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262B1 -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262B1
KR101715262B1 KR1020160044541A KR20160044541A KR101715262B1 KR 101715262 B1 KR101715262 B1 KR 101715262B1 KR 1020160044541 A KR1020160044541 A KR 1020160044541A KR 20160044541 A KR20160044541 A KR 20160044541A KR 101715262 B1 KR101715262 B1 KR 101715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le
connection unit
shield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102016004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는,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 내에서 경사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절곡되어 하수본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내측에 유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Connector-Integrated Street Inlet and Installing Jig for the Same, and Street Inle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본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며, 연결관의 각도 변경이 자유롭게 하는 동시에 연결부의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가 일체화된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오수관거와 우수관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오수관거와 우수관거의 분리 여부에 따라 합류식 및 분류식 하수관거로 구분된다.
이 분류식 하수관거에서 우수관거는 빗물, 지표수 등을 배수하도록 구성되며, 주로 차도의 양측에 빗물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빗물받이에 집수된 우수는 지하에 매설된 우수관거를 통하여 하천으로 배수된다.
통상적으로 하수본관은 빗물받이로부터 집수된 빗물을 용이하게 유입시키고 유입된 빗물을 하천으로 쉽게 배출하기 위하여 빗물받이 보다 지표면에서 더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배관된다. 이에 따라 빗물받이의 배출구와 하수본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은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빗물받이와 연결관의 연결은 통상 빗물받이의 측면에 사전에 천공 형성된 접속구에 연결관을 끼우고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근래 빗물받이 연결구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빗물받이가 설치된 지반을 약화시키고 나아가 토사가 유출되어 싱크홀이 형성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빈발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 수립 및 관련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종래의 경우, 빗물받이에 사전 천공된 관통홀에 연결관의 일단부를 직접 삽입한 후 하수본관에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연결관을 빗물받이의 관통홀에 삽입한 후, 연결관과 관통홀의 빈틈에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시공을 마감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관통홀이 사전에 천공되므로, 현장에 공급되는 빗물받이 콘크리트 강도와 충진되는 모르타르의 강도가 달라 신구콘크리트 경계부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감 작업 및 시공이 끝난 후에도 빗물받이와 연결관의 연결부는 누수에 취약하며, 특히 연결관이 콘크리트관이 아닌 경우 하수관과 빗물받이의 선팽창계수 차이에 의하여 경계부 누수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091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빗물받이의 관통홀에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관을 쉽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결된 연결관의 각도 변경이 자유로우며, 연결부의 수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넥터가 일체화된 빗물받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설치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는,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 내에서 경사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절곡되어 하수본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내측에 유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빗물받이에 내설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앵커부와의 상대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유닛의 후단이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의 둘레면 사이에 구비되는 백업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백업링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 영역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영역보다 지름 감소율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와 연결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지수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는,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 내에서 경사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절곡되어 하수본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내측에 유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빗물받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방을 감싸며, 빗물받이 성형용 내측 몰드에 접하는 후방 차폐부와, 상기 후방 차폐부의 둘레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차폐유닛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을 차폐하며, 빗물받이 성형용 외측 몰드에 접하는 전방 차폐부와, 상기 전방 차폐부의 둘레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차폐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 사이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차폐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차폐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의 각도는 상기 후방 차폐부와 상기 제1연장부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차폐부에는 내측에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차폐부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가능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체결바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에는 상기 체결구에 걸려 상기 제2차폐유닛의 체결 깊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받이 제조방법은, 제1연결유닛의 몸체부를 감싸도록 제1차폐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차폐유닛의 체결구에 제1차폐유닛의 체결바를 체결하여 상기 제1연결유닛의 주변 영역을 차폐하되, 상기 제1연결유닛의 앵커부는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차폐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바와 외측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차폐유닛에 내측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측 몰드 및 상기 내측 몰드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외측 