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081B1 -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081B1
KR101301081B1 KR1020120124480A KR20120124480A KR101301081B1 KR 101301081 B1 KR101301081 B1 KR 101301081B1 KR 1020120124480 A KR1020120124480 A KR 1020120124480A KR 20120124480 A KR20120124480 A KR 20120124480A KR 101301081 B1 KR101301081 B1 KR 10130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ttom plate
wall portion
pillar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일
Original Assignee
안창일
(주)서현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일, (주)서현컨스텍 filed Critical 안창일
Priority to KR1020120124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벽체와 저판을 이용하여 소요의 연장길이를 가진 벽체구조물을 시공하되 프리캐스트 벽체와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저판으로 시공하되 벽체의 구조적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경제적인 제작, 운반 및 시공이 가능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벽체는 직육면체 패널 형태로서 배면부에 형성시킨 오목홈에 의하여 외곽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리브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된 벽체부 및 상기 벽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벽체부 저면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기둥지지부; 및 상기 벽체부 저면으로부터 기둥지지부 사이의 하부공간(S)에 돌출되도록 연장된 하부철근;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벽체와 저판을 이용하여 소요의 연장길이를 가진 벽체구조물을 시공하되 프리캐스트 벽체와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저판으로 시공하되 벽체의 구조적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경제적인 제작, 운반 및 시공이 가능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벽체구조물로서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옹벽 세그먼트(10,20,30)가 설치되는 시공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단에 도시된 옹벽(10)은 벽체(12)가 배면 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려 설치되는 일명 의탁형 옹벽으로서, 저판(11) 및 벽체(12)가 일체로 제작된 다수의 프리캐스트 옹벽 세그먼트가 길이방향으로 측면들이 접하도록 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중간에 도시된 옹벽(20)은 통상의 프리캐스트 옹벽으로서, 역시 저판(21) 및 수직 벽체(22)가 일체로 제작된 다수의 프리캐스트 옹벽 세그먼트가 길이방향으로 그 측면들이 접하도록 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단에 도시된 옹벽(30)은 부벽식으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옹벽으로서, 부벽(33)이 배면 쪽으로 형성된 저판(31) 및 벽체(32)가 일체로 제작된 다수의 프리캐스트 옹벽 세그먼트가 역시 길이방향으로 그 측면이 접하도록 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옹벽들(10,20,30)에 있어서 각 옹벽 세그먼트를 길이방향(종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할 때, 시공오차에 의하여 각 옹벽 세그먼트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소 어긋나는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시공오차에 의한 문제점은 정밀시공에 의하여 해소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 현장여건상 정밀시공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도 1b는 종래 응력저감형 프리캐스트 옹벽(40,50)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먼저 좌측 옹벽(40)의 경우,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저판(41)을 시공한 뒤, 벽체(42)를 저판(41) 전면부에 세워 설치하는데, 이때 벽체(42) 배면과 저판(41) 사이에 경사 지지부재(43)가 설치된다.
