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235B1 -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235B1
KR101013235B1 KR1020097021174A KR20097021174A KR101013235B1 KR 101013235 B1 KR101013235 B1 KR 101013235B1 KR 1020097021174 A KR1020097021174 A KR 1020097021174A KR 20097021174 A KR20097021174 A KR 20097021174A KR 101013235 B1 KR101013235 B1 KR 10101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
blocks
corner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사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콘크리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7979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132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콘크리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filed Critical 아사히 콘크리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702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우수저류조(雨水貯溜槽)(C)의 제조방법을 기둥(2) 사이 및 측벽(1)과 기둥(2)과의 사이에 각각 대들보 블록(block)(31)을 가로로 걸친 다음에 그들 각 대들보 블록(31)을 PC강재(鋼材)(P)에 의해 기둥(2) 및 측벽(1)에 각각 가(假)고정하며, 그리고 나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닿는 모든 대들보 블록(31)에 대해서 PC강선(鋼線)(ST)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한다. 그 후 PC강재인 PC강봉(P)를 최종 조임하여 대들보 블록(31)을 측벽(1) 및 기둥(2)과의 사이에 긴체(緊締)결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AINWATER STORAGE BATH}
본 발명은 호우시에 하천이나 하수도에 우수(雨水)가 대량으로 흘러들어 발생하는 침수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우수를 저류(貯溜)하는 경우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우수저류조(雨水貯溜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구집중에 대응하는 토지이용, 노면정비 등의 도시화의 신전(伸展)에 수반하여, 본래 대지가 보유하고 있던 보수(保水), 유수(遊水) 기능이 현저하게 손상되어, 그 결과 우수의 유출량이 증대해 하수도시설이나 방류하천의 유하(流下)능력을 넘어 침수피해의 발생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에 우수저류조를 배치하여 그 상면을 인공기반(人工基盤)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지하매설형의 우수저류조는 전체를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구축하거나,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는 프리캐스트 박스 컬버트(precast box culvert)를 병렬로 근접시켜 늘어놓거나, 간격을 두고 늘어놓고 사이에 슬래브(slab)를 얹는 것에 의해서 구축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한정된 부지 내에서 대량의 우수를 저류하기 위해서는 우수저류조 내의 벽을 적게 할 필요가 있다. 프리캐스트 박스 컬버트를 병렬로 근접시켜 늘어놓거나, 간격을 두고 늘어놓고 사이에 슬래브를 얹는 구조에서는 우수저류조 내에 연속한 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저류를 할 수 없고, 또 조(槽) 내에 벽이 생기면 우수와 함께 조 내에 유입해 바닥부에 모이는 토사를 제거할 때에 중기(重機) 등의 기계를 이용할 수 없어 인력으로 행해야 하는 등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구축하는 경우에는 기둥(柱)·대들보(梁) 구조를 채용하여 저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토사배출,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비교적 효율 좋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공기(工期)가 길어져 주변의 주민생활, 교통저해 등의 환경에의 부하가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기둥·대들보 구조를 채용하고, 외주벽이나 기둥, 대들보, 지붕판 슬래브를 복수 종류의 프리캐스트로 블록(block)화하는 것에 의해서 효율적인 저류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메인터넌스 작업을 할 수 있어 공기를 짧게 할 수 있는 우수저류조가 여러 가지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그렇지만, 이러한 블록은 단체(單體)의 철근콘크리트 구조 혹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로 되어, 조립에 있어서는 FD 그립(FD grip)이나 스플라이스 슬리브(splice sleave) 등에 의한 기계이음매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길이가 긴 대들보 전체에 적절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없어, 안전하고 합리적인 강도를 가지는 우수저류조를 구축하는 데에는 새로운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국특허 제254366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둥·대들보 구조를 채용하고, 외주벽이나 기둥, 대들보, 지붕판 슬래브를 복수 종류의 프리캐스트로 블록화한 우수저류조가 가지고 있는 전술한 과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의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블록을 접합하여 구성되는 측벽과, 이 측벽으로 둘러싸인 저수(貯水)공간 내에 열(列) 모양을 이루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柱)과, 