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745A -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745A
KR20090043745A KR1020070109472A KR20070109472A KR20090043745A KR 20090043745 A KR20090043745 A KR 20090043745A KR 1020070109472 A KR1020070109472 A KR 1020070109472A KR 20070109472 A KR20070109472 A KR 20070109472A KR 20090043745 A KR20090043745 A KR 20090043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reinforced
coupling
bottom por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7010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745A/ko
Publication of KR2009004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측방으로 수직부가 상방 연장형성된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 상단에는 수평한 결합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쟁반형 집수부; 상기 결합부의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집수부의 측벽을 형성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는 집수정에 가해지는 외부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휨 방지 리브가 형성된 집수부를 구비하고, 이 집수부에 철근 및 형틀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수정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집수정, 보강리브, 철근, 끼움부재

Description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Strength Reinforced Sump}
본 발명은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강도를 보강한 집수정을 제작하여 이 집수정을 콘크리트층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형틀 결합 및 철근 구속이 가능한 집수정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집수정은 건물지하층 하부의 지하수 또는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건축되는 거의 모든 건물에는 집수정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집수정은 공사가 진행 중일 경우에는 공사현장의 빗물과 지하수를 모아 양수를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공사가 끝난 후에는 모여진 물을 펌프로 배출하기 전까지 수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집수정은 건물의 최하층 슬래브보다 낮아야 하므로, 집수정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터파기 및 집수정 구조 형성을 위한 철근콘크리트 결합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별도의 공기가 소요된다. 아울러 물로부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 해 일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소요되는 것보다 더 큰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종래의 집수정은 바닥면의 일부로서 지내력을 만족시켜야 하는 구조적인 목적과 지하수 또는 빗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정이라는 기능상의 목적을 만족해야 하므로, 설계시에 집수정을 바닥콘크리트층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집수정은 기능상의 목적을 달성하는 일과 시공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운 점이 있는데, 집수정이 설치되는 부분은 가장 깊은 위치가 되어야 하다 보니, 이 부분에 지하수가 많이 모이게 되어 이 부분에서 철근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운 난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 품질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수정과 연결되기 위한 기타 복잡한 구성들이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가 어렵고, 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 사후 보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일체형 집수정이 안출되었다. 이러한 금속재 집수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굴토마감면을 터파기하고, 그 안쪽에 묻히는 구조물의 형태를 갖고 있다.
종래의 금속재 집수정은 일종의 탱크 형태로서 지하 굴토마감면에 묻히게 되며, 그 상부는 버림콘크리트, 바닥콘크리트 및 누름콘크리트층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금속재 집수정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다량의 콘크리트를 사용하거나, 정밀한 터파기 및 설계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같은 금속재 집수정에는 집수정 내부에 휨 방지를 위한 수단이 없어서 집수정이 외부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변형이 되거나 파손이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을 형틀 및 철근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집수정 내부에 휨 발생을 방지하도록 집수정 내부의 강도를 보강한 집수정을 제공하며, 또한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을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형틀 및 철근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측방으로 수직부가 상방 연장형성된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 상단에는 수평한 결합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쟁반형 집수부; 상기 결합부의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집수부의 측벽을 형성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 하측 또는 상기 수직부 측방에는 돌출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닥부는 이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닥부는 상바닥부와 하바닥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닥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상바닥부의 하측과 상기 하닥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 사이 내측에는 돌출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 사이의 빈 공간에는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지지봉들의 사이사이에 끼워지는 거푸집용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상방이 개 방되도록 바닥부 및 측벽부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부는 상,하단부가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된 다수의 판재가 플랜지를 통해 상호 맞대음 조립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됫박형 집수부; 및 상기 플랜지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 내부를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 하측 또는 상기 측벽부의 측방에는 돌출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닥부는 이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닥부는 상바닥부와 하바닥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상바닥부의 하측과 상기 하바닥부 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 사이의 내측에는 돌출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 사이의 빈 공간에는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 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상방이 개방되도록 바닥부 및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 외측으로 외부둘레를 따라 끼움부재가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외측끼움형 집수부; 상기 끼움부재의 상측에 안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상기 끼움부재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 내부를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부재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틀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부 안쪽으로 상기 형틀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상방이 개방되도록 바닥부 및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 상단에는 수평한 결합부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내측으로 내부둘레를 따라 끼움부재가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내측끼움형 집수부; 상기 끼움부재의 상측에 안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 