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234B1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234B1
KR100973234B1 KR1020070109477A KR20070109477A KR100973234B1 KR 100973234 B1 KR100973234 B1 KR 100973234B1 KR 1020070109477 A KR1020070109477 A KR 1020070109477A KR 20070109477 A KR20070109477 A KR 20070109477A KR 100973234 B1 KR100973234 B1 KR 100973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it
support member
coupling
bottom structur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073A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ublication of KR2008011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는 장형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통한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대량 생산, 현장 조립이 가능한 보강부재 및 측면부를 사용하도록 하여, 운반이 간편하고,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ELEVATOR PI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을 형성할 때,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사운반이 간편하며,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리브를 갖는 강재 구조의 피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 구조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직 판재 형의 리브가 다수 결합됨으로써 크기가 대형화되고, 구조물의 무게가 증대되어, 제작 및 운반이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난해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리브와 같은 복잡한 구성의 강재 구조가 필요 없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터파기를 하여 형성시킨 홈의 깊이를 작게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는 장형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사각 기둥 또는, 삼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의 사이사이 또는 지지부재와 보강부재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수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측벽부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테두리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및 측벽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측벽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 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상호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의 사이에는 결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는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는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으로는 철근이 관통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는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측을 따라 상기 측벽부의 상방에 수직 방향으로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 중앙측 상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물 바닥면에 터파기를 하여 홈을 형성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바닥면의 저면에 상기 보강부재 다수 개를 연속 배열시키는 제 2 단계; 및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측벽부를 위치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측벽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측벽부는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개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상방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형틀이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홀로 상기 철근이 관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그 길이방향과 수직 단면이 'H' 형상 또는 'I'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꺾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그 길이방향과 수직 단면이 'ㄷ', 'ㅜ', 'ㄴ', '┼', '
Figure 112007077858310-pat00001
' 및 '
Figure 112007077858310-pat00002
' 형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일면으로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방향 일면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상기 보강부재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장형의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는 이들을 관통 및 병렬 배치되는 고정부에 의해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실링부재를 통하여 수밀하게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하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보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에서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는 볼트 결합에 의하여 미리 상호 결합된 후, 상기 바닥면의 저면에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보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는 이들을 관통시 키면서 병렬 배치되는 고정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통한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강재 리브 없이도, 입체형 보강부재를 통해 하부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 생산, 현장 조립이 가능한 보강부재 및 측면부를 사용하도록 하여, 운반이 간편하고,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강도를 확보하도록 하여, 바닥면에 터파기를 하여 형성시킨 홈의 깊이를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례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하단에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가 연속 배열되고, 보강부재(100)의 상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며, 판형의 지지부재(200)가 보강부재(100)의 상면에 위치되고, 측벽부(300)가 보강부재(100)의 외곽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보강부재(10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으로 구성되며, 내측의 지지 구조로 인해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보강부재(100)의 형상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장형의 사각 기둥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열된다.
그리고 각각의 보강부재(100)는 접착제 등의 실링부재를 통하여 수밀하게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보강부재(100)가 상호 수밀하게 연결되면, 건물 바닥면(1)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가 보강부재(100)의 외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100)는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 빈 공간에는 모르타르와 같은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거나, 또는 현장 등에서 시멘트 혼합물 자체를 보강부재(100) 형상의 형틀에 채워지도록 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체형의 보강부재(100)는 무게가 가벼워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면서 도, 구조 강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리브와 같은 보조 지지구조물을 내측에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강부재(100)는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제품을 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렇게 현장으로 운반된 보강부재(100)는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선택적으로 강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보강부재(100)는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보강부재(100) 형상의 형틀(400)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시켜서, 현장에서 보강부재(1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20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보강부재(100)의 상면에 밀착 위치되며, 이렇게 형성된 지지부재(2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측벽부(300)는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측벽부(300)에 의하여 지지부재(2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보강부재(100), 지지부재(200) 및 측벽부(3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측벽부는 지지부재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보강부재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10)는 단면이 원형 형상인 장형의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그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이 빈 공간에는 모르타르와 같은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시멘트 혼합물은 현장에서 콘크리트층(3) 형성시에 유입시키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보강부재(11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면, 작업현장에서 보강부재(110)를 운반할 때,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20)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장형의 삼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보강부재(120)가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도 3의 (a)에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110)에 비하여, 운반시에 다소 불편할 수 있으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보강부재(100) 여러 개가 연속 배열될 때,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견고하게 배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a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건축물(B)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종래 하단구조물(5)이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다시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하단구조물(5)이 배치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여 홈(1a)을 형성시킨 후, 상기 홈(1a) 위에 하단구조물(5)이 배치되도록 한다. 여 기서 상기 홈(1a)의 깊이(d')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층(3)의 두께(d)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종래 하단구조물(5)이 견고한 구조 강도로 지지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을 사용하게 되면, 이 홈(1a)의 깊이를 콘크리트층(3)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건축물(B)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다시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터파기를 하여 홈(1a)을 형성시킨 후, 상기 홈(1a) 위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홈(1a)의 깊이(d')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층(3)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도,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가 견고한 구조 강도로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그만큼의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00)와 측벽부(300)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체가 엘리베이터 피트 설치용 콘크리트층(3)에 매립되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 낸다.
