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273B1 -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273B1
KR102147273B1 KR1020190020602A KR20190020602A KR102147273B1 KR 102147273 B1 KR102147273 B1 KR 102147273B1 KR 1020190020602 A KR1020190020602 A KR 1020190020602A KR 20190020602 A KR20190020602 A KR 20190020602A KR 102147273 B1 KR102147273 B1 KR 10214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or unit
connector
branch pip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Priority to KR102019002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7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adjustable and comprising a b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 연결구는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이 형성되는 본관 및 상기 천공홀에 가지관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하수도 연결구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지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관과 상기 가지관을 연결하는 커넥터유닛,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링유닛 및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가지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체결되는 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Sewer connection and conne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하수관에 호환될 수 있는 하수도 가지관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및 건축공사, 도로공사 등의 공사에는 우수 및 오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로 공사가 필수적이며, 하수관로는 크게 본관로와 가지관로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본관로에 설치되는 본관은 하수를 하천으로 배출하거나 하수처리시설인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운반하는 관으로 보통 직경 300mm 이상의 하수관이 사용되며, 가지관은 본관로의 중간 불특정 지점에 연결되는 관로에 시공되는 관으로 새로이 신축되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신설되는 도로의 빗물받이 등에서 모아진 하수를 본관으로 합류시키거나 가지관의 이설, 증설 등으로 본관에 접합되는 관으로 보통 직경 300mm 이하의 하수관이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는 가지관 접합방법은 본관의 측면에 천공을 한 후 가지관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무리하는 방법과, 고무 재료로 된 하수관 연결구를 천공된 본관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무리하는 방법의 경우, 콘크리트가 양생 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기에 토사의 되메우기를 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부위가 변형되거나 콘크리트가 탈락되어 연결부의 품질이 떨어지거나, 오수가 지반으로 흘러나와 토사를 오염시키거나 지하수가 본관으로 침투하여 하수도의 용량이 부족해지거나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무 재료로 된 하수관 연결구를 천공된 본관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의 경우, 수밀을 완전하게 확보하기 어렵고, 사용되는 하수관의 특성에 의한 외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서는 다양한 규격의 금형이 구비되어야 할 뿐 아니라 가지관이 본관에 접속되는 각도의 조정이 어려워 가지관의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천공홀의 크기와 하수관 연결구 외경의 차이에 의해 하수관 연결구를 천공홀 중앙에 정확히 배치하기 어려운 단점도 나타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14907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동일한 호칭경의 가지관에 있어서 다양하게 공급되는 하수관종 외경에 호환될 수 있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관의 천공홀 중앙에 정확히 장착될 수 있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가지관 시공 시 접속각도 조정이 가능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도 연결구는,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이 형성되는 본관 및 상기 천공홀에 가지관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하수도 연결구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지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관과 상기 가지관을 연결하는 커넥터유닛,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링유닛 및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가지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체결되는 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터유닛은,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는 본관삽입부 및 상기 가지관의 외측에 결합되는 가지관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는 길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본관삽입부와 상기 가지관수용부의 경계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링유닛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상기 본관삽입부와 상기 가지관수용부의 경계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관삽입부는, 상기 천공홀과 상기 커넥터유닛 사이가 수밀되도록 외측의 일부에 형성되는 본관수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지관수용부는, 상기 밴드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밴드체결부 및 상기 가지관과 상기 커넥터유닛 사이가 수밀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가지관수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유닛은,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압축부 및 상기 가지관이 상기 본관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고정링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커넥터압축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고정볼트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고정볼트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압축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핀삽입홈부 및 상기 커넥터압축부의 외경을 확장하도록 상기 핀삽입홈부에 결합되는 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밴드유닛은,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본체부, 상기 밴드본체부의 일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밴드본체부에 결합되고, 체결볼트홀이 형성되는 브라켓부, 상기 체결볼트홀에 설치되는 체결볼트부 및 상기 체결볼트부와 결합되는 체결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지관의 외측면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조정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링유닛을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설치하는 지그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고정링유닛의 내측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유닛으로 삽입하는 지그압입부, 상기 지그압입부를 가압하는 지그가압부 및 상기 지그가압부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본관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그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도 연결방법은, 본관의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의 내측에 커넥터유닛의 일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유닛의 타단부의 내측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가지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밴드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천공홀 내측에 지그지지부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링유닛의 내측의 일부를 가압하는 지그압입부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압입부를 관통한 지그가압부의 일단부를 상기 지그지지부에 형성되는 지그홀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압축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형성되는 고정볼트홀에 고정볼트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단부에 고정너트부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구비되고, 외측에 핀삽입홈부가 형성되는 커넥터압축부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핀삽입홈부에 핀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밴드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본체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밴드본체부에 결합되는 브라켓부에 형성되는 체결볼트홀에 체결볼트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볼트부에 체결너트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커넥터유닛의 타단부의 내측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가지관의 외측면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면 사이에 조정링유닛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양하게 형성되는 본관 및 가지관의 외경에 대하여 수밀성이 우수하도록 본관과 가지관을 연결할 수 있다.
