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817B1 -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817B1
KR102299817B1 KR1020210009552A KR20210009552A KR102299817B1 KR 102299817 B1 KR102299817 B1 KR 102299817B1 KR 1020210009552 A KR1020210009552 A KR 1020210009552A KR 20210009552 A KR20210009552 A KR 20210009552A KR 102299817 B1 KR102299817 B1 KR 102299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nch pipe
fixing ring
protrusion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Priority to KR102021000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제조비용 및 작업속도가 개선되고 커넥터와 연결된 관들 사이의 수밀성이 개선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도의 본관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관과 가지관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사용되는 고정링은 타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안쪽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원형의 단면구조로 변형되며 상기 커넥터 및 본관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FIXED RING FOR BRANCH PIPE IN DRAINAGE SYSTEM AND COUPLER OF BRANCH PIPE IN DRAINAGE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하수도 가지관에 사용되는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 건축공사 및 도로공사를 포함하는 공사에는 우수, 오수 및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로 공사가 필수적이고, 하수관로는 크게 주관로(본관) 및 가지관로(가지관)로 구분된다.
기존의 가지관 접합방법은 본관의 측면에 천공을 한 후 가지관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무리하는 방법과 고무로 된 하수관 연결구를 천공된 주관로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가지관이 본관에 접속되는 각도의 조정이 난해하여 가지관 및 본관의 연결이 어렵고 본관에 형성된 천공홀의 크기와 하수관 연결구의 크기 차이에 의해 본관 및 가지관의 연결부위에서 오수가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본관에 가지관을 연결시키면서 본관 및 가지관의 연결 편의성을 개선하고, 본관 및 가지관의 크기 차이에 상관없이 본관 및 가지관 사이의 수밀성을 개선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복수의 가지관들을 복수의 본관들 각각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들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9981호는 하수관 연결구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257호는 하수관 연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다양한 규격의 본관에 연결되어 본관과 가지관을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제조비용 및 작업속도가 개선되고 커넥터와 연결된 관들 사이의 수밀성이 개선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수도의 본관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관과 가지관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사용되는 고정링은 타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안쪽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원형의 단면구조로 변형되며 상기 커넥터 및 본관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의 상부 및 하부 일부분은 상기 본관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파형의 테두리가 상기 본관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천공 주변을 밀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상기 가지관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개된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수도의 본관에 가지관을 연결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일단은 본관의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관 천공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가지관의 일부분이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링, 상기 커넥터의 타단 외측면을 둘러싸며 압박하는 체결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상하부 직경이 양측 직경보다 긴 타원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상기 가지관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개된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밴드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밴드 형태로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는 밴드몸체, 상기 밴드몸체의 일단 및 타단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들 및 상기 브라켓들을 관통하고 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일단 외측과 타단 내측에 돌출된 수밀돌기들, 일단의 끝단 내측에서 안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과 밀착되는 걸림턱, 일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스토퍼 및 타단 내측면이 외측을 향해 함몰되어 내측면 중앙에 내부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상기 가지관을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지관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밀돌기 및 가지관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관경조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본관의 측면에 형성된 천공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태의 고정링을 사용하여 커넥터를 본관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상하부 직경이 양측직경보다 긴 타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고정링이 본관의 천공에 삽입되면서 원형으로 변형되고 상기 커넥터를 압박하여 커넥터와 본관 사이의 결합력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타원형의 단면구조부터 원형의 단면구조로 변형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크랙 형태의 홈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홈들은 상기 고정링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가진 본관 및 가지관 사이에서 본관의 측면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된 후 확장되도록 변형되어 본관과 견고하고 수밀되게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내부에 삽입되는 가지관의 일부분과 수밀돌기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되고, 가지관을 압박하도록 수축되어 수밀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는 본관의 천공 방향이 가지관 연결방향과 상이한 각도를 가지는 경우에도 커넥터의 설치방향 조정에 의하여 용이하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실시예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사시도 및 I-I'를 따라 커넥터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고정링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5 및 6들은 도 1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실시예인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사시도 및 I-I'를 따라 커넥터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는 커넥터(200), 고정링(300), 체결밴드(400) 및 관경조정링(500)을 포함한다.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의 커넥터(200) 일단은 본관(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5)에 삽입되고 본관(10)의 천공(5) 내측면에 밀착되고,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100)의 커넥터(200) 타단은 가지관(20)을 둘러싸면서 가지관(20)과 결합되어 본관(10) 및 가지관(20)들을 연결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커넥터본체(210), 걸림턱(220), 수밀돌기(230)들, 외부단턱(240), 내부단턱(250), 방지턱(260, 270)들, 수밀돌기(280)들 및 스토퍼(290)를 포함한다.
