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336B1 -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336B1 KR102200336B1 KR1020190167225A KR20190167225A KR102200336B1 KR 102200336 B1 KR102200336 B1 KR 102200336B1 KR 1020190167225 A KR1020190167225 A KR 1020190167225A KR 20190167225 A KR20190167225 A KR 20190167225A KR 102200336 B1 KR102200336 B1 KR 1022003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dor
- odor prevention
- prevention unit
- rain gutter
- separation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도로에 매립되는 빗물받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받이의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악취 및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빗물받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을 집수부와 배수부로 구분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배수부의 내부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집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과형뚜껑, 상기 배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밀폐형뚜껑, 상기 통수구의 입구측에 결합되는 거름망 및 상기 통수구의 출구측으로 구비되는 악취방지유닛을 포함하는 빗물받이를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을 집수부와 배수부로 구분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배수부의 내부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집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과형뚜껑, 상기 배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밀폐형뚜껑, 상기 통수구의 입구측에 결합되는 거름망 및 상기 통수구의 출구측으로 구비되는 악취방지유닛을 포함하는 빗물받이를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도로에 매립되는 빗물받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받이의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악취 및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빗물받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우시 빗물이 생활권을 침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로의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빗물받이 구조물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빗물은 오염되지 않아, 하천으로 배수하여 처리할 수 있으나, 하수도 즉, 하수관거의 형태에 따라 빗물의 처리방법이 상이해진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오수관거와 우수관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오수관거와 우수관거의 분리 여부에 따라 합류식 또는 분류식 하수관거로 구분된다.
분류식 하수관거는 빗물과 오수를 구분하여 각각의 하수관거를 구비하여 서로 혼입되지 않도록 배수처리되고, 오수는 오수용 하수본관을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전달되고, 빗물받이에 집수된 빗물은 빗물용 하수본관을 통해 하천으로 배수된다. 반면 합류식 하수관거는 지표면에서 집수된 빗물과 건축물 등에서 배수되는 오수가 하나의 하수본관에서 합류하고,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동되어, 하수처리 후 하천으로 배수된다.
일반적으로 도시에서는 하나의 하수본관을 사용하는 합류식 하수관거를 사용하고 있어, 이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합류식 하수관거는 하나의 하수본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분류식 하수관거보다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하수본관에 빗물과 함께 집수된 오수에서 발생된 악취가 빗물받이와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역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빗물받이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에 의해 환경공해가 발생할 수 있고, 오수에서 유해가스 또한 발생하여 전염병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 빗물받이에 설치되는 뚜껑에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닫혀있어 악취의 비산을 방지하고 우천시에는 열어 빗물을 배수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었다. 한국특허공보 제10-0837429호에서 빗물받이의 상부에 거치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악취차단부를 포함하는 악취방지장치를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특허공보에서 게시된 장치는 구조의 복잡성에 의해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치의 반복되는 동작으로 인해 파손의 위험성 또한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합류식 하수관로에 적용하여도 오수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오수의 역류 또한 방지할 수 있는 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내용은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을 집수부와 배수부로 구분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배수부의 내부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집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과형뚜껑, 상기 배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밀폐형뚜껑, 상기 통수구의 입구측에 결합되는 거름망 및 상기 통수구의 출구측으로 구비되는 악취방지유닛을 포함하는 빗물받이를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또한, 빗물받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악취방지유닛의 일측부를 내부로 접는 제1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접혀진 부분 내측에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외측에 고정용지그를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고정용지그에 고정된 악취방지유닛을 제2거푸집에 고정하는 제4단계, 몸체부 형상의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제5단계,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과 상기 고정용지그를 제거하여 상기 몸체부와 분리벽을 형성하는 제6단계, 상기 고정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접혀진 부분을 외측으로 펴는 제7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내측에 변형방지부재를 삽입하는 제8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일측부에 악취방지판을 힌지에 의해 결합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악취방지유닛이 돌출되지 않은 후면 분리벽에 거름망을 결합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빗물받이 제조방법을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합류식 하수관로에 적용하여도 오수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하고, 집중호우에 의해 하수본관이 역류하여도 빗물받이로 우수 또는 오수가 역류하여 도로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받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집수통에 형성된 유도판 및 거름부재를 통해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되어 통수구를 통해 악취방지부재로 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집수통에 배출구를 구성하여 빗물 이외의 쓰레기가 유입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단면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단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름망의 측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악취방지유닛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의 단면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악취방지판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관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관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0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관, 필터 및 인서트관의 결합개요도 및 단면도.
도 1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1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관의 결합단계에 관한 개요.
도 13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14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15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사시도.
도 16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집수통의 단면도.
도 17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집수통의 사용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단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름망의 측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악취방지유닛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의 단면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악취방지판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관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관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0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관, 필터 및 인서트관의 결합개요도 및 단면도.
도 1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1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관의 결합단계에 관한 개요.
도 13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14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15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사시도.
도 16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집수통의 단면도.