둘째, 본관에 대한 가지관의 연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여 작업 환경에 자유로울 수 있다.
셋째, 본관에 대한 가지관의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본관과 가지관을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링유닛의 제1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링유닛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링유닛의 제3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밴드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정링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그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커넥터유닛의 삽입단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고정링유닛의 삽입단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가지관의 삽입단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조정링유닛의 삽입단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밴드유닛의 설치단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본관과 가지관을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수도 연결구는,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30)이 형성되는 본관(10) 및 상기 천공홀(30)에 가지관(5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하수도 연결구에 있어서, 커넥터유닛(100), 고정링유닛(300) 및 밴드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관(10)은, 하수, 우수 및 오수 등을 하천으로 배출하거나 하수처리시설로 운반할 수 있는 관이다. 가지관(50)은, 본관(10)에 연결되는 관으로 상기 하수, 우수 및 오수 등이 상기 본관(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이다. 상기 가지관(50)은 상기 본관(10)의 불특정 지점에 형성되는 천공홀(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지관(50)은 상기 본관(1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유닛(100)은, 일단부가 상기 천공홀(30)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지관(50)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지관(50)이 상기 본관(10)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유닛(100)에 의해, 본 발명은 여러 관의 종류의 다양한 외경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여 작업 환경의 구속으로부터 일정한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유닛(100)은 적어도 일부가 고무, 합성고무, 연질PVC, 실리콘, 우레탄 등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재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링유닛(300)은, 상기 커넥터유닛(100)이 상기 천공홀(30)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유닛(300)은, 상기 커넥터유닛(100)이 상기 천공홀(30)의 내측에 고정되어 유동하는 유체가 누수되지 않게 수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링유닛(300)은, 상기 커넥터유닛(100)을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압착할 수 있다.
밴드유닛(500)은, 상기 커넥터유닛(100)이 상기 가지관(50)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외측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밴드유닛(500)은, 상기 커넥터유닛(100)이 상기 가지관(50)의 일부의 외측에 고정되어 유동하는 유체가 누수되지 않게 수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밴드유닛(500)은, 상기 커넥터유닛(100)을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압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의 전체 및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유닛(100)을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커넥터유닛(100)은, 본관삽입부(130) 및 가지관수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관삽입부(130)는, 상기 커넥터유닛(100) 중 천공홀(30)에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가지관수용부(150)는, 상기 커넥터유닛(100) 중 가지관(50)의 외측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가지관수용부(150)는, 상기 가지관수용부(150)의 내경보다 가지관(50)의 외경이 큰 경우 늘어나며 삽입되고, 가지관(50)의 외경이 작은 경우 밴드유닛(500)에 의해 압축될 수 있어 다양한 관의 외경에 호환되어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지관수용부(150)의 신축성에 의해 본관(10)에 대하여 삽입되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유닛(100)은, 걸림턱부(134) 및 단턱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부(134)는, 본관삽입부(130)의 삽입되는 길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본관삽입부(130)와 상기 가지관수용부(150)의 경계부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유닛(100)은, 천공홀(30)을 유동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관(10)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유닛(100)은, 상기 걸림턱부(134)에 의해, 상기 걸림턱부(134)의 위치까지 제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턱부(136)는, 고정링유닛(300)의 설치되는 위치가 일정하도록 상기 본관삽입부(130)와 상기 가지관수용부(150)의 경계부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링유닛(300)은, 천공홀(30)에 대한 수밀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기 고정링유닛(300)은, 상기 단턱부(136)에 의해, 상기 단턱부(136)의 위치까지 제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관삽입부(130)는, 상기 천공홀(30)과 상기 커넥터유닛(100) 사이가 수밀되도록 외측의 일부에 형성되는 본관수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관수밀부(132)는, 돌기형상으로 상기 본관삽입부(130)의 외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형상이나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가지관수용부(150)는, 