커넥터(200)의 일단은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본관(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는 천공(5)에 삽입되고, 일단의 외측면은 천공(5)의 안쪽에 해당하는 본관(1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커넥터(200)의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 형태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일측에 배치되는 가지관(20)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체결밴드(400)를 통해 가지관(20)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외측면은 천공(5)에 삽입된 상태에서 천공(5)의 안쪽에 해당하는 본관(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천공된 본관의 둘레방향 쪽으로 끼워지는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상하부에는 길이가 긴 돌출부(211, 212)들이 형성되며, 천공된 본관(10)의 길이방향쪽으로 끼워지는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제1 및 제2 방향(1, 2) 각각에는 홈부(213, 214)들이 각각 형성된다.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상부 테두리는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원주길이 약 1/4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상부에서 커넥터본체(210)를 내려다 보는 경우 본관(10)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212)가 형성된다.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하부 테두리는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원주길이 약 1/4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하부에서 커넥터본체(210)를 올려다 보는 경우, 본관(10)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211)가 형성된다.
홈부(213)는 돌출부(211, 212)들 사이에 해당되는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원주길이 약 1/4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제1 방향(1)쪽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돌출부(211, 212)에 연결되어 타측을 향해 아치 형태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홈부(214)는 돌출부(211, 212)들 사이에 해당하는 커넥터본체(210) 일단의 원주길이 약 1/4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제2 방향(2)쪽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돌출부(211, 212)와 연결되어 타측을 향해 아치 형태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은 천공(5)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211, 212)들 및 홈부(213, 214)들 각각을 통해 천공(5) 안쪽에 해당하는 본관(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1 공간(11)은 침범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은 일단 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원통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확장된 상태로 일측을 향해 연장되고, 외경이 확장되면서 외부에는 외부단턱(240)이 형성되며 안쪽에는 내부단턱(250)이 형성된다.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은 가지관(20)을 둘러싸면서 가지관(20)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가지관(20)의 외경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경보다 과도하게 작은 경우. 후술 될 관경조정링(500)을 사용하여 커넥터본체(210) 및 가지관(20)을 연결한다.
걸림턱(220)은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테두리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일부분이 링 형태로 커넥터본체(210)의 안쪽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걸림턱(220)의 일측에는 평면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커넥터본체(210)의 외측에서 커넥터본체(210)의 일측 및 안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이 형성된다.
걸림턱(220)은 커넥터(200)에 삽입되는 고정링(300)이 천공(5)을 지나 본관(10)의 제1 공간(11)으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걸림턱(220)을 통해 고정링(300)의 삽입 깊이를 용이하게 한정할 수 있으며, 고정링(300)의 확장 기능이 개선된다.
수밀돌기(230)들 각각은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외측면을 링 형태로 둘러싸면서 커넥터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절단한 단면은 외측을 향해 날카로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수밀돌기(230)들은 커넥터본체(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외측면에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이 천공(5)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본관(10) 및 커넥터본체(210) 사이의 수밀성을 개선한다.