내부를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부재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부 안쪽으로 상기 형틀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형틀은 상기 집수부와 함께 콘크리트층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 경화시 추후에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집수부 내부에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집수부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집수부 하측 또는 측방에 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집수부의 내측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가 덧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집수부는 지수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집수부는 도금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는 집수정에 가해지는 외부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휨 방지 리브가 형성된 집수부를 구비하고, 이 집수부에 철근 및 형틀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수정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는 집수정 내부에 펌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펌프설치공간이 제공됨으로써, 펌프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는 집수정의 형상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원통형 집수정에 비해 저수용량이 보다 더 큰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쟁반형 집수부(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쟁반형 집수부(1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쟁반형 집수부(10)는 바닥부(11)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11) 상부로는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되, 바닥 상부에서부터 약 20cm 내외의 높이를 갖는 수직부(12)가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연장형성된 차수키 역할을 하는 결합부(14)를 구비하고, 집수부(10) 내부에는 바닥부(11) 상측으로 내부둘레를 따라 전단보강을 증대시키는 보강리브(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10) 하측 또는 측방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15)이 형성되고,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바닥부(11)의 어느 한 일측에는 펌프(200)가 설치된다. 이 펌프(200)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부(11)에는 펌프(200) 설치공간(16)이 따로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공간(16)에는 보강리브(13)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수부(10)의 전체 형상은 원통형에 비해 수용면적이 보다 큰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집수부(10)의 저수 용량을 크게 확보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10)의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집수부(10)의 내측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가 덧대어질 수 있으며, 집수부(10)의 부식을 방지하고 표면 경화 및 외관처리를 하기 위해서 집수부(10) 내, 외부에 지수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도금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 설명하지 않은 14a는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통공이며, 14b는 형틀과 연결하기 위한 볼트결합공이다.
도 3a,3b,3c는 도 1의 쟁반형 집수부(10)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3b,3c는 도 1의 쟁반형 집수부(10)를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형틀(20) 및 철근(10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이며, 도 3 모두가 쟁반형 집수부(1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14)를 통해 형틀(20)과 철근(100)이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집수부(10) 상단에 연장형성된 결합부(14)와 형틀(20)과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 또는 핀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형틀(20)의 하단부는 상기 결합부(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절곡되는 게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형틀(20)은 상기 집수부(10)와 함께 콘트리트층(3)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3) 경화시 추후에 제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4)와 철근(100)의 결합은 결합부(14)에 통공(14a: 도 2 참조)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14a)으로 철근(100)을 끼워넣어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철근(100)은 단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며, 이 절곡부가 상기 통공(14a)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집수부(10)는 철근(1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철근(100)의 절곡부를 따라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되므로, 집수부(10)의 설치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b와 같이 상기 집수부(10) 하측 또는 측방으로 보강부재(40)를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층(3) 경화시 상기 보강부재(40)가 결합력을 증대시켜 집수부를 콘크리트층(3) 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40)는 'T형', 'L형', 'I형' 등으로 형성된 돌출부재(40a)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40b)로 구성된다.
또한, 도 3c와 같이 집수부(10)의 바닥부를 이중으로 배치 구성함으로써, 집수부(10) 하방으로 지내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때, 집수부(10)의 이중 바닥부는 상바닥부(11)와 하바닥부(50)로 구성되며, 상바닥부(11)의 하측과 하바닥부(50)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52)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상바닥부(11)와 하바닥부(50) 사이의 빈 공간에 돌출부재(40a) 또는 결합부재(40b)를 결합시켜 이 빈 공간으로 시멘트혼합물(C)을 유입, 집수부(10) 하측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중 바닥부를 갖는 쟁반형 집수부(10)는 휨강성을 증대시키고 내력을 향상시켜 지하수의 높은 상향 수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52)는 상바닥부(11)와 하바닥부(50) 사이라면, 어디든지 위치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형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집수부(10) 상측에 결합되는 형틀이 콘크리트층(3)에 매립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는 거푸집으로 설치되는 경우, 거푸집 제거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형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부(10)의 결합부(14)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는 지지봉(32)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32) 사이사이에 거푸집용 판재(3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32)에는 상기 판재(34)가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상기 판재(34)를 끼워넣고, 콘크리트 경화시에는 판재(34)를 떼어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됫박형 집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됫박형 집수부(60)는 바닥부(61)와 상기 바닥부(61)의 상방으로 배치되는 측벽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바닥부(61)와 측벽부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바닥부(61) 측방으로 절곡된 측벽(62)을 상향 연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측벽부는 각각의 세그먼트로 분할 제작되도록 다수의 판재(6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판재(64)가 상호 맞대음 조립될 수 있도록 상,하단부에는 절곡된 플랜지(65)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측벽부의 높이는 약 0.6m~ 2m 이내로 형성되며, 조립이 간편하고 저중량으로 운반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집수부(60) 내부에는 바닥부(61) 상측으로 내부둘레를 따라 보강리브(63)가 형성되어 집수부(60) 내부의 전단보강을 증대시킨다.