가지관수밀부(154) 및 밴드체결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지관수밀부(154)는, 상기 가지관(50)과 상기 커넥터유닛(100) 사이가 수밀되도록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지관수밀부(154)는, 커넥터유닛(100)에 가지관(50)을 삽입한 후 밴드유닛(500)을 설치할 시, 수밀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유닛(500)이 체결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가지관(5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형상이나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밴드체결부(152)는 밴드유닛(5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커넥터유닛(1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밴드체결부(152)는, 턱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밴드유닛(500)은 상기 밴드체결부(152)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정링유닛(300)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고정링유닛(300)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링유닛(300)은, 커넥터압축부(330) 및 고정링돌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압축부(330)는, 커넥터유닛(100)이 상기 천공홀(30)에 압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압축부(330)는, 커넥터유닛(100)의 본관삽입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유닛(100)이 천공홀(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넥터압축부(330)의 외경은 상기 본관삽입부(130)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됨으로써, 신축성을 가지는 상기 본관삽입부(130)를 압축시켜 커넥터유닛(100)이 천공홀(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링돌출부(350)는, 고정링유닛(300)이 커넥터유닛(100)의 본관삽입부(130) 내측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돌출부(350)는, 커넥터압축부(330)의 일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되는 정도는 단턱부(136)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돌출부(350)에 의해, 가지관(50)은 상기 고정링돌출부(350)의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압축부(330) 및 고정링돌출부(350)는, 플라스틱, PE, PVC, 금속제 등 변형이 잘되지 않는 경질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재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의 고정링유닛(300)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링유닛(300)은, 커넥터압축부(330) 및 고정링돌출부(350)에 더하여 지지부(331), 고정볼트부(333) 및 고정너트부(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31)는, 상기 커넥터압축부(330)의 내측에 구비되고, 고정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331)는, 상기 고정볼트홀이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 및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연속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볼트부(333)는, 상기 고정볼트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부(333)는 상기 지지부(33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너트부(335)는, 상기 고정볼트부(333)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부재를 탄성한계 내에서 오므린 후 상기 걸림부재가 고정링유닛(300)에 닿을 때까지 상기 고정볼트홀 및 상기 지지홀을 통과시킨 후 상기 고정너트부(335)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체결 방법에 의할 경우, 커넥터유닛(100)은 고정링유닛(300)에 구속되고, 고정링유닛(300)은 본관(10)에 구속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커넥터유닛(100)의 인발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331), 상기 고정볼트부(333) 및 상기 고정너트부(335)는 부식에 강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의 고정링유닛(300)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링유닛(300)은, 커넥터압축부(330) 및 고정링돌출부(350)에 더하여 핀삽입홈부(370) 및 핀부(3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핀삽입홈부(370)는, 상기 커넥터압축부(33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핀부(375)는, 상기 커넥터압축부(330)의 외경을 확장하도록 상기 핀삽입홈부(37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핀부(375)는 상기 핀삽입홈부(370)에 결합됨으로써 커넥터압축부(330)의 외경은 확장되고, 상기 커넥터압축부(330)에 설치되는 커넥터유닛(100)을 압박하여 커넥터유닛(100)이 본관(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밴드유닛(500)을 설명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밴드유닛(500)은, 밴드본체부(510), 슬라이딩부(530), 브라켓부(550), 체결볼트부(570) 및 체결너트부(575)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본체부(510)는,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외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밴드본체부(510)는,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커넥터유닛(10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와 넓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재질과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530)는, 상기 밴드본체부(510)의 일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외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530)는, 후술할 밴드본체부(510)의 양측에 결합되는 브라켓부(550) 사이의 빈공간에 의해 밴드본체부(510)의 이동에 따른 임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유닛(100)의 외측 모든 부분을 가압할 수 있어 효과적인 수밀을 보장할 수 있다.
