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712B1 -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0712B1 KR101550712B1 KR1020130161144A KR20130161144A KR101550712B1 KR 101550712 B1 KR101550712 B1 KR 101550712B1 KR 1020130161144 A KR1020130161144 A KR 1020130161144A KR 20130161144 A KR20130161144 A KR 20130161144A KR 101550712 B1 KR101550712 B1 KR 101550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finishing material
- sides
- reinforced concrete
- finishing materia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외부 마감재 및 지지대 만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형틀로써 기능을 하는 구조를 만들고 이러한 형틀 구조를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도 철거하지 않고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마감재로써 존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축비용 및 공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지지대가 마감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가 외부 마감재뿐만 아니라 내부 마감재도 지지함으로써 형틀의 지지 강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지지대가 마감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가 외부 마감재뿐만 아니라 내부 마감재도 지지함으로써 형틀의 지지 강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구조의 4 면 또는 양측에 지지대를 이용하여 내·외부 마감재를 설치하고 내·외부 마감재 사이를 고정구를 통해 긴결함으로써, 상기 지지대 및 내·외부 마감재가 콘크리트 타설시 형틀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은 먼저 기둥이나 벽체를 조성하고 그 표면에 석재, 타일, 판넬 또는 벽돌 등의 마감재를 부착하는 시공구조나 시공방법으로 건축된다.
이때,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기둥이나 벽체는, 먼저 콘크리트 기초물 상에 철근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철근구조를 둘러싸는 형틀(거푸집)을 조성하여 그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다시 형틀을 제거하고 마감재를 시공하는 공정을 거쳐 시공된다.
상기와 같은 형틀(거푸집)은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는 동안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면서 양생과정에서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부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가 적절하게 양생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그러나 종래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은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 다시 형틀을 일일이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의 수가 많고 복잡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늘어나게 하는 요인이 되며 전체 공기를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서 형틀은 항구적인 구성요소가 아니라 철거해야 하는 구성요소이므로 형틀을 조성하고 해체하는 것은 필수적으로 물자와 건축비용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54933 호 "마감재를 형틀로 사용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시공방법" 에서는, 외부 마감재부착주에 마감재지지대와 나사를 이용하여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마감재 부착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54933 호에 따르면, 상기 마감재가 부착된 외부 마감재부착주와 내부 마감재부착주는 콘크리트 타설시 형틀의 기능을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54933 호에 개시된 발명은, 형틀로 쓰이는 마감재의 설치가 마감재부착주 설치공정 및 마감재 설치공정을 거치는 2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전체 공기의 단축효과가 미비하며, 별도의 마감재부착주를 사용해야 하므로 물자의 절감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시 마감재지지대 및 나사가 마감재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태에서 마감재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전술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54933 호에 개시된 발명은, 마감재지지대가 외부 마감재부착주 부분에 부착된 마감재만 지지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는 바, 마감재 및 마감재부착주로 이루어진 형틀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디기에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형틀의 기능을 겸하는 마감재를 지지대만으로 설치함으로써 건축비용 및 공기를 현저히 줄이고, 지지대가 마감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키며, 지지대가 외부 마감재뿐만 아니라 내부 마감재도 지지함으로써 형틀의 지지 강성을 현저히 증대시키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는, 철근구조를 기준으로 4 면 또는 양측에 직립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마감재 홈이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내부 마감재 및 외부 마감재; 다수의 상기 내·외부 마감재 중 하나의 내·외부 마감재에 형성된 마감재 홈에 일단 일측이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내·외부 마감재에 형성된 마감재 홈에 일단 타측이 삽입되어 다수의 내·외부 마감재를 격자 형태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내부 마감재 및 외부 마감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를 상호 긴결하는 다수의 고정구; 및 상기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내·외부 마감재 및 지지대는 콘크리트 타설부의 4 면 또는 양측을 지지하여 형틀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에서 상기 지지대는, 판상의 자루부; 및 상기 자루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 를 포함하여, 'T'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를 기준으로 내·외부 마감재 외측면의 크기는 내·외부 마감재 내측면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다수의 상기 내·외부 마감재 외측면은 서로 완전히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에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부재; 및 상기 횡부재의 양 끝단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절곡 연장되는 종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종부재는 지지대의 일측면에 볼팅 결합 또는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를 기준으로 내·외부 