이러한 기둥 사이 및 기둥과 측벽과의 사이에 가설(架設)되고 PC강재(鋼材)를 이용하여 상기 각 기둥의 대들보 지지면 또는 측벽의 대들보 지지면에 각각 접합되는 복수 개의 대들보 블록을 가지며 그들 대들보 블록을 길이방향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대들보(梁)와,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접하는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상기 저수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반(底盤)과, 상기 대들보 사이 및 상기 대들보와 측벽과의 사이에 가설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지붕판 슬래브(sla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우수저류조(雨水貯溜槽)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둥 사이 및 상기 측벽과 기둥과의 사이에 각각 상기 대들보 블록을 가로로 걸쳐지게 한 다음 그들 각 대들보 블록을 상기 PC강재에 의해 상기 기둥 및 상기 측벽에 각각 가(假)고정하며, 그리고 나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닿는 모든 대들보 블록에 대해서 PC강선(鋼線)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그 후 상기 PC강재를 최종 조임하여 상기 대들보 블록을 상기 측벽 및 상기 기둥과의 사이에 긴체결합(緊締結合, securing, 단단히 고정시키는 결합, 이하 '긴체결합'이라고 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것으로 하면, 기둥 및 측벽 위에 가고정된 복수의 대들보 블록끼리를 PC강선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긴체결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기둥 및 측벽에 구속되는 일 없이 상기 대들보 블록끼리를 긴체할 수 있어, 대들보 전체의 내부에 전장(全長)에 걸쳐 설계값에 대응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가 된 대들보 전체를 PC강재를 최종 조임하는 것에 의해 측벽 및 기둥에 확실히 결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안전하고 확실한 강도를 가진 우수저류조를 구축할 수 있다.
전체의 강도를 더욱 높임과 동시에 외부의 지하수가 저류공간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데는 상기 측벽을 상기 저수공간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코너벽 블록과, 상기 코너벽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벽 블록과, 소요 개소에서의 중간벽 블록 사이 또는 상기 중간벽 블록과 코너벽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대들보의 단부를 지지하는 기둥벽 블록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으로 하고, 상기 각 블록을 PC강재에 의해 연결한 다음 두 개의 코너벽 블록 및 이들 양(兩) 코너벽 블록 사이에 배치된 모든 블록에 또한 PC강선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해 두면 된다.
상기 기둥이 저반에 연속하는 기둥대(柱臺) 블록과, 이 기둥대 블록 위에 세워 설치되는 기둥 블록을 PC강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인 경우에는, 상기 PC강재를 이용하여 상기 기둥 블록을 기둥대 블록 위에 가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기둥 블록의 상부 상향면에 상기 대들보 블록을 PC강재를 이용하여 가고정해 두고, 그리고 나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닿는 모든 대들보 블록에 대해서 PC강선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며, 그 후 상기 PC강재를 최종 조임하여 상기 대들보 블록을 상기 기둥 블록에 긴체결합함과 동시에, 그 기둥 블록을 상기 기둥대 블록에 긴체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저류조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는 상기 측벽이 제1 코너벽 블록과 제2 코너벽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평벽부(平壁部)와, 이 제1 평벽부에 직각을 이루어 인접하며 상기 제1 코너벽 블록과 제3 코너벽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평벽부와, 이 제2 평벽부에 대면하며 상기 제2 코너벽 블록과 제4 코너벽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평벽부와, 이 제3 평벽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4 코너벽 블록과 상기 제3 코너벽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른 평벽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은 우수저류조의 바람직한 구축순서로서는 상기 제1 코너벽 블록을 기준위치에 얹혀 놓고, 그 코너벽 블록을 기점으로 하여 제1 평벽부 및 제2 평벽부를 각각 구축해 감과 동시에, 제1 평벽부를 완성한 후에 제3 평벽부의 구축을 진행시켜 제3 평벽부의 기둥벽 블록이 설치될 때마다 그 기둥벽 블록과, 당해 기둥벽 블록에 대면하는 제2 평벽부의 기둥벽 블록과의 사이에 복수의 기둥을 열 모양으로 세워 설치하고, 그들 기둥 위에 상기 대들보를 순차가설해 가며, 마지막으로 다른 평벽부를 완성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캐스트에 의해 블록화된 기둥·대들보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됨과 동시에 메인터넌스 작업의 기계화가 용이한 우수저류조를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게다가, 블록화된 대들보에 적정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안전하고 합리적인 강도를 가진 우수저류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우수저류조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 2는 동일한 실시형태에서의 측벽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동일한 실시형태에서의 측벽의 중간벽 블록끼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동일한 실시형태에서의 기둥, 대들보, 지붕판 슬래브 및 저반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동일한 실시형태에서의 기둥, 대들보 및 기둥벽 블록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동일한 실시형태에서의 지붕판 슬래브를 제외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