도 17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집수통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선된 빗물받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개선된 빗물받이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을 집수부(40)와 배수부(41)로 구분하는 분리벽(11), 상기 분리벽(11)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수구(20), 상기 배수부(41)의 내부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21), 상기 집수부(40)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과형뚜껑(30), 상기 배수부(41)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밀폐형뚜껑(31), 상기 통수구(20)의 입구측에 결합되는 거름망(60) 및 상기 통수구(20)의 출구측으로 구비되는 악취방지유닛(5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몸체부(10)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의 일 실시 예로 바닥판과 4면의 외벽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baske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지면에 매립되어 우수를 수용할 수 있을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우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PVC, 스테인리스 합금, 시멘트, 시멘트에 골재 등을 혼합하는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러 소재들 중에서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유지비가 높지 않고, 시공이 비교적 간단한 콘크리트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빗물받이의 외형을 이루며, 후술하는 분리벽(11), 누수구(22) 및 배수구(21) 등이 형성되는 틀을 이룬다.
상기 분리벽(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을 집수부(40)와 배수부(41)로 구분한다. 분리벽(11)은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위치하며, 집수부(40)와 배수부(41)를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칸막이 벽체로써, 몸체부(10)와 함께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형성되거나 이미 형성된 몸체부(10)에 상기 분리벽(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통수구(20)는 분리벽(11)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통수구(20)는 집수부(40)와 배수부(41)의 연결통로로써, 집수부(40)에 모인 우수를 배수부(41)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통수구(20)는 분리벽(11)의 어느위치에나 형성될 수 있으나, 집수부(40)에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들이 배수구(21)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1차적 수단으로, 바닥면보다 높은 부분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수구(2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다각형의 형상은 제작이 어렵고, 협잡물 또는 이물질이 끼어 유지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수구(20)의 개구부 앞뒤로 후술하는 악취방지유닛(50)과 거름망(60)이 설치된다.
상기 집수부(40)는 몸체부(10) 내부공간 중 도로의 우수가 집수되는 공간이다. 집수부(40)의 개방된 상측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과형뚜껑(30)이 위치할 수 있다. 뚜껑없이 개방되어 있다면, 우수 뿐만 아니라 크기가 큰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들어와 빗물받이 자체의 파손 우려가 있으며, 본 빗물받이는 도로에 매립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사람이나 차량이 밟고 지나갈 수 있어야 하므로 상부의 개방을 막을 수 있는 뚜껑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체는 통과할 수 있되 크기가 큰 이물질은 차단할 수 있고 사람이나 차량 등이 밟아도 파손되지 않는 투과형뚜껑(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과형뚜껑(30)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되 격자형태로 엮어 형성할 수 있으며, 상용화된 그레이팅을 사용할 수 있다. 그레이팅은 옥외 빗물받이 등의 뚜껑에 쓰이는 격자 모양의 철물로써, 주철제가 일반적이며, 차량 등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집수부(40)의 하부에는 통수구(20)를 통해 배수부(41)로 월류되고 남은 빗물이 지중으로 누수될 수 있는 누수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구(22)는 집수부(40)의 하부면에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누수관(80) 등이 결합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41)는 집수부(40)에서 통수구(20)를 통해 흘러 넘어온 우수를 하수본관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공간이다. 배수부(41)의 개방된 상측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밀폐형뚜껑(31)이 위치할 수 있다. 배수부(41)의 원활한 점검과 침전된 슬러지 또는 협잡물 등의 제거를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바 상부를 막을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우수 등 외부의 유체는 상기 집수부(40)를 통해서만 배수부(41)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배수부(41) 상부에 위치한 뚜껑은 밀폐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부(41) 내부는 밀폐되어 내부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밀폐형뚜껑(31)이 개방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밀폐형뚜껑(31)을 고정결합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중호우 시 하수본관의 우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1)는 상기 배수부(41)의 내부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본 빗물받이의 본래 목적은 우수를 하수본관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써, 배수부(41)에 모인 우수를 배수구(21)를 통해 하수본관으로 전달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구(21)와 하수본관 사이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21)에 배수관과 연결이 수월하도록 커넥터 또는 연결소켓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부(41)에 모인 우수가 배수관을 통해 하수본관으로 잘 전달될 수 있기 위해, 배수부(41)의 바닥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동력원을 통해 하수본관으로 우수 등의 유체를 전달할 수 있으나, 이는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바,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바닥과 가까운 내벽에 배수구(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벽이 아닌 바닥면에 직접 배수구(21)가 형성될 수 있으나, 우수 외에 협잡물 등의 이물질도 함께 배수부(41)로 넘어오면, 배수관이 막힐 우려가 있어,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하여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자명할 것이다.