이러한 경사 지지부재(43)는 기본적으로 벽체(42)를 배면 쪽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벽체(42)의 자립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벽체(42)에 발생하는 토압의 지점부 역할도 하기 때문에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휨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사 지지부재(43)의 하단부는 저판(41)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단부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벽체(42)의 배면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 지지부재(43)는 강봉을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경사 지지부재(43)의 구조적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추후 벽체(42) 배면에 배면토를 복토하고 기계화 다짐을 해야 할 경우, 경사 지지부재(43)는 다짐작업을 방해할 수 있으며, 배면토 압입다짐에 따른 작용하중이 경사 지지부재(43)에 직접 작용함으로서 경사 지지부재(43)의 변형 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 1b의 우측 옹벽(50)의 경우 저판(51)에 벽체(52)를 설치하되, 경사 지지부재(53)는 단순한 강관으로서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저판(51) 및 벽체(52)에 미리 매입된 연결구(54)에 의하여 그대로 연결되도록 하는 응력저감형 옹벽인데, 역시 위에서 살펴본 배면토 다짐에 따른 여러 문제점은 동일하게 가질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도 1b에 의한 옹벽들의 경우 벽체(52)와 저판(41)이 서로 힌지 연결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다 보니 아무래도 벽체(52)에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휨 모멘트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벽체(52)의 단면이 커지게 되어 이에 따른 프리캐스트 벽체(52)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다수의 벽체(52)를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시킴에 있어 구조적 일체성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벽체의 연결부위에 있어 수밀성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러한 수밀성 확보에 한계가 있어 옹벽의 내구성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벽체와 저판을 포함하는 벽체구조물에 있어서, 벽체의 종방향 구조적 일체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벽체의 단면을 최적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벽체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벽체의 종방향 연결부위에 있어 수밀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사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벽체구조물에 있어서, 벽체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고, 저판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시공하여 저판과 벽체의 하부가 구조적으로 일체성을 가지고 강결 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벽체는 몸통부 저면에 형성시킨 기둥지지부와 몸통부 저면 사이의 공간에 돌출된 하부철근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강결의 효과가 증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벽체와 저판의 강결과 더불어 벽체와 벽체의 종방향 일체성도 함께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벽체간의 연결부위에 있어서는 측면에 연결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연결홈은 벽체 측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접하는 연결홈에 의한 공간에 충진재를 충진시켜 벽체의 종방향 구조적 일체성 확보 및 수밀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셋째, 상기 벽체의 배면에는 오목홈 형태의 내부홈을 형성시켜 외곽리브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고 벽체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외곽리브를 긴장재를 이용하여 압착시키고, 기둥지지부재도 서로 상기 긴장재에 의하여 압착시켜 보다 효과적인 벽체 상부의 종방향 일체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압착에 의하여 벽체를 서로 연결시킴에 따른 연결부위 수밀성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상기 오목홈에 의하여 벽체의 단면을 최적화시킬 수 있어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벽체의 제작, 운반 및 시공성을 증진시키고 있으며 오목홈에 의하여 벽체 단면의 크기가 감소되어 벽체 자중을 줄일 수 있어 제작, 운반 및 시공가능한 벽체의 종방향 연장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어 벽체의 종방향 연결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벽체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하며 부등침하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벽체와 현장 타설 콘크리트 타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저판을 포함하는 벽체구조물로서, 직육면체 패널 형태로서 배면부에 형성시킨 오목홈에 의하여 외곽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리브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된 벽체부; 상기 벽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벽체부 저면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기둥지지부; 및 상기 벽체부 저면으로부터 기둥지지부 사이의 하부공간(S)에 돌출되도록 연장된 하부철근;을 포함하는 벽체; 상기 벽체부와 기둥지지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긴장 후 양 단부가 벽체부의 외곽리브와 기둥지지부에 정착된 긴장재; 및
상기 하부철근이 매립되도록 하부공간(S)과 벽체의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형성된 저판;을 포함하는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벽체구조물은 벽체와 저판을 강결시켜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 등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면서도 벽체의 단면크기를 최적화시켜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벽체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벽체의 연결부위에 있어 긴장재를 이용하여 서로 압착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성능 증진에 의하여 벽체의 부등침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벽체의 종방향 연결부위에 있어 수밀성과 연결성능을 높일 수 있어 벽체의 종방향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벽체의 자중이 크지 않기 때문에 벽체 종방향 연결부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벽체 시공 공기 단축 및 경제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옹벽의 종류별 시공사시도 및 응력저감형 벽체구조물의 시공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구조물의 구성 사시도(실시예 1)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구조물의 구성 사시도(실시예 2)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구조물의 시공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본 발명의 벽체구조물(A)]
본 발명의 벽체구조물(A)은 옹벽을 기준으로 실시예 1과 실시예 2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먼저 실시예 1을 도 2a 및 도 2b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실시예 1]
상기 벽체구조물(A)은 저판(100)과 벽체(200)로 구분되는데 벽체(200)를 먼저 터파기된 지반(G)에 종방향으로 다수를 연결시켜 가면서 설치하고 설치된 다수의 벽체(200)의 하부에 저판(100)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벽체(200)는 도 2a와 같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게 되는데 직육면체 패널 형태의 벽체부(210)와 기둥지지부(220)로 형성된다.
