되는 찬넬연결체(30)가 더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찬넬연결체(30)는,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수직찬넬(20)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제1찬넬브라켓(31)과;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의 상부가 볼록면에 제1용접부(32)에 의해 용접고정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위치결합공(13)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33)와; 상기 바닥플레이트(33)의 상면에 제2용접부(34)에 의해 하단이 용접되는 지지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with channel connection part}
본 고안은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부에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지지가대를 설치할 때 찬넬이 연결되는 찬넬연결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시공되는 데크플레이트에 구비함으로써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을 바로 연결하여 배관지지가대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 향상은 물론 배관지지가대의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래식 배관 시공법은 일반 형강류인 "ㄱ"자형상, "ㄷ"자형상, "I"자형상, "H"자형상 등의 형강류를 작업 현장에서 산소절단 또는 스피드 커터(Speed Cutter) 등으로 절단하여 용접한 뒤 이를 배관지지가대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법은 기존의 형강류를 현장에 반입하여 녹막이 도장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서 완성단계인 보온공사까지 다단계의 공정을 거쳐야만 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배관지지가대를 조립 시 작업시간의 증대와 조립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용접에 의한 시공법은 환경오염은 물론 전기 감전사고의 염려가 있고, 시공 공정이 많아 작업기피 현상과 함께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공기 지연과 현장의 자재소모 및 공구류의 낭비가 심하고, 원가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배관지지가대를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배관지지가대가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배관지지가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천정브라켓(2)과, 상기 천정브라켓(2)으로부터 수직하향 고정되는 수직찬넬(3)과, 상기 수직찬넬(3)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찬넬(4)과, 수직찬넬(3)과 수평찬넬(4)을 연결 고정하는 찬넬브라켓(5) 및 이 찬넬브라켓(5)을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배관지지가대는, 현장에서 용접작업이 아닌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수직찬넬과 수평찬넬을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공정이 단순화되고 화재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며 조립시간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배관지지가대를 천정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직찬넬(3)을 고정하기 위한 천정브라켓(2)을 천정면(1)에 먼저 시공하여야 하는 바, 타설된 콘크리트의 내부에 천정브라켓(2)을 시공하는 작업이 어려워 배관지지가대 전체의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효율성 또한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천정브라켓(2)을 먼저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위치한 천정브라켓(2)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어 배관지지가대를 설치할 때 위치가 달라진 천정브라켓(2)에 의해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의 위치를 균일하고 정교하게 위치하여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결국 작업자가 다시 천정브라켓을 천정면에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 때 타설된 천정면을 뚫고 천정브라켓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배관지지가대의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807826호의 천장형 배관 가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단이 인서트 플레이트 및 브라켓에 의해 건축물의 천장에 결속되는 한 쌍의 수직찬넬과, 상기 수직찬넬의 하단에 이음구에 의해 조립되는 수평찬넬과, 상기 수평찬넬 상에 배관지지를 위해 설치되는 클램프 슈로 이루어진 천장형 배관가대로써, 상기 수직찬넬 및 수평찬넬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 또는 볼록한 엠보싱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음구는 상기 수평찬넬을 지지하는 수평요소와 상기 수직찬넬을 지지하는 수직요소를 ㄱ자 형태로 용접하여 구성하되, 수평요소와 수직요소의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 또는 볼록한 엠보싱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요소에 상기 수직찬넬의 개구부에 인입되어 개구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의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 또는 볼록한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 역시 수직찬넬이 설치되는 인서트플레이트 및 브래킷을 천장에 설치하는 작업에 의해 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작업공정에 따른 작업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5640호(2010.04.05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03654호(2010.04.0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93458호(2001.10.29 공개)
본 고안은 종래 배관지지가대를 설치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이 연결되는 찬넬연결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크플레이트에 구비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에 고정된 위치에 놓이는 찬넬연결체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 후의 천정면에 수직찬넬의 연결작업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직찬넬 연결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여 추가적으로 천정브라켓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배관지지가대의 설치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배관지지가대 전체적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오목면들과, 이들 오목면들에 연장되는 볼록면으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볼록면에는 위치결합공을 더 통공하고, 상기 위치결합공에는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이 연결되는 찬넬연결체가 더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찬넬연결체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볼록면에 