방지턱(270)은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끝단 외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커넥터본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외측면에 밀착되는 체결밴드(400)가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에서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지턱(260)은 방지턱(27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방지턱(270)보다 상대적으로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을 둘러싸며 형성된다.
체결밴드(400)는 방지턱(260, 270)들 사이에 해당하는 체결홈(295)에 삽입되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외측면과 밀착되게 설치되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을 둘러싸고, 체결밴드(400)의 체결볼트(440)의 조정을 통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이 수축되거나 이완된다.
수밀돌기(280)들 각각은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측면을 링 형태로 둘러싸면서 커넥터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구조는 내측 방향을 향해 날카로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수밀돌기(280)들은 커넥터본체(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측면에 형성되고, 가지관(20)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지관(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커넥터본체(210) 및 가지관(20) 사이의 수밀성을 개선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지관(20)의 일단 일부분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측면에 삽입되면, 가지관(20)의 일단 테두리는 내부단턱(250)에 밀착되어 본관(10)을 향한 이동이 제한된다.
스토퍼(29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긴쪽 일측면이 홈부(213, 214)들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서 외부단턱(240)과 같은 선상의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커넥터본체(210)의 외측면에 일체로 부착 형성된다
본관(10)쪽에 해당하는 스토퍼(290)의 타측면은 외부단턱(240)과 연결되어 평면을 형성하고,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이 천공(5)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관(10)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커넥터본체(210)가 제1 공간(11)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스토퍼(290)는 외부단턱(240)과 함께 커넥터본체(210)의 천공(5) 내부에 대한 삽입거리를 제한하여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이 제1 공간(11)으로 돌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밴드(400)는 밴드본체(410), 제1 브라켓(420), 제2 브라켓(430), 체결볼트(440) 및 너트(450)를 포함한다.
체결밴드(400)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이 서로 교차되거나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원통 형태로 커넥터(200)의 타단을 둘러싼다.
따라서, 작업자는 체결밴드(400)의 일단 및 타단의 위치를 조정하여 가지관(20)을 둘러싸며 가지관(20)과 밀착되는 커넥터(200)의 타단 외측면을 압박하거나 느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체결밴드(400)는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금속, 고분자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제작이 가능하고,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부식에 강한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밴드본체(410)의 일단은 체결홈(295)에 삽입되어 커넥터본체(210)의 외측면 상부에 밀착되고, 중앙부는 커넥터본체(210)와 밀착된 상태로 커넥터본체(210)의 외측면을 따라 커넥터본체(210)의 제2 방향(2)쪽 상부까지 연장된다.
밴드본체(410)의 타단은 밴드본체(410)의 일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밴드본체(410)의 일단 하부로 삽입되며 연장되어, 밴드본체(410)의 일단 내측면에 밀착된다.
제1 브라켓(420)의 일단은 밴드본체(410)의 일단 끝단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어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 절곡 및 연장되어 밴드본체(410)와 결합된다.
제2 브라켓(430)의 일단은 밴드본체(410)의 타단 끝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이격된 외측면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어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 절곡 및 연장되어 밴드본체(410)와 결합된다.
제1 브라켓(42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체결볼트(440)가 관통 가능한 관통홀들이 각각 형성되고, 제2 브라켓(43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체결볼트(440)가 관통 가능한 관통홀들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볼트(440)는 제2 브라켓(430)의 제2 방향(2)쪽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및 제2 브라켓(420, 430)들을 관통하고, 제1 브라켓(42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되는 너트(450)와 나사 결합된다.
또한, 너트(450)의 회전 방향 제어를 통해 제1 및 제2 브라켓(420, 430)들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제1 및 제2 브라켓(420, 430)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조절하여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고정링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5 및 6들은 도 1의 하수도 가지관 연결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300)은 하부돌출부(301), 상부돌출부(302), 일측홈(303), 타측홈(304), 제1 홈(321)들, 제2 홈(322)들 및 제3 홈(323)들을 포함한다.
