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528Y1 -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528Y1
KR200169528Y1 KR2019970044314U KR19970044314U KR200169528Y1 KR 200169528 Y1 KR200169528 Y1 KR 200169528Y1 KR 2019970044314 U KR2019970044314 U KR 2019970044314U KR 19970044314 U KR19970044314 U KR 19970044314U KR 200169528 Y1 KR200169528 Y1 KR 200169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istway
elevator
build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573U (ko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이상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업 filed Critical 이상업
Priority to KR2019970044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5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5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5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건물의 승강기가 승강할때 통로 역할을 하는 승강로의 구조를 철재로 된 블럭조립식으로 개량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에는 건물과 일체로 된 콘크리트로 제조되므로 건물이 완성되어야만 승강기를 설치할 수가 있고 승강로 벽체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등의 문제가 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철재로 된 전면블럭(10) 측면블럭(40) 및 좌. 우측면블럭(20)(30)을 조립하여 승강로(1)를 구성하므로 건축물의 작업속도와는 관계없이 승강로를 먼저 만들고 승강기 설치 작업도 신속히 할 수가 있게 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건축물의 공사기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승강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승강기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

Description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본 고안은 다층건물에서 있어서 승강기(엘리베이터 가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기의 통로역할을 하는 승강로의 구조를 철판재로 된 블럭조립식으로 개량하여 건물의 공사진척과는 상관없이 신속하게 승강로를 먼저 설치할 수 있게하고 아울러 설치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을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게끔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건물의 승강기가 설치되는 종래의 승강로는 건축물의 바닥면 및 각층간의 슬라브와 일체화된 콘트리트 구조로서, 각층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4각의 벽체로 형성되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강로가 건물과 일체로 된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반드시 승강로(50)를 만들기 위한 거푸집 작업이 필요하고 승강로(50) 작업이 건물의 골조콘크리트 공사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반드시 건물의 골조가 완성되어야만 승강기(51) 설치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거푸집 작업과 콘크리트 작업에 따른 인력과 재료 및 시간의 낭비가 매우 크고 또 건물의 골조가 완성된후 또 다시 승강기(51) 설치작업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건물의 공사기간이 더욱 길어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로 된 승강로의 경우 승강로를 이루는 벽체(52)의 두께가 약 20㎝ 이상이므로 그만큼 건물의 면적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는데, 예를들어 5층건물에 8인승 승객용 승강기를 설치할 경우 승강로 내면의 기본 규격이 가로 180㎝, 세로 160㎝ 이므로 콘크리트 두께(20㎝) 의해 소요되는 면적은 한층당 1.52㎡로서 약반평에 해당되며 다시 5층으로 계산하면 2.5평에 해당되는 면적이 손실되는 것이다.
아울러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승강로는 여러개의 층에 정확하게 수직이 되도록 승강로를 만들기 힘들기 때문에 승강기와 승강로 사이의 간격을 여유있도록 넓게 형성하는 추세로서 이 또한 건물의 면적을 낭비하는 큰 요인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점을 나열해 보면,
승강로를 완성한 후 승강기를 설치할 때 콘크리트로 된 승강로의 벽체(52) 내면에 레일용 고정용 브라켓(53)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세트앙카볼트(54)를 일일이 박아야하기 때문에 인력 및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승강기 설치작업을 위해 비계파이프를 이용한 작업대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며, 아울러 콘크리트로 된 승강로의 외벽에 미장 또는 석재로 마감공사를 해야하는 등 여러가지 낭비적인 문제점이 많았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철판재를 이용하여 전면, 후면 및 좌. 우측면 블럭으로 분리 구성한후 조립식으로 승강로가 구성되도록 하여 건물공사시 골조공사와는 관계없이 승강로가 설치될 위치에 조립만하면 승강로가 완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건축물의 공기를 단축시키면서 매우 편리하게 승강로 작업을 완료하도록 개발된 것이다.
도1 은 본 고안의 저체 정면도
도2 는 도1 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3 은 도2의 B-B'선 단면도
도4 는 본 고안의 전면블럭과 후면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5 는 본 고안의 좌측면 블럭과 우측면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7 은 종래 승강로의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 : 승강로 1c : 승강로피트
2 : 승강기 개폐문 3 : 승강기
4,4' : 레일 고정용 브라켓 5 : 작업용 사다리
6 : 조립용 볼트 7 : 앵커핀
8 : 콘크리트 10 : 전면블럭
11 : 출입구 12 : 조립구멍
13 : 상연결판 13' : 하연결판
14 : 측면연결부 20 : 좌측면블럭
21 : 조립구멍 22 : 상연결판
22' : 하연결판 23 : 측면연결부
30 : 우측면블럭 31 : 조립구멍
32 : 상연결판 32' : 하연결판
33 : 측면연결부 40 : 후면블럭
41 : 조립구멍 42 : 상연결판
42' : 하연결판 43 : 측면연결부
본 고안은 승강로(1)는 각 층별로 건물의 한개층 높이를 가진 전면블럭(10), 좌. 우측면블럭(20)(30) 및 후면블럭(40)으로 구성되어 조립되고 한개층의 승강로(1a)가 조립된 후 다시 그 위에 한개층의 승강로(1b)가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4개의 블럭(10)(20)(30)(40)은 모두 철재로 구성되면서 평면성 ""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전면블럭(10)은 중앙부에 승강기 개폐문(2)의 개폐에 의해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형의 출입구(11)을 형성하였고, 상. 하단과 양측단에는 여러개의 조립구멍(12)을 형성한 상. 하연결판(13)(13')과 측면연결부(14)를 형성하였다.
