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336B1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 Google Patents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336B1
KR100489336B1 KR10-2002-0050394A KR20020050394A KR100489336B1 KR 100489336 B1 KR100489336 B1 KR 100489336B1 KR 20020050394 A KR20020050394 A KR 20020050394A KR 100489336 B1 KR100489336 B1 KR 100489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arch
elevator pit
elevator
under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148A (ko
Inventor
김광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02-005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3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아취형이 되도록 절곡형성한 강재 아취형 피트(10)를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아취형 피트(10) 외주에는 등간격으로 리브(12)를 설치하여 강성을 보강하며, 상기 리브(12)에는 구멍(13)을 두어 철근이 배근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아취형 피트(10)는 제작, 운반 설치가 편리하도록 하고 다수개로 분할하되, 경계면에는 접합용 플랜지(15)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5)에는 체결공(17)을 형성하여 볼트나 리벳등의 체결수단(18)을 사용하여 분할된 아취형 피트(10)를 하나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상부의 하중을 하부로 분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부의 지내력을 상부로 분포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기초를 형성하여 기초판의 두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지하 최저부에서의 번거러운 터파기 작업, 거푸집 작업, 철근 콘크리트 작업 등을 적게 하여 공사기간, 원가절감,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Metal elevator pi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을 아취형으로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가 생략되고, 터파기가 간단하며, 물로 인한 품질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피트는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벽체로 형성되며, 하부에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하므로 엘리베이터를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레벨(최하층의 바닥레벨)보다 약 1.5m ~ 2.2m까지 하부로 더 내려 가야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그리고, 최근 건축물의 규모가 커지면서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는 횡력을 저항하는 전단 벽체의 역할을 하며 각층의 하중들이 엘리베이터 벽체를 통해서 하부로 전달되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최하부는 상부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할 수 있도록 큰 기초판이 형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부에는 엘리베이터를 점검하기 위한 공간(점검구)이 있어야 하므로 기초판도 점검구의 깊이 만큼 더 하부로 내려가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는 두께가 매우 두꺼운 기초판이 형성되고 여기에 점검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기초판 형상은 두께가 두꺼운 모자를 뒤집어 놓은 형상이 되므로, 땅을 더 파야하고, 철근콘크리트 작업을 어렵게하여 공사기간과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는 건물에서 가장 낮은 곳이기 때문에 지하수가 모이게되고 이로 인하여 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품질이 저하되며 하부가 암반일 경우 이를 파내기 위한 작업이 대단히 어렵고 경사지게 터파기를 해야 하므로 필요없는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
더욱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대형 구조물에 있어서 가장 경제적인 구조재료이긴 하지만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서 콘크리트가 굳기전에 거푸집이라는 가설구조가 필요하므로 작업과정이 번거로운 단점과 강재보다는 그 크기가 커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을 아취형으로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가 생략되고, 터파기가 간단하며, 물로 인한 품질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1c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구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취형이 되도록 강판을 절곡 형성한 아취형 피트(10)를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상부의 하중을 하부로 분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하부의 지내력을 상부로 분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취형 피트(10) 외주에는 등간격으로 리브(12)를 설치하여 아취형 피트(10)를 보강하고 상부 벽체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리브(12)는 바닥면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아취형 피트(1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즉, 아취형 피트(10)가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12)에는 구멍(13)을 두어 철근이 배근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취형 피트(10)는 제작, 운반 설치가 편리하도록 하고 다수개로 분할하되, 경계면에는 접합용 플랜지(15)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5)에는 체결공(17)을 형성하여 볼트나 리벳등의 체결수단(18)을 사용하여 분할된 아취형 피트(10)를 하나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의 설치예를 하기에서 살펴본다.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 엘리베이터를 점검하기 위한 공간(점검구)을 형성하기 위한 터파기 작업을 한 후 상기 아취형 피트(10)를 조립된 상태로 터파기 내부에 그대로 설치하거나 혹은 분리된 상태로 터파기 내부로 이동시켜 터파기 내부 안에서 플랜지(15)를 맞추어 체결공(17)으로 체결수단(18)을 조립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완성한 후, 리브(12)의 구멍(13)으로 철근 배근을 한 후, 아취형 피트(10) 외주로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는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뿐 아니라, 아취형 피트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상부의 하중을 하부로 넓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하부의 지내력을 상부로 전달분포할 수 있도록 하며, 아취형 피트(10) 외주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리브(12)에 의하여 아취형 피트(10)가 보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구조를 강성이 큰 아취 형태의 기성품 강재로 대체하므로서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기초를 형성하여 기초판의 두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지하 최저부에서의 번거러운 터파기 작업, 거푸집 작업, 철근 콘크리트 작업 등을 적게 하여 공사기간, 원가절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경제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주 구조물을 형성하되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취약한 부분 즉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를 강재로 변경하므로서 철근콘크리트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구조의 단면도
도 1c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구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취형 피트 12 : 리브
13 : 구멍 15 : 플랜지
17 : 체결공 18 : 체결수단

