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236B1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236B1
KR100973236B1 KR1020070115973A KR20070115973A KR100973236B1 KR 100973236 B1 KR100973236 B1 KR 100973236B1 KR 1020070115973 A KR1020070115973 A KR 1020070115973A KR 20070115973 A KR20070115973 A KR 20070115973A KR 100973236 B1 KR100973236 B1 KR 10097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elevator
floor
support
p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9731A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8583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7323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7011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2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 및 피트지지벽체의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되도록 보강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하여,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종전에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내측의 바닥설치부로 가해지던 것을,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의 피트지지바닥부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바닥설치부에 상기 피트지지벽체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이 거의 가해지지 않고,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을 위주로 담당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자중, 지내력을 담당하게 되어, 상기 바닥설치부의 깊이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두께보다 훨씬 작게 형성시키는 구조가 가능해져,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Elevator Pit Structur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분할형 바닥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집수구조 및 완충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측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분할 측벽부 및 분할 형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지반 10: 피트하단부
20: 바닥설치부 30: 피트지지바닥부
40: 피트지지벽체 100: 바닥부
101: 분할형 바닥부 200: 보강부재
400: 측벽부 401: 분할형 측벽부
410: 스테인리스 판 420: 보강용 리브
500: 형틀 501: 분할형 형틀
600: 집수부홈 610: 집수정
700: 완충스프링 B: 결합돌출부재
G: 그라우팅홀 S: 지지철근
d, d': 바닥설치부 깊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며,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을 측방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 한 것이다.
통상의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지지 구조가 제공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5)는 건축물이 지어지는 지반(1) 위에 배치되는데, 지반(1)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5)의 하단부가 배치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부(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닥설치부(2)의 상측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5)의 하단부가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는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기초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5)를 지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5)의 측 둘레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피트지지벽체(4)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부(2)의 깊이(d)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굴토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5) 하단부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4)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동시에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설치부(2)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바닥설치부(2)의 두께를 하방에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방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모두 견디도록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굴토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체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바닥설치부(2)의 깊이(d)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시키면서도,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5)의 하단부 저면에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4)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수 있는 지지 강도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트지지바닥부 및 피트지지벽체의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되도록 보강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하여, 피트지지벽체에서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 이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의 피트지지바닥부로 유도되고, 바닥설치부에 상기 피트지지벽체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이 거의 가해지지 않고,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을 위주로 담당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자중, 지내력을 담당하게 되어, 상기 바닥설치부의 깊이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두께보다 훨씬 작게 형성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상기 피트하단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담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지반에 설치된 파일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곽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의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형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접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 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형틀 또는 상기 측벽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장형의 빔형태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는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단면이 삼각, 사각, 원 또는 'H', 'I', 'ㄴ', 'ㄷ', '
Figure 112007081612841-pat00001
' 형상 중 어느 하나인 빔 형태로, 다수 개가 배열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빔 형태로 형성되되, 4면 중 어느 한 면의 중앙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또는 상기 바닥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형틀은 서로 분 리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부 외측 테두리부 및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또는 상기 바닥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측벽부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부 외측 테두리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부 외측 테두리부의 결합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 중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부 외측 테두리부 또는 상기 형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부 외측 테두리부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부 외측 테두리부의 결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 중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부 외측 테두리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부 외측 테두리부의 결합부와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형틀 또는 상기 측벽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틀은,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꺾임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의 분할형 형틀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형틀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되어, 설치높이 또는 너비 조절이 가능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꺾임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의 분할형 측벽부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측벽부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되어, 설치높이 또는 너비 조절이 가능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양측단부 또는 일측단부가 각각 꺾임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분할형 바닥부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바닥부의 상기 접합부 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되어, 설치면적 조절이 가능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맞대어진 상기 분할형 바닥부의 접합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맞대어진 상기 분할형 바닥부의 접합부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에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관통되는 그라우팅홀;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설치부에 상기 바닥부가 설치되고, 그 하측으로 상기 그라우팅홀을 통해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결합돌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용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설치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바닥설치부의 일측하방으로 집수부홈;이 굴토형성되고, 상기 집수부홈의 그 내 측을 따라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집수정;이 상기 집수부홈의 내부에 매설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 저면은 상기 집수부홈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고, 상기 집수정과 상기 집수부홈의 사이에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로 엘리베이터가 하강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피트하단부의 바닥부 내측 상방으로는 완충스프링;이 한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의 표면이 도금처리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 그라우팅제를 도포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반 및 바닥설치부의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층에 다수개의 철근이 내설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시멘트혼합물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는 시멘트혼합물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에는 다수개의 철근이 내설되는 것을 일 특징으 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판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분할형 바닥부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바닥부가 상호 연장결합되어, 설치면적 조절이 가능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피트하단부(10), 바닥설치부(20), 피트지지바닥부(30) 및 피트지지벽체(40)를 포함한다.