<부호의 설명>
1 … 측벽
1a … 제1 평벽부
1b … 제2 평벽부
1c … 제3 평벽부
1d … 제4 평벽부(다른 평륙부)
2 … 기둥
3 … 대들보
4 … 저반
5 … 지붕판 슬래브
11 … 코너벽 블록
11a … 제1 코너벽 블록
11b … 제2 코너벽 블록
11c … 제3 코너벽 블록
11d … 제4 코너벽 블록
12 … 중간벽 블록
13 … 기둥벽 블록
21 … 기둥대 블록
22 … 기둥 블록
22a … 대들보 지지면
31 … 대들보 블록
41 … 철근
111 … 다리부
112 … 연결박스
111 … PC강재 삽통(揷通)구멍
114 … 상부 상향면
115 … 스트랜드(strand) 삽통구멍
121 … 다리부
122 … 연결박스
123 … PC강재 삽통구멍
124 … 상부 상향면
125 … 스트랜드 삽통구멍
131 … 다리부
132 … 연결박스
133 … PC강재 삽통구멍
134 … 상부 상향면
135 … 스트랜드 삽통구멍
136 … 두꺼운 기둥부
136a … 대들보 지지면
137 … 절개부
311 … 스트랜드 삽통구멍
312 … 상부 상향면
C … 우수저류조
Nt … 너트
J … 커플링
P … PC강봉
R … 저수공간
ST … 스트랜드
W … 와셔(washer)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 1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수저류조(C)는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평벽부 및 다른 평벽부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4 평벽부(1a, 1b, 1c, 1d, 도 6 참조)를 가진 측벽(1)과, 이 측벽(1)으로 둘러싸인 저수공간(R) 내에 열 모양을 이루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2)과, 이들 기둥(2) 사이 및 기둥(2)과 측벽(1)과의 사이에 가설되고 PC강재인 PC강봉(P)를 이용하여 상기 각 기둥(2)의 대들보 지지면(22a) 또는 측벽(1)의 대들보 지지면(136a)에 각각 접합되는 복수 개의 대들보 블록(31)을 가지며 그들 대들보 블록(31)을 길이방향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대들보(3)와, 상기 측벽(1)의 하단부에 접하는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상기 저수공간(R)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반(4)과, 상기 대들보(3) 사이 및 상기 대들보(3)와 측벽(1)과의 사이에 가설되어 상기 저수공간(R)의 상면을 형성하는 지붕판 슬래브(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측벽(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수공간(R)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코너벽 블록(11)과, 상기 코너벽 블록(11)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벽 블록(12)과, 소요 개소에서의 중간벽 블록(12) 사이 또는 상기 중간벽 블록(12)과 코너벽 블록(11) 사이에 배치되어 대들보(3)의 단부를 지지하는 기둥벽 블록(13)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이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코너벽 블록(11a)과 제2 코너벽 블록(11b)과의 사이에 복수의 중간벽 블록(12)을 촘촘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평벽부(1a)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코너벽 블록(11a)과 제3 코너벽 블록(11c)과의 사이에 중간벽 블록(12)과 기둥벽 블록(13)을 촘촘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2 평벽부(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코너벽 블록(11b)과 제4 코너벽 블록(11d)과의 사이에 중간벽 블록(12)과 기둥벽 블록(13)을 촘촘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3 평벽부(1c)가 형성되어 있고, 제3 코너벽 블록(11c)과 제4 코너벽 블록(11d)과의 사이에 복수의 중간벽 블록(13)을 촘촘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4 평벽부(1d)가 형성되어 있다.
코너벽 블록(11)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것으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 모양을 이루고 있고, 하단부에 상기 저반(4)에 연속하는 다리부(111)를 가지고 있다. 코너벽 블록(11)의 내면 및 배면에는 연결박스(112)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단면에 상기 연결박스(112)와 연통하는 PC강재 삽통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코너벽 블록(11)의 상단 측에는 지붕판 슬래브(5)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상향면(114)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벽 블록(12)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것으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I'자 모양을 이루고 있고, 하단부에 상기 저반(4)에 연속하는 다리부(121)를 가지고 있다. 이 중간벽 블록(12)의 내면 및 배면에는 연결박스(122)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단면에 상기 연결박스(122)와 연통하는 PC강재 삽통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벽 블록(12)의 상단 측에는 지붕판 슬래브(5)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상향면(124)을 구비하고 있다.
