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720B1 -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720B1
KR101490720B1 KR20130140804A KR20130140804A KR101490720B1 KR 101490720 B1 KR101490720 B1 KR 101490720B1 KR 20130140804 A KR20130140804 A KR 20130140804A KR 20130140804 A KR20130140804 A KR 20130140804A KR 101490720 B1 KR101490720 B1 KR 10149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ing
fastening
branch pip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2013014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하수도의 주관에 형성된 천공홀에 가지관을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지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장부,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유연성을 가지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천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내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Coupler of Branch Pipe in Drainage System and Coupler of Branch Pipe in Drainage System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수도의 주관에 가지관을 연결시키는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압부에 의해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각도 조절이 용이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및 건축공사, 도로공사 등의 공사에는 우수 및 오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로 공사가 필수적이며, 하수관로는 크게 주관로와 가지관로로 구분된다.
주관로는 하수를 하천으로 배출하거나 하수처리시설인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운반하는 관로로서 보통 직경 300mm 이상의 하수관이 사용되며, 가지관은 주관로의 중간 불특정 지점에 연결되는 관로로서 새로이 신축되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신설되는 도로의 빗물받이 등에서 모아진 하수를 주관로로 합류시키거나 가지관의 이설, 증설 등으로 주관로에 접합되는 관로로 보통 직경 300mm 이하의 하수관이 사용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지관 접합방법은 주관로의 측면에 천공을 한 후 가지관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무리하는 방법과, 고무로 된 하수관 연결구를 천공된 주관로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로 마무리하는 방법의 경우, 콘크리트가 양생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기에 토사의 되메우기를 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부위가 변형되거나 콘크리트가 탈락되어 연결부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수가 지반으로 흘러나와 토사를 오염시키거나 지하수가 주관로로 침투하여 하수도의 용량이 부족해지거나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무로 된 하수관 연결구를 사용하는 방법의 경우, 상기 콘크리트로 마무리하는 방법에 비하여 상기의 문제점이 다소 감소되기는 하나, 이 방법 또한 수밀을 완전하게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수관으로는 콘크리트 제품인 흄관 외에 PVC관, PE관, 폴리머관, 유리섬유복합관 등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사용되는 하수관의 특성에 의한 외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서는 다양한 규격의 금형이 구비되어야 할 뿐 아니라 가지관이 주관로에 접속되는 각도의 조정이 어려워 가지관의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천공홀의 크기와 하수관 연결구 외경의 차이에 의해 하수관 연결구를 천공홀 중앙에 정확히 배치하기 어려운 단점도 나타난다.
정부에서 많은 예산을 들여 하수관거 정비공사를 시행하거나 예정하고 있는 이유는 관거의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의 품질을 향상시켜 하수의 유출 및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는데 현재의 방법으로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그러므로 하수관거의 시공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주관로와 가지관의 우수한 접합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62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동일한 호칭경의 가지관에 있어서 다양하게 공급되는 하수관 외경에 호환될 수 있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주관의 천공홀 중앙에 정확히 장착될 수 있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밀성이 우수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가지관 시공 시 접속각도 조정이 가능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가지관을 접합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하수도의 주관에 형성된 천공홀에 가지관을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지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장부,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유연성을 가지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천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내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고정력을 보강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외주면에 체결밴드가 체결되는 제2밴드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제2밴드체결부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밴드체결부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밴드의 체결에 따라 상기 압착부가 상기 주관의 외면에 가하는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에는 상기 주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압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제1고정랙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고정랙에 대응되는 제2고정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가지관의 일단이 걸리도록 형성된 가지관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지관에 접촉되어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수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체결밴드가 체결되는 제1밴드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끝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와 상기 걸림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와 상기 가압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은, 가지관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지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유연성을 