상기 벽체부(210)는 벽체의 배면부에 파여진 홈 형태의 오목홈(211)이 형성되어 외곽리브(212)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오목홈(211)에 의한 콘크리트 배제 효과에 의하여 벽체(200)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벽체의 양 측면에 형성된 외곽리브(212)에는 관통홀(213)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긴장재(240)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양 측면은 수직홈 형태의 연결홈(214)이 벽체부(210)와 기둥지지부(220)의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여 벽체와 기둥지지부의 연결부위에 인접한 다른 벽체의 연결홈(214)과 도 2b와 같이 서로 접하여 충진재(250)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벽체 하부의 기둥지지부(220)에서도 충진재(250)에 의하여 연결성능이 떨어짐이 없이 서로의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둥지지부(220)는 벽체부(210)의 저면에 서로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2a의 경우에는 양 측면의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블록 형태로서 벽체부(210)를 지지하면서 기본적으로 벽체(200)의 자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기둥지지부(220)와 벽체부(210) 저면 사이의 공간에 후술되는 저판용 현장 타설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벽체(210)와 저판(100)이 도 2b와 같이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일체성 확보를 위해 기둥지지부(220) 사이의 하부공간(S)에는 벽체부 저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하부철근(23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지지부(220)의 양 측면에도 관통홀(223)이 형성되도록 하여 긴장재(240)가 역시 긴장재(240)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벽체(200)는 터파기된 지반 또는 레벨링 콘크리트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되 각 벽체(200)의 양 측면에 형성시킨 연결홈(214)이 서로 접하도록 도 2b와 같이 설치하게 된다.
이에 벽체(200)의 벽체부(210)와 기둥지지부(220)에 형성된 관통홀(213,223)에 긴장재(240)를 삽입하고 긴장재(240)의 양 단부를 외곽리브(212)의 내측면에서 정착시켜 벽체(200)가 서로 압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는데 이로서 벽체(200)의 상부 및 하부 모두 압착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긴장재(240)에 의하여 벽체(200)는 종방향으로 서로 구조적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벽체(200)의 종방향 연결은 양 측면이 서로 접하는 연결부위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위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수밀성을 확보해야 뒷채움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등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연결부위의 경우 본 발명은 연결홈(214)이 서로 접하고 있어 연결홈에 의한 수직홀 형태의 공간에 충진재(250)를 충진시켜 벽체부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다웰바에 의하여 연결부위의 벽체부 연결성능을 확보함과 더불어 수밀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위의 연결홈 접면에는 실런트로 처리하고 방수시트를 설치하여 수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저판(100)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C)에 의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벽체(200) 하부의 하부공간(S)에도 함께 충진되도록 하고 벽체(200) 하부로부터 배면부로 연장되도록 미 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서 벽체(200)와 강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벽체(200)와 저판(100)의 강결은 앞서 살펴본 하부철근(230)과 상기 하부철근(230)과 결속된 저판철근(231)에 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이로서 벽체(200)에 작용하는 토압 등에 의한 휨 모멘트가 벽체와 저판에 효과적으로 분산됨으로서 특히 벽체(200)의 단면을 최적화 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벽체(200)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벽체의 제작, 운반 및 시공에 매우 유리한다.
나아가 동일한 벽체 자중이라면 상대적으로 벽체의 종방향 연장길이를 길게 형성시킬 수 있어 연결부위 감소에 의한 옹벽의 시공성 및 부등침하 방지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C)에 의한 강결은 벽체(200)의 하부를 저판(100)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키게 되는데 현장 타설 콘크리트(C)는 기둥지지부도 서로 종방향으로 서로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벽체의 구조적 일체성이 한층 증진되도록 하게 된다.