보강부재(100)는 바닥면(1)의 상부에 위치되고, 지지부재(200)는 보강부재(100)의 상면에 위치되며,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측벽부(300)가 세워진다.
이때, 바닥면(1)에는 홈(1a)이 형성되고, 상기 홈(1a)에 보강부재(1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바닥면(1)과 보강부재(100) 사이에는 현장 조건에 따라 버림콘크리트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0)와 측벽부(30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지지부재(200)의 테두리와 측벽부(30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210, 310)를 통해 상호 결합 될 수도 있고, 각 결합부(210, 310) 사이에는 결합부재(350: 도 6b 도시)가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350)는 하기 도 6의 (b)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에서의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10)는 지지부재(200)의 상면 테두리를 가리키며, 측벽부(300)의 결합부(610)는 측벽부(300)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10)와 포개어지면서 면결합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결합부(210, 310)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에는 볼트나 쇄기 등의 체결부재가 끼워져서, 각 결합부(210, 31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들 결합부(210, 31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용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0) 및 측벽부(300)의 외방, 상세하게는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10)의 외측, 및 측벽부(300)의 결합부(31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는 철근(500)이 관통 연결되어, 지지부재(200)나 측벽부(300)가 콘크리트층(3) 내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200)와 측벽부(30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고, 측벽부(300)와 지지부재(200)에 의해 내측에는 피트용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300)의 상단부에는 수평형의 결합부(312)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312)의 상방으로는 거푸집용 형틀(4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결합부(312)에는 홀이 형성되며, 홀에는 볼트나, 쐐기 등이 끼워지면서, 형틀(400)을 결합시킨다. 이 형틀(400)에 의해 상방으로 엘리베이터 이동용 개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부(300)의 크기, 높이에 상관없이 형틀(400)의 크기, 높이를 조절하여, 각각의 현장에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벽부(300) 없이 지지부재(200)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결합부(210)에 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형틀(400)을 직접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10)의 홀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형틀(400)로 인해 측벽부(300)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층(3) 즉, 시멘트 혼합물이 지지부재(200) 중앙 측 상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그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테두리부(202)를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부(202)의 상단부에서 내측 및 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220)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220)의 내측으 로 측벽부(300)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320)가 포개어지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각 결합부(220, 320)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에는 볼트나 쇄기 등의 체결부재가 끼워져서, 각 결합부(220, 3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이들 결합부(220, 32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용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2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는 철근(500)이 관통 연결되어, 지지부재(200)나 측벽부(300)가 콘크리트층(3) 내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200)와 측벽부(30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고, 측벽부(300)와 지지부재(200)에 의해 내측에는 피트용 공간이 형성된다.