고정링(30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 일단 내부에 고정링(300)이 삽입될 경우,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을 향하는 일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일단을 향하는 타측면은 커넥터본체(210)의 일단면에 대응되는 파형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링(300)은 외측면이 커넥터(200)의 일단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천공(5)에 삽입된 상태인 커넥터(200)와 끼움 결합되고, 커넥터(200)의 일단은 고정링(300)이 커넥터(200)의 안쪽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측을 향해 확장되어 커넥터(200)의 일단 외측면을 본관(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고정링(30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일부분은, 상단부 및 하단부보다 고정링(300)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과 같은 형상이 되어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커넥터(200)의 일단에 형성된 수밀돌기(230)들은 고정링(300)의 확장에 의해 본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수밀돌기(230) 및 본관(10) 내측면의 밀착을 통해 수밀성이 개선된다.
한편, 고정링(300)은 고분자,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제작이 가능하고, 성형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낮은 PVC, PE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고정링(300)은 상하부 직경이 제1 및 제2 방향(1, 2) 사이에 해당되는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긴 타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본관(10)쪽에 해당되는 고정링(300)의 타측 테두리면은 파형으로 돌출되어 커넥터(200)의 내측면에서 걸림턱(220)에 밀착된다.
하부돌출부(301)는 고정링(300)의 타측 하부 테두리면이 타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돌출부(302)는 고정링(300)의 타측 상부 테두리면이 타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타측 테두리의 일부구간은 고정링의 외면이 타측으로 갈수록 절삭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절삭되는 작업을 통해 테이퍼 가공될 수 있다.
일측홈(303)은 고정링(300)의 제1 방향(1)쪽 테두리면이 일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함몰되고,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테두리면과 연결되며 파형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타측홈(304)은 고정링(300)의 제2 방향(2)쪽 테두리면이 일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함몰되고,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테두리면과 연결되어 파형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홈(321)들 각각은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동일 수직선상에 해당되는 중앙 일부분이 상하부 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들 각각의 일측까지 절개(切開)되며 연장되는 크랙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홈(321)에 의해 하부돌출부(301)의 일측 제1 방향(1)쪽 부분 및 제2 방향(2)쪽 부분은 제1 홈(32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제1 홈(321)에 의해 상부돌출부(302)의 일측 제1 방향(1)쪽 부분 및 제2 방향(2)쪽 부분은 제1 홈(32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제2 홈(322)들 각각은 제1 홈(321)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이격된 위치의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들 각각의 중앙 일부분이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하부 방향으로 절개되고,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들 각각의 타측 테두리까지 절개되며 연장되는 크랙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홈(322)에 의해 하부돌출부(301)의 타측 제1 방향(1)쪽 부분 및 중앙부는 제2 홈(322)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제2 홈(322)에 의해 상부돌출부(302)의 타측 제1 방향(1)쪽 부분 및 중앙부는 제2 홈(322)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제3 홈(323)들 각각은 제1 홈(321)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들 각각의 중앙 일부분이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하부 방향으로 절개되고,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들 각각의 타측 테두리까지 절개되며 연장되는 크랙 형태로 형성된다.
제3 홈(323)에 의해 하부돌출부(301)의 중앙부 및 타측 제2 방향(2)쪽 부분은 제3 홈(323)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제3 홈(323)에 의해 상부돌출부(302)의 중앙부 및 타측 제2 방향(2)쪽 부분은 제3 홈(323)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홈(321, 322, 323)들 각각은 고정링(300)의 중앙에서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피가 증가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링(300)이 커넥터(200)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결합되면서 제1 내지 제3 홈(321, 322, 323)들 각각의 내부에 해당되는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내측면들이 서로 밀착된다.
고정링(300)이 커넥터(200)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수축으로 고정링(300)은 원형의 단면구조로 변형되고, 제1 및 제2 방향(1, 2)쪽 외측면이 커넥터(20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커넥터(200)를 확장시킨다.