브라켓부(550)는, 상기 밴드본체부(510)에 결합되고, 체결볼트홀(5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켓부(550)는 상기 밴드본체부(5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볼트부(570)는, 상기 브라켓부(550)에 형성된 상기 체결볼트홀(553)을 통과하고, 체결너트부(575)와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부(55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정링유닛(700)을 설명한다.
조정링유닛(700)은, 상기 가지관(50)의 외측면과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정링유닛(700)은,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지관(50)의 외경이 커넥터유닛(100)의 내경보다 작아 그 사이의 간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간격을 메울 수 있는 구성으로서, 고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그 형상이나 재질은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그유닛(900)을 설명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지그유닛(900)은, 지그압입부(930), 지그가압부(950) 및 지그지지부(97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유닛(900)은, 상기 고정링유닛(300)을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다.
지그지지부(970)는, 상기 지그가압부(95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본관(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그지지부(970)는, 본관(10)의 내부에 천공홀(30)의 내경보다 큰 길이의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본관(10) 내측에 고정되어 지그압입부(930)에서 전달되는 힘을 지탱할 수 있다.
지그압입부(930)는, 상기 고정링유닛(300)의 내측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유닛(100)으로 삽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지그압입링(932), 지그보강대(934), 지그압입판(936) 및 지그통과홀(938)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압입링(932)은, 고정링유닛(300)에 형성되는 고정링돌출부(350)를 가압하여 고정링유닛(300)이 효과적으로 커넥터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그압입판(936)은, 지그가압부(950)의 압력을 상기 지그압입링(932)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지그통과홀(93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그보강대(934)는 상기 지그압입링(932)과 상기 지그압입판(936)을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지그가압부(950)는, 상기 지그통과홀(938)을 경유하여 지그지지부(970)와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그압입부(930)를 가압할 수 있다.
지그유닛(900)을 이용하여 고정링유닛(300)의 설치가 끝난 후에 지그유닛(900)을 해체한 후 천공홀(30)을 경유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수도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하수도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하수도 연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수도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방법은, 천공홀(30) 형성단계, 커넥터유닛(100) 삽입단계, 고정링유닛(300) 삽입단계, 가지관(50) 삽입단계 및 밴드유닛(500)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천공홀(30) 형성단계는, 본관(10)의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3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커넥터유닛(100) 삽입단계는, 상기 천공홀(30)의 내측에 커넥터유닛(100)의 일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링유닛(300) 삽입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100)이 상기 천공홀(30)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에 고정링유닛(300)을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가지관(50) 삽입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타단부의 내측에 가지관(50)을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밴드유닛(500) 설치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100)이 상기 가지관(50)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외측에 밴드유닛(500)을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유닛(100) 삽입단계 및 상기 가지관(50) 삽입단계는 동시에 또는 이시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가지관(50) 삽입단계와 커넥터유닛(100) 삽입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커넥터유닛(100) 삽입단계와 가지관(50) 삽입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링유닛(300) 삽입단계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링 삽입단계, 즉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에 고정링유닛(300)을 설치하는 단계는 지그지지부(970) 고정단계, 지그압입부(930) 삽입단계, 및 지그가압부(950) 체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지지부(970) 고정단계는, 천공홀(30) 내측에 지그지지부(970)를 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지그압입부(930) 삽입단계는, 고정링유닛(300)의 내측의 일부를 가압하는 지그압입부(930)를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지그가압부(950) 체결단계는 상기 지그압입부(930)를 관통한 지그가압부(950)의 일단부를 상기 지그지지부(970)에 형성되는 지그홀에 체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술한 지그유닛(900)을 이용한 고정링유닛(300) 삽입단계는 고정링유닛(300)을 커넥터유닛(100)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고,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링유닛(300) 삽입단계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링유닛(300) 삽입단계, 즉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에 고정링유닛(300)을 설치하는 단계는, 고정볼트부(333) 결합단계 및 고정너트부(335) 체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볼트부(333) 결합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100)이 상기 천공홀(30)에 압착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압축부(330)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331)에 