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944B1 -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 Google Patents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944B1
KR102421944B1 KR1020200110101A KR20200110101A KR102421944B1 KR 102421944 B1 KR102421944 B1 KR 102421944B1 KR 1020200110101 A KR1020200110101 A KR 1020200110101A KR 20200110101 A KR20200110101 A KR 20200110101A KR 102421944 B1 KR102421944 B1 KR 10242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elevator pit
steel structur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716A (ko
Inventor
이지훈
한민기
남순우
이대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Priority to KR102020011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9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2개의 단위부재로 분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운반 및 양중이 용이하도록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일정 크기의 바닥부재와, 바닥부재의 세변의 외측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어 바닥부재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를 개방된 측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물 본체와; 구조물 본체의 측벽부의 상부에 측벽부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직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플랜지 부재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결합구가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져, 상부 플랜지 부재의 내측 수직판에 결합부가 각 결합구 마다 볼트로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Elevator Pit Under Structure}
본 발명은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2개의 단위부재로 분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운반 및 양중이 용이하도록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부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대략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은 하나의 구조물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동하여 설치하도록 하는데, 이는 운반, 양중 및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장에 센터파일 등이 시공된 이후에는 센터파일이 시공된 부분에 설치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779739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일정 크기의 바닥부재와, 바닥부재의 외측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어 바닥부재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시 측벽부의 상부에 측벽부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직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플랜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단 강재 구조물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결합구가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져, 상부 플랜지 부재의 내측 수직판에 결합부가 각 결합구 마다 볼트로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부재와; 일측면의 하부가 수직판에 면접되어 하단부가 거푸집 지지부재 지지부의 상부에 거치되는 강재 거푸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운반, 양중 및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장에 센터파일 등이 시공된 이후에는 센터파일이 시공된 부분에 설치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바닥부재가 보강바가 형성되는데 겹칩구조로 형성되지 않아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779739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분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운반 및 양중이 용이하며, 거푸집과 동시에 거푸집 지지 부재의 제거가 매우 용이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일정 크기의 바닥부재와, 바닥부재의 세변의 외측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어 바닥부재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를 개방된 측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물 본체와; 구조물 본체의 측벽부의 상부에 측벽부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직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플랜지 부재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결합구가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져, 상부 플랜지 부재의 내측 수직판에 결합부가 각 결합구 마다 볼트로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닥부재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일측면판과, 하부판의 타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부가 일측면판의 상단부보다 일정높이 높게 형성되는 타측면판과, 일측면판과 타측면판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져, 복수개가 연달아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1 부재와; 하부판과, 하부판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일측면판과, 하부판의 타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부가 일측면판의 상단부보다 일정높이 높게 형성되는 타측면판과, 일측면판과 타측면판에서 각각 하부판의 폭방향 내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져, 타측 단부의 제1 부재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2 부재와; ㄷ 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일측 단부의 제1 부재의 일측 단부와 단부 부재의 타측 단부에서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단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단위부재 간 접합부는 접합부 양측의 단부 부재의 하부에 결합플레이트를 덧대어 결합플레이트의 타측을 타측 단위부재에 용접하고 일측을 단부 부재를 관통하도록 체결 볼트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결합플레이트의 상부면과 단위부재 간 접합부의 하부면 사이에는 지수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측벽부의 외측에서 바닥부재와 상부 플랜지 부재의 수평판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1개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보강강봉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평판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공의 철근 구속홀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측 수직판의 상단부는 거푸집 지지부재의 지지부 보다 일정 길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부 플랜지 부재의 내측 수직판의 상단부는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평판의 상부면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지수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2개의 단위부재로 분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운반 및 양중이 용이하며, 바닥부재를 단위부재로 제작하여 끼움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측벽 및 상부판을 모두 겹침구조로 형성하여 박판으로 형성하여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도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부 플랜지 부재를 단면이 확대된 형태로 구성하고 내부에 콘크리트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의 상단부 단면을 확장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의 단위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가 적용된 시공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4a는 상기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강봉 구성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단 강재 구조물의 외측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철근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바닥부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서 부재간 접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단위부재 간의 접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의 단위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1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은 2개의 단위부재(1a)(1b)로 따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동하여 도 1b에서와 같이, 조립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단위부재(1a)(1b)는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일정 크기의 바닥부재(50)와, 바닥부재(50)의 세변의 외측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어 바닥부재(5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벽부(60)로 이루어지며, 단위부재(1a)(1b)를 개방된 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결합하여 구조물 본체(1)를 이루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도시한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가 적용된 시공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4a는 상기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3의 저면도이다.