몰드, 상기 내측 몰드, 상기 제1차폐유닛 및 상기 제2차폐유닛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연결유닛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홀에 제2연결유닛의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 몰드, 상기 내측 몰드, 상기 제1차폐유닛 및 상기 제2차폐유닛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1연결유닛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홀에 제2연결유닛의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유닛에 결속밴드를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몰드, 상기 내측 몰드, 상기 제1차폐유닛 및 상기 제2차폐유닛을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1연결유닛에 백업링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빗물받이의 관통홀과 하수본관에 경사지게 연결된 연결관을 연결함에 있어 연결부의 수밀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커넥터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종래 빗물받이와 연결관 접합 부위의 몰탈 작업 마감에 의한 누수에 의하여 빗물받이 부근에서 발생되는 지반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커넥터가 설치된 빗물받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제2연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과 제2연결유닛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커넥터의 가용 각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차폐유닛과 제1연결유닛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차폐유닛과 제1연결유닛을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측 몰드를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측 몰드를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측 몰드와 내측 몰드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진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빗물받이 제조를 위해 설치된 각 구성요소를 분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에 결속밴드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과 제2연결유닛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에 백업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연결유닛에 지수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연결유닛에 연결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커넥터를 각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커넥터가 설치된 빗물받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받이는 본체(1)와, 제1연결유닛(100) 및 제2연결유닛(150)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연결유닛(100)은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S)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유닛(150)에는 하수본관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관(10)이 접속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외주면과 관통홀(S)의 둘레면 사이에는 지수를 위한 백업링(180)이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빗물받이용 커넥터의 제1연결유닛(100) 및 제2연결유닛(15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 있어, 상기 제1연결유닛(100)과 상기 제2연결유닛(150)이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본체(1)의 외측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상기 본체(1)의 내측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유닛(100)은 전술한 본체(1)의 관통홀(S)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 삽입홀(102)이 형성된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도가 낮아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재질로는 고무, 연질PVC, 우레탄 등 다양한 연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나열된 재료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유연성을 가지는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관통홀(S) 내에서 경사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유닛(100)은,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본체(1)에 내설되는 앵커부(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앵커부(120)는 본체(1)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내에 매설된 형태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유닛(100)은 본체(1)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부(120)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본체(1) 타설용 콘크리트와의 결속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유닛(100)은 전체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앵커부(120)와의 상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밀돌기(116)를 포함한다. 상기 수밀돌기(116)는 이후 제2연결유닛(150)이 삽입홀(10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촉 면적을 넓혀 상기 제1연결유닛(100)과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12)와, 외주면에 돌출된 한 쌍의 고정돌기(1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112)는 제2연결유닛(150)이 삽입홀(10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후단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접속 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114)는 그 사이에 함몰홈을 형성하여 전술한 백업링(18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10)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이는 이후 제2연결유닛(150)의 결합 시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삽입에 따라 후단부가 확장되어 상기 제2연결유닛(1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10) 중 내경이 가장 작은 부분은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외경보다 약 10±3% 작은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무 등으로 형성된 제품이 상온에서 탄성을 잃지 않고 압축력이 유지될 수 있는 적합한 비율이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제2연결유닛(15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연결유닛(150)은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삽입홀(10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160) 및 접속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60)는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삽입홀(102) 내에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접속부(170)는 하수본관과 연결되는 연결관(10)에 접속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삽입부(160)로부터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내측에는 