형성되는 고정볼트홀에 고정볼트부(333)를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너트부(335) 체결단계는, 상기 고정볼트부(333)의 단부에 고정너트부(335)를 체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링유닛(300) 삽입단계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링유닛(300) 삽입단계, 즉 상기 커넥터유닛(100)의 내측에 고정링유닛(300)을 설치하는 단계는, 커넥터압축부(330) 삽입단계 및 핀부(375)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압축부(330) 삽입단계는,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30)에 압착되도록 구비되고, 외측에 핀삽입홈부(370)가 형성되는 커넥터압축부(330)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핀부(375) 결합단계는, 상기 핀삽입홈부(370)에 핀부(375)를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밴드유닛(500) 설치단계, 즉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밴드유닛(500)을 설치하는 단계는, 밴드본체부(510) 구비단계, 체결볼트부(570) 설치단계 및 체결너트부(575)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본체부(510) 구비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본체부(510)를 위치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체결볼트부(570) 설치단계는, 상기 밴드본체부(510)에 결합되는 브라켓부(550)에 형성되는 체결볼트홀(553)에 체결볼트부(570)를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체결너트부(575) 결합단계는, 상기 체결볼트부(570)에 체결너트부(575)를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지관(50) 삽입단계, 즉 상기 커넥터유닛의 타단부의 내측에 가지관(50)을 삽입하는 단계는, 조정링유닛(700) 삽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링유닛(700) 삽입단계는, 상기 가지관(50)의 외측면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면 사이에 조정링유닛(700)을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본관
30: 천공홀
50: 가지관
100: 커넥터유닛
130: 본관삽입부
132: 본관수밀부
134: 걸림턱부
136: 단턱부
150: 가지관수용부
152: 밴드체결부
154: 가지관수밀부
300: 고정링유닛
330: 커넥터압축부
331: 지지부
333: 고정볼트부
335: 고정너트부
350: 고정링돌출부
370: 핀삽입홈부
375: 핀부
500: 밴드유닛
510: 밴드본체부
530: 슬라이딩부
550: 브라켓부
553: 체결볼트홀
570: 체결볼트부
575: 체결너트부
700: 조정링유닛
900: 지그유닛
930: 지그압입부
932: 지그압입링
934: 지그보강대
936: 지그압입판
938: 지그통과홀
950: 지그가압부
970: 지그지지부

Claims (18)

  1.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이 형성되는 본관 및 상기 천공홀에 가지관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하수도 연결구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지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관과 상기 가지관을 연결하는 커넥터유닛;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링유닛; 및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가지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체결되는 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유닛은,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압축부; 및 상기 가지관이 상기 본관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고정링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압축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고정볼트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고정볼트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유닛은,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는 본관삽입부; 및
    상기 가지관의 외측에 결합되는 가지관수용부;
    를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는 길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본관삽입부와 상기 가지관수용부의 경계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턱부;
    를 더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유닛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상기 본관삽입부와 상기 가지관수용부의 경계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턱부;
    를 더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관삽입부는,
    상기 천공홀과 상기 커넥터유닛 사이가 수밀되도록 외측의 일부에 형성되는 본관수밀부;
    를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수용부는,
    상기 밴드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밴드체결부; 및
    상기 가지관과 상기 커넥터유닛 사이가 수밀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가지관수밀부;
    를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압축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핀삽입홈부; 및
    상기 커넥터압축부의 외경을 확장하도록 상기 핀삽입홈부에 결합되는 핀부;
    를 더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유닛은,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본체부;
    상기 밴드본체부의 일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밴드본체부에 결합되고, 체결볼트홀이 형성되는 브라켓부;
    상기 체결볼트홀에 설치되는 체결볼트부; 및
    상기 체결볼트부와 결합되는 체결너트부;
    를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의 외측면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조정링유닛;
    을 더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유닛을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설치하는 지그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고정링유닛의 내측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유닛으로 삽입하는 지그압입부;
    상기 지그압입부를 가압하는 지그가압부; 및
    상기 지그가압부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본관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그지지부;
    를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구.
