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843B1 -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 Google Patents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843B1
KR101988843B1 KR1020170016679A KR20170016679A KR101988843B1 KR 101988843 B1 KR101988843 B1 KR 101988843B1 KR 1020170016679 A KR1020170016679 A KR 1020170016679A KR 20170016679 A KR20170016679 A KR 20170016679A KR 101988843 B1 KR101988843 B1 KR 101988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permeable
water
collecting bod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458A (ko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전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흥기 filed Critical 전흥기
Priority to KR102017001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8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집수공간부를 갖고, 매설되되, 복수의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집수공간부로 공급하기 위한 집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정몸체, 및 상기 집수정몸체 외부에 존재하는 우수가 상기 집수공간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수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집수정 주변에 존재하는 우수를 집수공간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우수가 집수정 주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집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drainage well with improved drainage efficiency}
본 발명은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정의 주변에 우수가 집수정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여 집수정 주변에 우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수효율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정은 사각기둥형, 원통형 등의 몸체부, 이 몸체부를 개폐하는 그레이팅, 그리고 몸체부의 하부에서 하수관 등과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집수정은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거나 또는 일정형태로 제작된 콘크리트 기성 제품으로 제작되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시공하는 기존의 방식으로 집수정을 제작할 경우에는 일정 형태의 거푸집을 시공하고 이 시공된 거푸집 내에 배근을 취한 후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해 주어야 함에 따라 사실상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사지연에 따른 통행 불편을 호소하는 민원이 자주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장기간 사용 시 배치된 철근이 부식되어 심한 균열 등이 발생되어 보수를 취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그리고 공사현장의 고르지 못한 바닥 위에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아 양측 혹은 일측 연결부위 면이 정밀하게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되며, 특히 조립된 거푸집의 개구로 콘크리트를 붓게 되면 콘크리트의 점성 및 성분에 의해 울퉁불퉁한 형상으로 굳어지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등록실용 20-0412557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개부부 상면에 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이 돌기부에 형성되어 그레이팅을 안치하는 제어턱 및 이 구성들을 감싸는 스텐캡으로 구성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 집수정은 설치된 배수관이나 그레이팅을 통해서 우수가 집수되지만, 집수정의 콘크리트 외측에 위치된 우수는 집수정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주변에 고이는 문제점이 있다.
우수가 집수정 주변에 고이게 되면, 지나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고인 우수가 완전히 배수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경우에 따라 악취가 발생될 수 있어 불쾌감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는 물론, 집수정 주변에 위치되는 우수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우수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집수공간부를 갖고, 매설되되, 복수의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집수공간부로 공급하기 위한 집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정몸체, 및 상기 집수정몸체 외부에 존재하는 우수가 상기 집수공간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수부,를 포함하여 집수정 주변에 존재하는 우수를 집수공간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우수가 집수정 주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집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우수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집수공간부를 갖고, 매설되되, 복수의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집수공간부로 공급하기 위한 집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정몸체, 및 상기 집수정몸체 외부에 존재하는 우수가 상기 집수공간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수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수부를 집수정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투수부가 설치되기 위해 상기 집수정몸체에 형성되는 설치홈이다.
또한, 상기 설치홈이 형성된 집수정몸체의 측벽의 내면과 외면에 인접한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형성되는 설치턱,을 포함하고, 상기 투수부는 설치홈에 안착되어 설치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은 상기 집수정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집수정몸체의 상단부가 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투수부는 설치홈에 설치되되, 상단면이 지면과 동일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집수정몸체의 상단면이 지면과 동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설치홈은 상기 집수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집수정몸체의 각 측벽 중 어느 한 측벽 이상의 일정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부는 설치홈에 설치되되, 상단면이 집수정몸체의 상단면과 동일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수부는, 일정 부피를 갖는 단위체로, 상기 집수정몸체에 복수 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수부는, 내부에 투과공간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투과공이 형성된 투과몸체, 및 일정 입자를 갖고, 상기 투과몸체의 투과공간부에 채워지는 채움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투과몸체의 폭은, 상기 설치홈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설치홈의 상측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채움부재는, 자연석과 인공석, 벽돌, 조개껍데기,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투수부는, 내부에 투과공간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투과공이 형성된 투과몸체, 및 상기 투과몸체의 투과공간부에 설치되는 투과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투과몸체는, 상기 집수정몸체의 어느 한 측벽의 내면와 외면에 대응되는 양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테두리에 플랜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의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된 투수부가 걸려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수부는, 외측으로 감싸기 위한 부직포,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에 의하면, 집수정 주변에 존재하는 우수를 집수공간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우수가 집수정 주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집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의 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의 투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의 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의 투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10)은 집수정몸체(100)와 투수부(200)로 구성된다.
집수정몸체(100)는 우수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집수공간부(102)가 형성되어 매설된다.
이러한 집수정몸체(100) 주변에 복수의 집수구(20)가 설치되며, 이 집수구(20)를 통해 집수된 우수는 집수관(30)에 의해 집수공간부(102)로 이송된다.