또한, 됫박형 집수부(60)도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바닥부(61) 또는 측 벽부에 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바닥부(61)의 어느 한 일측에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이 펌프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부(61)에는 펌프 설치공간이 따로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공간에는 보강리브(63)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수부(60)의 전체 형상은 원통형에 비해 수용면적이 보다 큰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집수부(60)의 저수용량을 크게 확보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60)의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집수부(60)의 내측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가 덧대어질 수 있으며, 집수부(60)의 부식을 방지하고 표면경화 및 외관처리를 하기 위해서 집수부 내, 외부에 지수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도금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6b,6c는 본 발명에 따른 됫박형 집수부(60)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6b,6c는 도 5의 됫박형 집수부(60)를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철근(10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이며, 도 6 모두가 됫박형 집수부(60)의 측벽부를 이루는 판재(64)에 형성된 플렌지(65)를 통해 철근(100)이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철근(100)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판재(64)의 상,하단부 중에 어느 하나를 좀 더 연장시켜 철근(100)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형틀(2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형 틀(20)은 상기 플랜지(65) 상단에 배치되어 볼트 또는 용접 또는 핀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형틀(20)의 하단부는 상기 플랜지(65)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절곡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형틀(20)은 상기 집수부(60)와 함께 콘트리트층(3)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3) 경화시 추후에 제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65)와 상기 철근(100)의 결합은 플랜지(65)에 통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미도시)으로 철근(100)을 끼워넣어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철근(100)은 단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며, 이 절곡부가 상기 통공(미도시)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판재(64)는 철근(1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철근(100)의 절곡부를 따라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되므로, 판재(64)와 결합되는 집수부(60)의 설치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b와 같이 상기 바닥부(61) 하측 또는 측벽부 측방으로 보강부재(40)를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층(3) 경화시 상기 보강부재(40)가 결합력을 증대시켜 집수부를 콘크리트층(3) 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40)는 'T형', 'L형', 'I형' 등으로 형성된 돌출부재(40a)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40b)로 구성된다.
또한, 도 6c와 같이 집수부(60)의 바닥부(61)를 이중으로 배치 구성함으로써, 집수부(60) 하방으로 지내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때, 집수부의 이중 바닥부 는 상바닥부(61)와 하바닥부(50)로 구성되며, 상바닥부(61)의 하측과 하바닥부(50)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52)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상바닥부(61) 와 하바닥부(50) 사이의 빈 공간에 돌출부재(40a) 또는 결합부재(40b)를 결합시켜 이 빈 공간으로 시멘트혼합물(C)을 유입, 집수부(60) 하측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중 바닥부를 갖는 됫박형 집수부(60)는 휨강성을 증대시키고 내력을 향상시켜 지하수의 높은 상향 수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52)는 상바닥부(61)와 하바닥부(50) 사이라면, 어디든지 위치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끼움형 집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외측끼움형 집수부(70)는 바닥부(71: 도 8a 참조)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71) 상부로는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되, 바닥 상부에서부터 약 20cm ~ 2m 내외의 높이 또는 그 이상의 높이를 갖는 측벽부(7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72)의 외측으로 외부둘레를 따라 끼움부재(74)가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70) 내부에는 바닥부(71) 상측으로 내부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73: 도 8a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재(74)는 상기 측벽부(72)의 상단부를 수평하게 절곡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74)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끼움부(74a)가 형성되고 단부측에는 철근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7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70) 하측 또는 측방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바닥부(71)의 어느 한 일측에는 펌프가 설치된다. 이 펌프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부(71)에는 펌프 설치공간이 따로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공간에는 보강리 브(73)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수부(70)의 전체 형상은 원통형에 비해 면적이 보다 큰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집수부(70) 저수용량이 크게 확보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70)의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집수부(70)의 내측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가 덧대어질 수 있으며, 집수부(70)의 부식을 방지하고 표면경화 및 외관처리를 하기 위해서 집수부(70) 내, 외부에 지수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도금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 8b는 도 7의 외측끼움형 집수부(70)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8a는 형틀(20)을 상기 끼움부재(74)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끼움부재(74)의 상면과 상기 끼움부재(74) 상방으로 돌출된 끼움부(74a)의 측면에 형틀(20)이 기대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형틀의 결합구조이다. 