피트하단부(10)는 엘리베이터 피트(5)의 하부를 이루게 되는데, 엘리베이터 피트(5)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트하단부(10)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바닥설치부(20)는 건축물이 지어지는 지반(1)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5)의 피트하단부(10)가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굴토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반(1)의 상부 및 바닥설치부(2)의 상측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버림콘크리트층(미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도 선택가능하다.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타설시 미리 다수개의 철근을 배치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설치부(20)의 상측으로 상기 피트하단부(10)가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30)를 형성하게 된다.
피트지지바닥부(30)는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둘레를 감싸면서, 지반(1)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에서 수직 상방으로는 피트지지벽체(40)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벽체(40)는 상기 피트하단부(10)를 지지하도록 상기 피트하단부(10)의 측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 및 피트지지벽체(40)의 내부에는 지지철근(S)이 종,횡으로 보강되어 교차배치된다.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 및 피트지지벽체(40)내부에 배치되는 지지철근(S)에 의해 상호 간에 견고하게 연결결합되고, 그 외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 및 피트지지벽체(4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철근(S)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 및 피트지지벽체(40)의 내부에 상호 연결되게 매설되어 보강 지지함으로써, 상기 피트지지벽체(40)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10)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필요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강도가 보강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상기 피트하단부(10)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트지지바닥부(30)가 형성되는 지반(1)에 분포되게 파일(PILE)홀을 천공하고 파일을 매설하여, 자중 및 지내력을 견디도록 지반(1)을 보강하는 파일기초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트지지벽체(40)의 하중이 종래구조와 같이 상기 바닥설치부(20)로 가해지지 않게 되고, 상기 피트지지벽체(40)에 인접되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로 유도되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로 분산되거나, 전적으로 피트지지바닥부(30)에서 분담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설치부(20)는 상기 피트하단부(10)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만을 감당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자중 및 지내력만을 감당하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구조의 바닥설치부(2)의 깊이(d)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닥설치부(20)의 깊이(d')를 작게 굴토형성할 수 있어,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트하단부(10)는 바닥부(100), 측벽부(400) 및 형틀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트하단부(10)는 바닥부(100) 및 형틀(500)의 결합구조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바닥부(100)의 상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틀(500)이 바닥부(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형틀(500)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바닥부(100)는 엘리베이터 피트(5)의 저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는 필요에 따라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형틀(500)은 상기 바닥부(100)의 중앙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형틀(500)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상기 바닥부(100) 및 형틀(5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형틀(500)의 크기, 높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 및 구비될 수 있으며,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형틀(500)은 상기 바닥부(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 및 상기 형틀(50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 고,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형틀(50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100) 및 상기 형틀(500)이 결합되는 결합부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바닥부(100) 또는 상기 형틀(50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부(100) 및 상기 형틀(50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피트하단부(10)는 상기 바닥부(100)와 형틀(500) 사이에 측벽부(4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피트하단부(10)는 바닥부(100), 측벽부(400) 및 형틀(500)의 결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부(100)는 지반(1)의 바닥설치부(20) 또는 콘크리트층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측벽부(400)가 세워진다. 그리고 측벽부(400)는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400)에 의하여 바닥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측벽부(400)의 상단에 형틀(500)이 결합되며, 이러한 바닥부(100), 측벽부(400) 및 형틀(5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측벽부(400) 와 상기 형틀(50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400)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50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측벽부(400) 및 상기 형틀(500)이 결합되는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형틀(500) 또는 상기 측벽부(40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400) 및 상기 형틀(50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상기 바닥부(100) 및 측벽부(400)는 금속재질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멘트혼합물을 경화시켜 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100) 또는 측벽부(400)는 사전에 제작된 성형틀에 시멘트혼합물의 붓고 경화시켜 판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 또는 측벽부(400)는 다수개의 철근을 배치한후 시멘트혼합물의 부어 내부에 철근이 내설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00) 또는 측벽부(4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를 이루도록 하나의 판 형태로 제작되거나, 설치상의 편의를 위해, 다수개의 판 형태로 분할 구성되도록 사전제작되어 설치시 상호 연결결합시켜 설치하고자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의 면적에 알맞게 적용시킬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트하단부(10)는 보강부재(200), 바닥부(100), 측벽부(400) 및 형틀(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트하단부(10)는 하단에 다수 개의 보강부재(200)가 연속 배열되고, 보강부재(200)의 상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며, 판형의 바닥부(100)가 상기 보강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되고, 측벽부(400)가 보강부재(200)의 외곽 상측에 구비된다.