이때, 구조물 본체(1)의 상부에는 상부 플랜지 부재(10)와 거푸집 지지부재(20)가 구성되는데, 상부 플랜지 부재(10)와 거푸집 지지부재(20)는 단위부재(1a)(1b)에 각각 구성되어 단위부재(1a)(1b) 접합시에 접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50)와 측벽부(60)로만 이루어지는 단위부재(1a)(1b)를 결합하여 구조물 본체(1)를 제작한 후에 구조물 본체(1)의 상부에 상부 플랜지 부재(10)와 거푸집 지지부재(20)를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집수정(3)을 미리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바닥부재(50)는 일정 크기의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복수의 보강바(미도시) 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측벽부(60)는 파형강판 등 다수의 리브를 가지는 강재 구조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측벽부(60)의 상단부에 측벽부(60)에 비하여 단면이 확대된 형태의 ∪형 단면을 갖는 상부 플랜지 부재(10)를 형성하고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부 플랜지 부재(10)는 수평판(11)과, 수평판(11)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직판(12)과, 수평판(11)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직판(13)으로 이루어져, ∪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수평판(11)은 측벽부(60)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측벽부(50)의 단면보다 단면이 확대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엘리베이터 피트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에 ∪형 단면의 내부에 콘크리를 충전하여 측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플랜지 부재(10)는 측벽부(50)의 상단부에 용접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되는데, 수평판(11)의 폭이 측벽부(5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평판(11)의 중앙부에 결합되거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치우쳐 측벽부(5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내측 수직판(12)의 상단부는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보강부(121)가 형성되도록 하여, 내측 수직판(12)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내측 방향으로의 차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수평판(11)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수부재(40)가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상부 플랜지 부재(10) 내부에서 1차적으로 차수의 역할을 하고, 다시 내측 수직판(12)에서 2차 차수의 기능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부 플랜지 부재(10)에는 거푸집 지지부재(20)가 결합되어, 도 2에서와 같이, 거푸집 지지부재(20)가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 형성을 위한 강재 거푸집(2)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거푸집 지지부재(20)는 도 5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1)와, 지지부(21)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2)로 이루어져 ㄱ 단면을 갖도록 형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거푸집 지지부재(20)는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내측 수직판(12)에 볼트(30)로 결합부(22)를 결합하는데, 결합부(22)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결합구가 형성되어 볼트(30)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거푸집 지지부재(20)를 볼트(30)로 상부 플랜지 부재(10)에 결합되도록 하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 강재 거푸집(2) 및 거푸집 지지부재(20)의 제거시에 거푸집 지지부재(20)를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하거나 타격하는 것만으로도 제거가 가능하여 탈착이 매우 용이하다.
이와 같이, 거푸집 지지부재(20)의 지지부(21)의 상부에 강재 거푸집(2)이 거치되어 지지되는데, 이때, 내측 수직판(12)의 상단부가 거푸집 지지부재(20)의 지지부(21) 보다 일정 길이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강재 거푸집(2)의 측면 지지역할을 함과 동시에, 강재 거푸집(2)의 하단부와 거푸집 지지부재(20)의 사이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측벽부(60)가 바닥부재(50)의 외측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어 바닥부재(5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도록하여, 측벽부(60)의 외측으로는 바닥부재(50)가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데, 도 1b 및 도 5에서와 같이, 측벽부(60)의 외측에서 바닥부재(50)와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수평판(11)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1개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보강강봉(80)이 추가 구성되도록 하여, 하단 강재 구조물의 부등침하로 인한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처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누수 방지를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보강강봉(80)은 상부 플랜지 부재(10)와 바닥부재(5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철근, PC 강봉, 나사강봉, 전산볼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각각 상부 플랜지 부재(10)와 바닥부재(50)에 용접되거나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단 강재 구조물의 외측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철근(90)의 일측이 구속되도록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수평판(11)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공의 철근 구속홀(111)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철근 구속홀(111)에 철근(90)의 단부가 관통되어 배근되어 철근(90)이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철근 구속홀(111)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철근(90)의 설치 위치 및 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 바닥부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7에서 부재간 접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단위부재(1a)와 단위부재(1b)에 각각 바닥부재(50)가 구성되는데, 바닥부재(50)는 강성을 유지하면서 중량을 줄이면서도 부재간 접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연달아 구성되는 복수의 제1 부재(51)와, 제1 부재(51)의 타측의 단부에 구성되는 제2 부재(52)로 이루어져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재(51)는 하나의 판을 절곡하여 U형 단면을 이루도록 하부판(511)과, 하부판(51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면판(512) 및 타측면판(51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U형 단면을 이루는 제1 부재(51)를 복수개를 연달아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부재(51) 간의 측면판이 겹쳐지도록 하여 중량을 줄이면서도 보강을 하는 리브 역할을 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부재간의 접합시에 끼워맞춤이 가능하도록 일측면판(512)과 타측면판(513)의 상단부 높이가 다르게 구성하도록 한다. 