(b)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그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테두리부(202)를 구비하며, 이 테두리부(202)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결합부(230)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230)에 측벽부(300)의 결합부(320)가 직접 맞대어지면서 결합되거나, 별도의 결합부재(350)가 결합된 후, 측벽부(3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부재(350)는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30) 및 측벽부(300)의 결합부(320) 사이에 끼워져서 이들 결합부(230, 3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외측으로는 철근(500)이 관통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홀이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부재(35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부(230, 320)와 결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부재(350)는 측벽부(300)나 보강부재(100)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판 형태이므로, 콘크리트층(3) 과 강재 하부 구조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차수키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강부재(100), 지지부재(200) 및 측벽부(300)가 구비되며, 지지부재(200)에는 테두리부(202)가 구비되고, 테두리부(202)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결합부(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결합부(230)에 별도의 결합부재(350)가 결합된 후, 측벽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350)는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30) 및 측벽부(300)의 결합부(320) 사이에 끼워져서 이들 결합부(230, 320)를 서로 결합시키며, 그 외측으로는 철근(500)이 관통 결합된다.
상기 측벽부(300)는 다수 개의 작은 형태로 나누어져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측벽부(300)는 상하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결합부(310, 312, 320)를 형성하고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상하의 측벽부(300)의 결합부(310, 312)와 맞대어지며 상호 면결합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측벽부(300)의 각 결합부(310, 312)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상호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측벽부(300)의 외측으로는 별도의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360)를 구비하여, 콘크리트층(3)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다수 개의 측벽부(300) 사이에는 결합부재(350)가 끼워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부재(350)의 하면에 위치되는 측벽부(300)의 결합부(312)는 외측으로 절곡되고, 결합부재(350)의 상면에 위치되는 측벽부(300)의 결합부(320)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50)는 결합부(312, 320)와의 결합을 위한 홀, 또는 철근(500) 관통을 위한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다수 개로 구성되는 측벽부(300)는 하나의 측벽부(300)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콘크리트층(3)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구조적 강성과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측벽부(300)가 작은 형태로 구성되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운반 및 현장 제작이 간편하며, 현장에 맞게, 크기와 강도를 그때그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8은 도 5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 바닥면(1)에 터파기를 하여, 홈(1a)을 형성시킨 후, (b) 바닥면(1)의 저면에 장형의 보강부재(100) 다수 개를 연속 배열시킨다. 그리고 (c) 보강부재(100)의 상면에 판형의 지지부재(200)를 밀착 위치시킨다. 이렇게 위치된 지지부재(2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 역할을 한다. 그 후, (d)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측벽부(3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300)에 의하여 지지부재(2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e) 지지부재(200)와 측벽부(30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고, 측벽부(300)와 지지부재(200)에 의해 내측에는 피트용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보강부재(100), 지지부재(200) 및 측벽부(3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장형의 보강부재(130)는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도 14b 도시) 상방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치되고, 보강부재(130)의 상면에 지지부재(200)가 위치되며,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측벽부(300)가 세워진다.
그리고 보강부재(130)의 형상은 시공현장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 9a에서는 강한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이 'H'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입체형의 보강부재(130)는 무게가 가벼워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구조 강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리브와 같은 보조 지지구조물을 내측에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강부재(130)의 일면과 타면 사이가 비어 있으므로, 운반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제작할 필요가 없고, 공장에서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보강부재(130) 내에 시멘트 혼합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선택적으로 강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10) 및 측벽부(300)의 결합부(610)가 서로 포개어지면서 면결합을 하도록 구성되며, 체결부재에 의하여 각 결합부(210, 310) 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0) 및 측벽부(30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는 철근(500)이 관통 연결되어, 지지부재(200)나 측벽부(300)가 콘크리트층(3) 내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측벽부(300)의 상단 결합부(312)의 상방으로는 거푸집용 형틀(4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형틀(400)로 인해 측벽부(300)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층(3) 즉, 시멘트 혼합물이 지지부재(200) 중앙 측 상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30)는 상기 도 9a 와 같이,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도 14b 도시) 상방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치되는 것으로서, 수직 단면이 'I'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130)의 상면에 지지부재(200)가 위치되며,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측벽부(300)가 세워진다. 그리고 측벽부(300)의 상단 결합부(312)의 상방으로는 거푸집용 형틀(4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130)는 통상적인 H 빔 또는 I 빔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130)와 지지부재(200)는 용접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9에서의 보강부재(130)와 그 형상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9와 동일하도 록 구성된다.
즉, 보강부재(140)는 그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4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방 또는 하방 또는 측방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45)는 장형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상되고, 그 길이방향 일면으로 개방되도록 장형의 개방부(14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145a)는 보강부재의 길이방향 일면 중앙에 구비된다. 그리고 보강부재(145)는 그 개방부(145a)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보강부재(140, 145)는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상방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치되고, 보강부재(140, 145)의 상면에 지지부재(200)가 위치되며,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측벽부(300)가 세워진다.