보강부재(20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으로 구성되며, 내측의 지지 구조로 인해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200)의 형상은 단면이 삼각, 사각, 원 또는 'H', 'I', 'ㄴ', 'ㄷ', '
Figure 112007081612841-pat00002
' 형상 중 어느 하나인 빔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00)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빔 형태로 형성되되, 4면 중 어느 한 면의 중앙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보강부재(200)는 접착제 등의 실링부재를 통하여 수밀하게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보강부재(200)가 상호 수밀하게 연결되면, 지반(1)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가 보강부재(200)의 외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 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200)는 내측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모르타르와 같은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거나, 또는 현장 등에서 시멘트 혼합물 자체를 보강부재(200) 형상의 성형틀에 채워지도록 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체형의 보강부재(200)는 무게가 가벼워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구조 강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리브와 같은 보조 지지구조물을 내측에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강부재(200)는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제품을 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렇게 현장으로 운반된 보강부재(200)는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선택적으로 강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닥부(10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보강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 위치되며, 이렇게 형성된 바닥부(1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트하단부(10)는 일 실시례로 보강부재(200), 바닥부(100) 및 측벽부(400)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보강부재(200), 바닥부(100) 및 형틀(500)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보강부재(200), 바닥부(100), 측벽부(400) 및 형틀(500)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측벽부(400)는 바닥부(100) 또는 보강부재(2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측벽부(400)에 의하여 바닥부(100) 또는 보강부재(200)의 상측 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보강부재(200), 바닥부(100) 및 측벽부(4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측벽부(400)는 바닥부(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0) 또는 상기 바닥부(100)가 결합되어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을 이루고 그 바닥면과 상기 측벽부(40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200)와 상기 바닥부(100)가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의 상부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측벽부(400)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보강부재(200) 또는 상기 바닥부(1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바닥부(100)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측벽부(40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부(100) 및 상기 측벽부(40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형틀(500)은 상기 보강부재(200)와 바닥부(1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직접 연결되거 나,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에 연결된 상기 측벽부(4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형틀(500)은 상기 측벽부(40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을 갖도록 한다.
상기 보강부재(200) 또는 상기 바닥부(1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과 상기 형틀(50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200)와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기 피트하단부(10) 바닥면의 상부 외측 테두리부 및 상기 형틀(50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바닥부(100)의 결합부 및 상기 형틀(500)이 결합되는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바닥부(100)의 결합부 또는 상기 형틀(50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부(100) 및 상기 형틀(50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0)와 상기 바닥부(100)가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에 상기 측벽부(400)가 결합되고 그 상부에 상기 형틀(500)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측벽부(400)와 상기 형틀(50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400)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50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측벽부(400) 및 상기 형틀(500)이 결합되는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형틀(500) 또는 상기 측벽부(40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400) 및 상기 형틀(50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분할형 바닥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보강부재(200), 분할형 바닥부(101)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부(1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다수 개의 분할형 바닥부(101)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자재의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 분할형 바닥부(101)는 양측단부 또는 일측단부에 각각 수직 형성되는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되어, 설치면적 조절이 가능하다.
