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451B1 -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9451B1 KR101219451B1 KR1020100093972A KR20100093972A KR101219451B1 KR 101219451 B1 KR101219451 B1 KR 101219451B1 KR 1020100093972 A KR1020100093972 A KR 1020100093972A KR 20100093972 A KR20100093972 A KR 20100093972A KR 101219451 B1 KR101219451 B1 KR 1012194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ement
- casing
- concrete
- wall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039077 Cop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보강체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의 천공단계 및 보강체설치단계 평단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의 콘크리트작업단계 후 평단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평단면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의 천공단계 및 보강체설치단계 평단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의 채움재 채움단계 평단면도.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의 콘크리트작업단계 후 평단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체의 일부 평단면도.
도 10은 탑다운공법의 구성도.
도 11은 천공단계의 보조케이싱 설치단계 평면도.
도 12는 천공단계의 주케이싱 설치단계 평면도.
도 13은 주케이싱 일예의 사시도.
도 14는 보조케이싱 일예의 사시도.
도 15는 주케이싱 내부에 보조케이싱이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
도 16은 설치된 보조케이싱의 측부가 충전재에 의해 되메움된 상태의 평면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1차유닛벽체에 연속되는 2차유닛벽체 형성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7은 2차 유닛벽체의 형성을 위한 보조케이싱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2차 유닛벽체의 형성을 위한 보조케이싱, 주케이싱 설치 및 보강체설치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
도 19는 2차 유닛벽체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및 케이싱 제거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1차유닛벽체에 연속되는 2차유닛벽체 형성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20은 1차유닛벽체의 시공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
도 21은 1차유닛벽체 형성 후, 2차유닛벽체 천공단계 평면도.
도 22는 1차유닛벽체에 연속되는 2차유닛벽체의 시공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1차유닛벽체에 연속되는 2차유닛벽체 형성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서, 1차유닛벽체에 연속되는 2차유닛벽체의 시공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평면도.
30; 보강체 32; 접합부
100; 주케이싱 200; 보조케이싱
302; 임시부재 304; 채움재
Claims (16)
-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블록(20)과, 접합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32)가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블록(20)에 매립된 보강체(30)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체(30)의 접합부(32)는 접합홈(32A)이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블록(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접합홈(32A)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1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30)의 접합부(32)는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10).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30)는 H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10).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H빔의 보강체(30) 중 상호 평행한 한 쌍의 패널을 수평패널(34)이라하며 상기 한 쌍의 수평패널(34) 사이에 설치되는 패널을 수직패널(36)이라 할 때,
상기 보강체(30)의 접합부(32)는 상기 한 쌍의 수평패널(34)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10). - 삭제
- 청구항 1,2,4,5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구조물(10)을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으로 시공하기 위해,
상기 건축물의 경계부분을 따라 복수의 천공(H)을 상호 겹치도록 형성하며, 상기 천공(H)에 상기 천공(H)을 유지하기 위한 중공케이싱(100,200)을 설치하는 천공단계;
상기 보강체(30)의 접합부(32)가 상기 건축물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의 중공케이싱(100,200)에 상기 보강체(30)를 설치하며, 상기 보강체(30)와 상기 중공케이싱(100,200) 사이의 접합부 위치 부분을 채우는 임시부재(302)를 상기 보강체(30)와 함께 설치하거나, 상기 보강체(30) 설치 후 상기 보강체(30)와 상기 중공케이싱(100,200) 사이의 접합부 위치 부분을 채움재(304)로 메우는 보강체설치단계;
상기 중공케이싱(100,2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중공케이싱(100,200)을 제거하여, 상기 보강체(30)가 매립된 콘크리트블록(2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작업단계;
상기 콘크리트작업단계 후, 상기 임시부재(302), 채움재(304)를 제거하는 마무리작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30)의 접합부(32)는 접합홈(32A)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체설치단계시 상기 보강체(30)는 상기 접합홈(32A)이 탈착 가능한 마개(400)에 의해 덮어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임시부재(302)는 스티로폼, 기타 수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30)의 접합부(32)는 접합홈(32A)이 형성되며,
상기 임시부재(302)는 상기 보강체(30)의 접합부(32)의 건축물 내측 끝단면과 상기 중공케이싱(100,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합홈(32A)을 복개하는 것을 특징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천공단계는
주케이싱(100)과의 접합을 위한 홈부(210)가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보조케이싱(200)을 지반을 천공(H)하여 설치하되, 그 복수의 보조케이싱(200) 사이에 상기 주케이싱(100)이 설치될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보조케이싱 설치단계와;
상기 보조케이싱 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기 복수의 보조케이싱(200) 사이의 지반을 천공(H)하여, 상기 복수의 주케이싱(100)을 설치하는 주케이싱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케이싱(100)의 단면은 원형 구조이고, 상기 보조케이싱(200)의 홈부(210)의 단면은 만곡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싱 설치단계는
상기 주케이싱(100)을 임시로 지반에 설치하는 주케이싱 임시설치단계와;
상기 주케이싱(100) 내부에 상기 보조케이싱(20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보조케이싱 삽입단계와;