상기 거름망(60)은 집수부(40)에서 협잡물 등이 배수부(41)로 흘러넘어가지 못하게 막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통수구(20)의 입구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수구(20)의 집수부(40) 방향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거름망(60)은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는 작은 투수공(64)을 다수 포함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수에 의해 부식되거나, 기타 협잡물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스테인리스, PVC 등 부식에 강한 경질의 소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거름망(60)의 일 실시 예로써,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벽(11)에 밀착결합할 수 있는 안착면과, 안착면 상부에서부터 일정 경사면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다수의 투수공(64)이 형성되는 상면부(61), 일단은 상기 상면부(61)와 맞닿고 타단은 안착면의 하부와 맞닿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다수의 투수공(64)이 형성되는 하면부(62) 및 상면부(61)와 하면부(62)에 맞닿고 일단은 안착면의 좌우와 맞닿게 형성되는 2개의 측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은 모서리에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어, 분리벽(11)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60)의 형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부(61)와 하면부(62)로 구분하고 경사지도록 형성한 목적은 우수와 함께 유입된 협잡물이 수위의 변화에 의하여 거름망(6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의 통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악취방지유닛(50)은 하수본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배수부(41)를 통해 집수부(40)로 넘어오지 못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써, 통수구(20)의 출구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수구(20)의 내측면에 앵커부(51)가 매립되고 배수부(41)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개구부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앵커부(51)가 상기 통수구(20) 내측 분리벽(11)에 매립되어 위치하고, 타측 개구부는 상기 배수부(41)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힌지(54)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힌지(54)와 결합되어 배수부(41)측 개구부를 덮는 악취방지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은 빗물받이를 제작할 때 분리벽(11) 통수구(20)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어, 상기 통수구(20)에 매립되는 일측 개구부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앵커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부(51)는 통수구(20) 내부 벽체에 매립되어 수밀성을 유지하고 악취방지유닛(50)이 분리벽(11)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앵커부(51)의 단면부를 보면 분리벽(11)과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41)측 개구부의 외주연 일측에는 후술하는 악취방지판(70)과 결합하는 힌지(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54)는 악취방지유닛(50)과 악취방지판(70)이 결합되어 열고 닫힐 수 있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 예로는 상기 배수부(41)측 개구부의 외주연 일측에 핀홀이 형성된 브라켓을 2개 형성하고, 악취방지판(70)의 외주연 일측에도 상기 개구부측 브라켓과 대응되는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핀홀들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시킨후 고정핀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은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PVC 등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작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파손 방지를 위한 것이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 내부에 밀접하게 결합되는 경질의 변형방지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형방지부재(90)는 유연한 재질인 악취방지유닛(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악취방지유닛(50)의 형상을 유지시키며, 후술하는 악취방지판(70)과 밀접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변형방지부재(90)는 악취방지유닛(50)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우수 및 협잡물에 의한 부식과 파손이 방지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스테인리스, PVC, PE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변형방지부재(90)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변형방지부재(90)가 악취방지유닛(50)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방지부재(90)의 외경과 악취방지유닛(50)의 내경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이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악취방지유닛(5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방지부재(90)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방지부재(90)의 외경을 악취방지유닛(50)의 내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악취방지유닛(50)의 배수부(41)측 일단의 형상이 고정되어야 하므로,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변형방지부재(90)는 변형방지부재(90)의 일단과 악취방지유닛(50)의 배수부(41)측 일단이 서로 맞도록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형방지부재(90)가 악취방지유닛(50)의 끝자락에서 탈출할 우려가 있는바, 악취방지유닛(50)의 배수부(41)측 일단의 내주연에 걸림턱(52)을 형성하여 변형방지부재(90)가 악취방지유닛(50)에서 탈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걸림턱(52)이 너무 클 경우에는 통수에 제약이 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상기 변형방지부재(90)의 두께만큼만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방지판(70)은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힌지(54)와 결합되어 배수부(41)측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악취방지판(70)은 하수본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배수부(41)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집수부(40)와 배수부(41)는 우수는 통과하고 악취는 방지해야 하므로 상기 힌지(54, 71)로 결합되어 개방과 폐쇄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악취방지판(70)은 악취방지유닛(5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을 면적의 플레이트와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힌지(54)와 결합할 수 있는 힌지(7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관계는 상술한 것처럼 고정핀에 의해 악취방지유닛(50)과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관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취방지판(70)이 중력에 의해 악취방지유닛(50)과 밀접하게 맞닿아야 하고, 우수에 의해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악취방지유닛(50)의 배수부(41)측 개구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일측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술한 변형방지부재(90)의 일측부도 악취방지유닛(50)의 경사면과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방지판(70)의 주된 목적은 악취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악취방지유닛(50)과의 결합관계가 밀폐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배수부(41)측 개구부의 둘레에 밀폐링(53)을 수납할 수 있는 요홈을 형성하여 밀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링은 악취방지판(70)과 밀착되어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탄성을 가지면서도 내식성이 강한 실리콘, 합성고무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방지판(70)에 의해 집수부(40)와 배수부(41)사이는 밀폐를 이루므로 악취의 비산 뿐만 아니라, 집중호우 시에 의해 하수본관으로 부터 우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누수구(22)가 상기 집수부(40)의 내측 하부면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구(22)는 집수부(40)에 모인 우수가 배수부(41)로 전달되고, 남아있는 우수를 지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관통된 형태로만 사용하는 경우 몸체부(10)의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인서트관(22-1)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인서트관(22-1)은 누수구(22)의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관으로써, 상기 몸체부(10)를 형성할때 집수부(40) 하부면에 매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0)와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인서트관(22-1) 외부면에 하나 이상의 요철(22-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누수관(80)과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22-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서트관(22-1)은 우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아야 하므로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PVC, PE 등의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누수구(22)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누수공(81)이 형성되는 누수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수관(80)은 일정높이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배수부(41)측으로 우수가 1차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통수구(20)보다는 낮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상기 인서트관(22-1)과 결합하는 경우를 위해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8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누수관(80)은 누수구(22)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가 서서히 배수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누수관(80)의 높이가 필요한 이유는 집수부(40)에 협잡물, 모래, 슬러지 등이 채워져 누수구(22)가 막힐 수 있는 상황에서도 지중으로의 누수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누수관(80) 또한 우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아야 하므로, 스테인리스, PVC, PE 등의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수관(80)에 형성된 누수공(81)보다 작은 모래 또는 흙 등이 누수구(22)에 쌓여 막힐 수 있으므로, 누수관(80)의 외부를 감싸 일정 굵기 이상의 모래, 흙 등의 통과를 억제할 수 있는 필터(8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80-1)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누수관(80)의 외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누수관(80)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밴드(80-2) 등으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에 의한 개선된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빗물받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악취방지유닛(50)의 일측부를 내부로 접는 제1단계(S010),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접혀진 부분 내측에 고정부재(100)를 삽입하는 제2단계(S020),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외측에 고정용지그(110)를 고정하는 제3단계(S030), 상기 고정용지그(110)에 고정된 악취방지유닛(50)을 제2거푸집(120)에 고정하는 제4단계(S040), 몸체부(10) 형상의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12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제5단계(S050),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12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120)과 상기 고정용지그(110)를 제거하여 상기 몸체부(10)와 분리벽(11)을 형성하는 제6단계(S060), 상기 고정부재(100)를 제거하고,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접혀진 부분을 외측으로 펴는 제7단계(S070),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내측에 변형방지부재(90)를 삽입하는 제8단계(S080),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일측부에 악취방지판(70)을 힌지(54, 71)에 의해 결합하는 제9단계(S090) 및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이 돌출되지 않은 후면 분리벽(11)에 거름망(60)을 결합하는 제10단계(S100)를 포함한다.
