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790A -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790A
KR20170004790A KR1020150107473A KR20150107473A KR20170004790A KR 20170004790 A KR20170004790 A KR 20170004790A KR 1020150107473 A KR1020150107473 A KR 1020150107473A KR 20150107473 A KR20150107473 A KR 20150107473A KR 20170004790 A KR20170004790 A KR 20170004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exponential
side wall
cut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134B1 (ko
Inventor
엄재현
Original Assignee
엄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현 filed Critical 엄재현
Publication of KR2017000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트지지부 또는 측벽부의 외측을 따라 흐르는 물의 흐름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피트지지부의 외측 또는 측벽부의 외측에 지수차단부가 구비되므로, 피트지지부 또는 측벽부를 따라 흐르는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시켜서, 피트지지부와 콘크리트층 또는 측벽부와 콘크리트층 사이의 틈새를 따라 물이 스며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Elevator Pit Structure with Waterproof Function}
본 발명은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측으로 스며드는 물이 그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는 설치면인 굴토바닥부(1)에 바닥부(10)를 배치하고, 그 측방 테두리 부분에 측벽부(20)를 배치시킨다. 그 후, 측벽부(20)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2)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6)과, 측벽부(20)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한다.
한편, 건축물 하부에는 지하수 또는 빗물 등이 고일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은 측벽부(20)의 외측을 따라 그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런데 측벽부(20)의 외측에는 이러한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가 없어, 건축물 하부의 물이 측벽부(20)를 따라 지속적으로 상부로 이동되는데, 이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측벽부(20)와 인접한 기초콘크리트층(6) 등에 국부적으로 균열을 일으키고, 그 갈라진 틈을 통하여 기초콘크리트층(6)의 외부로 물이 흘러나오게 되어, 건축물의 유지, 보수 비용을 증가시키고,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933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트지지부 또는 측벽부의 외측을 따라 흐르는 물의 흐름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피트지지부; 및 상기 피트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지수차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수차단부를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수차단부에서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수차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에서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하측을 지지하되 상기 지수차단부보다 더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을 가압하도록 절곡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하측을 지지하되 상기 지수차단부보다 더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상부로 이격되되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를 연결하되, 그 중앙이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을 가압하도록 절곡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와, 상기 지수차단부와, 상기 피트지지부를 차례로 관통하거나 또는 상기 밀착부와, 상기 지수차단부와, 상기 측벽부를 차례로 관통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는 장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수차단부의 하측을 지나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타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 삽입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매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둘러지되, 그 양 ?첬灌?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는 차수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보조측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상기 피트지지부의 테두리보다 안쪽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부의 테두리의 상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트지지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부로 이격되는 제 2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는 연결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안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강도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강도보강부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이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바닥면부에는 오목하게 집수정이 형성되되, 상기 집수정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차단벽이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강도보강부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집수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트지지부의 외측 또는 측벽부의 외측에 지수차단부가 구비되므로, 피트지지부 또는 측벽부를 따라 흐르는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시켜서, 피트지지부와 콘크리트층 또는 측벽부와 콘크리트층 사이의 틈새를 따라 물이 스며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수차단부가 결합부재에 의하여 피트지지부 또는 측벽부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엘리베이터 피트(100)와, 강도보강부(130)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피트(100)는 피트지지부(110) 및 측벽부(120)를 포함하며, 보조측벽(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피트지지부(1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117)가 형성된다. 이러한 피트지지부(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6)와, 연결측부(114)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면부(112)는 굴토바닥부(미도시)에 밀착되는 것으로,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바닥면부(116)는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부로 이격되는 것으로, 제 1 바닥면부(112)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닥면부(116)의 중앙에는 개구부(117)가 관통 형성된다. 연결측부(114)는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6)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트지지부(110)에 집수정(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피트지지부(110)는 건물 지하층에 위치하게 되는바, 유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피트지지부(110)에 물이 유입되곤 한다. 집수정(113)은 피트지지부(110)로 유입되는 물을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피트지지부(110)의 제 1 바닥면부(112)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트지지부(110)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수 등은 상기 집수정(113)으로 용이하게 집수되며, 이렇게 집수된 물은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측벽부(120)는 피트지지부(110)의 개구부(117)의 내주연을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20)에 의하여 피트지지부(110)의 상부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상부에는 그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122)가 구비된다. 한편, 측벽부(120)의 크기, 높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 및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는 피트지지부(110)의 개구부(117)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외측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미도시)이 형성된다.