상기 보조케이싱 삽입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기 보조케이싱(200)을 지반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주케이싱(100)을 임시로 제거하는 주케이싱 임시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싱 삽입단계는
상기 주케이싱(100)의 내면과 상기 보조케이싱(200) 외면 사이에 스페이서(220)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보조케이싱(200)을 상기 주케이싱(100)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싱 삽입단계는
상기 보조케이싱 삽입단계 이후, 상기 주케이싱(100)과 상기 보조케이싱(200)의 사이를 충전재(230)의 되메움에 의해 충전하는 보조케이싱 측부 충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 시공방법. - 청구항 1,2,4,5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구조물(10)을 시공하기 위해,
지반에 천공(H)을 형성하며, 상기 천공(H)에 상기 천공(H)을 유지하기 위한 중공케이싱(100,200)을 설치하는 천공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중공케이싱(100,200)에 상기 보강체(30)를 설치하며, 상기 보강체(30)와 상기 중공케이싱(100,200) 사이의 접합부 위치 부분에 개재되는 임시부재(302)를 상기 보강체(30)와 함께 설치하거나, 상기 보강체(30) 설치 후 상기 보강체(30)와 상기 중공케이싱(100,200) 사이의 접합부 위치 부분을 채움재로 메우는 보강체설치단계;
상기 중공케이싱(100,2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중공케이싱(100,200)을 제거하여, 상기 보강체(30)가 매립된 콘크리트블록(2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작업단계;
상기 콘크리트작업단계 후, 상기 임시부재(302), 채움재(30)를 제거하는 마무리작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10)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3972A KR101219451B1 (ko) | 2010-09-28 | 2010-09-28 |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3972A KR101219451B1 (ko) | 2010-09-28 | 2010-09-28 |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2368A KR20120032368A (ko) | 2012-04-05 |
KR101219451B1 true KR101219451B1 (ko) | 2013-01-11 |
Family
ID=4613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3972A KR101219451B1 (ko) | 2010-09-28 | 2010-09-28 |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945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75013A (zh) * | 2015-11-13 | 2016-01-27 | 中国建筑设计院有限公司 | 一种核心筒逆作叠合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
KR102535172B1 (ko) | 2022-06-07 | 2023-05-26 | 주식회사 케이에스기초건설 | 흙막이공사용 구조물에 설치가능한 일체형 스프링장치를 이용한 멀티차수공법 및 멀티차수파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247B1 (ko) * | 2001-06-09 | 2004-11-09 | 한 성 육 | 배노트공법과 고압 그라우팅공법에 의한 지중연속벽 및 그시공법 |
KR100633013B1 (ko) * | 2005-05-06 | 2006-10-12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커넥터 볼트 조립식 흙막이 벽체용 엄지말뚝, 이를 이용한흙막이 벽체와 콘크리트 지하 벽체의 연결구조 및 그연결시공방법 |
KR100752397B1 (ko) * | 2006-02-13 | 2007-08-28 |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케이싱 |
-
2010
- 2010-09-28 KR KR1020100093972A patent/KR1012194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247B1 (ko) * | 2001-06-09 | 2004-11-09 | 한 성 육 | 배노트공법과 고압 그라우팅공법에 의한 지중연속벽 및 그시공법 |
KR100633013B1 (ko) * | 2005-05-06 | 2006-10-12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커넥터 볼트 조립식 흙막이 벽체용 엄지말뚝, 이를 이용한흙막이 벽체와 콘크리트 지하 벽체의 연결구조 및 그연결시공방법 |
KR100752397B1 (ko) * | 2006-02-13 | 2007-08-28 |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케이싱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75013A (zh) * | 2015-11-13 | 2016-01-27 | 中国建筑设计院有限公司 | 一种核心筒逆作叠合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
KR102535172B1 (ko) | 2022-06-07 | 2023-05-26 | 주식회사 케이에스기초건설 | 흙막이공사용 구조물에 설치가능한 일체형 스프링장치를 이용한 멀티차수공법 및 멀티차수파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2368A (ko) | 2012-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4974B1 (ko) |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153902B1 (ko) |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 |
KR101331261B1 (ko) |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009077B1 (ko) | 차수형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 |
KR101344063B1 (ko) |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 |
KR20140055639A (ko) |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 |
KR100752397B1 (ko) |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케이싱 | |
KR100862977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 |
JP5619646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 |
JP2001241053A (ja) | 地下構造物施工法 | |
JP4881555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1324231B1 (ko) |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6186267B2 (ja) | 地下トンネルの構築方法 | |
JP5579635B2 (ja) |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JP5634931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1296857B1 (ko) |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5764245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 |
KR100849226B1 (ko) | ClP에 의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방법 | |
KR102021496B1 (ko) |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 |
KR101219451B1 (ko) |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 |
JP5619647B2 (ja) |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JP5875651B2 (ja) |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0912574B1 (ko) | 조립식 버팀보를 이용한 흙막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터파기 방법 | |
KR101153314B1 (ko) |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 |
KR101052641B1 (ko) | 본 벽체 형성에 활용되는 흙막이 벽체용 철골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본 벽체 형성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