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344B1 -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344B1
KR101033344B1 KR1020080121555A KR20080121555A KR101033344B1 KR 101033344 B1 KR101033344 B1 KR 101033344B1 KR 1020080121555 A KR1020080121555 A KR 1020080121555A KR 20080121555 A KR20080121555 A KR 20080121555A KR 101033344 B1 KR101033344 B1 KR 10103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vice
support
present
wall
building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167A (ko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영 filed Critical 박진영
Priority to KR102008012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3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내장재의 마감 공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인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장치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횡 지지(가로)주와 종 지지(세로)주로 형성되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스로 공장에서 제작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장치의 양 단부에는 "ㄱ" 형상의 겹침턱을 두어 양 지지장치가 상호 겹쳐져서 결합 되도록 함과 동시에, 천장에 상기 지지장치를 고정시키는 걸이볼트 및 벽면과 상기 지지장치와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는 조정볼트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신속한 공사와 후속공정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지주의 내부에 전기배선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두고, 벽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지지장치의 저단부에는 마감재(석고보드 등)가 올려지는 턱, 또는 상기 마감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못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합성수지재(pvc)를 사용함으로써, 운반과 조립 및 분해가 손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나무 또는 철재로 제작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반자틀)에 비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규격화로 인한 인건비와 자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종 지지주의 내부에 전기배선이 관통되도록 하는 전선매입공이 형성됨으로써, 필요한 장소에 전기 콘센트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현장에서 제작하여 부착되는 지지장치에 비하여 청결한 현장을 유지함과 동시에, 건축폐기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지장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끼워지는 조정볼트로 벽체와 자지장치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평면을 유지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도 아울러 예상된다.
지지장치, 건축 내장재, 겹침턱, 공장제작, 전선매입공, 합성수지

Description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Mounting apparatus of Building interiors}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공장에서 제작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지지장치(반자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를 재질로 하며, 가로 지지주(1)와 세로 지지주(2)로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틀채를 못(3)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반자틀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지장치는 현장에서 목재기술자(목수)가 목재를 절단하고 이를 못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공법이어서, 인건비와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절단 및 시공시의 먼지 비산 등으로 인하여 공사장의 작업여건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규격의 가로 지지주(1)와 세로 지지주(2)를 현장에서 끼워 맞추는 지지장치(반자틀)가 개시되어 있으나, 각각이 분리된 가로 지지주(1)와 세로 지지 주(2)를 일일이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지지장치가 부착되는 벽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는 지지장치와 벽과의 이격으로 인하여 시공 후의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벽과의 밀착력을 높여서 하자 없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횡 지지주와 종 지지주로 형성되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스로 공장 제작되는 구성으로 하되, 상기 지지장치의 양 단부에는 "ㄱ" 형상의 겹침턱을 두어 양 지지장치가 상호 겹쳐져서 결합 되도록 함과 동시에, 천장에 상기 지지장치를 고정시키는 걸이볼트 및 벽면과 상기 지지장치와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는 조정볼트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경량이면서, 지지강도 와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pvc)를 그 재질로 함으로써, 운반과 시공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나무 또는 철재로 제작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반자틀)에 비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규격화로 인한 인건비와 자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지지주의 내부에 전기배선이 관통되도록 하는 전선매입공이 형성됨으로써, 전선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도 필요한 장소에 전기 콘센트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현장에서 제작하여 부착되는 지지장치에 비하여 청결한 현장을 유지함과 동시에, 건축폐기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지장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끼워지는 조정볼트로 벽체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평면을 유지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도 아울러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인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지장치(반자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조립식 지지 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인 지지장치의 사시도 이며, 도 3b는 본 발명인 지지장치의 단면 예시도 이고, 도 3c는 지지장치와 걸이볼트의 삽입 전, 후 단면도이며, 도 3d는 지지장치의 배치도와 주요부(겹침부, 받침턱, 전선매입공) 단면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지지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5는 