가지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주관의 천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내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연장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고정력을 보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사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주관에 천공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에 상기 가압부 및 걸림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가압부를 상기 천공홀 둘레에 끼우는 단계, 상기 연장부의 둘레에 상기 고정링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공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체결밴드가 체결되는 제2밴드체결부와, 상기 제2밴드체결부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압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지관을 삽입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밴드체결부에 체결밴드를 체결하여 상기 압착부가 상기 주관의 외면에 가하는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동일한 호칭경의 가지관에 있어서 다양하게 공급되는 하수관 외경에 호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연결구가 주관로 천공홀 중앙에 정확히 장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주관의 천공홀과 연결구 본체 사이의 수밀성이 우수하며, 또한 주관의 외벽과 연결구의 밀착력이 증대되므로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가지관 시공 시 접속각도 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고정링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주관에 천공홀을 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가압부 및 걸림부를 주관의 천공홀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가압부를 천공홀 둘레에 끼운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고정링을 연장부의 둘레에 설치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고정링을 연장부의 둘레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중공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중공에 가지관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연장부의 제1밴드체결부에 체결밴드를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고정링의 제2밴드체결부에 체결밴드를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고정링의 제2밴드체결부에 체결밴드를 체결함에 따라 압착부가 주관의 외면을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가지관의 각도를 일 방향으로 조정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가지관의 각도를 다른 방향으로 조정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는 전체적으로 본관에 천공된 천공홀에 끼워지는 삽입영역(120)과 천공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영역(110)을 가진다. 상기 삽입영역(120)은 가압부(126)와, 걸림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영역(110)은 연장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12)는 내부에 가지관이 삽입되는 중공(S)이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가지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지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112)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지관에 접촉되어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수밀돌기(118)가 형성되며, 또한 연장부(112)의 외주면에는 체결밴드가 체결되는 제1밴드체결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12)의 내주면 끝단에는 경사면(119)이 형성되어, 이후 가지관 삽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112)의 외주면에는 제1고정랙(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랙(114)은 주관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후술할 고정링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전방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고정랙(114)의 형상은 이외에도 전방이 경사진 삼각형 등 걸림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고정랙(114)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랙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전 구간에 걸쳐 나사산과 같이 나선으로 연속된 형태일 수도 있다. 나선 형태의 경우 이후 연장부(112)에 고정링을 조립할 때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는 형식으로 회전시켜 조립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6)는 상기 중공(S)을 연장하도록 상기 연장부(112)의 후방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26)는 유연성을 가지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주관에 천공된 천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주관에 가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주관을 천공 시에는 연결구(100)의 외경보다 크게 천공되므로, 상기 가압부(126)는 천공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삽입되어 연결구(100)가 천공홀 중앙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수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126)의 높이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천공비트의 외경과 하수관의 직경을 고려하여 호칭경별로 결정함으로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압부(126)는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가압부(126)의 내면은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이유는 접합되는 가지관의 접속각도 조정이 필요한 경우, 단면을 기준으로 일측의 함몰부는 압축력을 받고, 타측은 인장력을 받으며 수월하게 각도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가압부(126)의 외주면에는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돌기(124)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124)는 수밀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걸림부(122)는 상기 중공(S)을 연장하도록 상기 가압부(126)의 후방에 연결되고, 주관의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내면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122)가 주관의 내면에 접촉되는 부분은, 주관의 내부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걸림부(122)에는 삽입될 가지관의 일단이 걸리도록 형성된 가지관걸림턱(128)이 더 형성된다. 