도 11의 순서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단계(S010)에서는 원통형의 악취방지유닛(50)의 일측부를 내부로 접는다. 원통형의 악취방지유닛(50)은 하수본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배수부(41)를 통해 집수부(40)로 넘어오지 못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써, 후술하는 분리벽(11)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일측 개구부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앵커부(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측 개구부의 외주연 일측에는 후술하는 악취방지판(70)과 결합하는 힌지(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배수부(41)측으로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은 거푸집과 고정할 때, 거푸집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일측부를 내부로 접는 것으로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PVC 등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S020)에서는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접혀진 부분 내측에 고정부재(100)를 삽입한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접혀진 부분이 외부로 다시 펴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구성으로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혀진 부분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S030)에서는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외측에 고정용지그(11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용지그(110)는 후술하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이 있는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앵커부(51)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야 하므로, 앵커부(51)는 외부로 돌출되되 나머지 구성은 콘크리트에 닿지 않도록 고정용지그(11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상기 고정용지그(110)는 집수부(40)측 악취방지유닛(50) 외부에 결합되는 제1지그와 배수부(41)측 악취방지유닛(50) 외부에 결합되는 제2지그로 이루어져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지그 및 제2지그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 또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호 개방된 부분에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이 위치하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악취방지유닛(50)의 앵커부(51)가 제1지그 및 제2지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시켜야 한다. 또한, 제1지그 또는 제2지그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거푸집과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4단계(S040)에서는 상기 고정용지그(110)에 고정된 악취방지유닛(50)을 제2거푸집(120)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용지그(110)에 고정된 악취방지유닛(50)은 후술하는바와 같이 빗물받이 몸체부(10) 내부에 위치하는 분리벽(11)에 설치되는 것으로 분리벽(11) 형상의 제2거푸집(120)에 상기 고정용지그(110)에 고정된 악취방지유닛(50)을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그 또는 제2지그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홈과 대응되는 거푸집에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홈이 형성된 고정용지그(110)와 거푸집이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5단계(S050)에서는 몸체부(10) 형상의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120)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빗물받이의 외형을 이룬다. 몸체부(10)의 일 실시 예로 바닥판과 4면의 외벽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baske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거푸집은 상기 몸체부(10)를 형성할 수 있는 몰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은 분리벽(11)에 의해 집수부(40)와 배수부(41)로 구분되는바, 분리벽(11)을 이루는 제2거푸집(120)을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거푸집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구(21)와 하부면을 관통하는 누수구(22)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거푸집의 형상에서 배수부(41)측 일측면에 관통하는 배수구(21)를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집수부(40)측 하부면에 관통하는 누수구(22)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1)는 하수본관으로 연장되는 배수관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커넥터 또는 연결소켓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부(41)에 모인 우수가 배수관을 통해 하수본관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배수부(41)의 바닥과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수구(22)는 집수부(40)에 모인 우수가 배수부(41)로 전달되고, 남아있는 우수를 지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후술하는 누수관(80)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측 내주면에 나사산(22-3)이 형성된 인서트관(22-1)을 누수구(22)에 매립하여 상기 몸체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6단계(S060)에서는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12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120)과 상기 고정용지그(110)를 제거하여 상기 몸체부(10)와 분리벽(11)을 형성한다. 빗물받이 및 분리벽(11)을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단계로써, 상기 제1거푸집과 제2거푸집(12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후,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120)을 제거하고,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용지그(110)를 제거하여 몸체부(10)와 분리벽(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과 고정용지그(110)가 나사결합에 의할 경우 나사를 우선 제거하고 거푸집과 고정용지그(110)를 제거할 수 있다.
제7단계(S070)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00)를 제거하고,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접혀진 부분을 외측으로 편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일측 개구부가 배수부(41)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인바, 상기 고정부재(100)를 제거하고, 접혀진 부분을 외측으로 펴야한다.