통공된 위치결합공측으로 끼워지고 수직찬넬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제1찬넬브라켓과; 상기 제1찬넬브라켓의 상부가 볼록면에 제1용접부에 의해 용접고정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위치결합공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볼록면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상면에 제2용접부에 의해 하단이 용접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볼록면에 통공된 위치결합공은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ㄷ' 자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합공측으로 끼워지는 상기 수직찬넬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상기 제1찬넬브라켓은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볼록면에 통공된 위치결합공은 'ㅁ'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ㅁ' 자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합공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수직찬넬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상기 제1찬넬브라켓은 'ㅁ'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천정면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에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이 연결되는 찬넬연결체가 더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찬넬연결체를 추가로 시공하지 않아도 되고, 찬넬연결체의 제1찬넬브라켓이 데크플레이트에 통공된 위치결합공측으로 끼워져서 위치 고정됨에 따라 콘크리트를 데크플레이트에 타설하여 천정면을 시공하더라도 찬넬연결체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배관지지가대를 설치할 때 배관지지가대의 설치위치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추가로 천정면에 제1찬넬브라켓을 따로 시공하지 않아도 되어 배관지지가대의 설치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배관지지가대 전체 공정에 대한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천정면에 설치된 배관지지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에 의해 배관지지가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를 콘크리트 천정면에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10)는 복수개의 오목면(11)들과, 이들 오목면(11)들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면(12)으로 형성되어 있다.
삭제
본 고안은 이러한 데크플레이트(10)에 찬넬연결체(30)를 더 구비한 것으로,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상기 볼록면(12)에 위치결합공(13)을 더 통공하고, 상기 위치결합공(13)에는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20)이 연결되는 찬넬연결체(30)가 더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찬넬연결체(30)가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에 끼워져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데크플레이트(10)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위치결합공(13)에 끼워진 찬넬연결체(3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찬넬연결체(30)를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에 끼워져서 결합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정면(101)을 시공하면 찬넬연결체(30)의 상부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101)의 내부에 위치되고 찬넬연결체(30)의 하부는 천정면(101)의 하부 외측에 돌출된다.
상기 찬넬연결체(30)는,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수직찬넬(20)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제1찬넬브라켓(31)과,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의 상부가 볼록면에 제1용접부(32)에 의해 용접고정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위치결합공(13)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33)와, 상기 바닥플레이트(33)의 상면에 제2용접부(34)에 의해 하단이 용접되는 지지구(35)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찬넬연결체(30)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의 내부에 상기 찬넬연결체(30)의 상부측 다시 말해, 찬넬연결체(30)의 바닥플레이트(33)와 이 바닥플레이트(33)의 상면에 제2용접부(34)에 의해 하단이 용접된 지지구(35)가 위치됨으로써 찬넬연결체(3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또한, 찬넬연결체(30)의 하부측 다시 말해, 찬넬연결체(30)의 바닥플레이트(33)의 하면과 상면에 제1용접부(32)에 의해 용접고정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측으로 끼워져서 고정된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이 천정면(101)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천정면(101)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에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20)을 볼트(N)와 너트(B)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20)을 제1찬넬브라켓(31)에 연결하고 이후 수직찬넬(20)에 수평찬넬(4)과 제2연결브라켓(5a)을 이용하여 배관지지가대를 조립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천정면(101)이 시공된 후에 바로 찬넬연결체(30)의 제1찬넬브라켓(31)에 수직찬넬(20)을 연결하여 배관지지가대를 조립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배관지지가대에 대한 전체적인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또한, 찬넬연결체(30)의 제1찬넬브라켓(31)이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천정면(101)을 시공함으로써 찬넬연결체(30)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가변되지 않기 때문에, 배관지지가대의 설치위치를 정교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은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ㄷ' 자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합공(13)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수직찬넬(20)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은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은 'ㅁ'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ㅁ' 자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합공(13)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수직찬넬(20)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은 'ㅁ'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 및 이 위치결합공(13)에 끼워지는 상기 찬넬연결체(30)의 제1찬넬브라켓(3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데크플레이트 11 : 오목면
