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960B1 -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960B1
KR101508960B1 KR20140006020A KR20140006020A KR101508960B1 KR 101508960 B1 KR101508960 B1 KR 101508960B1 KR 20140006020 A KR20140006020 A KR 20140006020A KR 20140006020 A KR20140006020 A KR 20140006020A KR 101508960 B1 KR101508960 B1 KR 10150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wall
insulating pla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현
이목우
Original Assignee
(주)한국록셀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록셀보드 filed Critical (주)한국록셀보드
Priority to KR2014000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외부에 단열판재(107)가 일체화된 외단열 벽체 시공을 위하여 창틀용 개구부 형성을 위한 공간을 판재(117)로 막은 내부 거푸집(100)과 그로부터 이격되게 단열판재를 설치하는 외단열 벽체용 거푸집 설치단계(S1), 상기 내부 거푸집과 단열판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2), 상기 단계(S2)에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 내부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3), 상기 판재(117)을 제거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S1)에서, 단열판재(107)에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제거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창틀 설치단계(S4)에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115)을 제거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벽체의 개구부에서 콘크리트벽체에 고정된 브라켓에 창틀 프레임(130)을 콘크리트 벽체부분(120)에 설치하며, 창틀 설치후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창틀용 개구부 주변에 앞서 제거한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재설치하여 고정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거푸집로서 단열재를 사용하거나 외부거푸집 내측면에 단열판재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창틀의 열교현상이 방지되고, 외단열 벽체 완성후 창틀설치를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창틀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A METHOD FOR CONSTRUCTING A WINDOW SASH ON THE OUTSIDE INSULATION WALL OF STRUCTURE}
본 발명은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효과의 개선을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 외측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외단열 벽체 시공시에 창틀을 단열재 위에 단열 효과의 저하 없이 안정되고 간편하게 설치하도록 개선된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은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시공하여 건축되며, 이러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은 결속구를 사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는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콘크리트 벽체에 창틀을 시공하는 것은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 형성된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벽 단부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창틀을 지지토록 하였다.
이러한 창틀 시공의 예로는, 2010년05월03일 공개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44971호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시공에서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단열재(40)가 도포된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용접되거나 끼움 결합된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발코니턱(50)의 상단에 안착시키기에 앞서 시멘트와 모래가 반죽 혼합된 모르타르(M)를 상기 발코니턱(50) 상단에 도포시킨 후 그 위에 상기 창틀 고정용 브라켓(1) 중 수직판넬(20)의 일측면을 발코니턱(50)의 내측벽면(5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향측 브라켓(1a)의 수평측판넬(10a)을 안착시킨 다음 상기 발코니턱(50)의 내측벽면(52)에 밀착된 수직판넬(20)의 체결공(21,22)를 통해 앵커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발코니턱(50)에 창틀 고정용 브라켓(1)을 완전히 고정시킨 후 전체 수평판넬(10)의 상단에 창틀(60)을 안착시켜 체결공(11)을 통해 상기 창틀(60) 하단과 전체 수평판넬(10)을 나사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과 P.V.C 창호로 형성된 창틀(60) 간에 연결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모르타르(M)의 응고작용에 의해 발코니턱(50) 상단에 고정된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과 모르타르(M)의 일단에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이중창문 세척수가 모르타르(M)를 통해 발코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용 실리콘(S)을 도포하여 실링처리를 한 다음 상기 외향측 브라켓(1a)의 수평측판넬(10a)이 고정된 발코니턱(50)의 내측벽면(52)으로부터 창틀(60)의 내측 단부 즉, 창틀 고정용 브라켓(1)중 상기 발코니턱(50) 상단으로부터 발코니 내측으로 연장된 내향측 브라켓(1b)의 수평측판넬(10b) 끝단까지 스티로폼재인 단열재를 비롯하여 시멘트, 석고보드의 적층 시공과 더불어 도배 또는 페인트칠 등 마무리 작업을 시행하였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창틀 시공은 단순히 콘크리트 벽체에 창틀을 시공하거나, 콘크리트 벽체 내측에 단열재를 시공한 벽체에 적용하는 것이나, 단열 효과의 개선을 위해 단열재가 콘크리트 벽체 외측에 형성된 외단열 벽체에서는 창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단열재 위에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상기한 특허의 브라켓을 이용한 창틀 시공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
외단열 벽체의 시공은, 콘크리트 벽체를 통해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됨에 따른 열손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 콘크리트 벽체 내측에 단열판재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콘크리트 벽체 외측에 단열판재를 배치하여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를 축열체로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외단열 콘크리트 벽체 시공이 점증되고 있다.