제8단계(S080)에서는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내측에 변형방지부재(90)를 삽입한다. 상기 변형방지부재(90)는 악취방지유닛(50) 내부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연질의 악취방지유닛(5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악취방지유닛(50)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우수 및 협잡물에 의한 부식과 파손이 방지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스테인리스, PVC, PE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변형방지부재(9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변형방지부재(90)가 악취방지유닛(50)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방지부재(90)의 외경과 악취방지유닛(50)의 내경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이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악취방지유닛(5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방지부재(90)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방지부재(90)의 외경을 악취방지유닛(50)의 내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변형방지부재(90)가 악취방지유닛(50)의 끝자락에서 탈출할 우려가 있는바, 악취방지유닛(50)의 배수부(41)측 일단의 내주연에 걸림턱(52)을 형성하여 변형방지부재(90)가 악취방지유닛(50)에서 탈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걸림턱(52)이 너무 클 경우에는 통수에 제약이 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상기 변형방지부재(90)의 두께만큼만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9단계(S090)에서는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일측부에 악취방지판(70)을 힌지(54, 71)에 의해 결합한다. 상기 악취방지판(70)은 악취방지유닛(50)의 힌지(54, 71)와 결합되어 하수본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배수부(41)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상기 악취방지판(70)은 악취방지유닛(5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의 플레이트와 상기 악취방지유닛(50)과 결합할 수 있는 힌지(7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개구부 외주연 일측에 핀홀이 형성된 브라켓을 2개 형성하고, 악취방지판(70)의 외주연 일측에도 상기 개구부측 브라켓과 대응되는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핀홀들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시킨 후 고정핀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결합관계는 상술한 것처럼 고정핀에 의해 악취방지유닛(50)과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관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취방지판(70)이 중력에 의해 악취방지유닛(50)과 밀접하게 맞닿아야 하고, 우수에 의해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악취방지유닛(50)의 배수부(41)측 개구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일측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술한 변형방지부재(90)의 일측부도 악취방지유닛(50)의 경사면과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방지판(70)의 주된 목적은 악취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악취방지유닛(50)과의 결합관계가 밀폐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의 배수부(41)측 개구부의 둘레에 밀폐링(53)을 수납할 수 있는 요홈을 형성하여 밀폐링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링은 악취방지판(70)과 밀착되어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탄성을 가지면서도 내식성이 강한 실리콘, 합성고무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제10단계(S100)에서는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이 돌출되지 않은 후면 분리벽(11)에 거름망(60)을 결합한다. 상기 거름망(60)은 집수부(40)에서 협잡물 등이 배수부(41)로 흘러넘어가지 못하게 막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이 돌출되지 않은 후면 분리벽(11) 즉, 집수부(40)측 분리벽(11)에 결합될 수 있다. 거름망(60)은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는 작은 투수공(64)을 다수 포함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수에 의해 부식되거나, 기타 협잡물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스테인리스, PVC 등 부식에 강한 경질의 소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망(60)의 일 실시 예로써,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벽(11)에 밀착결합할 수 있는 안착면과, 안착면 상부에서부터 일정 경사면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다수의 투수공(64)이 형성되는 상면부(61), 일단은 상기 상면부(61)와 맞닿고 타단은 안착면의 하부와 맞닿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다수의 투수공(64)이 형성되는 하면부(62) 및 상면부(61)와 하면부(62)에 맞닿고 일단은 안착면의 좌우와 맞닿게 형성되는 2개의 측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의 모서리에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분리벽(11)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60)의 형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부(61)와 하면부(62)로 구분하고 경사지도록 형성한 목적은 우수와 함께 유입된 협잡물이 수위의 변화에 의하여 거름망(6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의 통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외부면에 다수의 누수공(81)이 형성되는 누수관(80)을 상기 누수구(22)와 결합하는 제11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수관(80)은 일정높이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배수부(41)측으로 우수가 1차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통수구(20)보다는 낮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수구(22)에 인서트관(22-1)을 포함하여 몸체부(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서트관(22-1)과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82)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누수관(80)과 인서트관(22-1)은 우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아야 하므로, 스테인리스, PVC, PE 등의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수관(80)에 형성된 누수공(81)보다 작은 모래 또는 흙 등이 누수구(22)에 쌓여 막힐 수 있으므로, 누수관(80)의 외부를 감싸 일정 굵기 이상의 모래, 흙 등의 통과를 억제할 수 있는 필터(80-1)를 누수관(80)의 외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80-1)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누수관(80)의 외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누수관(80)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밴드(80-2) 등으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집수부(40) 상측에는 그레이팅과 같은 격자형태의 투과형뚜껑(30)을 결합하고, 배수부(41) 상측에는 배수부(41)를 밀폐할 수 있는 밀폐형뚜껑(31)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써, 개선된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빗물받이의 제조방법과의 일부 단계에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가 있는 단계만 비교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단계(S010) 전에, 몸체부(10) 형상의 제1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몸체부(10)를 형성하는 제0단계(S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은 몸체부(10)의 제1거푸집과 분리벽(11)의 제2거푸집(120)을 결합하여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나, 본 실시 예에서는 몸체부(10)와 분리벽(11)을 별개로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몸체부(10) 형상의 제0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의 형상은 상술한 것처럼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basket)형상으로 형성되되 배수부(41)측 일측면에 배수구(21)를 포함할 수 있고, 집수부(40)측 하부면에 누수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1)에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넷터 또는 연결소켓이 형성될 수 있으며, 누수구(22)에는 누수관(80)과의 결합을 위한 인서트관(2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단계(S050)와 제6단계(S060)에 대응되는 단계로써,