더불어 벽체(200)의 기둥지지부(220)는 긴장재(240)에 의하여 서로 압착되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은 벽체와 저판 및 벽체와 강결 및 벽체의 종방향 연결성능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벽체는 하부 및 상부 모두 종방향으로의 연결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밀성도 함께 확보할 수 있고 벽체의 부등침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를 도 3a 및 도 3b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대비하여 기둥지지부(220)의 형성위치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차례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벽체구조물(A)도 저판(100)과 벽체(200)로 구분되는데 벽체(200)를 먼저 터파기된 지반(G)에 종방향으로 다수를 연결시켜 가면서 설치하고 설치된 다수의 벽체(200)의 하부에 저판(100)을 시공함은 동일하다.
상기 벽체(200)는 도 3a와 같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역시 제작하게 되는데 직육면체 패널 형태의 벽체부(210)와 기둥지지부(220)로 형성된다.
상기 벽체부(210)는 역시 벽체의 배면부에 파여진 홈 형태의 오목홈(211)이 형성되어 외곽리브(212)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벽체(200)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벽체의 양 측면에 형성된 외곽리브(212)에는 역시 관통홀(213)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긴장재(240)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양 측면은 수직홈 형태의 연결홈(214)이 벽체부(210)의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여 벽체의 연결부위에 인접한 다른 벽체의 연결홈(214)과 도 3b와 같이 서로 접하여 충진재(250)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실시예 2에서는 후술되는 기중지지부(220)가 벽체의 양 측면 직하방에 형성되지 않고 내측으로 이동되어 형성되어 있어 연결홈(214)이 벽체부(210)에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기둥지지부(220)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블록 형태로서 벽체부(210)를 지지하면서 기본적으로 벽체(200)의 자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함은 동일하다.
이에 기둥지지부(220)와 벽체부(210) 저면 사이의 하부공간(S)에 후술되는 저판용 현장 타설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벽체(200)와 저판(100)이 도 3b와 같이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도록 함과 더불어 인접한 기둥지지부(220) 사이의 공간에도 현장 타설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벽체(200)간의 일체성 확보에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벽체의 연결부위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달리 저판용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서로의 일체성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역시 이러한 구조적 일체성 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기둥지지부(220) 사이의 하부공간(S)에는 벽체부 저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하부철근(23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지지부(220)의 양 측면에도 역시 관통홀(223)이 형성되도록 하여 긴장재(240)가 역시 긴장재(240)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하게 되어 서로 이격된 기둥지지부(220) 사이에 긴장재(240)가 설치되도록 하여 서로 압착되어 서로의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벽체(200)는 터파기된 지반 또는 레벨링 콘크리트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되 각 벽체(200)의 양 측면에 형성시킨 연결홈(214)이 서로 접하도록 도 3b와 같이 설치하게 된다.
이에 벽체(200)의 벽체부(210)와 기둥지지부(220)에 형성된 관통홀(213,223)에 긴장재(240)를 삽입하고 긴장재(240)의 양 단부를 외곽리브(212)의 내측면에서 정착시켜 벽체(200)가 서로 압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는데 이로서 벽체(200)의 상부 및 하부 모두 압착시킬 수 있게 됨은 동일하다.
이러한 긴장재(240)에 의하여 벽체(200)는 종방향으로 서로 구조적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벽체(200)의 종방향 연결은 양 측면이 서로 접하는 연결부위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위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수밀성을 확보해야 뒷채움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등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연결부위의 경우에도 연결홈(214)이 서로 접하고 있어 연결홈에 의한 수직홀 형태의 공간에 충진재(250)를 충진시켜 벽체부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다웰바에 의하여 연결부위의 벽체부 연결성능을 확보함과 더불어 수밀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위의 연결홈 접면에는 실런트로 처리하고 방수시트를 설치하여 수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동일하다.