그리고 투수부(200)는 집수정몸체(100) 외부에 존재하는 우수가 집수공간부(102)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물론, 이 투수부(200)는 집수구(20)와 집수관(30)을 통하지 않고, 집수정몸체(100) 외부에 존재하는 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것이다.
이 집수정몸체(100)의 외주에는 주변의 우수가 고여 지면이 질척거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채석으로 충진된다.
이러한 집수정몸체(100)의 주변에 고여있는 우수가 투수부(200)를 통해 집수정몸체(100)의 집수공간부(102)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투수부(200)를 집수정몸체(10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00)를 더 포함한다.
이 설치부(3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수부(200)가 설치되기 위해 집수정몸체(100)에 형성되는 설치홈(310)이다.
그리고 이 설치홈(310)이 형성된 집수정몸체(100)의 측벽의 내면과 외면에 인접한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형성되는 설치턱(320)을 더 포함한다.
이 설치턱(320)은 설치홈(310)에 안착된 투수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홈(310)은 집수정몸체(1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집수정몸체(100)의 상단부가 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매설된다.
그리고 투수부(200)는 설치홈(310)에 설치되되, 투수부(200)의 상단면이 지면과 동일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투수부(200)에 의해 집수정(10) 주변에 고여있던 우수가 집수공간부(102)로 유입되어 주변에 우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정몸체(100)의 상단면이 지면과 동일하도록 설치되고, 설치홈(310)은 집수공간부(102)를 형성하기 위한 집수정몸체(110)의 각 측벽 중 어느 한 측벽 이상의 일정 구간에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홈(310)은 해당 측벽의 양면과 상측으로 개방되거나 양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투수부(200)는 이 설치홈(3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홈(310)이 상측과 양면방향으로 개방될 경우, 상단면이 집수정몸체(100)의 상단면과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설치홈(310)은 측벽의 양면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측벽의 상단부 중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대응되도록 투수부(200) 역시, 측벽의 면방향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투수부(200)는 설치홈(3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일정 부피를 갖는 단위체로 제작된다.
일정 사이즈의 단위체로 제작될 경우, 설치홈(310)에 복수 개 설치된다.
이러한 투수부(2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몸체(210)와 채움부재(220)로 구성된다.
투과몸체(210)는 내부에 투과공간부(212)가 형성되고, 복수의 투과공(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채움부재(220)는 일정 입자를 갖고, 투과몸체(210)의 투과공간부(212)에 채워진다.
일 실시 예의, 채움부재(220)는 자연석과 인공석, 벽돌, 조개껍데기,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이와 같은, 투과몸체(210)의 폭은 설치홈(3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설치홈(310)의 상측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폭은 집수몸체(100)의 측벽 두께방향을 말한다.
이에, 투수부(200)가 설치홈(310)에 적층 설치된다.
그리고 투수부(200)는 설치턱(320)에 의해 설치홈(3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몸체(210)는 집수정몸체(100)의 어느 한 측벽의 내면와 외면에 대응되는 양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테두리에 플랜지(230)가 더 형성된다.
이 플랜지(230)에 의해 설치홈(310)에 설치된 투수부(200)가 걸려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투수부(2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몸체(210')와 투과필터(220')로 구성된다.
투과몸체(210')는 내부에 투과공간부(212')가 형성되고, 투과필터(220')는 투과몸체(210')의 투과공간부(212')에 설치된다.
이 투과몸체(210')의 폭은 설치홈(3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설치홈(310)에 끼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투과몸체(210')는 테두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플랜지(230')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투수부(200')의 설치는 설치홈(310)의 어느 한 면 방향으로 끼워지되, 플랜지(230')에 의해 끼워지는 길이가 제한된다.
또한 각 실시 예의 투수부(200, 200')는 부직포(400)가 더 포함된다.