이때, 형틀(20)이 끼움부재(74) 상측으로 바로 올려지게 되므로, 형틀(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도 8b는 형틀(20)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끼움부재(74)에 상방으로 돌출된 끼움부(74a)로 형틀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형틀의 결합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형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부(74a)와 대응되는 끼움홈(22)이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 와 같이 형틀(20)이 세워지고 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3)이 형성되면, 형틀(20)을 끼움부(74a)에서 빼내기만 하면 바로 제거가 되므로, 거푸집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끼움형 집수부(8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내측끼움형 집수부(80)는 바닥부(81: 도10a 참조)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81) 상부로는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되, 바닥 상부에서부터 약 20cm ~ 2m 내외의 높이 또는 그 이상의 높이를 갖는 측벽부(8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8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며 차수키 역할을 하는 결합부(84)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부(82)의 내측에는 내부둘레를 따라 끼움부재(74)가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81) 상측과 상기 끼움부재(74) 하측 사이에는 내부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83: 도10a 참조)가 형성되어 집수부(80) 내부 강도를 보강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84)의 단부 측에는 철근(1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80) 하측 또는 측방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바닥부(81)의 어느 한 일측에는 펌프가 설치된다. 이 펌프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부(81)에는 펌프 설치공간이 따로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공간에는 보강리브(83)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수부(80)의 전체 형상은 원통형에 비해 수용면적이 보다 큰 사 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집수부(80)의 저수용량을 크게 확보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0)의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집수부(80)의 내측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가 덧대어질 수 있으며, 집수부(80)의 부식을 방지하고 표면경화 및 외관처리를 하기 위해서 집수부(80) 내, 외부에 지수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도금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a, 10b는 도 9의 내측끼움형 집수부(80)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는 형틀(20)을 상기 끼움부재(74)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집수부(80)의 측벽면과 상기 끼움부재(74) 상면에 형틀이 기대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형틀의 결합구조이다. 이때, 형틀(20)이 끼움부재(74) 상측으로 바로 올려지게 되므로, 형틀(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도 10b는 형틀(20)을 끼움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끼움부재(74) 단부 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부(74a)를 형성하여 상기 집수부(80)의 측벽과 상기 끼움부(74a) 사이에 이격공간을 만들어, 이 공간으로 상기 형틀(20)을 끼워넣어 바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형틀의 결합구조이다. 이와 같이 형틀(20)이 세워지고 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3)이 형성되면, 집수부(80)의 측벽과 끼움부 사이에 끼운 형틀(20)을 빼내기만 하면 바로 제거가 되므로, 거푸집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내부에 휨 방지 리브가 형성된 강도가 보강된 집수부를 제공하고, 상기 집수부에 철근 및 형틀과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다양한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집수정 제작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쟁반형 집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쟁반형 집수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3b,3c는 도 1의 쟁반형 집수부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형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됫박형 집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6b,6c는 본 발명에 따른 됫박형 집수부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끼움형 집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8b는 도 7의 외측끼움형 집수부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끼움형 집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10b는 도 9의 내측끼움형 집수부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쟁반형 집수부 11: 바닥부
12: 수직부 13: 보강리브
14: 결합부 15: 유입공
16: 설치공간 20: 형틀
22: 끼움홈 30: 거푸집형 형틀
32: 지지봉 34: 판재
40: 보강부재 40a: 돌출부재
40b: 결합부재 50: 하바닥부
52: 지지부재 C: 시멘트혼합물
60: 됫박형 집수부 61: 바닥부
62: 측벽부 63: 보강리브
64: 판재 65: 플랜지
70: 외측끼움형 집수부 71: 바닥부
72: 측벽부 73: 보강리브
74: 끼움부재 74a: 끼움부
74b: 끼움공 80: 내측끼움형 집수부
81: 바닥부 82: 측벽부
83: 보강리브 84: 결합부

Claims (29)

  1.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측방으로 수직부가 상방 연장형성된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 상단에는 수평한 결합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쟁반형 집수부;
    상기 결합부의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집수부의 측벽을 형성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하측 또는 상기 수직부 측방에는 돌출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이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 의 결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바닥부와 하바닥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닥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상바닥부의 하측과 상기 하닥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 사이 내측에는 돌출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 사이의 빈 공간에는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형틀은 상기 지지봉들의 사이사이에 끼워지는 거푸집용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8.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상방이 개방되도록 바닥부 및 측벽부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부는 상,하단부가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된 다수의 판재가 플랜지를 통해 상호 맞대음 조립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됫박형 집수부; 및