그리고 지지부재(200) 및 측벽부(30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는 철근(500)이 관통 연결되며, 측벽부(300)의 상단 결합부(312)의 상방으로는 거푸집용 형틀(4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5에서의 지지부재(200)가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5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강부재(100)는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상방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치되고, 보강부재(100)의 상면에 지지부재(200)가 위치되며,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측벽부(300)가 세워진다.
그리고 보강부재(100)의 상면에 지지부재(200)가 위치될 때, 지지부재(200)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연속 배치되는 보강부재(100)의 그 전체 면적이 미리 준비된 지지부재(200) 보다 클 경우, 상기 지지부재(200) 다수 개를 연속 배열시키도록 하여, 따로 대형 지지부재를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현장에서 일 지지부재(200)를 다수 개로 절단 및 연속 배열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100)와 지지부재(200)는 접착제 등의 실링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수밀하게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보강부재(100)와 지지부재(200)가 상호 수밀하게 연결되면, 건물 바닥면(1)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가 보강부재(100)와 지지부재(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5에서, 보조 지지부재(2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5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강부재(100)가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도 14b 도시) 상방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치될 때, 판형의 보조 지지부재(250)가 바닥판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상방에 먼저 위치된 후, 상기 보조 지지부재(250) 상부에 보강부재(100)가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바닥판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이 고르지 못하여, 보강부재(130)를 평행하게 배열시키지 못할 때, 보조 지지부재(250)를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에 먼저 위치시킨 후, 그 상부에 보강부재(100)를 평행하게 배열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에서 유입되는 지하수가 상기 보강부재(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보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먼저 도 13a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다양한 형상의 보강부재(100, 145)는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도 14b 도시) 상방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치되고, 보강부재(100, 145)의 상면에 지지부재(200)가 위치되며,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측벽부(300) 및 형틀(400)이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0) 및 측벽부(30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는 철근(500)이 관통 연결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 중 일 보강부재와 타 보강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볼트부(605)에 의해 견고하게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와 지지부재(200)의 서로 마주보는 면 또한, 볼트부(605)에 의해 견고하게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보강부재(100, 145)와 지지부재(2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의해 건물의 벽체 하중이 지지될 때, 보강부재(100, 145)와 지지부재(2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벽체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3a에서 보강부재(100, 145)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13a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 13b의 보강부재(150)는 장형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과 수직 단면은 'ㄷ' 형상의 입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150)의 일단면 또는 타단면이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도 14b 도시)에 위치되며, 다수 개의 보강부재(150)는 볼트부(605)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볼트 결합된다.
그리고 보강부재(150)의 상면에 지지부재(200)가 위치되며, 보강부재(150)와 지지부재(200)는 볼트부(605)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입체형의 보강부재(150)는 무게가 가벼워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구조 강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보강부재(100, 145)와 지지부재(2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연결부(610) 및 고정부(620)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부재(100, 145)는 바닥면(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도 14b 도 시) 상방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치되며, 이때,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를 관통하는 장형의 연결부(61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도 13a에서 다수 개의 볼트부(605: 도 13a 도시)를 사용하여 일 보강부재와 타 보강부재를 따로 따로 연결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하나의 연결부(610)로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를 일체로 연결시킴으로써,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를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와 지지부재(200)는 고정부(62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부(620)는 일측은 지지부재(200)의 상면에 위치되고, 타측은 지지부재(200)와 서로 마주보는 보강부재(100, 145)의 상면을 관통하여, 보강부재(100, 145)의 하면에 위치 및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단순히 보강부재(100, 145)와 지지부재(200)의 서로 마주보는 면만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부(605: 도 13a 도시)에 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도 13c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a) 바닥면(1)에 터파기를 하여, 홈(1a)을 형성시킨 후, (b) 바닥면(1)의 저면에 장형의 보강부재(100, 145) 다수 개를 배열시킨다. 이때,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는 장형의 연결부(610)에 의하여 미리 일체로 결합된 후, 바닥면(1)의 저면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c) 보강부재(100, 145)의 상면에 판형의 지지부재(200)를 밀착 위치시킨다. 이렇게 위치된 지지부재(2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 역할을 한다. 그 후, (d) 고정부(620)에 의하여 다수 개의 보강부재(100, 145)와 지지부재(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이어서 (e) 지지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측벽부(3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300)에 의하여 지지부재(2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f) 지지부재(200)와 측벽부(30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고, 측벽부(300)와 지지부재(200)에 의해 내측에는 피트용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보강부재(100), 지지부재(200) 및 측벽부(3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리브와 같은 복잡한 보강 구성 없이도, 지지 강도, 구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입체형의 보강부재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는 제작, 조립, 설치, 운반이 용이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를 절감시키고, 공기를 앞당기는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보강부재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보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c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10, 120, 130, 145: 보강부재