상기 악취방지유닛(50)이 고정된 제2거푸집(120)을 상기 몸체부(10)에 설치하는 제5-1단계(S051)와 상기 제2거푸집(12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상기 제2거푸집(120)과 상기 고정용지그(110)를 제거하여 분리벽(11)을 형성하는 제6-1단계(S061)로 치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몸체부(10)와 분리벽(11)이 따로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10)에 분리벽(11) 형상의 제2거푸집(120)을 결합하여 결합하는 단계로 치환되는 것이다. 그 외의 단계는 상술한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상술한 빗물받이는 분리벽(11)에 의해 집수부(40)와 배수부(41)를 구분하는 것으로 상술한 것처럼 하나의 분리벽(11)에 의해 하나의 집수부(40)와 하나의 배수부(41)로 구분하여 실시할 수도 있으나, 2개의 분리벽(11)을 형성하여 각 분리벽(11) 외측에 집수부(40)를 두고 분리벽(11) 내부에 배수부(41)를 두어 2개의 집수부(40)와 하나의 배수부(41)를 형성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상술한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도 적용되어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는, 상기 거름망(60) 대신에 집수통(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집수통(130)은, 상기 통수구(20) 상부의 분리벽(11)과 접하여 설치되는 전면부재(131)와, 상기 집수부(40)의 내벽과 접하여 설치되는 후면부재(133), 상기 전면부재(131)와 후면부재(133)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부재(135)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부재(135)는 하부에 단턱(137)을 형성하여 집수통(130)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측면부재(135) 하측에서 전면부재(131)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되는 빗물유출통로(1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통(130)은 빗물장치 내의 집수부(40) 내측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수용하고 통수구(20)를 통해 배수부(41)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면부재(131)와 후면부재(133) 및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재(135)를 통해 상기 투과형뚜껑(30)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집수통(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부재(135)는 하부로 연장되면서 하부에 단턱(137)을 형성하여 측면부재(135)가 집수통(130)의 내측을 향해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37)은 빗물유출통로(140)가 통수구(20)를 통해 악취방지유닛(50)과 연결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악취방지유닛(5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빗물유출통로(140)를 구성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재(135)는, 상기 후면부재(133)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면부재(131)를 향해 하향 경사지며, 집수통(130)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턱(137)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재(135)는 후면부재(133) 하부로부터 전면부재(131)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후술하는 유도판(160)과 유사한 각도 또는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게 될 수 있으며, 이후 집수통(130)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술한 단턱(137)과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전면부재(131), 후면부재(133) 및 측면부재(135)로 구성되는 집수통(130)은 스테인리스나 PVC 등 부식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부재(131)는 측면부재(135)에 형성되는 단턱(137)에 따라 상측은 사각형상을 가지며 하측은 좁은 폭을 가진 사각형상을 이루다가 반원형상의 하부면을 이루는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전면부재(131)와 후면부재(133)는 각각 집수부(40)의 내측면과 결합되기 위하여 볼트너트 등의 결합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집수부(40) 내측면과 접하여 볼트로 고정되기 위한 볼트관통홀(139)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빗물유출통로(140)는, 후면부가 폐쇄되어 유입되는 빗물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면부는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통수구(20)를 통해 악취방지유닛(50)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141)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악취방지유닛(50)과의 상호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빗물유출통로(140)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이 연결부재(141)를 통해 연결되는 악취방지유닛(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유출통로(140)는 상기 측면부재(135)의 하측에 설치되며, 후면부에서 전면부를 향해 하부로 경사지면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는 구성이다. 상기 빗물유출통로(140)의 하부면은 빗물이 잘 모여 악취방지유닛(50)으로 전달되기 위하여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부를 향해 하부로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입되는 빗물이 용이하게 통수구(2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면부재(131) 일측으로부터 상기 빗물유출통로(140)의 후면부 상측까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며, 복수개의 빗물유입홀이 형성되는 거름부재(150) 및 상기 후면부재(133) 일측으로부터 상기 거름부재(150)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유도판(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판(160)은 후면부재(133)의 하단부로부터 거름부재(150)를 향해 상기 측면부재(135)의 경사부와 같은 경사각을 가지며 하부로 연장 설치되되, 상기 빗물유출통로(140)의 후단부보다 거름부재(150)를 향하여 더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름부재(150)는 다수의 유입홀이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많은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거름부재(150)를 쉽게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부재(131)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빗물유출통로(140)의 후면부 상측까지 연장 설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거름부재(150)는 후면부 하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연장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후술하는 배출구(170)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등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후면부재(133) 일측으로부터 상기 거름부재(150)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유도판(16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판(160)의 경사각은 측면부재(135)의 경사부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판(160)은 