기둥벽 블록(13)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것으로, 좌우방향 중앙에 두꺼운 기둥부(136)를 가지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 모양을 이루고 있고, 하단부에 상기 저반(4)에 연속하는 다리부(131)를 가짐과 동시에 상단부의 상기 두꺼운 기둥부(136)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들보(3)를 받아들이는 절개부(137)를 가지고 있다. 상기 두꺼운 기둥부(136)의 상면 측에는 대들보(3)를 부착하기 위한 대들보 지지면(136a)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둥벽 블록(13)의 내면 및 배면에는 연결박스(132)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단면에 상기 연결박스(132)를 통과하는 PC강재 삽통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둥벽 블록(13)의 상단 측에는 지붕판 슬래브(5)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상향면(134)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코너벽 블록(11), 중간벽 블록(12) 및 기둥벽 블록(13)의 PC강재 삽통구멍(113, 123, 133)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는 후술하는 PC강선인 스트랜드(strand)(ST)를 삽통시키기 위한 스트랜드 삽통구멍(115, 125, 135)이 서로 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둥(2)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것으로, 저반(4)에 연속하는 기둥대 블록(21)과, 이 기둥대 블록(21) 위에 세워 설치되는 기둥 블록(22)을 PC강재인 언본디드(unbonded) PC강봉(P)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기둥 블록(22)의 상단에는 대들보(3)를 지지하기 위한 대들보 지지면(22a)을 구비하고 있다.
대들보(3)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것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의 기둥벽 블록(13)과 당해 측벽(1)에 인접하는 기둥(2)과의 사이에 가설되는 양단의 대들보 블록(31a)과, 서로 인접하는 기둥(2) 사이에 가설되는 복수 개의 중간의 대들보 블록(31b)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대들보 블록(31)의 단부끼리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가로방향)으로 배치한 PC강재인 PC강봉(P)(가로방향의 PC강봉)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또, 각 대들보 블록(31)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배치한 PC강재인 PC강봉(P)(세로방향의 PC강봉)을 이용하여 기둥벽 블록(13) 및 기둥(2)에 각각 연결된다. 각 대들보 블록(31)에는 후술하는 PC강선인 스트랜드(ST)를 삽통시키기 위한 스트랜드 삽통구멍(311, 도 1 참조)이 서로 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대들보 블록(31)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지붕판 슬래브(5)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상향면(312)이 형성되어 있다.
저반(4)은 측벽(1)을 구성하는 코너벽 블록(11), 중간벽 블록(12) 및 기둥벽 블록(13)의 다리부(111, 121, 131)와 기둥(2)의 기둥대 블록(2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철근(41)을 배치한 다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지붕판 슬래브(5)는 평판 모양을 이루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의 것으로 측벽(1)의 상부 상향면(114, 124, 134)과 대들보(3)의 상부 상향면(312)에 얹혀 놓여지는 것으로 상기 대들보(3)와 협동하여 저수공간(R)의 상면을 덮어 숨기도록 부설(敷設)되는 것이다. 대들보(3)를 통하여 인접하는 지붕판 슬래브(5)끼리는, 도 4에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들보(3)를 관통하는 PC강봉(P)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PC강재를 이용한 연결 및 긴체결합은 와셔(W)를 장착한 다음에 너트(Nt)를 나합(螺合)하는 등의 통상의 방법이 이용된다. 또, PC강봉(P)끼리의 연결은 연결부재인 커플링(J)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행해진다.
다음으로, 이 우수저류조(C)를 그 제조방법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공할 때에는, 우선, 제1 코너벽 블록(11a)을 임의로 정해지는 기준위치에 얹혀 놓고, 그 코너벽 블록(11a)을 기점으로 하여 제1 평벽부(1a) 및 제2 평벽부(1b)를 각각 구축해 간다. 즉, 제1 코너벽 블록(11a)의 한쪽의 단면에 도시하지 않은 씰(seal)재를 통하여 중간벽 블록(12)을 인접시키고, 그들 양(兩) 블록(11, 12)을 상기 PC강재 삽통구멍(113, 123)에 삽통시킨 PC강재인 PC강봉(P)에 의해 긴체결합한다.