상호 맞대어진 상기 분할형 바닥부(101)의 접합부는 체결부재를 통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형 바닥부(101) 및 보강부재(200) 사이 공간 및 상부에는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기 전에, 상기 분할형 바닥부(101)의 상측으로는 그라우팅홀(G)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으로는 상기 분할형 바닥부(101)의 상측에 보강부재(200)가 결합되고, 그 사이 및 상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상기 그라우팅홀(G)이 상측으로 구비되나, 상기 분할형 바닥부(101)의 하측으로 보강부재(200)가 결합되고, 그 사이 및 하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질 경우, 상기 그라우팅홀(G)은 상기 분할형 바닥부(101)의 하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우팅홀(G)은 상기 분할형 바닥부(10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원통형태로, 그 내부가 상, 하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이 설치되면, 상기 그라우팅홀(G)을 통해 그 하측의 상기 바닥설치부(20) 빈공간에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집수구조 및 완충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설치부(20)의 일측하방에는 집수부홈(600)이 굴토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홈(600)의 내측을 따라 집수정(6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집수정(610)은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홈(600)에 설치되는 집수정(610)으로 상기 바닥설치부(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 빗물 등의 유수가 유입되어, 상기 집수정(610) 내에 일정량 이상이 되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집수정(610)의 저면은 상기 집수부홈(600)의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바다부(100)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설치부(20)로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면, 상기 집수정(610)과 상기 집수부홈(600)의 사이에도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집수정(610)의 저면과 상기 집수부홈(600) 바닥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이에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굴토된 집수부홈(600)의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집수정(610)이 수평을 유지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부(100) 내측 상방으로는 한 개 이상의 완충스프링(700)이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로 엘리베이터가 하강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측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400)에는 스테인리스 판(410), 보강용 리브(420) 및 결합돌출부재(B)가 구비된다.
상기 측벽부(400)의 내부에는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410)이 덧붙여져서, 상기 측벽부(40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부(100) 및 측벽부(4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추가로 그라우팅제가 도포된다. 상기 그라우팅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스테인리스 판(410)과의 결합력을 높이며, 표면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바닥부(100) 및 측벽부(400)외측의 지반을 보강하며 차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바닥부(100) 또는 측벽부(400)의 표면에 아연 등을 도금처리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40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피트하단부(10)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바닥부(100), 보강부재(200),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스터드볼트 등의 결합돌출부재(B)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트하단부(10)의 외측으로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굳어질 때, 결합력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4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측벽부(4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병렬배치되는 보강용 리브(420)가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400)의 지지강도를 높이고, 상기 피트하단부(10)의 외측으로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굳어질 때, 결합력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분할 측벽부 및 분할 형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400) 및 형틀(500)은 세그먼트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400)와 상기 형틀(500)은 각각 분할형 측벽부(401)와 분할형 형틀(501)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측벽부(401) 및 분할형 형틀(501)이 각각 결합하여, 높이 또는 너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형 측벽부(401)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수직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된다.
상기 분할형 형틀(501)은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수직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된다.