투과형뚜껑(3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배출구(170)로 유입되지 않고 거름부재(150)에 집중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후면부재(133)로부터 거름부재(150)를 향해 경사면을 가지되, 상기 빗물유출통로(140)의 후단부보다 상기 거름부재(150)를 향햐여 더 연장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유입되는 빗물은 유도판(160)을 통해 거름부재(150)로 집중되고, 거름부재(150)의 빗물유입홀을 통해 집수통(130)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빗물유출통로(140)의 후면부 상측으로부터 상기 집수통(130)의 후면부재(133) 하측까지 형성되는 배출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170)는 집수통(130)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 이외에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기타물질(예를 들어, 쓰레기 등)이 집수통(130) 내부 바닥에 분리되어 쌓여 빗물의 유출을 방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빗물유출통로(140) 후면부는 폐쇄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170)는 상기 빗물유출통로(140) 후방으로부터 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집수통(130)의 후면부재(133)까지의 공간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배출구(170)는 경사각을 가지는 거름부재(150)의 끝단과 연결 구성됨으로써 유입된 쓰레기 등이 거름부재(150)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배출구(170)를 통해 바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몸체부 11 : 분리벽
20 : 통수구 21 : 배수구
22 : 누수구 22-1 : 인서트관
22-2 : 요철 22-3 : 나사산(인서트관)
30 : 투과형뚜껑 31 : 밀폐형뚜껑
40 : 집수부 41 : 배수부
50 : 악취방지유닛 51 : 앵커부
52 : 걸림턱 53 : 밀폐링
54 : 힌지(몸체부) 60 : 거름망
61 : 상면부 62 : 하면부
63 : 측면부 64 : 투수공
70 : 악취방지판 71 : 힌지(악취방지판)
80 : 누수관 80-1 : 필터
80-2 : 밴드 81 : 누수공
82 : 나사산(누수관) 90 : 변형방지부재
100 : 고정부재 110 : 고정용지그
120 : 제2거푸집
130 : 집수통 131 : 전면부재
133 : 후면부재 135 : 측면부재
137 : 단턱 139 : 볼트관통홀
140 : 빗물유출통로 141 : 연결부재
150 : 거름부재 160 : 유도판
170 : 배출구
20 : 통수구 21 : 배수구
22 : 누수구 22-1 : 인서트관
22-2 : 요철 22-3 : 나사산(인서트관)
30 : 투과형뚜껑 31 : 밀폐형뚜껑
40 : 집수부 41 : 배수부
50 : 악취방지유닛 51 : 앵커부
52 : 걸림턱 53 : 밀폐링
54 : 힌지(몸체부) 60 : 거름망
61 : 상면부 62 : 하면부
63 : 측면부 64 : 투수공
70 : 악취방지판 71 : 힌지(악취방지판)
80 : 누수관 80-1 : 필터
80-2 : 밴드 81 : 누수공
82 : 나사산(누수관) 90 : 변형방지부재
100 : 고정부재 110 : 고정용지그
120 : 제2거푸집
130 : 집수통 131 : 전면부재
133 : 후면부재 135 : 측면부재
137 : 단턱 139 : 볼트관통홀
140 : 빗물유출통로 141 : 연결부재
150 : 거름부재 160 : 유도판
170 : 배출구
Claims (16)
-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을 집수부와 배수부로 구분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배수부의 내부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집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과형뚜껑;
상기 배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밀폐형뚜껑;
상기 통수구의 입구측에 결합되는 거름망;
상기 통수구의 출구측으로 구비되는 악취방지유닛; 및
상기 집수부의 내측 하부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누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망은,
상기 분리벽에 밀착결합될 수 있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상부에서부터 일정 경사면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상면부와, 일단은 상기 상면부와 맞닿고 타단은 상기 안착면의 하부와 맞닿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하면부와,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 맞닿고 일단은 상기 안착면의 좌우와 맞닿게 형성되는 2개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방지유닛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개구부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앵커부가 상기 통수구 내측의 상기 분리벽에 매립되어 위치하고, 타측 개구부는 상기 배수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힌지에는 상기 배수부 측 개구부를 덮는 악취방지판이 결합되는 빗물받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구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누수공이 형성되는 누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경질의 변형방지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변형방지부재는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내부에 밀접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 빗물받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악취방지유닛의 일측부를 내부로 접는 제1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접혀진 부분 내측에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외측에 고정용지그를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고정용지그에 고정된 악취방지유닛을 제2거푸집에 고정하는 제4단계;
몸체부 형상의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제5단계;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상기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과 상기 고정용지그를 제거하여 상기 몸체부와 분리벽을 형성하는 제6단계;
상기 고정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접혀진 부분을 외측으로 펴는 제7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내측에 변형방지부재를 삽입하는 제8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일측부에 악취방지판을 힌지에 의해 결합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악취방지유닛이 돌출되지 않은 후면 분리벽에 거름망을 결합하는 제10단계; 를 포함하는 빗물받이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구와 하부면을 관통하는 누수구를 포함하고,
외부면에 다수의 누수공이 형성되는 누수관을 상기 누수구와 결합하는 제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제조방법.
- 빗물받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몸체부 형상의 제1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몸체부를 형성하는 제0단계;
원통형의 악취방지유닛의 일측부를 내부로 접는 제1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접혀진 부분 내측에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외측에 고정용지그를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고정용지그에 고정된 악취방지유닛을 제2거푸집에 고정하는 제4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이 고정된 제2거푸집을 상기 몸체부에 설치하는 제5-1단계;
상기 제2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상기 제2거푸집과 상기 고정용지그를 제거하여 분리벽을 형성하는 제6-1단계;
상기 고정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접혀진 부분을 외측으로 펴는 제7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내측에 변형방지부재를 삽입하는 제8단계;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일측부에 악취방지판을 힌지에 의해 결합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악취방지유닛이 돌출되지 않은 후면 분리벽에 거름망을 결합하는 제10단계; 를 포함하는 빗물받이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0단계에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구와 하부면을 관통하는 누수구를 포함하고,
외부면에 다수의 누수공이 형성되는 누수관을 상기 누수구와 결합하는 제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제조방법.