상기 가지관걸림턱(128)은 가지관이 중공(S)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지관의 선단부가 밀착되는 부분으로, 그 형상은 가지관 선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126)와 상기 걸림부(122)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112)와 상기 가압부(126)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유는 가지관의 외경이 연결구(1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26)와 상기 걸림부(122)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보다는 작을 경우, 가지관을 삽입 시 연결구(100)의 내경이 늘어나며 가지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조정됨에 따라 가지관이 상기 가지관걸림턱(128)에 충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걸림부(122)의 내경은, 가지관의 내경보다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가지관에서 유출된 하수가 주관로에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결구(100)의 재질은 고무, 합성고무, 연질PVC 등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의 경도는 KS M 6784의 시험방법에 의한 스프링경도가 60 이하인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고정링(2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링(200)은 전술한 연장부(11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고정력을 보강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링(200)은 제2밴드체결부(214)와, 압착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밴드체결부(214)는 외주면에 체결밴드가 체결되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아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체결밴드를 체결할 경우 제2밴드체결부(214)가 펴지며 후술할 압착부(212)를 후방으로 밀어 내는 외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주관의 외면에 가하는 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압착부(212)는 상기 제2밴드체결부(214) 후방에 연결되고, 주관의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외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주관의 외면과 고정링(200) 사이의 수밀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주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압착돌기(213)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링(200)의 내주면에는 전술한 제1고정랙(114)에 대응되는 제2고정랙(2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고정랙(216)이 제1고정랙(114)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링(200)을 안정적으로 연장부(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를 이용하여 가지관을 주관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관(10)에 천공홀을 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주관(10)의 전체 둘레(12) 중 일부 영역(14)을 천공하게 되며, 이때 천공홀의 지름은 연결될 가지관의 외경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홀에 연결구(100)의 가압부(126) 및 걸림부(122)를 삽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연결구(100) 전체를 접어 가압부(126) 및 걸림부(122)를 천공홀 외측으로부터 천공홀 내부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100)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상기 가압부(126)를 상기 천공홀 둘레에 끼우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연결구(100) 전체를 원래의 형상으로 펼친 후, 천공홀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가압부(126)가 천공홀의 둘레에 완전히 끼워지고 걸림부(122)가 주관(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가압부(126)는 천공홀의 둘레에 끼워짐에 따라 눌려 변형되고, 복원력에 의해 천공홀의 둘레를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연장부(112)의 둘레에 상기 고정링(200)을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고정링(200)을 연장부(112)의 둘레에 설치하게 되며, 이때 삽입을 수월히 하기 위하여 연장부 (112)를 찌그러뜨린 상태에서 고정링(200)을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1고정랙(114)과 제2고정랙(216)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며, 이때 압착부(212)가 주관(10)에 접촉될 수 있도록 고정링(200)을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관(10)의 두께에 따라 제1고정랙(114)과 제2고정랙(216)의 고정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S)에 가지관(20)을 삽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가지관(20)을 연장부(112)의 일단을 통해 삽입하게 되며, 이때 가지관(20)의 외경은 연장부(112)의 내경과 같거나, 또는 클 수도 있다. 가지관(20)의 외경이 연장부(112)의 내경보다 큰 경우에는 연장부(112)가 늘어나 외경이 확장될 것이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는 가지관(20)을 걸림부(122)의 가지관걸림턱(128)까지 밀어 넣어 조립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26)와 상기 걸림부(122)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이, 상기 연장부(112)와 상기 가압부(126)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가지관(20)이 가지관걸림턱(128)까지 충분히 삽입되어 조립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연장부(112)의 제1밴드체결부(116)에 체결밴드(300)를 체결하여 가지관(20)의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밴드체결부(214)에 체결밴드(310)를 체결하여 상기 압착부(212)가 상기 주관(10)의 외면에 가하는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체결밴드(310)에 의해 제2밴드체결부(214)가 눌려 압착부(212)를 후방으로 밀어 내는 외력이 발생하므로, 압착부(212)가 주관(10)의 외면에 가하는 압착력이 증가된다.
이때 압착부(212)와 주관(10)의 외면 간격이 많이 떨어질 경우에는 체결력의 전달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 압착부(212)를 주관(10)의 외면에 밀착시켜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필요 시에는 주관(10)에 압착부(212)를 더욱 접근시켜 압착부(212)가 약간 들린 상태로 체결을 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제2밴드체결부(214)에 체결되는 체결밴드(310)보다 연장부(112)의 제1밴드체결부(116)에 체결되는 체결밴드(300)를 먼저 체결하는 이유는, 제2밴드체결부(214)에 체결밴드(310)를 체결 시 가지관(20)과 연장부(112)가 이동하여 고정링(200)의 체결력이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과정을 거쳐 가지관(20) 접합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관(20)의 접속각도를 소정 각도(θ)만큼 상하로 조정할 수 있다. 즉 가지관(20)을 접합시킨 후 조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가지관(20)의 방향을 회전시키면 가압부(126)가 회전점(Hinge)이 되어 가지관(20)이 회전된다.