고정링에 형성된 제1 홈 내지 제3 홈(321, 322, 323)의 기능을 부연 설명하면 제1 내지 제3 홈(321, 322, 323)들 각각은 본관(10)의 천공(5)에 설치된 커넥터(200)의 일측 내경보다 큰 직경의 고정링(300)을 끼워넣을 때 타원의 형태가 원형으로 변형되는 동시에 제1 내지 제3 홈(321, 322, 323)들 각각의 절개폭이 줄어들면서 삽입되며 쐐기 역할을 하게되어 커넥터(200)의 일측을 천공(5)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II-II' 방향으로 절단된 제1 내지 제3 홈(321, 322, 323)들 각각의 단면구조는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외측면에서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안쪽을 향해 날카롭게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링(300)이 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수축폭이 넓은 하부돌출부(301) 및 상부돌출부(302)의 외측면의 수축 범위가 증가되므로 고정링(300)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350)은 고정링(300)과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링(300)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커넥터(200)의 일단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천공(5)에 삽입된 상태인 커넥터(200)와 끼움 결합된다.
커넥터(200)의 일단은 고정링(350)이 커넥터(200)의 안쪽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측을 향해 확장되어 커넥터(200)의 일단 외측면을 본관(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고정링(350)의 제1 방향(1)쪽 및 제2 방향(2)쪽 일부분은 상단부 및 하단부보다 고정링(350)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과 같은 형상이 되어 커넥터본체(210)의 일단 내측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커넥터(200)의 일단에 형성된 수밀돌기(230)들은 고정링(350)의 확장에 의해 본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수밀돌기(230) 및 본관(10) 내측면의 밀착을 통해 수밀성이 개선된다.
한편, 고정링(350)은 PVC를 포함하는 고분자,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통해 제작이 가능하고, 성형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낮은 PVC, PE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고정링(350)은 상하부 직경이 제1 및 제2 방향(1, 2) 사이에 해당되는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긴 타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본관(10)쪽에 해당되는 고정링(350)의 타측 테두리면은 파형으로 돌출되어 커넥터(200)의 내측면에서 걸림턱(220)에 밀착된다.
하부돌출부(351)는 고정링(350)의 타측 하부 테두리면이 타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돌출부(352)는 고정링(350)의 타측 상부 테두리면이 타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측홈(353)은 고정링(350)의 제1 방향(1)쪽 테두리면이 일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함몰되고,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의 테두리면과 연결되며 파형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타측홈(354)은 고정링(350)의 제2 방향(2)쪽 테두리면이 일측을 향해 반구 형태로 함몰되고,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의 테두리면과 연결되어 파형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홈(361)들 각각은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 타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부터 동일 수직선상에 상하부 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들 각각의 일측까지 동일한 폭으로 절개(切開)되며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홈(361)에 의해 하부돌출부(351)의 일측 제1 방향(1)쪽 부분 및 제2 방향(2)쪽 부분은 제1 홈(36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제1 홈(361)에 의해 상부돌출부(352)의 일측 제1 방향(1)쪽 부분 및 제2 방향(2)쪽 부분은 제1 홈(36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제2 홈(362)들 각각은 제1 홈(361)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이격된 위치의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 일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부터 동일 수직선상에 상하부 방향으로 절개되어,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들 각각의 타측 테두리까지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홈(362)에 의해 하부돌출부(351)의 타측 제1 방향(1)쪽 부분 및 타측 중앙부는 제2 홈(362)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제2 홈(362)에 의해 상부돌출부(352)의 타측 제1 방향(1)쪽 부분 및 타측 중앙부는 제2 홈(362)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제3 홈(363)들 각각은 제1 홈(361)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이격된 위치의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 일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부터 동일 수직선상에 상하부 방향으로 절개되어,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들 각각의 타측 테두리까지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제3 홈(363)에 의해 하부돌출부(351)의 중앙부 및 타측 제2 방향(2)쪽 부분은 제3 홈(363)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제3 홈(363)에 의해 상부돌출부(352)의 중앙부 및 타측 제2 방향(2)쪽 부분은 제3 홈(363)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 홈(361, 362, 363)들 각각의 일단은 절개폭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이 수직으로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홈(361, 362, 363)들 각각은 고정링(350)의 중앙에서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피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고정링(350)이 커넥터(200)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결합되면서 제1 내지 제3 홈(361, 362, 363)들 각각의 내부에 해당되는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의 내측면들이 서로 밀착된다.