강도보강부(130)는 개구부(117)를 통하여 피트지지부(11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강도보강부(130)로 인하여 피트지지부(110)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강도보강부(130)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140)이 매설되어, 강도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그 수직단면이 'U'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철근이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집수정(113)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곤크리트가 집수정(113)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벽(113a)이 장착될 수 있다.
보조측벽(150)은 측벽부(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벽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측벽(150)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 사용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측벽부(120)의 외측에는 차수키(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차수키(125)는 측벽부(1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측벽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어느 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수키(125)는 측벽부(120)와 상기 콘크리트층 사이의 틈새를 따라 물이 스며들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수차단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수차단부(200)는 지수 즉, 땅 속의 물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굴토바닥부(미도시)에 밀착되는 제 1 바닥면부(112)를 제외한 부분 예를 들면, 연결측부(114), 제 2 바닥면부(116), 측벽부(120) 또는 보조측벽(15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수키(125)의 상측 또는 하측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수차단부(200)는 수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수키(125)와 마찬가지로, 측벽부(120)와 상기 콘크리트층 사이의 틈새를 따라 물이 스며들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은 피트지지부(110)의 외측 또는 측벽부(120)의 외측에 지수차단부(200)가 구비되므로, 피트지지부(110) 또는 측벽부(120)를 따라 흐르는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시켜서, 피트지지부(110)와 상기 콘크리트층 또는, 측벽부(120)와 상기 콘크리트층 사이의 틈새를 따라 물이 스며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수차단부(200)는 별도의 결합부재(250: 도 3 도시) 등을 통하여 연결측부(114), 제 2 바닥면부(116), 측벽부(120) 또는 보조측벽(150)의 외측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하에서는 지수차단부(200)가 측벽부(120)에 결합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50)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벽부(120)의 내측에서 지수차단부(200) 방향으로 삽입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51)는 볼트, 피스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에서 측벽부(120) 방향으로 삽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52)는 측벽부(120)의 내측에서 지수차단부(200)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253)와, 제 1 결합부(253)의 단부에서 지수차단부(20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결합부(254)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56)는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에서 측벽부(12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257)와, 제 1 결합부(257)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 형상의 제 2 결합부(258)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60)는 측벽부(120)의 내측에서 지수차단부(200)의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262)와, 제 1 결합부(262)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 형상의 제 2 결합부(264)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66)는 측벽부(120)의 외측에서 지수차단부(20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 1 결합부(267)와, 제 1 결합부(267)의 단부에서 지수차단부(20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결합부(268)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70)는 측벽부(120)의 외측에서 지수차단부(200)의 하측을 지지하되 지수차단부(200)보다 더 돌출되는 제 1 결합부(272)와, 제 1 결합부(272)의 단부에서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을 가압하도록 절곡되는 제 2 결합부(273)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75)는 측벽부(120)의 외측에서 지수차단부(200)의 하측을 지지하되 지수차단부(200)보다 더 돌출되는 제 1 결합부(276)와, 제 1 결합부(276)의 상부로 이격되되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2 결합부(278)와, 제 1 결합부(276)와 제 2 결합부(278)를 연결하되, 그 중앙이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을 가압하도록 절곡되는 제 3 결합부(277)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80)는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에 밀착되는 밀착부(282)와, 결합부(284)를 포함한다. 밀착부(282)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장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282)는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에 밀착된다. 결합부(284)는 밀착부(282), 지수차단부(200) 및 측벽부(120)를 차례로 관통하는 것으로, 밀착부(282)의 길이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86)는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길게 형성되되 그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287)와, 밀착부(287), 지수차단부(200) 및 측벽부(120)를 차례로 관통하는 결합부(288)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90)는 일단부는 측벽부(1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수차단부(200)의 하측을 지나 지수차단부(2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결합부(291)와, 제 1 결합부(291)의 타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결합부(292)와, 제 2 결합부(292)에 삽입되는 제 3 결합부(293)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95)는 측벽부(120)에 고정된 상태로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을 감싸는 매쉬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97)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수차단부(200)의 외측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둘러지되, 그 양 ?첬灌? 측벽부(120)에 고정된다.