-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을 집수부와 배수부로 구분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수구;
상기 배수부의 내부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집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과형뚜껑;
상기 배수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되, 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밀폐형뚜껑;
상기 통수구의 입구측에 결합되는 집수통; 및
상기 통수구의 출구측으로 구비되는 악취방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통은,
상기 통수구 상부의 분리벽과 접하여 설치되는 전면부재와, 상기 집수부의 내벽과 접하여 설치되는 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부재는 하부에 단턱을 형성하여 집수통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측면부재 하측에서 전면부재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되는 빗물유출통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출통로는,
후면부가 폐쇄되어 유입되는 빗물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면부는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통수구를 통해 악취방지유닛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 일측으로부터 상기 빗물유출통로의 후면부 상측까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며, 복수개의 빗물유입홀이 형성되는 거름부재;
상기 후면부재 일측으로부터 상기 거름부재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출통로의 후면부 상측으로부터 상기 집수통의 후면부재 하측까지 형성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방지유닛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개구부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앵커부; 가 상기 통수구 내측 분리벽에 매립되어 위치하고,
타측 개구부는 상기 배수부측으로 연장 형상되며,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힌지; 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방지유닛의 힌지와 결합되어 배수부측 개구부를 덮는 악취방지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후면부재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면부재를 향해 하향 경사지며, 집수통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턱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30017 | 2019-03-15 | ||
KR1020190030017 | 2019-03-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0142A KR20200110142A (ko) | 2020-09-23 |
KR102200336B1 true KR102200336B1 (ko) | 2021-01-11 |
Family
ID=7270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7225A KR102200336B1 (ko) | 2019-03-15 | 2019-12-13 |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33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9125B1 (ko) * | 2022-09-05 | 2022-12-19 | 그린원에너지(주) | 이물질 막힘 방지기능과 경사면을 이용한 이물질 수거기능을 갖는 용수안내수로 |
KR102646221B1 (ko) * | 2023-02-20 | 2024-03-08 | 정지훈 | 옹벽용 배수관 세트 및 그 제조 방법 |
KR102604594B1 (ko) * | 2023-02-21 | 2023-11-20 | 이경우 | 배수구 악취 차단장치 |
CN116936419B (zh) * | 2023-09-13 | 2023-12-01 | 上海普达特半导体设备有限公司 | 半导体工艺设备及其升降密封门机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7608B1 (ko) * | 2006-07-14 | 2006-10-27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
KR100983160B1 (ko) * | 2010-03-22 | 2010-09-20 | (주)보성건영 |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
KR101715262B1 (ko) * | 2016-04-12 | 2017-03-10 | 최승선 |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
KR200485881Y1 (ko) * | 2017-04-14 | 2018-03-07 | 이장석 |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7429B1 (ko) | 2007-04-13 | 2008-06-12 | 차창식 | 빗물받이 집수정용 악취방지장치 |
KR101956452B1 (ko) * | 2017-06-26 | 2019-06-24 | 박지운 |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비점오염 여과기능을 갖는 집수정 |
-
2019
- 2019-12-13 KR KR1020190167225A patent/KR1022003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7608B1 (ko) * | 2006-07-14 | 2006-10-27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
KR100983160B1 (ko) * | 2010-03-22 | 2010-09-20 | (주)보성건영 |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
KR101715262B1 (ko) * | 2016-04-12 | 2017-03-10 | 최승선 |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
KR200485881Y1 (ko) * | 2017-04-14 | 2018-03-07 | 이장석 |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0142A (ko) | 2020-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0336B1 (ko) |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 |
US20040184884A1 (en) | Storm water chamber for ganging together multiple chambers | |
KR101051388B1 (ko) | 맨홀 커버 조립체 | |
KR100961152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 |
AU2010273166A1 (en) |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 |
KR20170140833A (ko) | 도로 배수구용 빗물 처리장치 | |
KR100918431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 |
RU2634952C1 (ru) |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и очистки ливневой сточной воды | |
KR100947986B1 (ko) | 다용도 조립식 오수받이 맨홀 | |
KR20150091603A (ko) |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 |
US2006007630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unoff of grease and similar effluents from restaurants and like facilites | |
KR101283922B1 (ko) |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 |
KR100659400B1 (ko) |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 |
KR101437956B1 (ko) | 수질 개선을 위한 조립식 맨홀 | |
KR100655740B1 (ko) | 역류 및 악취방지맨홀 | |
KR20090108277A (ko) | 배수트랩 | |
KR20190076949A (ko) |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 |
KR101037683B1 (ko) | 하수도 악취 누출 방지 장치 | |
KR100883586B1 (ko) |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 |
CN204530765U (zh) | 具备雨水收集装置的检查井 | |
KR101562759B1 (ko) | 우수토실용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 |
KR100733608B1 (ko) |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 |
KR100758714B1 (ko) | 2중으로 형성된 맨홀커버 | |
KR200399673Y1 (ko) | 빗물 저장탱크 | |
KR200458187Y1 (ko) | 개폐식 집수구 커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