다음으로, 중간벽 블록(12)의 개방된 단면에 다음의 중간벽 블록(12)을 인접시키고, 그들 양 중간벽 블록(12, 12)을 상기 PC강재 삽통구멍(123, 123)에 삽통시킨 PC강재인 PC강봉(P)에 의해 긴체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필요 매수의 중간벽 블록(12)을 촘촘하게 결합하고, 마지막 중간벽 블록(12)의 바깥쪽 단면에 제2 코너벽 블록(11b)을 동일하게 하여 긴체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1 평벽부(1a)를 구축한다.
이 상태에서, 제1 평벽부(1a)를 구성하는 모든 코너벽 블록(11) 및 중간벽 블록(12)의 스트랜드 삽통구멍(115, 125)이 연속하게 된다. 이 스트랜드 삽통구먼(115, 125)에 PC강선인 스트랜드(ST)를 삽통시켜 긴체시키는 것에 의해 우수저류조(C)의 한 변을 형성하는 제1 평벽부(1a) 전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한편, 제2 평벽부(1b)에 대해서는 제1 코너벽 블록(11a)의 다른 쪽의 단면에 도시하지 않은 씰재를 통하여 중간벽 블록(12)을 인접시키고, 그들 양 블록(11a, 12)을 상기 PC강재 삽통구멍(113, 123)에 삽통시킨 PC강재인 PC강봉(P)에 의해 긴체결합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벽 블록(12)의 개방된 단면에 다음의 중간벽 블록(12)을 인접시키고, 그들 양 중간벽 블록(12, 12)을 상기 PC강재 삽통구멍(123)에 삽통시킨 PC강재인 PC강봉(P)에 의해 긴체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필요 매수, 예를 들면 2매의 중간벽 블록(12)을 촘촘하게 결합하고, 그 후, 선단의 중간벽 블록(12)의 바깥쪽 단면에 기둥벽 블록(13)을 인접시켜 그들 중간벽 블록(12) 및 기둥벽 블록(13)을 상기 PC강재 삽통구멍(123, 133, 도 2 참조)에 삽통시킨 PC강재인 PC강봉에 의해 긴체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이 기둥벽 블록(13)의 바깥쪽 단면에 중간벽 블록(12)을 인접시키고, 그들 기둥벽 블록(13) 및 중간벽 블록(12)을 상기 PC강재 삽통구멍(133, 132)에 삽통시킨 PC강재인 PC강봉(P)에 의해 긴체결합한다. 이상과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일정한 피치로 기둥벽 블록(13)이 소정 개소에 존재하는 제2 평벽부(1b)의 구축을 진행시켜 간다.
그리고, 마지막 중간벽 블록(12)의 바깥쪽 단면에 제3 코너벽 블록(11c)을 동일한 방법으로 긴체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2 평벽부(1b)를 구축한다. 이 상태에서, 제2 평벽부(1b)를 구성하는 모든 코너벽 블록(11), 중간벽 블록(12) 및 기둥벽 블록(13)의 스트랜드 삽통구멍(115, 125, 135)이 연속하게 된다. 이 스트랜드 삽통 구멍(115, 125, 135)에 PC강선인 스트랜드(ST)를 삽통시켜 긴체시키는 것에 의해 우수저류조(C)의 한 변을 형성하는 제2 평벽부(1b) 전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제2 평벽부(1b)의 구축 후 또는 구축과 평행하여 제3 평벽부(1c)를 시공한다. 이하, 당해 시공에 대해 설명해 간다.
제3 평벽부(1c)에 대해서는, 제2 코너벽 블록(11b)의 다른 쪽의 단면에 도시하지 않은 씰재를 통하여 중간벽 블록(12)을 인접시키고, 그들 양 블록(12, 12)을 상기 PC강재 삽통구멍(123, 123)에 삽통시킨 PC강재인 PC강봉(P)에 의해 긴체결합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2 평벽부(1b)와 같은 순서에 의해 일정한 피치로 기둥벽 블록(13)이 소정 개소에 존재하는 제3 평벽부(1c)를 구축한다.