벽체에 장착되는 지지장치와 조정볼트의 조정 전, 후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지지장치가 천장에 장착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장치(10)는 횡 지지주(11)와 종 지지주(12)로 형성되고, 프레스 등의 열 가압장치로 공장에서 제작되는 구성으로 하되, 상기 지지장치(10)의 양 단부에는 "ㄱ" 형상의 겹침턱(20)이 대향 되도록 형성하여, 각각의 지지장치(10)가 상호 겹쳐져서 결합 되도록 함과 동시에, 천장에 상기 지지장치(10)를 고정시키는 걸이볼트(18) 및 벽면과 상기 지지장치(10)와의 공간부(21)에 삽입되는 조정볼트(16)가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15)이 상기 지지장치(1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장치(10)와 건축내장재의 접합은 일반적인 접합방법(타카 공구사용)으로 하되, 공사기간의 단축과 인건비의 절약 등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양면 접착테이프(19) 접합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들에 대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벽체(또는 천장)와 건축마감재(30)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본 발명인 지지장치(10)는, 일반적인 목재에 비하여 내식성과 우수한 강도를 갖는 경량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B×H)는 3a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규격화(600mm×1800mm, 600mm×2400mm, 600mm×3600mm 및 900mm×1800mm, 900mm×2400mm, 900mm×3600mm 등)된 격자형상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3 ~ 5개의 횡 지지주(11)와 2 ~ 3개의 종 지지주(12)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장치(10)의 크기는 현재 공사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자재와의 상호 호환성과 공사편의를 위하여, 양 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의 종 지지주와 횡 지지주 단면의 길이는 28mm ~ 30mm가 되는 정사각형이 되도록 하고, 공장에서 프레스 등의 기계로 대량 생산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지지장치(10)의 양 단부는 "ㄱ" 형상의 겹침턱(20)이 대향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여, 각각의 지지장치(10)를 벽체 또는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서로 겹쳐져서 상호 지지되는 구성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폭(C)은 내부에 형성되는 전선매입공(27)과 관통공(15)의 크기를 고려하여 횡 지지주 단면의 한변 길이(D)의 1.5배 정도인 43mm ~ 47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장과 벽체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지지장치(10)는 도 3a, 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관통공(15)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후행작업(전기공사 등)의 편의를 도모하고 다양한 위치에도 콘센트부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 지지주(12)의 내부와 측면에는 전선매입공(27, 28)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며, 벽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지지장치(10)의 횡 지지주(11)에는 마감재(석고보드 등)를 지지하는 별도의 받침턱(32) 또는 못 삽입공(29)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종 지지주(12)의 중앙에 설치되는 전선매입공(27)의 직경(d)은 종 지지주(2) 단면의 한변 길이(D)의 45% ~ 55%가 되도록 함으로써, 전선매입작업을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종 지지주(12)의 강도가 저하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종 지지주(12)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선매입공(28)의 횡방향의 길이(L)는 도 3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선매입공(27)의 직경(d)와 동일한 크기로 하되, 종방향의 길이(L')는 전선 매입 및 콘센트 설치시의 편의를 감안하여, 전선매입공(27)의 직경(d)의 3배 내지 5배가 되도록 한다
이는 전선매입공의 크기가 위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종 지지주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위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전선의 삽입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일정규모 이상의 전선은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횡 지지주(11)의 저부에 형성되는 받침턱(32)의 폭(b)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마감재(석고보드 등) 두께의 55% ~ 65%가 되도록 하며, 그 두께(t)는 종 지지주(12) 단면의 한변 길이(D)의 45% ~ 55%가 되도록 한다.
이는 받침턱(32)의 폭(b)과 두께(t)를 위 범위보다 작도록 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마감재의 고정이 어렵고, 반대로 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턱을 제거하여야 함과 동시에, 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공간부(21)가 있는 벽체에 상기 지지장치(10)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간부(21)에 조정볼트(16)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장치(10)가 벽체(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는 먼저 암나사부가 형성된 상기 관통공(15)에 조정볼트(16)의 전단부가 벽체에 밀착되도록 나사 회전한다.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정볼트(16)의 끝단부가 벽체의 공간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드라이버(31)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유동방지볼트(17)를 조정볼트(16)의 후단부와 밀착되도록 삽입(나사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장치(1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5)에 나사 삽입된 걸이볼트(18)의 걸이부와 길이조정구(14)가 연결된 상태에서 천장고정구(13)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지지장치(10)와 건축 마감재(30)와의 접합은, 일반적인 접합방법(타카 공구 등 사용)으로 하되, 공사기간의 단축과 인건비의 절약 등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면 접착테이프(19) 접합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10)의 단면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장치에 부착되는 내장재와의 접합을 고려하여 사각형상으로 하되, 그 내부는 원형의 공간부(종 지지주의 경우에는 전선매입공)를 갖는 사각 파이프형 또는 내부에 공간부가 없는 "ㅁ"자형 등이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10)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도 3a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지지장치(10)를 상호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벽체에 상기 지지장치(10)를 고정한다.