이때, 일측면판(512)과 타측면판(513)의 상단부의 높이는 판두께 정도의 높이차가 나도록 하고, 일측면판(512)과 타측면판(513)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514)(515)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타측의 제1 부재(51)의 상부판(514)의 상부에 일측의 제1 부재(51)의 상부판(515)의 하부면이 겹쳐지도록 하여 제1 부재(51)가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겹쳐져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판(514)(515)은 제1 부재(51) 간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겹쳐지도록 하여 일측면판(512)과 타측면판(513)의 상단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514)(515)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타측 단부에서의 마감 및 단위부재(1a)(1b)간의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 부재(51) 중 타측 단부의 제1 부재(51)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제2 부재(52)를 구성한다.
제2 부재(52)는 제1 부재(51)와 구성이 유사하도록 하부판(521)과, 하부판(521)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일측면판(522)과, 하부판(521)의 타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부가 일측면판(522)의 상단부보다 일정높이 높게 형성되는 타측면판(523)으로 이루어져 U형 단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나, 일측면판(522)과 타측면판(523)에서 각각 하부판(511)의 폭방향 내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524)(525)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부판(524)(525)가 단면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 부재(51)와의 연속적인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단부에서의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부재(51)와 복수의 제1 부재(51)의 타측 단부에 구성되는 제2 부재(52)로 바닥부재(50)를 구성하도록 하며, 특히, 이의 단부에는 ㄷ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단부 부재(53)를 일측 단부의 제1 부재(51)의 일측 단부와 단부 부재(53)의 타측 단부에서 끼워 용접, 볼팅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바닥부재(50)의 단부 보강과 더불어 단위부재(1a)(1b) 간의 접합시에 결합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결합면을 강화하도록 한다.
바닥부재(50)는 단위부재(1a)(1b)에서 각각 제2 부재(52)가 개구된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단위부재 간의 접합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단위부재(1a)(1b) 간 접합부는 접합부 양측의 단부 부재(53)의 하부에 결합플레이트(18)를 덧대어 단위부재(1a)(1b) 간을 결합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결합플레이트(18)는 결합플레이트(18)의 타측을 타측 단위부재(1b)에 용접한 후에 결합플레이트(18)의 일측을 단부 부재(53)를 관통하도록 체결 볼트(19)로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결합플레이트(18)의 상부면과 단위부재(1a)(1b) 간 접합부의 하부면 사이에는 공지의 다양한 지수재가 구성되도록 하여 누수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을 2개의 단위부재로 분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운반 및 양중이 용이하며, 바닥부재를 단위부재로 제작하여 끼움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측벽 및 상부판을 모두 겹침구조로 형성하여 박판으로 형성하여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도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부 플랜지 부재를 단면이 확대된 형태로 구성하고 내부에 콘크리트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의 상단부 단면을 확장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하단 강재 구조물
10 : 상부 플랜지 부재
11 : 수평판
12 : 내측 수직판
121 : 보강부
13 : 외측 수직판
20 : 거푸집 지지부재
21 : 지지부
22 : 결합부
30 : 볼트
40 : 지수부재
50 : 바닥부재
60 : 측벽부
80 : 보강강봉
2 : 강재 거푸집
3 : 집수정

Claims (9)

  1.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판(511)과, 하부판(511)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일측면판(512)과, 하부판(511)의 타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부가 일측면판(512)의 상단부보다 일정높이 높게 형성되는 타측면판(513)과, 일측면판(512)과 타측면판(513)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514)(515)으로 이루어져, 복수개가 연달아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1 부재(51)와; 하부판(521)과, 하부판(521)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일측면판(522)과, 하부판(521)의 타측 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부가 일측면판(522)의 상단부보다 일정높이 높게 형성되는 타측면판(523)과, 일측면판(522)과 타측면판(523)에서 각각 하부판(511)의 폭방향 내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524)(525)으로 이루어져, 타측 단부의 제1 부재(51)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2 부재(52)와; ㄷ 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일측 단부의 제1 부재(51)의 일측 단부와 단부 부재(53)의 타측 단부에서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단부 부재(53);로 이루어지는 일정 크기의 바닥부재(50)와, 바닥부재(50)의 세변의 외측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어 바닥부재(5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벽부(60)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1a)(1b)를 개방된 측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물 본체(1)와;