좌. 우대칭형으로 구성되는 좌측면블럭(20) 및 우측면블럭(30)은 앞뒷쪽에 전면일부와 후면일부가 구성되도록 ""형 및 ""형으로 구성하면서 역시 상. 하단과 양측단에 여러개의 조립구멍(21)(31)을 형성한 상연결판(22)(32) 및 하연결판(22')(32')과 측면연결부(23)(23')를 형성하였고, 좌. 우측면블럭(30)(40)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승강기(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레일 고정용 브라켓(4)(4')을 형성하였으며, 후면부쪽 내측 구석진 부분에는 작업용사다리(5)를 형성하였다.
후면블럭(40) 또한 양측면과 상. 하면에 다수개의 조립구멍(41)을 형성한 상. 하연결판(42)(42') 및 측면연결부(43)를 구성하였다.
좌측면블럭(20) 및 우측면블럭(30)의 앞쪽에 있는 측면연결부(23)(33)에는 전면블럭(10)의 측면연결부(14)가 맞닿게 한 다음 조립용볼트(6)로써 조립되고 좌측면블럭(20) 및 우측면블럭(30)의 뒷쪽에 있는 측면연결부(23)(33)에는 후면블럭(40)의 측면연결부(43)가 맞닿게 한후 조립용볼트(6)로써 조립시키면 한층 분량의 승강로(1a)가 구성되며, 제일아랫층에 해당하는 승강로(1a)의 아래에 4각체로만 된 승강로피트(1c)가 연결되고 승강로피트(1c)로부터 승강로(1a) 및 다른층의 승강로(1b)를 수직연결할때는 한층의 승강로(1a)를 구성하는 4개블럭(10)(20)(30)(40)의 상부에 있는 상연결판(13)(22)(32)(42)과 다른 승강로(1b)를 구성하는 4개블럭(10)(20)(30)(40)의 하부에 있는 하연결판(13')(22')(32')(42')이 맞닿게 한 다음 조립용볼트(6)로써 조립하는 것이다.
한편 도6에 도시된 것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각 블럭(30)(40)의 외면에 다수개의 앵커핀(7)을 형성한 다음 외면에 콘크리트(8)를 씌워서 설치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9는 기계실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승강로(1)는 건물을 세울때 바닥면 기초공사만 완료되면 기타의 공정과 상관없이 먼저 승강로(1)를 세우면 된다.
즉 제조공장에서 각 블럭(10)(20)(30)(40)을 제조하여 준비한 상태에서 건축 현장으로 운반한 후 측면연결부(14)(23)(33)(43)를 이용하여 각 블럭(10)(20)(30)(40)을 조립함으로써 승강로피트(1c) 및 한개층의 승강로(1a)를 완성하고 이어서 다시 그 위에 또 다른 한개층 분량의 각 블럭(10)(20)(30)(40)을 조립작업하여 승강로(1b)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건물공사와는 관계없이 승강로 공사를 먼저 완성시키는 것이다.
승강로(1)를 완성한후 맨상부에 기계실(9)을 설치하고 그 다음부터는 승강로(1)의 내부에서 작업용 사다리(5)를 이용하여 승강기(3) 설치작업을 하면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승강로(1)의 외부에서는 각층을 이루는 슬라브 공사를 진행하면 되는데, 슬라브가 승강로(1)의 각 층간 연결부분에 완전히 밀착되게끔 공사하면 된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로(1)의 외면에 콘크리트(8)를 얇게 입힌 것으로, 외형상 종래의 승강로(1)와 같은 느낌을 주면서도 종래에 비하여 빠르고 편하게 공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 승강로(1)를 구성하는 공사가 건축물 공사진행 정도와는 관계없이 먼저 진행되므로 건물의 공사기간을 대폭단축시킬 수가 있게 되고,
둘째, 승강로 구성을 위해 콘크리트를 이용함에 따르던 거푸집을 형성하는 공정과 콘크리트 양생과정등의 공정이 필요없으므로 비용과 시간 및 재료비를 대폭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절곡된 철판을 이용하여 승강로(1)가 구성되므로 승강로(1)에 필요한 공간의 손실이 최소화되어 건물의 사용공간을 넓혀 줄 수가 있게 되었다.