이 부직포(400)는 투수부(200, 200')의 외측을 감싸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우수 외의 부피를 갖는 이물질이 집수공간부(10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부직포(400)는 투수부(200, 200')의 외측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우수가 집수공간부(102)로 이동되기 위한 투수부(200, 200')의 노출된 면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 부직포(400)는 설치홈(310)에 설치된 투수부(200, 200')의 노출된 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집수정(10)의 집수공간부(102)는 뚜껑에 의해 개방된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두껑은 압연강판으로 제작되거나 다수의 구멍이나 슬롯 구멍이 형성된 트랜치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10 : 집수정 100 : 집수정몸체
200, 200' : 투수부 300 : 설치수단

Claims (10)

  1. 우수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집수공간부를 갖고, 매설되되, 복수의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집수공간부로 공급하기 위한 집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정몸체;
    상기 집수정몸체 외부에 존재하는 우수가 상기 집수공간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수부; 및
    상기 투수부를 집수정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수부는,
    일정 부피를 갖는 단위체로, 상기 집수정몸체에 복수 개 설치되며,
    내부에 투과공간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투과공이 형성된 투과몸체; 및
    일정 입자를 갖고, 상기 투과몸체의 투과공간부에 채워지는 채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투수부가 설치되기 위해 상기 집수정몸체에 형성되는 설치홈으로, 상기 집수정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집수정몸체의 상단부가 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투수부는 설치홈에 설치되되, 상단면이 지면과 동일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과몸체의 폭은 설치홈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설치홈의 상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투과몸체의 폭은 집수몸체의 측벽 두께방향을 말하며,
    상기 투과몸체는,
    상기 집수정몸체의 어느 한 측벽의 내면와 외면에 대응되는 양단부의 테두리에 플랜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의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된 투수부가 걸려 설치되며,
    상기 집수정몸체의 외주에는 주변의 우수가 고여 지면이 질척거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채석으로 충진되고,
    상기 충진된 채석에 존재하는 우수가 상기 투수부를 통해 집수정몸체의 집수공간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집수정몸체의 주변에 우수가 고여 지면이 질척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2. 우수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집수공간부를 갖고, 매설되되, 복수의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집수공간부로 공급하기 위한 집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정몸체;
    상기 집수정몸체 외부에 존재하는 우수가 상기 집수공간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수부; 및
    상기 투수부를 집수정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수부는,
    일정 부피를 갖는 단위체로, 상기 집수정몸체에 복수 개 설치되며,
    내부에 투과공간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투과공이 형성된 투과몸체; 및
    일정 입자를 갖고, 상기 투과몸체의 투과공간부에 채워지는 채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투수부가 설치되기 위해 상기 집수정몸체에 형성되는 설치홈으로, 집수정몸체의 각 측벽 중 어느 한 측벽 이상의 일정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정몸체의 상단면이 지면과 동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투수부는 설치홈에 설치되되, 상단면이 집수정몸체의 상단면과 동일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과몸체의 폭은 설치홈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설치홈의 상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투과몸체의 폭은 집수몸체의 측벽 두께방향을 말하며,
    상기 투과몸체는,
    상기 집수정몸체의 어느 한 측벽의 내면와 외면에 대응되는 양단부의 테두리에 플랜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의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된 투수부가 걸려 설치되며,
    상기 집수정몸체의 외주에는 주변의 우수가 고여 지면이 질척거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채석으로 충진되고,
    상기 집수정몸체의 주변에 고여있는 우수가 상기 투수부를 통해 집수정몸체의 집수공간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집수정몸체의 주변에 우수가 고여 지면이 질척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부는,
    외측으로 감싸기 위한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KR1020170016679A 2017-02-07 2017-02-07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KR10198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79A KR101988843B1 (ko) 2017-02-07 2017-02-07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79A KR101988843B1 (ko) 2017-02-07 2017-02-07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58A KR20180091458A (ko) 2018-08-16
KR101988843B1 true KR101988843B1 (ko) 2019-06-12

Family

ID=6344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679A KR101988843B1 (ko) 2017-02-07 2017-02-07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481B1 (ko) 2019-05-27 2020-05-29 (주)태한이엔지 방향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집수정
CN112609803B (zh) * 2020-12-04 2022-06-24 北京京润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排水系统
CN112575874B (zh) * 2021-01-15 2022-04-22 迈邦(北京)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废水排水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625B2 (ja) * 1991-03-06 2001-01-29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修正用水性顔料組成物
KR100896015B1 (ko) * 2008-11-06 2009-05-11 주식회사한국수안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521A (ja) * 1997-04-01 1998-10-20 Kiyoshi Nakajima 表流水を浸透させて浄化する装置とその浄化方法
KR100597203B1 (ko) * 2004-02-05 2006-07-07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JP3128625U (ja) * 2006-10-31 2007-01-18 中里産業株式会社 集水桝
KR101163130B1 (ko) * 2008-10-07 2012-07-06 주식회사 천수본사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625B2 (ja) * 1991-03-06 2001-01-29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修正用水性顔料組成物
KR100896015B1 (ko) * 2008-11-06 2009-05-11 주식회사한국수안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58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202B1 (ko) 친환경 수로형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KR101988843B1 (ko)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JP2011202472A (ja) 道路側溝用集水桝およびそれを備えた雨水流出抑制施設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101565457B1 (ko)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20150138771A (ko) 이중벽체형 저수옹벽 및 그 시공방법
US6986226B2 (en) Manhole water seal-cap/diverter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36488B1 (ko) 무게추 보호실이 구비된 악취차단 그레이팅
KR101381773B1 (ko)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JP2011174292A (ja) オーバーフロー管を備えたu字形側溝ブロックとそれを用いた道路側溝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JP3198044U (ja) 集水桝
JP4427801B2 (ja) 地表埋設用枠体
KR20050092624A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KR10211188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맨홀프레임
KR101889975B1 (ko) 그레이팅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수받이
KR101054283B1 (ko) 빗물받이
KR100815193B1 (ko) 배수트랩조립체
KR100566098B1 (ko) 배수트랩
KR200465356Y1 (ko) 배수수단이 구비된 오수용 맨홀 덮개
JP2016191227A (ja) 雨水排水設備
KR101796825B1 (ko)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