    구조물 본체(1)의 측벽부(60)의 상부에 측벽부(60)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판(11)과 수평판(11)의 폭방향 내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직판(12)과 수평판(11)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직판(13)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플랜지 부재(10)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1)와, 지지부(21)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결합구(221)가 형성되는 결합부(22)로 이루어져,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내측 수직판(12)에 결합부(22)가 각 결합구(221) 마다 볼트(30)로 결합되는 거푸집 지지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위부재(1a)(1b) 간 접합부는 접합부 양측의 단부 부재(53)의 하부에 결합플레이트(18)를 덧대어 결합플레이트(18)의 타측을 타측 단위부재(1b)에 용접하고 일측을 단부 부재(53)를 관통하도록 체결 볼트(19)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플레이트(18)의 상부면과 단위부재(1a)(1b) 간 접합부의 하부면 사이에는 지수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벽부(60)의 외측에서 바닥부재(50)와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수평판(11)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1개 이상의 보강강봉(80)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판(11)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공의 철근 구속홀(11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측 수직판(12)의 상단부는 거푸집 지지부재(20)의 지지부(21) 보다 일정 길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플랜지 부재(10)의 내측 수직판(12)의 상단부는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보강부(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판(11)의 상부면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지수부재(4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KR1020200110101A 2020-08-31 2020-08-31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KR10242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01A KR102421944B1 (ko) 2020-08-31 2020-08-31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01A KR102421944B1 (ko) 2020-08-31 2020-08-31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16A KR20220028716A (ko) 2022-03-08
KR102421944B1 true KR102421944B1 (ko) 2022-07-19

Family

ID=8081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01A KR102421944B1 (ko) 2020-08-31 2020-08-31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9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236B1 (ko) * 2007-11-14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75365B1 (ko) * 2008-02-05 2010-08-11 우광티엔씨(주) 조립식 집수정
KR100979546B1 (ko) * 2008-01-11 2010-09-01 엄기형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779739B1 (ko) * 2017-01-10 2017-09-19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54A (ko) *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236B1 (ko) * 2007-11-14 2010-07-30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79546B1 (ko) * 2008-01-11 2010-09-01 엄기형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75365B1 (ko) * 2008-02-05 2010-08-11 우광티엔씨(주) 조립식 집수정
KR101779739B1 (ko) * 2017-01-10 2017-09-19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16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463B1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056406B1 (ko) 역삼각래티스형 압축부를 강화한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805900B1 (ko) 지하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틀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27813B1 (ko) 탑u형 래티스 합성보
KR101456391B1 (ko) 층고절감형 유공 강재 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바닥 구조
KR101948812B1 (ko)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KR101779739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의 연결부 구조
KR102421944B1 (ko)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KR102181805B1 (ko) 무조인트 교량의 수직벽체형 블록 조립유닛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 조립 시공방법
KR102386510B1 (ko) 유공관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KR100699040B1 (ko)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2047275B1 (ko) 양중·설치가 용이한 합성 프리캐스트 벽체 시스템
KR101407816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833949B1 (ko)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KR101878762B1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CN211285076U (zh) 一种铁路轨道架空加固结构
JP2018159180A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102429962B1 (ko)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KR102586172B1 (ko) 안전 플랫판을 갖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가 구성된 h형 단면의 강재보
KR101827619B1 (ko) 흙막이 벽체 토압 지지공법
KR102289254B1 (ko) Z형 이음부를 갖는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2621651B1 (ko) 복수의 수평 다이아프램 플레이트로 수직강재를 구속시킨 조립강재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