그 때, 제3 평벽부(1c)의 기둥벽 블록(13)이 설치될 때마다 그 기둥벽 블록(13)과 대향하는 제2 평벽부(1b)의 기둥벽 블록(13)과의 사이에 대들보(3)를 시공한다.
즉, 제3 평벽부(1c)의 기둥벽 블록(13)이 설치된 시점에서, 그 기둥벽 블록(13)과, 당해 기둥벽 블록(13)에 대면하는 제2 평벽부(1b)의 기둥벽 블록(13)과의 사이에 복수의 기둥(2)을 열 모양으로 세워 설치하고, 그들 기둥(2) 위에 상기 대들보(3)를 가설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둥대 블럭(21) 위에 기둥 블록(22)을 얹혀 놓고 언본디드 PC강봉(P)에 의해 양 블록(21, 22)를 미소한 상대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가고정한 상태로 기둥(2)을 세워 설치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복수의 기둥(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측벽(1)의 기둥벽 블록(13)과 당해 측벽(1)에 인접하는 기둥(2)과의 사이에 양단의 대들보 블록(31a)을 가설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기둥(2) 사이에 중간의 대들보 블록(31b)을 각각 가설한다.
그리고, 양단의 대들보 블록(31a)의 바깥쪽 단부를 기둥벽 블록(13)의 대들보 지지면(136a)에 세로방향의 PC강봉(P)을 이용하여 가고정함과 동시에 양단의 대들보 블록(31a)의 안쪽 단부 및 중간의 대들보 블록(31b)의 양단부를 각각 기둥(2)의 대들보 지지면(22a)에 세로방향의 PC강봉(P)을 이용하여 가고정한다. 이 상태로, 각 대들보 블록(31)의 스트랜드 삽통구멍(311)이 연속하게 된다. 이 연속한 스트랜드 삽통구멍(311)에 스트랜드(ST)를 관통시키고, 이 스트랜드(ST)에 의해 대들보(3) 전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1개의 대들보(3) 전체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가 된 후에, 상기 세로방향의 PC강봉(P)을 최종 조임하여 이 대들보(3)를 측벽(1) 및 기둥(2)에 강고하게 긴체결합함과 동시에 프리스트레스를 주고, 가로방향의 PC강봉(P)도 최종 조임하여 대들보 블록(31) 사이의 결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기둥(2) 및 대들보(3)의 시공작업을 제3 평벽부(1c)의 기둥벽 블록(13)이 설치될 때마다 실시하고, 복수 개의 대들보(3)를 측벽(1)의 제2 평벽부(1b)와 제3 평벽부(1c) 사이에 가설한다. 그리고, 제3 평벽부(1c)의 마지막 중간벽 블록(12)의 바깥쪽 단면에 제4 코너벽 블록(11d)을 접합하고, 모든 코너벽 블록(11), 중간벽 블록(12) 및 기둥벽 블록(13)에 스트랜드(ST)를 이용하여 우수저류조(C)의 한 변을 형성하는 제3 평벽부(1c) 전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그리고 나서, 다른 평벽부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4 평벽부(1d)를 상술의 제1 평벽부(1a)에 준(準)한 공법에 의해 구축한다.
이상의 구축작업이 끝난 후에 측벽(1)의 내측에 철근(41)을 배치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저반(4)을 구축한다.
그 후, 측벽(1)과 대들보(3)와의 사이에 지붕판 슬래브(5)를 틈새 없이 부설하는 것에 의해 우수저류조(C)를 완성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프리캐스트에 의해 블록화된 기둥·대들보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됨과 동시에 메인터넌스 작업의 기계화가 용이한 우수저류조를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복수의 대들보 블록을 길이방향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1개의 대들보 전체나, 측벽의 한 변을 형성하는 각 평벽부 전체, 또한 세로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형성되는 대들보의 단부와 기둥 또는 대들보의 단부와 기둥벽 블록에 각각 적정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안전하고 합리적인 강도를 가진 우수저류조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 및 측벽 위에 가고정된 복수의 대들보 블록끼리를 PC강선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긴체결합함과 동시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기둥 및 측벽에 구속되는 일 없이 상기 대들보 블록끼리를 긴체할 수 있고, 대들보 전체의 내부에 전장에 걸쳐 설계값에 대응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진 대들보 전체를 PC강봉을 최종 조임함과 동시에 세로방향 전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측벽 및 기둥에 확실히 결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안전하고 확실한 강도를 가진 우수저류조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코너벽 블록을 기준위치로 하고, 우수저류조를 구축하도록 하고 있으며, 시공에서의 정확성·계획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기능성 및 안전성이 뛰어난 우수저류조를 구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에 상세히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수저류조는 지하매설형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일부 내지 전부가 지표에 표출한 것이라도 된다.