100: 엘리베이터 피트 110: 피트지지부
112: 제 1 바닥면부 113: 집수정
113a: 차단벽 114: 연결측부
116: 제 2 바닥면부 117: 개구부
120: 측벽부 125: 차수키
130: 강도보강부 150: 보조측벽
200: 지수차단부 250: 결합부재
251: 결합부재 252: 결합부재
253: 제 1 결합부 254: 제 2 결합부
256: 결합부재 257: 제 1 결합부
258: 제 2 결합부 260: 결합부재
262: 제 1 결합부 264: 제 2 결합부
266: 결합부재 267: 제 1 결합부
268: 제 2 결합부 270: 결합부재
272: 제 1 결합부 273: 제 2 결합부
275: 결합부재 276: 제 1 결합부
277: 제 2 결합부 278: 제 3 결합부
280: 결합부재 282: 밀착부
284: 결합부 286: 결합부재
287: 밀착부 288: 결합부
290: 결합부재 291: 제 1 결합부
292: 제 2 결합부 293: 제 3 결합부
295: 결합부재 297: 결합부재

Claims (22)

  1.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건축물의 저면에 배치되는 피트지지부; 및
    상기 피트지지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지수차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차단부를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수차단부에서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수차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에서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하측을 지지하되 상기 지수차단부보다 더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을 가압하도록 절곡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서 상기 지수차단부의 하측을 지지하되 상기 지수차단부보다 더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상부로 이격되되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를 연결하되, 그 중앙이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을 가압하도록 절곡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와, 상기 지수차단부와, 상기 피트지지부를 차례로 관통하거나 또는 상기 밀착부와, 상기 지수차단부와, 상기 측벽부를 차례로 관통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장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수차단부의 하측을 지나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타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 삽입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피트지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매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수차단부의 외측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둘러지되, 그 양 ?첬灌?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지지부 또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는 차수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보조측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피트지지부의 테두리보다 안쪽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부의 테두리의 상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지지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부로 이격되는 제 2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는 연결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안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강도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이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면부에는 오목하게 집수정이 형성되되, 상기 집수정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차단벽이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강도보강부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집수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20150107473A 2015-07-03 2015-07-29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706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05 2015-07-03
KR20150095505 2015-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90A true KR20170004790A (ko) 2017-01-11
KR101706134B1 KR101706134B1 (ko) 2017-02-14

Family

ID=5783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473A KR101706134B1 (ko) 2015-07-03 2015-07-29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414B1 (ko) * 2018-10-29 2019-08-08 우광티엔씨(주)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36B1 (ko) 2002-08-26 2005-05-12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20090047135A (ko) * 2007-11-07 2009-05-12 엄기형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20120015503A (ko) * 2010-08-12 2012-02-22 엄기형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36B1 (ko) 2002-08-26 2005-05-12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20090047135A (ko) * 2007-11-07 2009-05-12 엄기형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20120015503A (ko) * 2010-08-12 2012-02-22 엄기형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414B1 (ko) * 2018-10-29 2019-08-08 우광티엔씨(주)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구비된 승강로 하부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134B1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0309B1 (en) Drain unit
US20160289947A1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101706134B1 (ko)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785409B1 (ko) 터널용 측벽유공관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측벽유공관 시공방법
KR20160120154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US1972513A (en) Drain inlet
KR20120019358A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KR101988843B1 (ko)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EP2395161A1 (en) Unit for location of tiles or similar on top of a floor drain.
KR101013733B1 (ko)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1877518B1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08626B1 (ko)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CN212427839U (zh) 一种屋面及屋面排水系统
JP3152272U (ja) 雨水処理装置
KR100815193B1 (ko) 배수트랩조립체
KR100574854B1 (ko) 맨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8197488A (ja) 桝蓋
KR20110070384A (ko) 하부 철근 보강형 집수정
KR100953033B1 (ko) 재사용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유닛
CN209211469U (zh) 一种集水坑围栏式防垃圾进入隔离装置
KR200461974Y1 (ko)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