고정하는 방법은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결합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못(3) 등을 관통공(15)의 내부로 삽입하여 타격하거나, 전동드릴(햄머) 등을 이용하여 벽체와 나사 결합 되도록 하여 지지장치(10)를 벽체(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마감재(30)를 부착하는 방법은, 먼저 받침턱(32) 또는 못 삽입공(29)에 임시로 끼워지는 못(3')에 상기 마감재(30)를 임시고정(올려놓음)시킨 상태에서 타카 등의 결합공구를 이용하여 마감재(30)부착 공사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못(3')의 길이는 작업의 편의를 고려하여 지지장치(10)와 마감재(30)를 합한 두께의 1.5배 내지 2.5배 내외가 되도록 한다.
전선공사에 따른 콘센트의 설치를 감안하여, 종 지지주(12)의 길이와 측면방향으로는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선매입공(27, 28)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필요한 곳에 스위치와 콘센트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장치(10)를 천장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지지장치(10)를 상호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관통공(15)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걸이볼트(18)의 걸이구와 천장 고정구(13)를 길이 조정구(14)에 장착한다.
마감재(30)의 높이조정과 평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 조정구(14)의 중앙부를 좌, 우 회전하면, 지지장치(10)의 높이가 상, 하 조절되면서 지지장치(10)에 부착되는 마감재(30)의 전체적인 평면과 일정한 높이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합성수지재(pvc)를 사용함으로써, 운반과 조립 및 분해가 손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나무 또는 철재로 제작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반자틀)에 비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규격화로 인한 인건비와 자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현장에서 제작하여 부착되는 지지장치에 비하여 청결한 현장을 유지함과 동시에, 건축폐기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지장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끼워지는 조정볼트로 벽체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평면을 유지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도 아울러 예상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지지주의 내부에 전기배선이 관통되도록 하는 전선매입공과 마감재를 올려놓는 받침턱 등이 형성됨으로써, 전선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도 필요한 장소에 전기 콘센트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함께, 적은 인력으로도 간편하게 마감재 부착공사를 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본 발명인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예 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재는 프라스틱(PVC) 재질에 한정하지 않고, 가볍고 성형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폐목과 합성수지재가 혼합된 재질, 또는 비철금속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 지지주와 횡 지지주의 단면을 동일한 것으로 하되, 양 측단부의 길이(C)는 종 지지주 단면의 1.5배 정도가 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국 한하지 않고 종 지지주의 길이와 전선매입공 및 관통공의 크기를 고려하여, 종 지지주 및 횡 지지주의 크기(단면)를 일반적인 건축재료와의 호환성을 갖는 범위내에서 가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지장치(반자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조립식 지지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인 지지장치의 사시도 이며,
도 3b는 본 발명인 지지장치의 단면 예시도 이고,
도 3c는 지지장치와 걸이볼트의 삽입 전, 후 단면도이며,
도 3d는 지지장치의 배치도와 주요부(겹침부, 받침턱, 전선매입공) 단면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지지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5는 벽체에 장착되는 지지장치와 조정볼트의 조정 전, 후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지지장치가 천장에 장착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장치 11 : 횡 지지주 12 : 종 지지주 13 : 천장 고정구
15 : 관통공 16 : 조정볼트 17 : 유동 방지볼트 18 : 걸이볼트
19 : 접착 테이프 20 : 겹침턱

Claims (6)

  1. 건축물의 내장재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10)는 횡 지지주(11)와 종 지지주(12)로 형성되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스로 공장 제작되는 구성으로 하되, 상기 지지장치(10)의 양 단부에는 "ㄱ" 형상의 겹침턱(20)을 두어 각각의 지지장치(10)가 상호 겹쳐져서 결합 되도록 함과 동시에, 벽면과 상기 지지장치(10)와의 공간부(21)에 삽입되는 조정볼트(16)가 끼워지는 관통공(15)이 다수개 장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종 지지주(12)는 그 내부에 전선매입공(27, 28)이 형성됨과 동시에, 벽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장치(10)의 저부에는 별도의 받침턱(32)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 지지주(12)의 중앙에 형성되는 전선매입공(27)의 직경(d)은, 종 지지주(2) 단면의 한변 길이(D)의 45% ~ 55%가 되도록 하고, 종 지지주(12)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선매입공(28)의 횡방향의 길이(L)는 전선매입공(27)의 직경(d)와 동일한 크기로 하되, 종방향의 길이(L')는 전선매입공(27) 직경(d)의 3배 내지 5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10)의 재질은 프라스틱(PVC)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10)의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하되, 그 내부는 원형의 공간부를 갖는 사각 파이프형 또는 공간부가 없는 "ㅁ"자형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턱(32)의 폭(b)은 마감재(30) 두께의 55% ~ 65%가 되도록 하고, 그 두께(t)는 종 지지주(2) 단면의 한변 길이(D)의 45% ~ 55%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6. 