측벽은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네 모서리가 대략 직각인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시공하는 현장의 여러 가지 사정 등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의 형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에는, 예를 들면, 평면에 보아 사다리꼴을 이루는 것이나 다각형상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이외에도 평면에서 보아 일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거나 안쪽으로 오목하게 하거나 하는 모양 등, 여러 가지의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환언하면, 다른 평벽부는 본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의 형상 및 구조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 코너벽 블록은 평면에 보아 'L'자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중간벽 블록 및 기둥벽 블록의 형상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형상인 것을 적용할 수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대들보지지용 기둥은 사각단면인 것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원형단면이나 다각형단면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대들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각 블록끼리를 긴체결합할 때에, PC강재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모양을 고려할 수 있으며, 너트의 체결만에 의한 경우나, 여러 가지의 잭(jack) 등을 이용하는 경우, 그 외 여러 가지의 모양을 들 수 있다.
PC강재 삽통구멍이나 스트랜드 삽통구멍을 형성하는 개소, 환언하면, PC강봉이나 스트랜드 등의 PC강재를 배치하는 개소는 완성품의 크기나 밸런스 등의 여러 가지의 조건에 대응하여 적의설정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그 외, 각부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을 채용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의해 블록화된 기둥·대들보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됨과 동시에 메인터넌스 작업의 기계화가 용이한 우수저류조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복수의 대들보 블록을 길이방향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한 개의 대들보 전체나, 측벽의 한 변을 형성하는 각 평벽부의 전체에 대해서 적정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하고 합리적인 강도를 가진 우수저류조 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4)

  1. 복수의 블록(block)을 접합하여 구성되는 측벽(側壁)과, 이 측벽으로 둘러싸인 저수(貯水)공간 내에 열(列) 모양을 이루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柱)과, 이들 기둥 사이 및 기둥과 측벽과의 사이에 가설(架設)되고, PC강재(鋼材)를 이용하여 상기 각 기둥의 대들보 지지면 또는 측벽의 대들보 지지면에 각각 접합되는 복수 개의 대들보 블록을 가지며, 그들 대들보 블록을 길이방향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대들보와,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접하는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상기 저수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반(底盤)과, 상기 대들보 사이 및 상기 대들보와 측벽과의 사이에 가설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지붕판 슬래브(sla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우수저류조(雨水貯溜槽)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저수공간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제1 내지 제4 코너벽 블록 중 양 코너벽 블록인 제1 코너벽 블록과 제2 코너벽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평벽부(平壁部)와, 상기 제1 평벽부에 인접하고 양 코너벽 블록인 상기 제1 코너벽 블록과 제3 코너벽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평벽부와, 상기 제2 평벽부에 대면하고 양 코너벽 블록인 상기 제2 코너벽 블록과 제4 코너벽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평벽부와, 상기 제3 평벽부에 인접하고 양 코너벽 블록인 상기 제4 코너벽 블록과 상기 제3 코너벽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4 평벽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우류저류조는 상기 제1 코너벽 블록을 기준위치에 얹혀 놓고, 상기 제1 코너벽 블록을 기점으로 하여 제1 평벽부를 구축한 후, 제2 평벽부 구축 후 또는 구축과 동시에 제3 평벽부의 구축을 진행시키면서 제3 평벽부의 기둥벽 블록이 설치될 때마다 제3 평벽부의 기둥벽 블록과, 제3 평벽부의 기둥벽 블록에 대면하는 제2 평벽부의 기둥벽 블록과의 사이에 복수의 기둥을 열 모양으로 세워 설치하고, 그들 기둥 위에 상기 대들보를 순차가설하여 행한 후, 마지막에 제4 평벽부를 구축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평벽부 각각의 구축은, 각각의 양 코너벽 블록과, 상기 양 코너벽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벽 블록과, 소요 개소에서의 상기 중간벽 블록 사이 또는 상기 중간벽 블록과 상기 양 코너벽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들보의 단부를 지지하는 기둥벽 블록을 PC강재에 의해 연결한 다음, 상기 양 코너벽 블록, 상기 중간벽 블록 및 상기 기둥벽 블록을 연속하는 삽통구멍에 PC강선을 삽통시켜 긴체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평벽부 각각에 전체적으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 및 상기 대들보의 설치 및 가설은, 저반에 연속하는 기둥대(柱臺) 블록과, 이 기둥대 블록 위에 세워 설치되는 기둥 블록을 PC강재를 이용하여 가고정하고, 상기 기둥 사이 및 상기 측벽과 기둥과의 사이에 각각 상기 대들보 블록을 가로로 걸친 다음에 그들 각 대들보 블록을 상기 PC강재에 의해 상기 기둥 및 상기 측벽에 각각 가고정한 후,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닿는 모든 대들보 블록에 대해서 PC강선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며, 그 후 상기 PC강재를 최종 조임하여 상기 대들보 블록을 상기 기둥 블록에 긴체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측벽 및 상기 기둥 사이에 긴체결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7021174A 2009-08-26 2009-08-26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KR10101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21174A KR101013235B1 (ko) 2009-08-26 2009-08-26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21174A KR101013235B1 (ko) 2009-08-26 2009-08-26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235B1 true KR101013235B1 (ko) 2011-02-08