상기한 외단열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에 벽체에 창문을 형성하기 위해 개구부를 마련하도록 시공하는 경우에, 외단열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무거운 창틀과 창문을 설치할 때, 창틀은 단열판재와 콘크리트의 개구부 단부 위에 걸쳐 설치하게 되며, 이 경우 개구부가 좁으면 창틀을 설치하기 어렵게 되어, 이미 콘크리트 동시타설로 벽체와 일체화되어 있는 단열판재를 일부 제거해내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구부를 창틀 보다 넓게 형성하게 되면 후속적으로 창틀 주변에 단열 시공을 다시 해야 하므로, 시공 기간이 지연되고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단열 효과가 우수한 외단열 벽체를 시공하면서 이러한 외단열 벽체에 창틀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망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44971호 (2010년05월03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외단열 벽체에 창틀을 시공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단열판재와 콘크리트 벽체가 일체로 된 외단열 벽체의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 창틀을 단열판재 위치에 배치되게 설치하여 창틀에 의한 열교현상의 문제를 해소하여 단열 효과가 개선되도록 한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단열 벽체 시공시 창틀을 단열판재 위치에 배치되게 설치하고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하여 외단열 벽체의 창틀을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개선된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벽체 외부에 단열판재가 일체화된 외단열 벽체 시공을 위하여 창틀용 개구부 형성을 위한 공간을 판재로 막은 내부 거푸집과 그로부터 이격되게 단열판재를 설치하는 외단열 벽체용 거푸집 설치단계(S1), 상기 내부 거푸집과 단열판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2), 상기 단계(S2)에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 내부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3), 상기 판재을 제거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S1)에서, 창틀 설치를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단열판재에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들을 제거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창틀 설치단계(S4)에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을 제거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외단열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콘크리트벽체에 고정된 브라켓에 창틀 프레임을 콘크리트 벽체부분에 설치하며,
창틀 설치후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창틀용 개구부 주변에 앞서 제거한 단열판재부분들을 재설치하여 고정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판재는 외부거푸집으로서 제공되며, 철근을 배근하고 그로 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내부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 거푸집 내측에 콘부재를 설치하고, 그 콘부재의 내측에는 형성될 콘크리트 벽체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의 세파볼트를 체결하고 내부 거푸집 외측에는 폼타이를 콘부재에 결합시키며, 상기 콘부재가 결합된 반대쪽의 세파볼트의 단부에는 외부 거푸집으로서 설치되는 단열판재를 관통하여 타이볼트를 설치하며, 그 타이볼트는 단열판재 외측에 제공되는 폼타이와 연결한다.
상기 타설될 콘크리트 벽의 두께에 대응된 간격으로 단열판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단열판재에 인접한 세파볼트의 단부에는 원판형태의 지지구를 체결한다.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4)에서, 양생된 콘크리트에 세파볼트와 원판형태의 지지구를 잔류시키는 한편, 타이볼트와 폼타이 및 콘부재는 모두 제거하고, 제거되는 타이볼트에 의해 단열판재에 형성된 홀에는 단열재를 충진한다.