마감재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판상의 단열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기초물 상에 철근구조를 설치하는 철근구조 설치공정; 상기 철근구조를 기준으로 4 면 또는 양측에 다수의 지지대를 격자형으로 직립 설치하면서 상기 지지대 사이에 내·외부 마감재를 결합하는 형틀 설치공정; 상기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를 상호 긴결하는 고정구 설치공정; 및 상기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 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정에서 내·외부 마감재 및 지지대는 콘크리트 타설부의 4 면 또는 양측을 지지하는 형틀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고정구 설치공정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를 기준으로 내·외부 마감재의 내측면에는 판상의 단열재가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정 전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전선, 통신선 또는 수도관 등의 배관을 설치하는 배관 설치공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시공과정에서 철근구조의 4 면 또는 양측에 직립 설치되는 내·외부 마감재 및 상기 내·외부 마감재를 격자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콘크리트 타설시 형틀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시공 완료시에는 마감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형틀의 조성, 콘크리트 타설, 형틀의 철거 및 마감재 시공으로 이루어지는 공정을 마감재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 한 번의 공정으로 대체함으로써, 건축비용 절감 및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외부 마감재의 외측면이 서로 완전히 접촉되도록 하고 지지대를 내·외부 마감재의 안쪽에 배치하여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완공시 지지대가 마감재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외관미를 크게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대가 외부 마감재뿐만 아니라 내부 마감재도 지지하고 고정구가 외부 마감재와 내부 마감재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형틀 구조의 지지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콘크리트 타설부를 기준으로 내·외부 마감재의 내측면에 단열재가접착되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단열 성능이 향상되고, 마감재가 기둥이나 벽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내구성 및 내진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콘크리트 기초물과 그 콘크리트 기초물 상에 철근구조(10)를 설치하는 초기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은 종래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과 동일하지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설치하는 형틀(거푸집)은 종래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과 전혀 다른 개념을 적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 형틀은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철거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의 모든 공정을 완료한 후에도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내·외부 마감재(20, 30)로써 항구적으로 존치되는 것이므로, 형틀이 종래와 같이 철거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본 발명은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54933 호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마감재가 부착된 외부 마감재부착주와 내부 마감재부착주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형틀의 기능을 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 작업을 복잡하게 만들고 물자와 시간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 먼저 상하방향으로 철근구조(10)를 조성한 후 기둥의 4 면 또는 벽체의 양측에 다수의 내부 마감재(20) 및 외부 마감재(30)를 직립 설치한다.
상기 내·외부 마감재(20, 30)는 가로방향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40) 및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40)에 의해 격자 형태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40)는 다수의 내·외부 마감재(20, 30) 중 하나의 내·외부 마감재(20, 30)에 형성된 마감재 홈(32)에 일단 일측이 삽입되며, 다수의 내·외부 마감재(20, 30) 중 다른 하나의 내·외부 마감재(20, 30)에 형성된 마감재 홈(32)에 일단 타측이 삽입된다.
즉, 상기 지지대(40)는 다수의 내·외부 마감재(20, 30) 사이 사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내·외부 마감재(20, 30)의 4 변에 형성된 마감재 홈(32)에 삽입됨으로써, 내·외부 마감재(20, 30)를 4 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 등의 방향 표시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참고적으로 쓰이는 방향 표시일 뿐이며, 이러한 방향 표시가 철근구조(10)의 배치 변경,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을 바라보는 위치 등에 따라 변경된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40)의 규격 및 마감재의 넓이와 두께는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 아니라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규모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시험과 검증에 따라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정해져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마감재(20)와 외부 마감재(30) 사이에는 다수의 고정구(50)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 마감재(20)와 외부 마감재(30)를 상호 긴밀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성된 마감재로 이루어지는 형틀 구조는 내·외부 마감재(20, 30) 및 지지대(40) 만으로도 충분히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딜 수 있지만 마주보는 내부 마감재(20)와 외부 마감재(30) 사이를 고정구(50)로 연결하면 외부에 추가적인 장치를 하지 않아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어떤 변형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견고성을 확보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0)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마감재(3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는, 일반적으로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 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자루부(42) 및 상기 