  13. 삭제
  14. 본관의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의 내측에 커넥터유닛의 일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유닛의 타단부의 내측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가지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밴드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천공홀 내측에 지그지지부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링유닛의 내측의 일부를 가압하는 지그압입부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압입부를 관통한 지그가압부의 일단부를 상기 지그지지부에 형성되는 지그홀에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방법.
  15. 본관의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의 내측에 커넥터유닛의 일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유닛의 타단부의 내측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가지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밴드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압축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형성되는 고정볼트홀에 고정볼트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볼트부의 단부에 고정너트부를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방법.
  16. 본관의 임의의 지점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의 내측에 커넥터유닛의 일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유닛의 타단부의 내측에 가지관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가지관에 압착되도록 상기 커넥터유닛의 외측에 밴드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고정링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유닛이 상기 천공홀에 압착되도록 구비되고, 외측에 핀삽입홈부가 형성되는 커넥터압축부를 상기 커넥터유닛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핀삽입홈부에 핀부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수도 연결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190020602A 2019-02-21 2019-02-21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2147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602A KR102147273B1 (ko) 2019-02-21 2019-02-21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602A KR102147273B1 (ko) 2019-02-21 2019-02-21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73B1 true KR102147273B1 (ko) 2020-08-24

Family

ID=7223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602A KR102147273B1 (ko) 2019-02-21 2019-02-21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17B1 (ko) * 2021-01-22 2021-09-09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55Y1 (ko) * 2000-01-12 2000-06-15 윤석일 관 이음장치
KR101036528B1 (ko) * 2010-05-13 2011-05-24 벽진산업 주식회사 다양한 관의 연결이 가능한 안샘 맨홀용 플랜지식 연결구조
KR101490720B1 (ko) 2013-11-19 2015-02-09 최승선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20150029421A (ko) * 2013-09-10 2015-03-18 최승선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1868756B1 (ko) * 2017-12-11 2018-06-18 윤석일 지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55Y1 (ko) * 2000-01-12 2000-06-15 윤석일 관 이음장치
KR101036528B1 (ko) * 2010-05-13 2011-05-24 벽진산업 주식회사 다양한 관의 연결이 가능한 안샘 맨홀용 플랜지식 연결구조
KR20150029421A (ko) * 2013-09-10 2015-03-18 최승선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1490720B1 (ko) 2013-11-19 2015-02-09 최승선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1868756B1 (ko) * 2017-12-11 2018-06-18 윤석일 지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17B1 (ko) * 2021-01-22 2021-09-09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5349B (zh) 用于管道和管线的内部修复的装置和方法
US87579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buried pipe
KR102147273B1 (ko)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0823103B1 (ko) 터널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도수파이프
US20130156506A1 (en) Method for Renewal or Rehabilitation of Water Supply Pipelines and Plug Arrangement for use in Said Method
KR20160093380A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KR100938015B1 (ko) 굴착공사의 지반보강 충전제의 충전장치
KR102115176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분기관 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관 결속방법
KR101072979B1 (ko) 하수관거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이중지수장치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KR101972929B1 (ko) 관로 밀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6161329A (ja)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CN112260183A (zh) 充气式穿墙套管及其施工方法
KR101490720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0701459B1 (ko) 맨홀의 이송관 연결구
KR101748776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JPH08269992A (ja) 地下構造物の躯体と管材との連結方法及び連結構造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060117086A (ko) 하수관의 분기관 연결구
JP5408543B2 (ja) 管路更生方法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KR20090119615A (ko) 맨홀의 이송관 연결구
JP6421007B2 (ja) 基礎貫通用二重管継手、それを用いる管路施工方法および管路更新方法
US202100717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Buried Pip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