상기 단열판재는 외부거푸집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판재부분은 벽체 시공후 단열판재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랩이나 방수 테이프로 감싸져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은 단계(S1)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배근된 철근에 미리 고정되고, 콘크리트 양생후 상기 브라켓에 창틀 프레임을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외단열 벽체 시공시,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 단열판재를 사용하여 외단열 벽체를 구축함과 함께 외단열 벽체의 단열판재에서 창틀 설치를 위한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들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창틀 설치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창틀을 설치한 다음, 제거된 단열판재부분들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외단열 벽체에 창틀설치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을 거푸집 시공시에 미리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후 창틀 프레임이 콘크리트 벽체에서 벗어나 단열판재 위치에 배치되게 설치할 수도 있으므로, 작업 현장 조건에 따라 창틀 프레임 설치 시점을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은 창틀을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의 개구부 위에 설치하지 않고 콘크리트 벽체에 의해 지지되게 하되 콘크리트 벽체 외측의 단열판재쪽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창틀에 의한 열교현상이 방지되어 향상된 단열효과와 함께 내부의 콘크리트 벽체를 축열재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벽체에 창틀을 설치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외단열 벽체 창틀을 형성하기 위해 외단열 벽체 시공시에 창틀에 대응된 개구부를 마련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외단열 벽체 시공후 창틀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라 시공된 외단열 벽체에서 창틀에 대응된 개구부 주변의 임시 제거후 재설치할 단열판재부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을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외단열 벽체 창틀을 형성하기 위해 외단열 벽체 시공시에 창틀에 대응된 개구부를 형성할 때, 창틀용 브라켓을 거푸집에 미리 설치하는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5에 있어서, 외단열 벽체 시공은 일반적으로 외부거푸집 내측면에 단열재를 고정하고 내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벽체 외측에 단열재가 부착된 형태로 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외단열 벽체 시공시 창틀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마련하는 것을 보여 주며, 외단열 벽체 시공시에 창틀용 개구부를 동시에 형성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열재를 외부거푸집으로 하고 내부거푸집과 단열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단열 벽체를 시공할 때 창틀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내부의 콘크리트 벽체에 외부의 단열판재가 일체화된 외단열 벽체 시공을 위한 외단열 벽체용 거푸집 설치단계(S1)로서, 철근을 배근하고 그로 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내부 거푸집(100)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 거푸집 내측에 콘부재(101)를 설치하고, 그 콘부재의 내측에는 형성될 콘크리트 벽체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의 세파볼트(103)를 체결하고 거푸집 외측에는 폼타이(104)를 콘부재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내부 거푸집(100)의 외면에는 수직각재(105)와 수평지지부재(106)가 설치된다.
상기 콘부재가 결합된 반대쪽의 세파볼트(103)의 단부에는 외부 거푸집으로서 단열판재(107)가 설치되며, 이때 단열판재를 타설될 콘크리트 벽의 두께에 대응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해 지지하도록 원판형태의 지지구(108)가 체결된다. 상기 단열판재(107)의 외측에 수직각재(109)와 수평지지구(110)가 설치되고, 단열판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타이볼트(112)는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구(108)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한편 타단부는 단열판재 외측에서 폼타이(111)에 체결되어 폼타이를 조임으로써 외부 거푸집으로서의 단열판재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내부 거푸집(100)과의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벽체를 형성하도록 한다(단계 S2 및 S3).
종래의 단열판재는 강도가 약하여 창틀을 지지할 수 없어 부득이 콘크리트 벽체부분 위에 고정하고 단열판재 위로 연장되는 부분은 브라켓으로 지지토록 해야 한다. 이때, 브라켓 설치로 인하여 외측의 단열판재 일부분을 손상시키는 경우 창틀 설치후 단열판재 부분을 보수해야 하지만 그러한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외단열 벽체에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열판재(107)에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상하좌우의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전체적으로 구성되는 단열판재(107)와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단열 벽체 완성후 창틀 설치를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창틀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단열 벽체를 위한 외부 거푸집으로서의 단열판재(107)에서, 창틀용 개구부(114) 주변의 단열판재를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한다. 즉,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는 상하측 가로방향 및 좌우측 세로방향의 단열판재부분(115)들로 구성하여 분리가능하게 배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열판재부분(115)들은 외단열 벽체 시공시 단열판재(107)와 함께 콘크리트 벽체를 위한 외부 거푸집을 형성하고, 벽체 시공후 단열판재(107)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단열판재부분들의 외측면을 랩이나 방수 테이프로 감싸 배치한다.