Claims (4)

  1.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취형이 되도록 강판을 절곡 형성한 아취형 피트(10)를 엘리베이터 피트의 최하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취형 피트(10) 외주에는 등간격으로 리브(1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12)에는 구멍(13)을 두어 철근이 배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취형 피트(10)는 다수개로 분할하되, 경계면에는 접합용 플랜지(15)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5)에는 체결공(17)을 형성하여 볼트나 리벳등의 체결수단(18)을 사용하여 분할된 아취형 피트(10)를 하나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10-2002-0050394A 2002-08-26 2002-08-26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100489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94A KR100489336B1 (ko) 2002-08-26 2002-08-26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94A KR100489336B1 (ko) 2002-08-26 2002-08-26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148A KR20040019148A (ko) 2004-03-05
KR100489336B1 true KR100489336B1 (ko) 2005-05-12

Family

ID=3732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394A KR100489336B1 (ko) 2002-08-26 2002-08-26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3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6B1 (ko) 2008-01-11 2010-09-01 엄기형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60120158A (ko)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20160120154A (ko)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70004790A (ko) 2015-07-03 2017-01-11 엄재현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80064801A (ko) 2016-12-06 2018-06-15 엄재현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142545A (ko) 2018-06-18 2019-12-27 엄재현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385B1 (ko) * 2007-04-27 2009-07-24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
KR200449181Y1 (ko) * 2007-07-03 2010-06-23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CN109881684B (zh) * 2019-04-08 2024-03-15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基坑土建施工防潮水设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904B1 (ko) * 1994-12-24 1999-02-18 최훈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200232635Y1 (ko) * 2001-02-24 2001-09-2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조립식 기초 거푸집
KR200251430Y1 (ko) * 2001-07-18 2001-11-17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금속재 집수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904B1 (ko) * 1994-12-24 1999-02-18 최훈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200232635Y1 (ko) * 2001-02-24 2001-09-2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조립식 기초 거푸집
KR200251430Y1 (ko) * 2001-07-18 2001-11-17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금속재 집수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6B1 (ko) 2008-01-11 2010-09-01 엄기형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60120158A (ko)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KR20160120154A (ko)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70004790A (ko) 2015-07-03 2017-01-11 엄재현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80064801A (ko) 2016-12-06 2018-06-15 엄재현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142545A (ko) 2018-06-18 2019-12-27 엄재현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148A (ko) 200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15068B (zh) 既有砖混结构隔震支座托换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485553A (zh) 一种预制装配式基础的装配式建筑及其装配方法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100489336B1 (ko)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100313720B1 (ko) 가설 흙막이 벽용 철골 버팀대를 영구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는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60096706A (ko) 데크 현수식 지하 구조물 역타설공법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200291960Y1 (ko) 금속재 집수정
KR20100006805U (ko) 토류판
KR100973237B1 (ko)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JP2020094443A (ja) 建物の基礎の構築方法
CN212452765U (zh) 一种二墙合一式地下管廊结构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102172651B1 (ko) 간이 수영장 건설공법
KR200390421Y1 (ko) 데크 현수식 역타설 지하 구조물
JP6474572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100823033B1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1037502B1 (ko)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0981148B1 (ko) 집수정 벽면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커브슈, 상부 연결폼 및 이들을 포함하는 체결구
KR200249171Y1 (ko) 구조물 기초의 조립식 원형 콘크리트 흙막이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