145a, 145b 개방부 200: 지지부재
202: 테두리부 210, 220, 230: 결합부
250: 보조 지지부재 300: 측벽부
310, 312, 320: 결합부 350: 결합부재
360: 고정부재 400: 형틀
500: 철근 605: 볼트부
610: 연결부 620: 고정부

Claims (33)

  1.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는 장형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의 사이사이 또는 지지부재와 보강부재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수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사각 기둥 또는, 삼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측벽부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테두리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측벽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측벽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 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상호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7. 제 5 항에 있어서,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의 사이에는 결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는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는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으로는 철근이 관통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측을 따라 상기 측벽 부의 상방에 수직 방향으로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 중앙측 상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5.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는 장형의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물 바닥면에 터파기를 하여 홈을 형성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바닥면의 저면에 상기 보강부재 다수 개를 연속 배열시키는 제 2 단계; 및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측벽부를 위치시키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측벽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측벽부는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 사이에는 결합부재가 개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방에 수직 방향으로 형틀이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테두리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홀로 철근이 관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그 길이방향과 수직 단면이 'H' 형상 또는 'I'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길이방향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꺾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그 길이방향과 수직 단면이 'ㄷ', 'ㅜ', 'ㄴ', '┼', '
    Figure 112007077858310-pat00003
    ' 및 '
    Figure 112007077858310-pat00004
    ' 형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일면으로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방향 일면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7.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는 장형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보강부재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장형의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8.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는 장형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는 이들을 관통 및 병렬 배치되는 고정부에 의해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0.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는 장형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실링부재를 통하여 수밀하게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1.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되는 장형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의 하면에 위치되는 판형의 보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는 볼트 결합에 의하여 미리 상호 결합된 후, 상기 바닥면의 저면에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3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보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는 이들을 관통시키면서 병렬 배치되는 고정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070109477A 2007-06-19 2007-10-30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73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847 2007-06-19
KR20070059847 2007-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073A KR20080112073A (ko) 2008-12-24
KR100973234B1 true KR100973234B1 (ko) 2010-07-30

Family

ID=4037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477A KR100973234B1 (ko) 2007-06-19 2007-10-30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2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025A (ja) * 1985-07-10 1986-03-04 Hitachi Ltd サンプピツトの据付方法
KR200169528Y1 (ko) * 1997-12-22 2000-02-01 이상업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KR20010069528A (ko) * 2001-04-13 2001-07-25 신기범 롤 스크린의 축 이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025A (ja) * 1985-07-10 1986-03-04 Hitachi Ltd サンプピツトの据付方法
KR200169528Y1 (ko) * 1997-12-22 2000-02-01 이상업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KR20010069528A (ko) * 2001-04-13 2001-07-25 신기범 롤 스크린의 축 이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073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US20160340855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1658648B1 (ko)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KR20110058359A (ko)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KR101600845B1 (ko)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221970B1 (ko)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844344B1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101631447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JP2011006849A (ja) 基礎工法
KR101472027B1 (ko)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383309Y1 (ko) 슬러리 벽이 적용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구조체
KR101878762B1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102330481B1 (ko) 분절된 pc 격자보를 이용한 반도체 공장 구조물
KR100973234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72274B1 (ko)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1858972B1 (ko) 상부기둥플레이트 및 하부기둥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콘크리트 무타설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기둥플레이트 및 보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KR10090938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
KR101219459B1 (ko)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