이때, 내부 거푸집에서 창틀용 개구부를 위해 절취된 부분에 대응된 단부를 밀폐하도록 판재(117)로 막으며, 상기 밀폐용 판재(117)는 개구부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판재부분(115) 밑에 까지 연장되어 단열판재부분을 지지토록 한다.
그런 다음, 콘크리트 타설 단계(S2)에서, 콘크리트를 내부 거푸집과 외부거푸집으로서의 단열판재 사이에 타설하고, 콘크리트 양생후 내부거푸집과 내측 및 외측의 폼타이와 수직각재 및 수평각재들을 제거하여 거푸집을 해체하면, 창틀 설치용 개구부가 형성된 외단열 벽체가 형성된다.(단계 S3)
이와 같이 외단열 벽체가 형성된 다음에는 거푸집 해체 단계(S3)로서, 외단열 벽체 형성을 위한 내부 거푸집과 수직각재와 수평지지구 및 폼타이를 제거하고, 상기 단열판재(107)의 외측에 설치된 수직각재와 수평지지구, 단열판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타이볼트와 폼타이 및 콘부재를 제거한다. 그러나, 양생된 콘크리트에 세파볼트와 원판형태의 지지구를 잔류시키고, 제거된 타이볼트에 의해 형성된 홀에는 단열재를 충진시킨다.
상기와 같이 외단열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하는 단계(S4)로서, 외단열 벽체에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제거하고, 상기 외단열 벽체의 창틀용 개구부에서 콘크리트 벽체부분(120)에 브라켓(121)을 앵커나 볼트로 고정하고 그 브라켓에 창틀 프레임(130)을 스크류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121)은 적어도 일부분이 콘크리트 벽체부분(120)에서 단열판재(107) 쪽으로 연장되고, 그와 같이 연장된 부분에 창틀 프레임을 고정한다.
위와 같이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한 다음, 벽체에 고정된 브라켓에 창틀을 설치한 다음에, 단계(S5)에서 창틀 설치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앞서 제거된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재설치하여 고정한다.
상기한 단열판재부분(115)을 제거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벽체부분(120)과 단열판재(107)의 내측면이나 모서리부분에는 방수제(122)로 도포하여 혹시라도 창틀과 외부의 단열판재 사이를 통해 누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하며 방수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재설치되는 단열판재부분(115)들의 내측면(130)에는 콘크리트 벽체부분(120)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되고, 단열판재부분들의 외측면들에는 인접한 단열판재(107)의 단부면 사이의 방수를 위해 방수액을 도포하며, 상기 방수액에는 접착성이 있어 재설치되는 단열판재부분들은 인접한 단열판재의 단부면과 접착되어 일체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전에 창틀 프레임이 외부 거푸집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창틀 프레임 설치용 브라켓을 미리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 사이에 배근되는 철근에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단계(S1)의 거푸집 설치단계에서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를 통하여, 창틀 프레임(130)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21)을 내부 거푸집과 내부 거푸집 사이에 철근 배근할때 미리 철근에 묶어서 고정설치하고, 상기 내부 거푸집과 외부거푸집으로서의 단열판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단계 S3), 상기 단계(S3)에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 거푸집을 해체하고(단계 S4), 외단열 벽체에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 주변에서 창틀 설치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제거하고, 상기 단계(S1)에서 미리 설치되어 콘크리트에 고정된 브라켓(121)에 창틀 프레임(130)을 스크류로 고정하여 외단열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하는 단계(S4), 외단열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앞서 제거된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재설치하여 고정한다(단계 S5).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창틀 프레임이 콘크리트 벽체에서 벗어나 단열판재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창틀 프레임용 브라켓을 거푸집 시공시에 미리 설치하는 점에서, 브라켓을 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창틀 시공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작업 현장 조건에 따라 창틀 프레임용 브라켓 설치 시점을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단열재를 외부거푸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창틀 시공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거푸집 내측면에 단열판재를 고정하고, 그 단열판재와 내부거푸집과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외부 거푸집 내측면에 고정되는 단열판재에서 창틀용 개구부의 주변에 해당하는 단열판재부분을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듯이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후 콘크리트 벽체 외측에 부착된 단열판재에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을 제거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창틀 프레임을 설치한 다음 앞서 제거한 단열판재부분을 재설치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 