자루부(4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40)는 'T'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기다란 철재 부재로 이루어지고,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자는 지지대(40)가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지지대(40)를 다양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대(40)는, 마감재 홈(32)의 형태, 내·외부 마감재(20, 30)의 전체적인 형상,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태 등에 따라 날개부(44)의 끝단이 만곡된 형태, 지지대(40)의 모든 끝단을 라운딩 처리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4 변이 적절하게 가공된 내·외부 마감재(20, 30)에 삽입되어 내·외부 마감재(20, 30)의 4 변을 지지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형틀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의 규격은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 아니라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규모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루부(42)의 두께와 한 쌍의 날개부(44)의 두께를 각각 5 mm 로 동일하게 형성하고, 자루부(42)의 높이는 10 cm 가 되도록 형성하며, 날개부(44)의 연장 길이는 각각 5 mm 로 설정하여 지지대(40)의 전체 폭이 15 mm (한 쌍의 날개부 두께:5 mm * 2 + 자루부의 두께:5 mm)가 되도록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마감재(30)는 사각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그 넓이와 두께 또한 건축물의 규모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외부 마감재(30)에 대하여 상세히 도시하고 있지만, 내부 마감재(20) 역시 외부 마감재(30)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외부 마감재(20, 30)는, 먼저 내·외부 마감재(20, 30)의 4 변을 'ㄴ'자 형태로 삭제가공한 후 내·외부 마감재(20, 30)의 둘레를 따라 마감재 홈(32)을 파내는 가공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외부 마감재(20, 30)는 내부 마감재(20)와 외부 마감재(30) 사이에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부(12)를 기준으로 콘크리트 타설부(12) 방향에 배치되는 내측면(36) 및 콘크리트 타설부(12)의 바깥 방향에 배치되는 외측면(34)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내·외부 마감재(20, 30)의 측면은, 마감재 홈(32)으로부터 외측면(34)까지 연결되는 마감재 접촉면(31) 및 마감재 홈(32)으로부터 내측면(36)까지 연결되는 지지대 접촉면(33)으로 구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외부 마감재(20, 30)의 전체 두께 즉, 마감재 접촉면(31)의 두께, 마감재 홈(32)의 두께 및 지지대 접촉면(33)의 두께의 합은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대(40)의 날개부(44)는 마감재 홈(32)에 완전히 삽입되어야 하므로 마감재 홈(32)의 두께는 날개부(44)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마감재 홈(32)의 함몰 깊이는 날개부(44)의 연장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외부 마감재(20, 30)에 형성된 마감재 홈(32)의 두께는 5 mm 가 되어야 하며, 상기 마감재 홈(32)의 함몰 깊이는 날개부(44)의 연장 길이와 동일한 5 mm 가 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외부 마감재(20, 30)의 외측면(34)은 내·외부 마감재(20, 30)의 내측면(36)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면(34)은 내측면(36)보다 자루부(42) 두께의 절반에 해당하는 2.5 mm 정도 더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사각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내·외부 마감재(20, 30)의 외측면(34)을 내측면(36)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내·외부 마감재(20, 30) 배치시 내·외부 마감재(20, 30)의 외측면(34)은 마감재 접촉면(31)을 통해 서로 완전히 접촉된다.
따라서, 내·외부 마감재(20, 30)의 외측면(34)은 그 접속부분이 잘 드러나지 않을 정도로 깔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전체의 외관미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 접촉면(33)의 두께는 자루부(4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지지대(40)의 날개부(44)가 내·외부 마감재(20, 30)에 삽입된 후에도 자루부(42)의 일부가 내·외부 마감재(20, 30)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지지대(40)가 여유부분(46)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루부(42)는 전술한 것과 같이 10 cm 의 길이로 형성되고 지지대 접촉면(33)의 두께는 약 40 mm 정도로 형성되어 지지대(40)가 약 60 mm 정도의 여유부분(46)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40)의 여유부분(46)은 지지대(40)와 내·외부 마감재(20, 30)를 이용해 형틀 구조를 조성할 때 용접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후술되는 고정구(50)가 결합되는 결속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50)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50)는 콘크리트 타설부(12)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부재(52) 및 상기 횡부재(52)의 양 끝단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절곡 연장되는 종부재(54)를 포함하는 'ㄷ' 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50)는 내·외부 마감재(20, 30) 및 지지대(40)로 이루어진 형틀 구조를 서로 연결하여 형틀 구조가 타설된 콘크리트의 압력을 감당하도록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50)의 종부재(54)는 지지대(40)의 일측면 즉, 지지대(40)의 여유부분(46)에 볼팅 결합 또는 용접 결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50)의 볼팅 결합을 위해서 종부재(54)에는 다수의 볼트 관통홀(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횡부재(52)의 길이는 콘크리트 타설부(12)의 너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종부재(54)의 길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약 15 cm 정도로 형성되며 그 두께는 2 cm 내지 3 cm 정도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내·외부 마감재(20, 30)의 내측면(36)에는 사각판 형태의 단열재(60)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재(60)는 외부 마감재(30) 부분에만 부착되어 있지만 구조상 내부 마감재(20) 부분에도 당연히 부착될 수 있으며, 내·외부 마감재(20, 30) 내측면(36)의 일부뿐만 아니라 내·외부 마감재(20, 30) 내측면(36)의 전부에도 당연히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콘크리트 기초물 상에 철근구조(10)를 설치한 후 조성할 벽체나 기둥의 폭을 결정하고 이에 맞추어 내·외부 마감재(20, 30) 및 타설할 콘크리트의 두께 등을 감안하여 지지대(40)의 위치를 결정한다.