상기 분할형 측벽부(401) 또는 분할형 형틀(501)의 접합부는 각각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분할형 측벽부(401) 또는 분할형 형틀(501)은 그 단면이 'I', 'ㄴ', 'ㄷ', '
Figure 112007081612841-pat00003
' 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 및 피트지지벽체의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되도록 보강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하여,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 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종전에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내측의 바닥설치부로 가해지던 것을,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의 피트지지바닥부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바닥설치부에 상기 피트지지벽체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이 거의 가해지지 않고,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을 위주로 담당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자중, 지내력을 담당하게 되어, 상기 바닥설치부의 깊이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두께보다 훨씬 작게 형성시키는 구조가 가능해져,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9)

  1.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관통되는 그라우팅홀;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설치부에 상기 바닥부가 설치된 후, 그 하측으로 상기 그라우팅홀을 통해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2.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곽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관통되는 그라우팅홀;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설치부에 상기 바닥부가 설치된 후, 그 하측으로 상기 그라우팅홀을 통해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3.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곽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4.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바닥설치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바닥설치부의 일측하방으로 집수부홈;이 굴토형성되고,
    상기 집수부홈의 그 내측을 따라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집수정;이 상기 집수부홈의 내부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5.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표면이 도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6.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곽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의 표면이 도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7.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 그라우팅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8.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피트하단부;
    상기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피트하단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도록 판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곽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 그라우팅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9.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의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0.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장형의 빔형태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는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1.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시멘트혼합물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2.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꺾임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의 분할형 형틀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형틀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되어, 설치높이 또는 너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 저면은 상기 집수부홈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고,
    상기 집수정과 상기 집수부홈의 사이에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4.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5.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장형의 빔형태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을 이루는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6.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꺾임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의 분할형 측벽부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측벽부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되어, 설치높이 또는 너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7.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는,
    시멘트혼합물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8.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꺾임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의 분할형 형틀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형틀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되어, 설치높이 또는 너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KR1020070115973A 2007-11-14 2007-11-14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73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973A KR100973236B1 (ko) 2007-11-14 2007-11-14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973A KR100973236B1 (ko) 2007-11-14 2007-11-14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731A KR20090049731A (ko) 2009-05-19
KR100973236B1 true KR100973236B1 (ko) 2010-07-30

Family

ID=4085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973A KR100973236B1 (ko) 2007-11-14 2007-11-14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488A (ko) 2015-07-20 2017-02-01 우정기업(주) 적층형 엘리베이터용 접이식 비상사다리
KR20220028716A (ko) * 2020-08-31 2022-03-08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90197U1 (it) * 2009-12-14 2011-06-15 Fornasari S R L Vasca prefabbricata per fossa di impianto di sollevamento di cose e persone
CN114809010B (zh) * 2022-05-06 2023-08-18 山西三建集团有限公司 易坍塌土质中电梯井及集水坑基础护壁的施做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025A (ja) * 1985-07-10 1986-03-04 Hitachi Ltd サンプピツトの据付方法
JPH03138279A (ja) * 1989-10-23 1991-06-1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KR200169528Y1 (ko) * 1997-12-22 2000-02-01 이상업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KR20010069528A (ko) * 2001-04-13 2001-07-25 신기범 롤 스크린의 축 이음
JP2007204218A (ja) * 2006-02-01 2007-08-16 Watahan Technos Kk エレベータシャフト用基礎の構築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pc基礎並びにレベル調整用梁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025A (ja) * 1985-07-10 1986-03-04 Hitachi Ltd サンプピツトの据付方法
JPH03138279A (ja) * 1989-10-23 1991-06-1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KR200169528Y1 (ko) * 1997-12-22 2000-02-01 이상업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KR20010069528A (ko) * 2001-04-13 2001-07-25 신기범 롤 스크린의 축 이음
JP2007204218A (ja) * 2006-02-01 2007-08-16 Watahan Technos Kk エレベータシャフト用基礎の構築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pc基礎並びにレベル調整用梁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488A (ko) 2015-07-20 2017-02-01 우정기업(주) 적층형 엘리베이터용 접이식 비상사다리
KR20220028716A (ko) * 2020-08-31 2022-03-08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KR102421944B1 (ko) * 2020-08-31 2022-07-19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731A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1154B2 (ja) 橋梁及び他の構造物のための基礎システム
KR101314081B1 (ko)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631447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JP4347846B2 (ja) 橋脚補強方法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KR20100006805U (ko) 토류판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110052360A (ko) 띠장을 설치하지 않고 슬래브의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향 시공방법
JP2013181277A (ja) 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体
KR100962727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0938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
KR20090003572A (ko)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KR101736009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시공단계 단순접합식 역타 시공방법
KR100973234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3020658A (ja) 構造体
CN212153865U (zh) 一种预制构件连接节点结构
KR20090000334A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79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909

Effective date: 2017033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43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19

Effective date: 2017113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0010046;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103

Effective date: 2018041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0010053;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103

Effective date: 201804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