건축물의 내장재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10)는 횡 지지주(11)와 종 지지주(12)로 형성되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스로 공장 제작되는 구성으로 하되, 상기 지지장치(10)의 양 단부에는 "ㄱ" 형상의 겹침턱(20)을 두어 양 지지장치(10)가 상호 겹쳐져서 결합 되도록 함과 동시에, 벽면과 상기 지지장치(10)와의 공간부(21)에 삽입되는 조정볼트(16)가 끼워지는 관통공(15)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종 지지주(12)는 그 내부에 전선매입공(27, 28)이 형성됨과 동시에, 벽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장치(10)의 저부에는 못 삽입공(29)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KR1020080121555A 2008-12-03 2008-12-03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KR10103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55A KR101033344B1 (ko) 2008-12-03 2008-12-03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55A KR101033344B1 (ko) 2008-12-03 2008-12-03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167A KR20100063167A (ko) 2010-06-11
KR101033344B1 true KR101033344B1 (ko) 2011-05-09

Family

ID=4236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555A KR101033344B1 (ko) 2008-12-03 2008-12-03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5102A (zh) * 2022-10-18 2022-11-29 中建二局装饰工程有限公司 透光装饰墙施工方法及固定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617A (ja) * 1994-12-10 1996-06-18 Toyo Shutter Co Ltd 建物躯体の張り壁
JP2001248229A (ja) 2000-03-02 2001-09-14 Masaru Tsuda 自在間取式ボルト建築及び建築模型
KR20030053142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청정 극저탄소강의 제조방법
JP2003286753A (ja) 2002-03-28 2003-10-10 Sato Katako Seisakusho:Kk 建造物用下地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617A (ja) * 1994-12-10 1996-06-18 Toyo Shutter Co Ltd 建物躯体の張り壁
JP2001248229A (ja) 2000-03-02 2001-09-14 Masaru Tsuda 自在間取式ボルト建築及び建築模型
KR20030053142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청정 극저탄소강의 제조방법
JP2003286753A (ja) 2002-03-28 2003-10-10 Sato Katako Seisakusho:Kk 建造物用下地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167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344B1 (ko)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KR100901005B1 (ko)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JP4979441B2 (ja) 壁パネル
JP2013241746A (ja) PCa型枠の固定構造
JP2009084811A (ja) 縦張り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防水構造
JP2010174595A (ja) 建物の水切構造
EP3249146B1 (en) An installation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and method
JP2522093B2 (ja) 仕上げユニットパネル及びタイル貼りカ―テンウォ―ル
KR100799176B1 (ko) 단열재가 취부되는 옹벽 교차부 폼패널
US20230087996A1 (en) Embed façade attachmen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508898B1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JP3505600B2 (ja) 屋内間仕切り用壁下構造
KR200398640Y1 (ko)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장치
KR101404384B1 (ko) 욕실용 천정패널
JP2010203040A (ja) 天井パネル固定装置
KR200430669Y1 (ko) 단자함 고정구
JPH11210273A (ja) フェンス及びフェンスの施工方法
JP2007032216A (ja) 取付構造とその取付構造を用いた建具枠の取付工法および取付金具
CN205591396U (zh) 拆装式墙板固定结构
KR20000074520A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KR20150070794A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JP3146897U (ja) パイプスペースにおける建具ベース
JP4356020B2 (ja) 手摺付きバルコニー構築ユニットと、バルコニーにおける手摺の据付け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芯支柱、仮手摺桟
JP4945000B2 (ja) ユニット建物、外壁パネル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RU53325U1 (ru) Направляющий профиль карка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