이때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연결홈이 타원형으로서 실시예 1 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는 실시예 2의 경우 기둥지지부의 위치 때문에 연결홈의 수직높이가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작아 연결홈을 크게 형성시키고 충진재를 통한 수밀성능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저판(100)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C)에 의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함은 동일한데 상기 벽체(200) 하부의 하부공간(S) 및 기둥지지부 사이에도 함께 충진되도록 하고 벽체(200) 하부로부터 배면부로 연장되도록 미 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서 벽체(200)와 강결 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벽체(200)와 저판(100)의 강결은 역시 앞서 살펴본 하부철근(230)과 상기 하부철근(230)과 결속된 저판철근(231)에 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이로서 벽체(200)에 작용하는 토압 등에 의한 휨 모멘트가 벽체와 저판에 효과적으로 분산됨으로서 특히 벽체(200)의 단면을 최적화 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벽체(200)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벽체의 제작, 운반 및 시공에 매우 유리하게 된다.
나아가 역시 동일한 벽체 자중이라면 상대적으로 벽체의 종방향 연장길이를 길게 형성시킬 수 있어 연결부위 감소에 의한 옹벽의 시공성 및 부등침하 방지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C)에 의한 강결은 벽체(200)의 하부를 저판(100)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키게 되는데 현장 타설 콘크리트(C)는 기둥지지부도 서로 종방향으로 서로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벽체의 구조적 일체성이 한층 증진되도록 하게 되는데 실시예 2에서는 기둥지지부 사이의 공간에도 현장 타설 콘크리트(C)가 타설되므로 보다 효과적이게 된다.
더불어 역시 벽체(200)의 기둥지지부(220)는 긴장재(240)에 의하여 서로 압착되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은 벽체와 저판 및 벽체와 강결 및 벽체의 종방향 연결성능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벽체도 하부 및 상부 모두 종방향으로의 연결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밀성도 함께 확보할 수 있고 벽체의 부등침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벽체구조물(A) 시공방법]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의 벽체구조물(A)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서 실시예 1을 기준으로 살펴본다.
먼저, 지판(G)를 터파기 하여 벽체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정리하게 되며 레벨링 콘크리트를 시공하여 벽체(200)의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4a와 같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공장 제작된 본 발명의 벽체(200) 다수를 현장에 반입하고 미 도시된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지반 또는 레벨링 콘크리트 상면에 측면이 접하도록 하여 벽체(200)를 종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게 된다.
이에 벽체(200)의 연결홈(214)들이 서로 종방향으로 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면 기둥지지부(220)도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결홈(214)는 벽체부와 기둥지지부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음은 살펴본 바와 같다.
이에 벽체(200)의 상부 즉 벽체부를 긴장재(240)를 이용하여 압착시키고 하부 즉 기둥지지부도 긴장재(240)를 이용하여 서로 압착시키게 된다.
또한 서로 접하는 연결홈(214)에 팽창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과 같은 충진재(250)를 충진시켜 벽체의 연결홈 시공을 완성하게 된다.
이에 벽체(200)의 상부, 하부는 서로 압착되도록 설치하게 되고, 연결부위에 있어서도 수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저판(100) 시공을 위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저판(100)을 시공하게 되는데 하부공간(S)에 충진되도록 하고 미리 저판철근(231)을 벽체부 저면에 형성된 하부철근(230)과 서로 결속시켜 배근하여 현장타설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에 벽체(200)와 저판(100)을 서로 강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벽체(200)는 벽체구조물 시공 길이에 따른 개수를 정하여 설치하면 되고 저판(100)도 이러한 벽체 설치 개수에 대응하여 시공이음부 처리를 통해 여러번 나누어 현장 타설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시공하면 될 것이다.