유동홀(152)이 형성되어, 이후 본체(1)로부터 연결관(10) 측으로 유체를 유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연결유닛(150)은 제1연결유닛(100)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PVC, PE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유닛(150)은 내부에 유동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부(170)는 상기 삽입부(160)를 기준으로 25˚ ~ 30˚의 각도를 두고 하측으로 기울어져 제작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이는 현재 시공되는 본체(1)와 연결관(10)의 접속각도가 이 범위에 가장 많이 속하기 때문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100)과 제2연결유닛(150)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유닛(150)의 삽입부(160)는 제1연결유닛(100)의 삽입홀(102) 내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삽입에 따라 후단부가 확장되어 상기 제2연결유닛(1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후단부는,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걸림돌기(112)의 위치에 걸려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유닛(100)과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결합 과정 이전에는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결속밴드(130)가 미리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2연결유닛(150)과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연결유닛(100)과 제2연결유닛(150)을 포함하는 빗물받이용 커넥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연결유닛(100)의 변형에 의해 제1각도(θ1)만큼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유닛(150)은 삽입부(160)와 접속부(170)가 서로 제2각도(θ2)만큼 절곡되므로, 상기 연결관(10)은 상기 제2각도(θ2)에 상기 제1각도(θ1)의 가용 각도를 합산한 제3각도(θ3)만큼 경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연결유닛(100) 및 제2연결유닛(15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의 설치 과정을 포함하는 빗물받이의 제조 과정과, 이때 사용되는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빗물받이의 제조를 위해 도 8과 같이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를 감싸도록 제1차폐유닛(200)을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1차폐유닛(200)은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을 감싸며, 후술할 빗물받이 성형용 내측 몰드(40, 도 11 참조)에 접하는 후방 차폐부(220)와, 상기 후방 차폐부(220)의 둘레로부터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연장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장부(210)의 전단은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앵커부(120)의 내측에 접하여 앵커부(120)를 외측으로 노출시키며, 상기 앵커부(120)를 제외한 몸체부(110)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장부(210)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는 상기 제1연장부(210)의 전단이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앵커부(120)의 내측에 접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후 본체(1)의 관통홀(S) 둘레면에 경사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방 차폐부(220)에는 후술할 제2차폐유닛(250, 도 9 참조)의 체결홀(274)에 삽입 가능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체결바(230)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체결바(230)의 전단부에는 나사산(2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230)는 상기 제2차폐유닛(250)의 체결구(272)에 걸려 상기 제2차폐유닛(250)의 체결 깊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돌기(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유닛(100)에 제1차폐유닛(200)을 결합한 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차폐유닛(250)의 체결구(272)에 제1차폐유닛(200)의 체결바(230)를 체결하여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주변 영역을 차폐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2차폐유닛(250)은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의 전방을 차폐하며, 빗물받이 성형용 외측 몰드(30, 도 10 참조)에 접하는 전방 차폐부(270)와, 상기 전방 차폐부(270)의 둘레로부터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차폐부(270)와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 사이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26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차폐유닛(250)은 상기 제1차폐유닛(200)과 함께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앵커부(120)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연장부(260) 역시 상기 제1연장부(210)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전방 차폐부(270)와 상기 제2연장부(260) 사이의 각도는 상기 후방 차폐부(220)와 상기 제1연장부(210)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본체(1)의 관통홀(S)의 둘레면이 상기 앵커부(120)를 기준으로 전후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연결유닛(150)은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외주면에 접속되는 연결관(10)의 두께만큼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상기 관통홀(S)의 둘레면 중 상기 앵커부(120)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이 더 가파른 경사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몰드(30)를 결합하는 단계와, 내측 몰드(40)를 결합하는 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상기 외측 몰드(30) 및 내측 몰드(40)는 본체(1)의 재료가 되는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제조될 본체(1)의 외측 및 내측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먼저, 도 10과 같이 상기 제2차폐유닛(25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1차폐유닛(200)의 체결바(230)와 외측 몰드(30)를 결합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외측 몰드(30)에는 통과홀(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바(230)는 상기 통과홀(32)을 통과하여 돌출되고, 상기 체결바(230)의 끝단에 체결부재(240)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240)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바(230)의 나사산(234)에 치합되는 나사산(24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1과 같이 상기 제1차폐유닛(200)의 후방에 내측 몰드를 접하도록 구비한 뒤, 도 12와 같이 상기 외측 몰드(30) 및 상기 내측 몰드(4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콘크리트는 상기 제1차폐유닛(200) 및 상기 제2차폐유닛(25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으며, 다만 제1연결유닛(100)의 앵커부(120)가 상기 상기 제1차폐유닛(200) 및 상기 제2차폐유닛(250) 사이로 노출되어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고정된다.