지지대(40)의 위치가 결정되면, 지지대(40)의 한쪽 날개부(44)를 제거하여 'ㄱ'자 형태로 만든 지지대(40)를 남은 날개부(44)가 위로 오게 하여 콘크리트 기초물 상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내·외부 마감재(20, 30) 내측면(36)의 한 변의 길이로 절단한 지지대(40)를 가로로 놓인 지지대(40)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세로로 결합하여 지지대(40)가 'ㄴ'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ㄴ'자 형태로 배치된 지지대(40)에 내·외부 마감재(20, 30)를 장착하는데 이때 지지대(40)의 날개부(44)는 내·외부 마감재(20, 30)의 4 변에 형성된 마감재 홈(32)에 정밀하게 접속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의 지지대(40)를 격자형태로 설치하면서 지지대(40) 사이 사이에 내·외부 마감재(20, 3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틀 설치공정을 진행한다.
형틀 설치공정에 따라 철근구조(10)의 4 면 또는 양측에 내·외부 마감재(20, 30) 및 지지대(40)로 이루어진 형틀 구조가 조성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형틀 사이에 횡방향으로 고정구(50)를 결속시켜 좌우 형틀의 지지 강성을 보강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12)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고정구(50)는, 지지대(40)의 여유부분(46)에 볼트 또는 용접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결합 방법은 선택적이다.
내·외부 마감재(20, 30) 및 지지대(40)로 이루어진 형틀 설치공정 및 고정구 설치공정이 완료되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자는 선택적으로 내·외부 마감재(20, 30)의 내측면(36)에 판상의 단열재(60)를 접착하여 건축물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틀 설치공정, 고정구 설치공정 및 단열재 설치공정들은 작업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그 작업의 순서에 따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외부 마감재(20, 30) 및 지지대(40)로 이루어진 형틀을 설치하고 고정구(50)를 설치한 후 선택적으로 단열재(60)까지 모두 부착하면 내부 마감재(20)와 외부 마감재(30) 사이에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부(12)에 전선, 통신선 또는 수도관 등의 배관(미도시)를 배열한 후 콘크리트 타설부(1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종래와 같이 형틀을 철거할 필요가 없으며 콘크리트 타설부(12)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그것으로 곧 공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철근구조
12 : 콘크리트 타설부
20 : 내부 마감재
30 : 외부 마감재
31 : 마감재 접촉면
32 : 마감재 홈
33 : 지지대 접촉면
34 : 외측면
36 : 내측면
40 : 지지대
42 : 자루부
44 : 날개부
46 : 지지대의 여유부분
50 : 고정구
52 : 횡부재
54 : 종부재
56 : 볼트 관통홀
60 : 단열재
12 : 콘크리트 타설부
20 : 내부 마감재
30 : 외부 마감재
31 : 마감재 접촉면
32 : 마감재 홈
33 : 지지대 접촉면
34 : 외측면
36 : 내측면
40 : 지지대
42 : 자루부
44 : 날개부
46 : 지지대의 여유부분
50 : 고정구
52 : 횡부재
54 : 종부재
56 : 볼트 관통홀
60 : 단열재
Claims (8)
- 철근구조를 기준으로 4 면 또는 양측에 직립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4변에 마감재 홈이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내부 마감재 및 외부 마감재;
다수의 상기 내·외부 마감재 중 하나의 내·외부 마감재에 형성된 마감재 홈에 일단 일측이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내·외부 마감재에 형성된 마감재 홈에 일단 타측이 삽입되어 다수의 내·외부 마감재를 격자 형태로 지지하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형태로 내·외부 마감재의 4변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내부 마감재 및 외부 마감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를 상호 긴결하는 다수의 고정구; 및
상기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대의 측면에 완전히 면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내·외부 마감재 및 지지대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타설부의 4 면 또는 양측을 지지하여 형틀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양생 후 철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판상의 자루부; 및
상기 자루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 를 포함하여,
'T'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를 기준으로 내·외부 마감재 외측면의 크기는 내·외부 마감재 내측면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다수의 상기 내·외부 마감재 외측면은 서로 완전히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부재; 및
상기 횡부재의 양 끝단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절곡 연장되는 종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종부재는 지지대의 일측면에 볼팅 결합 또는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를 기준으로 내·외부 마감재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판상의 단열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 콘크리트 기초물 상에 철근구조를 설치하는 철근구조 설치공정;
상기 철근구조를 기준으로 4 면 또는 양측에 다수의 지지대를 격자형으로 직립 설치하면서 상기 지지대 사이에 내·외부 마감재를 결합하는 형틀 설치공정;