설치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에 창틀 프레임 설치를 위한 브라켓을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후 상기 브라켓에 창틀 프레임을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양생후에 브라켓을 창틀용 개구부의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고 창틀 프레임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단열 벽체의 단열판재에서 창틀 설치를 위한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들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창틀 설치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창틀을 설치한 다음, 제거된 단열판재부분들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외단열 벽체에 창틀설치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콘크리트 외측의 단열재 쪽에 창틀 프레임이 배치되게 브라켓을 콘크리트 벽체 타설전 또는 후에 설치하고, 창틀 프레임을 콘크리트 벽체에서 벗어나 단열재 위치에 배치되게 시공함으로써 종래 창틀을 통한 열교현상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지 않고, 내부의 콘크리트 벽체를 축열재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성 향상과 함께 단열 효과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내부의 콘크리트 벽체부분 외측에 단열판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외단열 벽체에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들을 분리가능하게 설치하여 외단열 벽체를 시공한 후 창틀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100 : 내부 거푸집 101 : 콘부재
103 : 세파볼트 105 : 수직각재
106 : 수평지지부재 107 : 단열판재
108 : 지지구 111 : 폼타이
112 : 타이볼트 115 : 단열판재부분
120 : 콘크리트 벽체부분 121 : 브라켓

Claims (7)

  1. 콘크리트 벽체 외부에 단열판재(107)가 일체화된 외단열 벽체 시공을 위하여 창틀용 개구부 형성을 위한 공간을 판재(117)로 막은 내부 거푸집(100)과 그로부터 이격되게 단열판재를 설치하는 외단열 벽체용 거푸집 설치단계(S1),
    상기 내부 거푸집과 단열판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2),
    상기 단계(S2)에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 내부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3),
    상기 판재(117)을 제거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창틀을 설치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S1)에서, 창틀 설치를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단열판재(107)에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제거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창틀 설치단계(S4)에서,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단열판재부분(115)을 제거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외단열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콘크리트벽체에 고정된 브라켓에 창틀 프레임(130)을 콘크리트 벽체부분(120)에 설치하며,
    창틀 설치후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창틀용 개구부 주변에 앞서 제거한 단열판재부분(115)들을 재설치하여 고정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재는 외부거푸집으로서 제공되며, 철근을 배근하고 그로 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내부 거푸집(100)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 거푸집 내측에 콘부재(101)를 설치하고, 그 콘부재의 내측에는 형성될 콘크리트 벽체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의 세파볼트(103)를 체결하고 내부 거푸집 외측에는 폼타이(104)를 콘부재에 결합시키며, 상기 콘부재가 결합된 반대쪽의 세파볼트(103)의 단부에는 외부 거푸집으로서 설치되는 단열판재(107)를 관통하여 타이볼트(112)를 설치하며, 그 타이볼트는 단열판재 외측에 제공되는 폼타이(111)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될 콘크리트 벽의 두께에 대응된 간격으로 단열판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단열판재에 인접한 세파볼트의 단부에는 원판형태의 지지구(108)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4)에서, 양생된 콘크리트에 세파볼트와 원판형태의 지지구(108)를 잔류시키는 한편, 타이볼트와 폼타이 및 콘부재는 모두 제거하고, 제거되는 타이볼트에 의해 단열판재에 형성된 홀에는 단열재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재(107)는 외부거푸집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6. 제 1항, 2항, 3항 및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재부분(115)은 벽체 시공후 단열판재(107)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랩이나 방수 테이프로 감싸져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단계(S1)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배근된 철근에 미리 고정되고, 콘크리트 양생후 상기 브라켓에 창틀 프레임을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KR20140006020A 2014-01-17 2014-01-17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KR10150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020A KR101508960B1 (ko) 2014-01-17 2014-01-17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020A KR101508960B1 (ko) 2014-01-17 2014-01-17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960B1 true KR101508960B1 (ko) 2015-04-08