고정링(350)이 커넥터(200)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의 수축으로 고정링(350)은 원형의 단면구조로 변형되고, 고정링(35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외측면이 커넥터(20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커넥터(200)를 확장시킨다.
한편, 제1 내지 제3 홈(361, 362, 363)들 각각의 단면구조는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의 외측면에서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의 안쪽을 향해 날카롭게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링(350)이 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수축폭이 넓은 하부돌출부(351) 및 상부돌출부(352)의 외측면의 수축 범위가 증가되므로 고정링(350)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고정링(300, 350)들은 천공(5)의 일측에서 커넥터(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편리한 과정을 통해 커넥터(200)를 본관(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1 내지 제3 홈(361, 362, 363)들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들에 끝부분이 절곡된 갈고리의 일부분을 삽입시켜 필요시 고정링(350)을 커넥터(200)로부터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관경조정링(500)은 환 형태로 형성되고, 가지관(20)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에 삽입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가지관(20)의 외측면 및 커넥터본체(21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한다.
관경조정링(500)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측면에는 단면이 삼각형이고 관경조정링(500)의 내측면을 따라 링 형태로 연장되어 관경조정링(5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수밀돌기가 형성된다.
관경조정링(5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수밀돌기들 각각은 관경조정링(50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커넥터(200)의 내부에서 가지관(20)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수밀성을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가지관(20) 외경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경보다 과도하게 작은 경우, 가지관(20)이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면, 가지관(20)의 외측면 및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측면 사이에 유격공간이 발생한다.
관경조정링(500)은 상기 유격공간에 배치되면서 가지관(20) 및 커넥터본체(210) 사이를 연결하여 본관(10) 및 가지관(20) 사이의 수밀성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6들을 참조하면, 가지관(20)을 본관(10)에 연결시키는 제1 단계로서 작업자는 커넥터(200)를 천공(5)에 삽입시켜 수밀돌기(230)들을 천공(5)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제2 단계로서, 작업자는 고정링(300, 350)들 중 어느 하나를 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시켜 커넥터(200)를 본관(10)에 고정시킨다.
제3 단계로서, 작업자는 가지관(20)의 일단 일부분을 커넥터(200)의 타단측에서 커넥터(200)의 타단 내부에 삽입시키고, 가지관(20)의 일단 끝단면을 내부단턱(250)에 밀착시킨다.
제4 단계로서, 작업자는 체결밴드(400)를 체결홈(295)에 삽입시켜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을 둘러싼 상태에서 체결볼트(440)를 정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브라켓(420, 430)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밴드본체(410)는 커넥터본체(210)의 타단을 조이면서 커넥터(200) 및 가지관(20)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작업자는 가지관(20)의 외측면 및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측면 사이에 유격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가지관(20)을 커넥터(200)에 삽입시키기 전에 관경조정링(500)을 우선적으로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관경조정링(500)은 커넥터본체(210)의 타단 안쪽에 삽입되면, 관경조정링(500)의 타측면은 내부단턱(250)의 일측면과 밀착되고, 관경조정링(500)의 외측면은 수밀돌기(280)들과 밀착된다.