콘크리트의 양생 이후, 도 13과 같이 상기 외측 몰드(30), 상기 내측 몰드(40), 상기 제1차폐유닛(200) 및 상기 제2차폐유닛(250)을 분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 몰드(30), 상기 내측 몰드(40), 상기 제1차폐유닛(200) 및 상기 제2차폐유닛(250)이 설치되었던 공간은 본체(1)의 관통홀(S)을 형성하게 되며, 제1연결유닛(100)은 본체(1)의 관통홀(S) 내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14와 같이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 외주면에 결속밴드(130)를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속밴드(130)를 제2연결유닛(150)의 연결 전에 미리 설치하는 이유는, 제1연결유닛(100)에 제2연결유닛(150)을 삽입한 이후에는 제1연결유닛(100)과 관통홀(S) 사이에 공간이 협소하여 삽입, 체결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2연결유닛(150)을 상기 제1연결유닛(100)에 삽입한 이후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삽입홀(102)에 제2연결유닛(150)의 삽입부(160)를 삽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삽입부(160)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은 확장되며 상기 삽입부(160)를 압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밴드(130)는 상기 제1연결유닛(100)과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유닛(100)에 백업링(180)을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백업링(180)은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외주면과 관통홀(S)의 둘레면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1) 내의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의 배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백업링(180)은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114) 사이에 정착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의 제조가 완료되며, 이후 빗물받이의 시공 시에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유닛(150)의 접속부(170)에 하수본관과 연결되는 연결관(10)을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 과정에서는 상기 연결관(10)을 상기 접속부(170)의 외측에 접속하기 전에 상기 접속부(170)의 외주면에 지수링(19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지수링(190)은 이후 상기 연결관(10)의 접속 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1연결유닛(100)의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형상이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몸체부(110) 하부 영역(B)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영역(A)보다 지름 감소율이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 영역(B)은 상부 영역(A)에 비해 큰 경사를 가지며, 이는 연결관(10)의 각도를 도 20과 같은 각도에서 도 21과 같은 각도로 상향 조절 시 제1연결유닛(100)의 내주면 하단부가 후방 측으로 기울어져 우수의 배출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1과 같이 연결관(10)의 각도를 상향 조절할 경우에도, 제1연결유닛(100)의 내주면 하단부는 후방 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1)의 바닥면에 추가적으로 높이보완층(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본체(1)의 바닥면 높이를 상기 제1연결유닛(100)의 내주면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만들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본체(1)의 바닥면에 우수가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보완층(2)은 모르타르로 타설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재료를 통해 상기 높이보완층(2)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본체 30: 외측몰드
40: 내측몰드 100: 제1연결유닛
110: 몸체부 120: 앵커부
130: 결속밴드 150: 제2연결유닛
160: 삽입부 170: 접속부
180: 백업링 190: 지수링
200: 제1차폐유닛 210: 제1연장부
220: 후방 차폐부 230: 체결바
250: 제2차폐유닛 260: 제2연장부
270: 전방 차폐부

Claims (16)

  1.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 내에서 경사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절곡되어 하수본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내측에 유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유닛;
    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빗물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밀돌기를 포함하는 빗물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유닛의 후단이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빗물받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의 둘레면 사이에 구비되는 백업링을 더 포함하는 빗물받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백업링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빗물받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 빗물받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 영역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영역보다 지름 감소율이 크게 형성된 빗물받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연결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지수링을 더 포함하는 빗물받이.