Family

ID=5303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6020A KR101508960B1 (ko) 2014-01-17 2014-01-17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9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1611B2 (en) * 2015-03-04 2019-03-05 Starvillengineering Co., Ltd. Window frame insul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warm house
CN109750941A (zh) * 2019-03-01 2019-05-14 中山中瑞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模板组件及铝合金窗框安装方法
CN110027110A (zh) * 2019-05-15 2019-07-19 中建科技河南有限公司 一种环扣式飘窗外墙预制模具和预制方法
KR102337831B1 (ko) * 2021-04-12 2021-12-10 신백범 창틀 떨림 방지를 위한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창틀 구조체
CN116122574A (zh) * 2023-01-04 2023-05-16 中建科技集团华北有限公司 一种被动式现浇混凝土外墙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766A (ja) 2002-10-17 2004-05-13 Efp:Kk 外断熱工法
JP2004232317A (ja) 2003-01-30 2004-08-19 Ando Corp 外断熱壁構造およびその外断熱壁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766A (ja) 2002-10-17 2004-05-13 Efp:Kk 外断熱工法
JP2004232317A (ja) 2003-01-30 2004-08-19 Ando Corp 外断熱壁構造およびその外断熱壁の形成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1611B2 (en) * 2015-03-04 2019-03-05 Starvillengineering Co., Ltd. Window frame insul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warm house
CN109750941A (zh) * 2019-03-01 2019-05-14 中山中瑞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模板组件及铝合金窗框安装方法
CN110027110A (zh) * 2019-05-15 2019-07-19 中建科技河南有限公司 一种环扣式飘窗外墙预制模具和预制方法
CN110027110B (zh) * 2019-05-15 2024-02-02 中建科技河南有限公司 一种环扣式飘窗外墙预制模具和预制方法
KR102337831B1 (ko) * 2021-04-12 2021-12-10 신백범 창틀 떨림 방지를 위한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창틀 구조체
CN116122574A (zh) * 2023-01-04 2023-05-16 中建科技集团华北有限公司 一种被动式现浇混凝土外墙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960B1 (ko)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CN108000689B (zh) 带窗框的砼构件用组合模板及其浇筑方法和砼构件
CN108589975A (zh) 现场组装骨架外墙及施工工艺
KR1008937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80072968A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163456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6053B1 (ko)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JP2010150871A (ja) 型枠兼用外断熱材の化粧板取付工法と外壁取付用掛止め部材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JPH07317188A (ja) 鉄筋コンクリ−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646527B1 (ko) 석재가 일체로 형성된 건축 및 토목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2020514585A (ja) エネルギー効率の高い建物の迅速な建築
KR20180131058A (ko)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45672B1 (ko) 무지보 분리형 브라켓
JP5281919B2 (ja) 外断熱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50712B1 (ko)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A2947116C (en) Building 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N110284618B (zh) 一种保温墙施工方法
KR101532690B1 (ko) 내진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KR101053994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물
WO2019222893A1 (zh) 混凝土墙及其建造方法
KR101955352B1 (ko) 건축용 지지수단 고정을 위한 매립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수단 설치방법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JP2007217871A (ja)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JP4796325B2 (ja) 発泡性断熱体の型枠部材と改良されたセパレータ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