12 : 볼록면 13 : 위치결합공
20 : 수직찬넬 30 : 찬넬연결체
31 : 제1찬넬브라켓 32 : 제1용접부
33 : 바닥플레이트 34 : 제2용접부
35 : 지지구 101 : 천정면

Claims (4)

  1. 삭제
  2. 복수개의 오목면(11)들과, 이들 오목면(11)들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면(12)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면(12)에는 위치결합공(13)을 더 통공하고, 상기 위치결합공(13)에는 배관지지가대의 수직찬넬(20)이 연결되는 찬넬연결체(30)가 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찬넬연결체(30)는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측으로 끼워져서 고정된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찬넬(20)이 체결되는 제1찬넬브라켓(31)과;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의 상부가 볼록면에 제1용접부(32)에 의해 용접고정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위치결합공(13)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33)와; 상기 바닥플레이트(33)의 상면에 제2용접부(34)에 의해 하단이 용접되는 지지구(35)를 더 포함하는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은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ㄷ' 자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합공(13)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수직찬넬(20)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은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볼록면(12)에 통공된 위치결합공(13)은 'ㅁ'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ㅁ' 자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합공(13)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수직찬넬(20)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상기 제1찬넬브라켓(31)은 'ㅁ'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KR2020110011182U 2011-12-16 2011-12-16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KR200473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82U KR200473612Y1 (ko) 2011-12-16 2011-12-16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82U KR200473612Y1 (ko) 2011-12-16 2011-12-16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44U KR20120001044U (ko) 2012-02-14
KR200473612Y1 true KR200473612Y1 (ko) 2014-07-14

Family

ID=4584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182U KR200473612Y1 (ko) 2011-12-16 2011-12-16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41B1 (ko) 2021-07-07 2022-06-27 성화내진전착볼트 주식회사 건물 천정에 구성되는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하우징 및 그 고정하우징을 이용한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385B1 (ko) * 2013-03-27 2014-06-03 장규철 건축시설물 배관의 지지가대 고정용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876Y1 (ko) * 2001-06-25 2001-11-2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방진기능을 추가한 인서트 플레이트
KR200444900Y1 (ko) 2007-05-09 2009-06-12 김대식 배관 지지장치
KR20100036540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Cdn 환경에서 웹 로그 분석을 위한 스크립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60358B1 (ko) 2009-01-05 2011-08-29 최재진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876Y1 (ko) * 2001-06-25 2001-11-2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방진기능을 추가한 인서트 플레이트
KR200444900Y1 (ko) 2007-05-09 2009-06-12 김대식 배관 지지장치
KR20100036540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Cdn 환경에서 웹 로그 분석을 위한 스크립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60358B1 (ko) 2009-01-05 2011-08-29 최재진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41B1 (ko) 2021-07-07 2022-06-27 성화내진전착볼트 주식회사 건물 천정에 구성되는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하우징 및 그 고정하우징을 이용한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44U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1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KR200459446Y1 (ko) 개량 배관지지가대
KR101135881B1 (ko) 건축물용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 및 상기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무량판 접합구조
KR200473612Y1 (ko)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KR101429137B1 (ko) 공간확장을 위한 pc보유닛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41057B1 (ko) 슬립방지부가 구비된 배관지지가대
KR20070000647U (ko) 배관지지가대 체결구조
KR101275932B1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KR20100003653U (ko) 배관지지가대
KR101249603B1 (ko) 비개착 슬래브 구조물의 수직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강관 설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0712B1 (ko)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100003654U (ko) 배관지지가대
KR200456971Y1 (ko) 높낮이 조절편이 구비된 배관지지가대
KR101508898B1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0915075B1 (ko) 배관지지용 조립식 가대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100003655U (ko) 배관지지가대의 데크플레이트
KR200456865Y1 (ko) 배관지지가대의 설치각도 가변브라켓
JP5697785B1 (ja) コンクリート補強壁構築方法
KR200275103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서포트파이프 고정 및 보강구조
CN216305276U (zh) 离壁沟外踢脚板固定结构
KR101033344B1 (ko)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KR101404384B1 (ko) 욕실용 천정패널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101524725B1 (ko) 취수 구조물 벽면 보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