이때 회전되는 방향의 가압부(126) 측에는 압축력이 발생되고, 회전되는 반대방향의 가압부(126) 측에는 인장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126) 이외 부분에는 유해한 응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수월하게 각도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주관 20: 가지관
100: 연결구 112: 연장부
114: 제1고정랙 116: 제1밴드체결부
118: 수밀돌기 119: 경사면
122: 걸림부 124: 가압돌기
126: 가압부 128: 가지관걸림턱
200: 고정링 212: 압착부
213: 압착돌기 214: 제2밴드체결부
216: 제2고정랙 300, 310: 체결밴드

Claims (15)

  1. 하수도의 주관에 형성된 천공홀에 가지관을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지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장부;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유연성을 가지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천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내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연장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고정력을 보강하는 고정링;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은,
    외주면에 체결밴드가 체결되는 제2밴드체결부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제2밴드체결부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체결부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밴드의 체결에 따라 상기 압착부가 상기 주관의 외면에 인가하는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는 상기 주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압착돌기가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제1고정랙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고정랙에 대응되는 제2고정랙이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가지관의 일단이 걸리도록 형성된 가지관걸림턱이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지관에 접촉되어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수밀돌기가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체결밴드가 체결되는 제1밴드체결부가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끝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걸림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와 상기 가압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14. 가지관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지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유연성을 가지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주관의 천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중공을 연장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내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연장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고정력을 보강하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체결밴드가 체결되는 제2밴드체결부 및 상기 제2밴드체결부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관의 외면에 접촉되는 압착부를 포함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사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주관에 천공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에 상기 가압부 및 걸림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가압부를 상기 천공홀 둘레에 끼우는 단계;
    상기 연장부의 둘레에 상기 고정링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밴드체결부에 체결밴드를 체결하여 상기 압착부가 상기 주관의 외면에 가하는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15. 삭제
KR20130140804A 2013-11-19 2013-11-19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149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804A KR101490720B1 (ko) 2013-11-19 2013-11-19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804A KR101490720B1 (ko) 2013-11-19 2013-11-19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720B1 true KR101490720B1 (ko) 2015-02-09

Family

ID=5259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804A KR101490720B1 (ko) 2013-11-19 2013-11-19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73B1 (ko) 2019-02-21 2020-08-24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5011A (ja) * 2006-02-23 2007-09-06 Kubota Ci Kk 分岐管継手
KR20090015775A (ko) * 2007-08-08 2009-02-12 최승선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20110082365A (ko) * 2010-01-11 2011-07-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101297592B1 (ko) 2011-11-09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5011A (ja) * 2006-02-23 2007-09-06 Kubota Ci Kk 分岐管継手
KR20090015775A (ko) * 2007-08-08 2009-02-12 최승선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20110082365A (ko) * 2010-01-11 2011-07-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101297592B1 (ko) 2011-11-09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73B1 (ko) 2019-02-21 2020-08-24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86526B2 (en) Drainage device
KR101868756B1 (ko) 지관 연결장치
US87579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buried pipe
KR101490720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2227527B1 (ko) 주 배관과의 견고한 결속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분기관 결속장치
KR101639702B1 (ko) 락볼트
KR102146010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102115176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분기관 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관 결속방법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KR102522769B1 (ko) 터널 및 지반보강용 고강도 gfrp 중공바의 정착 시공방법 및 그 시공장치
KR102147273B1 (ko)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1350205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1072979B1 (ko)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KR101715262B1 (ko)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KR200448880Y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2668493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20050082143A (ko) 수밀형 맨홀
KR101641114B1 (ko) 맨홀연결구를 구비한 맨홀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1825428B1 (ko) 하수관 연결소켓 및 그 시공방법
KR20060117086A (ko) 하수관의 분기관 연결구
KR200275256Y1 (ko)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구조
KR102386569B1 (ko)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