실시예 2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대로 시공하게 되는데 기둥지지부 사이에 저판철근을 더 설치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저판
231: 저판철근
200: 벽체
210: 벽체부
211: 오목홈
212: 외곽리브
213,223: 관통홀
214: 연결홈
220: 기둥지지부
230: 하부철근
240: 긴장재
250: 충진재
A: 본 발명의 벽체구조물
S: 하부공간
C: 현장 타설 콘크리트
G: 지반

Claims (6)

  1.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벽체(200)와 현장 타설 콘크리트 타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저판(100)을 포함하는 벽체구조물로서,
    직육면체 패널 형태로서 배면부에 형성시킨 오목홈(211)에 의하여 외곽리브(212)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리브에는 관통홀(213)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결홈(214)이 형성된 벽체부(210); 상기 벽체부(210)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벽체부 저면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홀(223)이 형성된 기둥지지부(220); 및 상기 벽체부(210) 저면으로부터 기둥지지부(220) 사이의 하부공간(S)에 돌출되도록 연장된 하부철근(230);을 포함하는 벽체(200);
    상기 벽체부(210)와 기둥지지부(220)에 형성된 관통홀(213,223)에 삽입되어 긴장 후 양 단부가 벽체부의 외곽리브와 기둥지지부에 정착된 긴장재(240); 및
    상기 하부철근(230)이 매립되도록 하부공간(S)과 벽체(200)의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형성된 저판(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지지부(220)는 벽체부(210)의 측면 직 하방에 형성되어 연결홈(214)이 벽체(200)의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홈에는 충진재(250)가 충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지지부(220)는 벽체부(21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되어 벽체부 하면에 형성되어 연결홈(214)이 벽체(200)의 벽체부(210) 높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홈에는 충진재(250)가 충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100)은 저판철근(231)이 미리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저판철근(231)은 하부공간까지 배근되어 하부철근(230)과 결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조물.
  5. 벽체구조물이 설치되어야 지반을 터파기 하고,
    상기 터파기된 지반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직육면체 패널 형태로서 배면부에 형성시킨 오목홈(211)에 의하여 외곽리브(212)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리브에는 관통홀(213)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결홈(214)이 형성된 벽체부(210) 및 상기 벽체부(210)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벽체부 저면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홀(223)이 형성된 기둥지지부(220); 및 상기 벽체부(210) 저면으로부터 기둥지지부(220) 사이의 하부공간(S)에 돌출되도록 연장된 하부철근(230);을 포함하는 벽체(200)를 종방향으로 서로 측면의 연결홈이 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벽체부(210)와 기둥지지부(220)에 형성된 관통홀(213,223)에 삽입되어 긴장 후 양 단부가 벽체부의 외곽리브와 기둥지지부에 정착되는 긴장재(240)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홈에 충진재를 충진시키고,
    저판철근(231)을 미리 배근하여 결속시킨 하부철근(230)이 매립되도록 하부공간(S)과 벽체(200)의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저판(10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지지부(220)는 벽체부(210)의 측면 직 하방에 형성되어 연결홈(214)이 벽체(200)의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홈에는 충진재(250)가 충진되도록 하거나
    상기 기둥지지부(220)는 벽체부(21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되어 벽체부 하면에 형성되어 연결홈(214)이 벽체(200)의 벽체부(210) 높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홈에는 충진재(250)가 충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20124480A 2012-11-05 2012-11-05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01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80A KR101301081B1 (ko) 2012-11-05 2012-11-05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80A KR101301081B1 (ko) 2012-11-05 2012-11-05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081B1 true KR101301081B1 (ko) 2013-09-03

Family

ID=4945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480A KR101301081B1 (ko) 2012-11-05 2012-11-05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8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088B1 (ko) 2013-11-20 2014-06-11 삼호코넨(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789249B1 (ko) 2017-05-17 2017-10-23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방음벽 기초 구조물 접합구조
CN107761759A (zh) * 2017-12-04 2018-03-06 建华建材(安徽)有限公司 一种l型混凝土挡墙