    상기 플랜지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 내부를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하측 또는 상기 측벽부의 측방에는 돌출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이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바닥부와 하바닥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상바닥부의 하측과 상기 하닥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 사이의 내측에는 돌출부재 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바닥부와 상기 하바닥부 사이의 빈 공간에는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4.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상방이 개방되도록 바닥부 및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 외측으로 외부둘레를 따라 끼움부재가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외측끼움형 집수부;
    상기 끼움부재의 상측에 안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상기 끼움부재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 내부를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 안쪽으로 상기 형틀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8.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에 있어서,
    상방이 개방되도록 바닥부 및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 상측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 상단에는 수평한 결합부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내측으로 내부둘레를 따라 끼움부재가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내측끼움형 집수부;
    상기 끼움부재의 상측에 안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와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 내부를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 안쪽으로 상기 형틀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1.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4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상기 집수부와 함께 콘크리트층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 경화시 추후에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2.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4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 내부에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3.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4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집수부 하측 또는 측방에 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4.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4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의 내측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가 덧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5.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4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지수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6.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4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도금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7. 제 1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2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KR1020070109472A 2007-10-30 2007-10-30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KR20090043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472A KR20090043745A (ko) 2007-10-30 2007-10-30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472A KR20090043745A (ko) 2007-10-30 2007-10-30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745A true KR20090043745A (ko) 2009-05-07

Family

ID=4085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472A KR20090043745A (ko) 2007-10-30 2007-10-30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37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957B1 (ko) * 2010-08-25 2013-10-16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KR101451379B1 (ko) * 2014-06-24 2014-10-23 (주)유송엔지니어링 Frp 수지를 이용한 집수정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한 frp 집수정
KR101534299B1 (ko) * 2014-02-21 2015-07-06 우광티엔씨(주) 조립식 집수정
KR102411161B1 (ko) * 2021-08-27 2022-06-22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집수정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957B1 (ko) * 2010-08-25 2013-10-16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KR101534299B1 (ko) * 2014-02-21 2015-07-06 우광티엔씨(주) 조립식 집수정
KR101451379B1 (ko) * 2014-06-24 2014-10-23 (주)유송엔지니어링 Frp 수지를 이용한 집수정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한 frp 집수정
KR102411161B1 (ko) * 2021-08-27 2022-06-22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집수정 시공방법
KR20230031770A (ko) * 2021-08-27 2023-03-07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집수정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CN106121094A (zh) 基于3d打印的混凝土剪力墙的预制混凝土外壳结构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20090043745A (ko)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KR101318957B1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0734047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설치 공정
KR100774885B1 (ko) 기초구조물에 매립되는 조립식 앵커 볼트 구조 및 이를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36511B1 (ko) 건축물용 지하 집수정
KR20043204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1007012B1 (ko) 터널 천단부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천단부보강공법
KR101451379B1 (ko) Frp 수지를 이용한 집수정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한 frp 집수정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160120154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0823033B1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2008004559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20110070384A (ko) 하부 철근 보강형 집수정
KR100766850B1 (ko)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3889497B2 (ja) コンクリート製地下室の成形工法
KR2008007405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100883798B1 (ko)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