  9.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 내에서 경사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절곡되어 하수본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내측에 유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유닛; 을 포함하는 빗물받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방을 감싸며, 빗물받이 성형용 내측 몰드에 접하는 후방 차폐부와, 상기 후방 차폐부의 둘레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차폐유닛;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을 차폐하며, 빗물받이 성형용 외측 몰드에 접하는 전방 차폐부와, 상기 전방 차폐부의 둘레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전단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차폐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 사이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차폐유닛;
    을 포함하는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차폐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의 각도는 상기 후방 차폐부와 상기 제1연장부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차폐부에는 내측에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차폐부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가능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체결바가 형성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에는 상기 체결구에 걸려 상기 제2차폐유닛의 체결 깊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14. 제1연결유닛의 몸체부를 감싸도록 제1차폐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제2차폐유닛의 체결구에 제1차폐유닛의 체결바를 체결하여 상기 제1연결유닛의 주변 영역을 차폐하되, 상기 제1연결유닛의 앵커부는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차폐유닛의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바와 외측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차폐유닛에 내측 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측 몰드 및 상기 내측 몰드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외측 몰드, 상기 내측 몰드, 상기 제1차폐유닛 및 상기 제2차폐유닛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연결유닛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홀에 제2연결유닛의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빗물받이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몰드, 상기 내측 몰드, 상기 제1차폐유닛 및 상기 제2차폐유닛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1연결유닛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홀에 제2연결유닛의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유닛에 결속밴드를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빗물받이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몰드, 상기 내측 몰드, 상기 제1차폐유닛 및 상기 제2차폐유닛을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1연결유닛에 백업링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빗물받이 제조방법.
KR1020160044541A 2016-04-12 2016-04-12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KR10171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41A KR101715262B1 (ko) 2016-04-12 2016-04-12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41A KR101715262B1 (ko) 2016-04-12 2016-04-12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262B1 true KR101715262B1 (ko) 2017-03-10

Family

ID=5841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541A KR101715262B1 (ko) 2016-04-12 2016-04-12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142A (ko) * 2019-03-15 2020-09-23 최승선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10B1 (ko) 2007-12-26 2010-04-01 문봉철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시공방법
KR20110003637U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팔마 맨홀용 관 연결구
JP4970218B2 (ja) * 2007-11-08 2012-07-04 株式会社サンリツ 耐震可撓継手
KR20130124875A (ko) * 2012-11-05 2013-11-15 삼호콘크리트(주)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의 제작방법
KR20140061224A (ko) * 2013-08-29 2014-05-21 최승선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0218B2 (ja) * 2007-11-08 2012-07-04 株式会社サンリツ 耐震可撓継手
KR100950910B1 (ko) 2007-12-26 2010-04-01 문봉철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시공방법
KR20110003637U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팔마 맨홀용 관 연결구
KR20130124875A (ko) * 2012-11-05 2013-11-15 삼호콘크리트(주)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의 제작방법
KR20140061224A (ko) * 2013-08-29 2014-05-21 최승선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142A (ko) * 2019-03-15 2020-09-23 최승선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200336B1 (ko) * 2019-03-15 2021-01-11 최승선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262B1 (ko)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KR101902536B1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
JP4564857B2 (ja) 排水管路構造、排水管路の施工方法および排水管路施工セット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101424965B1 (ko) 수밀링 밀림 방지형 상하수도관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JP4851901B2 (ja) 建物の排水管配管構造および該配管構造の施工方法
KR200480536Y1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슬리브 구비한 빗물받이
GB2214255A (en) Pipe joint
US20110198845A1 (en) Box culvert gasket seal
JP6159295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KR101490720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CN208793812U (zh) 一种防渗预埋管
JP3820193B2 (ja) マンホール用の継手
JP2006161329A (ja)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JP2012046955A (ja) 縦樋雨水取出装置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JP3808750B2 (ja) 管継手内蔵止水可とう継手及びマンホールの接続構造
KR101080118B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구조
KR200482505Y1 (ko) 방수용 앵커볼트
JP6425322B1 (ja) 漏水防止型ドレン
KR100444623B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100520717B1 (ko) 건축용 우,오수 배수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