Family

ID=437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174A KR101013235B1 (ko) 2009-08-26 2009-08-26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2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036B1 (ko) 2012-03-08 2012-11-23 최승선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219459B1 (ko) * 2012-07-10 2013-01-11 김정태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101248173B1 (ko) * 2012-10-30 2013-04-02 (주) 효창이엔지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바닥­기둥­보 결합구조
KR101272001B1 (ko) 2012-05-08 2013-06-05 우동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KR101385556B1 (ko) * 2012-05-21 2014-04-15 김현욱 Pc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그 조립공법
KR20160006010A (ko) 2014-07-08 2016-01-18 계룡환경주식회사 Pc부재 조립식 강화 저류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870A (ja) * 1994-03-11 1995-10-03 Asahi Concrete Works Co Ltd 雨水貯溜槽
JP2001090168A (ja) * 1999-09-20 2001-04-03 Asahi Concrete Works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圧着工法
KR100952605B1 (ko) 2009-09-09 2010-04-16 김병기 우수 저류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870A (ja) * 1994-03-11 1995-10-03 Asahi Concrete Works Co Ltd 雨水貯溜槽
JP2001090168A (ja) * 1999-09-20 2001-04-03 Asahi Concrete Works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圧着工法
KR100952605B1 (ko) 2009-09-09 2010-04-16 김병기 우수 저류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036B1 (ko) 2012-03-08 2012-11-23 최승선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272001B1 (ko) 2012-05-08 2013-06-05 우동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KR101385556B1 (ko) * 2012-05-21 2014-04-15 김현욱 Pc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그 조립공법
KR101219459B1 (ko) * 2012-07-10 2013-01-11 김정태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101248173B1 (ko) * 2012-10-30 2013-04-02 (주) 효창이엔지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바닥­기둥­보 결합구조
KR20160006010A (ko) 2014-07-08 2016-01-18 계룡환경주식회사 Pc부재 조립식 강화 저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561B2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0549649B1 (ko)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교각 구조물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07144538U (zh) 一种地下结构顶板预留孔洞临时封堵结构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KR100924746B1 (ko) 다단계 긴장을 적용한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시공 방법
WO2012096639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122366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관개용수로 및 이 시공방법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20140026886A (ko) 횡방향 다경간 급속시공을 위한 편측 캔틸레버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구조물
JP3635004B2 (ja) 橋梁の片持式架設工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329443B1 (ko)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57180A (ko) 교량의 경량화된 코핑
KR101271290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204036B1 (ko)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CN214272076U (zh) 一种格构梁
KR200398769Y1 (ko) T형단면 조립식 아치터널
KR101641837B1 (ko) 교량 하부구조물의 단면 증설시 자중 경감을 위한 단면 형성 방법
KR101518433B1 (ko) 부재조립형 빗물 저류조
JP2021130910A (ja) 壁モジュールによる構造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27

Effective date: 201306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052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27

Effective date: 201306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7113;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30

Effective date: 2014020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711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30

Effective date: 2014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