KR101828341B1 (ko) 2016-03-02 2018-03-29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판형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067255A (zh) * 2019-06-06 2019-07-30 上海智平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超薄带肋止水帷幕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18767B1 (ko) * 2018-11-20 2019-11-04 장명희 현장 타설 병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20200124373A (ko) 2019-04-23 2020-11-0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KR102187673B1 (ko) * 2020-07-29 2020-12-07 지호이엔씨 주식회사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KR20220027375A (ko) 2020-08-26 2022-03-0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적층형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220027373A (ko) 2020-08-26 2022-03-0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다층중공형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220081670A (ko) 2020-12-09 2022-06-16 (주)미래구조엔지니어링 비내력 콘크리트 벽의 내진슬릿 시공구조
KR102423158B1 (ko) * 2021-03-31 2022-07-20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H형 프리캐스트 단위벽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458B1 (ko) 1998-05-26 2001-02-01 박병무 조립식 암거
JP3098560U (ja) * 2003-06-13 2004-03-04 遠藤 隆昭 プレキャスト組立暗渠ブロック
JP2005002689A (ja) 2003-06-13 2005-01-06 Takaaki Endo プレキャスト組立暗渠ブロック工法
KR100892137B1 (ko) 2008-06-23 2009-04-08 (주)비엔텍아이엔씨 보강이 가능한 횡방향 피에스씨 빔을 이용한 라멘식 지하차도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458B1 (ko) 1998-05-26 2001-02-01 박병무 조립식 암거
JP3098560U (ja) * 2003-06-13 2004-03-04 遠藤 隆昭 プレキャスト組立暗渠ブロック
JP2005002689A (ja) 2003-06-13 2005-01-06 Takaaki Endo プレキャスト組立暗渠ブロック工法
KR100892137B1 (ko) 2008-06-23 2009-04-08 (주)비엔텍아이엔씨 보강이 가능한 횡방향 피에스씨 빔을 이용한 라멘식 지하차도 시공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088B1 (ko) 2013-11-20 2014-06-11 삼호코넨(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828341B1 (ko) 2016-03-02 2018-03-29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판형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89249B1 (ko) 2017-05-17 2017-10-23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방음벽 기초 구조물 접합구조
CN107761759A (zh) * 2017-12-04 2018-03-06 建华建材(安徽)有限公司 一种l型混凝土挡墙
CN107761759B (zh) * 2017-12-04 2024-04-26 建华建材(安徽)有限公司 一种l型混凝土挡墙
KR102018767B1 (ko) * 2018-11-20 2019-11-04 장명희 현장 타설 병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20200124373A (ko) 2019-04-23 2020-11-0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CN110067255A (zh) * 2019-06-06 2019-07-30 上海智平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超薄带肋止水帷幕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87673B1 (ko) * 2020-07-29 2020-12-07 지호이엔씨 주식회사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KR20220027375A (ko) 2020-08-26 2022-03-0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적층형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220027373A (ko) 2020-08-26 2022-03-0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다층중공형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220081670A (ko) 2020-12-09 2022-06-16 (주)미래구조엔지니어링 비내력 콘크리트 벽의 내진슬릿 시공구조
KR102423158B1 (ko) * 2021-03-31 2022-07-20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H형 프리캐스트 단위벽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14081B1 (ko)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KR101379305B1 (ko)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KR101301079B1 (ko) 박스구조물 시공방법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JP5372289B1 (ja) 境界壁構造物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KR101289155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
JP2004232328A (ja) 半プレキャスト式アーチカルバート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31238B1 (ko) 부벽이 구비된 구조물 시공방법
JP2020197015A (ja) 基礎の構築方法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101927B1 (ko) 일부분을 pc화한 지하외벽 시공방법
KR101054718B1 (ko) 부벽과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KR20090043625A (ko) 변단면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159097B1 (ko) 종방향으로 연속화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교대 및 그 시공방법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40110526A (ko) 지하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에 사용되는 고정커플러와 이를 이용한 매입슬래브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