또 넷째로는 좌측면 블럭(20)와 우측면블럭(30)의 내부에 레일 고정용 브라켓(4)(4')과 사다리(5)등을 미리 구성한 상태로 승강로(1)가 조립되므로 이 역시 인력과 비용이 절감을 가져다 줄 수 있게 되고,
다섯째로는 승강로(1)의 외벽에 별도의 마감처리가 필요없이 각 블럭(10)(20)(30)(40) 자체가 외벽으로써 충분한 역할을 하게 되므로 비용과 시간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건물 공사시의 승강로 공사에 대한 시간과 비용. 인력등에 대한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사기간을 매우 단축시키면서 편리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등 승강로 공사의 개념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건물의 한개층 높이를 가지면서 철판재를 "" 형태로 절곡하여 구성되는 전면블럭(10), 좌측면블럭(20), 우측면블럭(30), 후면블럭(40)을 조립하여 1개층 분량의 승강로(1a)를 구성토록하되,
    전면블럭(10)은 중앙부에 개폐문(2)의 개폐에 따라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11)를 형성하고 상. 하단과 양측단에는 여러개의 조립구멍(12)을 형성한 상. 하연결판(13)(13')과 측면연결부(14)를 형성하며, 좌우대칭형으로 구성되는 좌측면블럭(20) 및 우측면블럭(30)에도 상. 하단과 양측단에 여러개의 조립구멍(21)(31)을 가진 상연결판(22)(32)과 하연결판(22')(32') 및 측면연결부(23)(33)를 형성하고 좌측면블럭(20)과 후측면블럭(30)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승강기(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레일 고정용 브라켓(4)(4')을 형성하며, 후면블럭(40) 또한 양측면과 상하부에 다수개의 조립구멍(41)을 형성한 상. 하연결판(42)(42') 및 측면연결부(43)를 구성하여, 각 측면연결부(14)(23)(33)(43)를 맞대어 조립용볼트(6)를 체결함으로써 한개층 분량의 승강로(1a)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또 다른 승강로(1b)를 구성하여 상연결판(13)(22)(32)(42)에 다른 승강로(1b)의 하연결판(13')(22')(32')(42')을 조립용볼트(6)로 체결하여 승강로(1)가 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좌측면블럭(20)과 우측면블럭(30)의 뒷쪽내면 구석진 곳에 작업용사다리(5)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기(1)를 구성하는 각 블럭(10)(20)(30)(40)의 외면에 다수개의 앵커핀(7)을 형성한 다음 외면에 콘크리트(8)를 씌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KR2019970044314U 1997-12-22 1997-12-22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KR200169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14U KR200169528Y1 (ko) 1997-12-22 1997-12-22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14U KR200169528Y1 (ko) 1997-12-22 1997-12-22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573U KR19990031573U (ko) 1999-07-26
KR200169528Y1 true KR200169528Y1 (ko) 2000-02-01

Family

ID=1952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314U KR200169528Y1 (ko) 1997-12-22 1997-12-22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5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236B1 (ko) * 2007-11-14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73234B1 (ko) * 2007-06-19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73235B1 (ko) * 2007-11-05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WO2019083218A1 (ko) * 2017-10-27 2019-05-02 삼성물산 주식회사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6B1 (ko) * 2008-01-11 2010-09-01 엄기형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234B1 (ko) * 2007-06-19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73235B1 (ko) * 2007-11-05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973236B1 (ko) * 2007-11-14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WO2019083218A1 (ko) * 2017-10-27 2019-05-02 삼성물산 주식회사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
KR20190047425A (ko) * 2017-10-27 2019-05-08 삼성물산 주식회사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
KR102101366B1 (ko) * 2017-10-27 2020-04-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
CN111279035A (zh) * 2017-10-27 2020-06-12 三星物产株式会社 能够预施工的电梯核心结构及利用其来预施工电梯核心部分的方法
CN111279035B (zh) * 2017-10-27 2022-03-01 三星物产株式会社 能够预施工的电梯核心结构及利用其来预施工电梯核心部分的方法
US11603292B2 (en) 2017-10-27 2023-03-14 Samsung C&T Corporation Elevator core structure that can be pre-constructed and method for preconstructing elevator cor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573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7891A (ko) 현장콘크리트 충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시공방법
KR20220154087A (ko) 건축 방법
KR0141461B1 (ko)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부재
KR200169528Y1 (ko)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EP0043223B1 (en) Building module
JP2003160284A (ja) 戸建て住宅用外付けエレベータ昇降路
JP3114041B2 (ja) 階段の構築方法及びユニット階段
KR102659857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JP3082375U (ja) 集合住宅用後付けエレベータのかご室昇降路の隔壁構造物
GB2330859A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JP3190059B2 (ja) 建物の構築方法
WO2003097950A2 (en) In-situ construction of concrete building
CN118056956A (zh) 模块化建筑物及其建造方法
SU1701846A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JP3327695B2 (ja) エレベータ付き建物およびその建築方法
JP2793976B2 (ja) 入り玄関の土間の構造
KR930000808B1 (ko) 슬라이드 폼에 의한 고층건축물의 시공방법
JPH08326158A (ja) エレベータ付きユニット式建物
JPH092117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JP2683878B2 (ja) プレキャスト階段構造
JP2001240340A (ja) エレベータ塔の施工方法
JPH01299942A (ja) スラブ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H09256457A (ja) 建造物の組立方法
JPH01158136A (ja) 2階建木質ユニット建物
WO2001073233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