상기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를 상호 긴결하는 고정구 설치공정; 및
상기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형태로 내·외부 마감재의 4변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구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대의 측면에 완전히 면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정에서 내·외부 마감재 및 지지대는 콘크리트 타설부의 4 면 또는 양측을 지지하는 형틀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양생 후 철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설치공정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를 기준으로 내·외부 마감재의 내측면에는 판상의 단열재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정 전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전선, 통신선 또는 수도관 등의 배관을 설치하는 배관 설치공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1144A KR101550712B1 (ko) | 2013-12-23 | 2013-12-23 |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1144A KR101550712B1 (ko) | 2013-12-23 | 2013-12-23 |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3443A KR20150073443A (ko) | 2015-07-01 |
KR101550712B1 true KR101550712B1 (ko) | 2015-09-08 |
Family
ID=5378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1144A KR101550712B1 (ko) | 2013-12-23 | 2013-12-23 |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071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0855B1 (ko) * | 2021-10-08 | 2022-12-23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진 및 풍하중 저항이 우수한 허니콤 메타 기반 고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55935A (zh) * | 2018-07-27 | 2018-11-06 |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 无模混凝土的工装及其施工方法 |
-
2013
- 2013-12-23 KR KR1020130161144A patent/KR10155071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0855B1 (ko) * | 2021-10-08 | 2022-12-23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진 및 풍하중 저항이 우수한 허니콤 메타 기반 고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3443A (ko) | 2015-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409811B (zh) |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 |
KR101250860B1 (ko) | 거푸집틀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 |
CN110409813B (zh) |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 |
KR19980035620A (ko) | 조립식 철골조(steel house)와 이를 이용한 건축공법 | |
KR101523987B1 (ko) |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h형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벽체용 에코 거푸집의 제작방법 | |
KR101550712B1 (ko) |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186053B1 (ko) |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 |
KR101616867B1 (ko) |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 |
KR101508960B1 (ko) |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 |
KR102098629B1 (ko) |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JP2017227052A (ja) | 型枠ハンガー | |
KR101532690B1 (ko) | 내진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 |
JP2004124641A (ja) | トンネル坑門用外型枠とこれを用いたトンネル坑門の施工方法 | |
JP2018091019A (ja) | 型枠固定装置、型枠、型枠固定方法および目地の施工方法 | |
KR20060114572A (ko) | 직교되는 보강재를 갖는 한 쌍의 익스펜디드 메탈라스를이용한 매립형 거푸집 시스템 | |
KR20160120828A (ko) | 방수턱틀 고정지지대 | |
KR100942693B1 (ko) |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고정 및 보강구조 | |
JP2007217871A (ja) |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 |
KR20160003959U (ko) | T형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거푸집의 제작방법 | |
KR20160116274A (ko) |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 |
KR101569006B1 (ko) | 영구 거푸집을 이용한 밸브실 시공 방법 | |
KR101898158B1 (ko) |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 |
KR101524725B1 (ko) | 취수 구조물 벽면 보수 방법 | |
CN210659245U (zh) |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及模板结构 | |
CN210659251U (zh) |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及模板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