관경조정링(500)이 수밀돌기(280)들과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가지관(20)의 일단 일부분을 관경조정링(500)의 안쪽으로 삽입시켜, 가지관(20)의 일단 외측면을 관경조정링(50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한편, 고정링(300, 350)의 내측면에는 제2 및 제3 홈(362, 363)들 각각의 일측에 해당되는 고정링(300, 350)의 내측면 일부분이 함몰되어 보조홈(36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고정링(300, 350)을 커넥터(200)에서 분리하기 위해 보조홈(364)에 끌의 일부를 삽입시킨 후 끌을 가압하여 제2 또는 제3 홈(362, 363)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해당되는 고정링(300, 350)을 절단시키는 작업을 통해 고정링(300, 350)을 용이하게 커넥터(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200: 커넥터
300: 고정링 400: 체결밴드
500: 관경조정링

Claims (8)

  1. 하수도의 본관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관과 가지관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사용되는 고정링에 있어서,
    타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안쪽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원형의 단면구조로 변형되며 상기 커넥터 및 본관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형성되고,
    하부 및 상부 일부분이 상기 본관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천공의 주변을 밀봉하는 하부돌출부 및 상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돌출부 및 상부돌출부의 일부분이 상하부 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본관 또는 상기 본관과 이격된 방향을 향해 절개되며 연장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크랙형태의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링.
  2. 삭제
  3. 삭제
  4. 하수도의 본관에 가지관을 연결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일단은 본관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가지관의 일부분이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일단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링;
    상기 커넥터의 타단 외측면을 둘러싸며 압박하는 체결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상하부 직경이 양측 직경보다 긴 타원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은, 하부 및 상부 일부분이 상기 본관을 향해 반구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천공의 주변을 밀봉하는 하부돌출부 및 상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돌출부 및 상부돌출부의 일부분이 상하부 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본관 또는 상기 본관과 이격된 방향을 향해 절개되며 연장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크랙형태의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밴드 형태로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는 밴드몸체;
    상기 밴드몸체의 일단 및 타단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들; 및
    상기 브라켓들을 관통하고 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단 외측과 타단 내측에 돌출된 수밀돌기들, 일단의 끝단 내측에서 안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과 밀착되는 걸림턱, 일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스토퍼 및 타단 내측면이 외측을 향해 함몰되어 내측면 중앙에 내부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을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지관 및 상기 커넥터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밀돌기 및 가지관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관경조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KR1020210009552A 2021-01-22 2021-01-22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KR102299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52A KR102299817B1 (ko) 2021-01-22 2021-01-22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52A KR102299817B1 (ko) 2021-01-22 2021-01-22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817B1 true KR102299817B1 (ko) 2021-09-09

Family

ID=7777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552A KR102299817B1 (ko) 2021-01-22 2021-01-22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8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186U (ko) * 2010-05-27 2011-12-05 류지운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102147273B1 (ko) * 2019-02-21 2020-08-24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186U (ko) * 2010-05-27 2011-12-05 류지운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KR102147273B1 (ko) * 2019-02-21 2020-08-24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22B1 (ko) 하수맨홀용 커넥터 구조체
KR102299817B1 (ko) 하수도 가지관용 고정링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US6572118B2 (en) Flexible seal member for non-metallic conduit to concrete manhole junction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2254019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2668493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230037788A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200413764Y1 (ko) 수도관 연결 장치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1972929B1 (ko) 관로 밀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S594234Y2 (ja) 上下水道管等の継手部の止水具
KR100629478B1 (ko) 접속관의 방향조절장치를 갖는 맨홀
KR20020094841A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302170Y1 (ko) 이음관용 조임구
KR200218355Y1 (ko) 가지관 연결 조인트
KR101490720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20190045632A (ko) 하수관 연결구
CN217204450U (zh) 一种厨房用多路排水的下水管密封结构
KR101719066B1 (ko) 배수관 연결구
KR20060062851A (ko) 맨홀에 매설관의 연결을 위한 신축 접속구
KR100742396B1 (ko) 고층건물의 하수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