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764Y1 - 수도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764Y1
KR200413764Y1 KR2020060000962U KR20060000962U KR200413764Y1 KR 200413764 Y1 KR200413764 Y1 KR 200413764Y1 KR 2020060000962 U KR2020060000962 U KR 2020060000962U KR 20060000962 U KR20060000962 U KR 20060000962U KR 200413764 Y1 KR200413764 Y1 KR 200413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ipe
ring
wedge surf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7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8Bends; Siphons made from plastic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에 결합력과 기밀성을 증대시켜 수압으로 인한 수도관의 이탈 및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연결되기 위한 수도관 사이에 개재된 연결관과, 상기 수도관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관 연결 장치에 있어서, 수도관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의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의 입구로 수도관의 말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관의 입구에 삽입된 수도관의 말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도록 그 틈새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환형의 밀봉링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된 수도관이 삽입되고 그 수도관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측으로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쐐기면이 형성되며 소정 위치에서 분리된 환형의 스토퍼링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된 수도관이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스토퍼링의 쐐기면에 대응되는 쐐기면이 형성된 압륜과, 상기 압륜의 쐐기면이 상기 스토퍼링의 쐐기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토퍼링이 압착되도록 상기 압륜과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

Description

수도관 연결 장치{DEVICE FOR CONNECTIING WATER PIP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의 스토퍼링을 도시한 사시도 및 A-A에서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수도관
2 연결관
21,22 플랜지부
3 연결구
31 밀봉링
32 스토퍼링
33 압륜
34 커버링
본 고안은 수도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에 결합력과 기밀성을 증대시켜 수압으로 인한 수도관의 이탈 및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충격성을 갖는 수도용 경질염화비닐관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수도관은 배관시 유체의 방향변화, 합수 또는 분기 지점이나 관의 연장을 위하여 관의 단부들을 서로 이어주는 연결수단인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수도관 연결 장치는 고압의 수압 및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반면에 ABS와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수도관은 용수의 지속적인 흐름에 의하여 끊임없는 맥동이 발생하여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연결 부위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52777호는 수도관용 이음구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의 수도관용 이음구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도관용 이음구는 수도관의 연결부를 씌워주는 이음구 본체(111)와, 이음구 본체(111)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캡(140)과, 상기 이음구 본체(111)와 수도관 사이에 위치되는 고무링(120)과, 상기 고무링(120)과 체결캡(140) 사이에 위치되어 이음구 본체(111)로 부터 수도관의 이완을 방지하는 스톱퍼(13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무링(120)은 전반부가 연질 고무층(121)으로 형성되고 후반부는 경질 고무층(122)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질고무층(122)의 내주면은 확개부(123)가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130)가 경질고무층(122)의 확개부(123)와 수도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관 이음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이음구 본체와 수도관 사이의 밀봉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그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며, 수도관과 이음구 본체가 서로 분리되어 이탈될 뿐만 아니라 수도관을 연결하는 작업이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부에 결합력과 기밀성을 증대시켜 수압으로 인한 수도관의 이탈 및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연결되기 위한 수도관 사이에 개재된 연결관과, 상기 수도관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관 연결 장치에 있어서, 수도관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의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의 입구로 수도관의 말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관의 입구에 삽입된 수도관의 말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 사이의 틈 새를 밀봉시키도록 그 틈새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환형의 밀봉링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된 수도관이 삽입되고 그 수도관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측으로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쐐기면이 형성되며 소정 위치에서 분리된 환형의 스토퍼링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된 수도관이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스토퍼링의 쐐기면에 대응되는 쐐기면이 형성된 압륜과, 상기 압륜의 쐐기면이 상기 스토퍼링의 쐐기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토퍼링이 압착되도록 상기 압륜과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상기 연결관의 입구 내측에는 입구 측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쐐기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링에는 상기 연결관의 입구 내측에 형성된 쐐기면에 대응되는 쐐기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링은, 상기 압륜에 의해 상기 연결관측으로 밀리는 스토퍼링에 의해 상기 연결관의 입구쪽으로 가압됨으로써 밀봉링의 쐐기면이 상기 연결관의 쐐기면에 밀착되면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상기 스토퍼링의 톱니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상기 스토퍼링은 그 외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상기 압륜의 외측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에 걸리는 헤드가 구비되 어 상기 헤드가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에 걸리게 상기 압륜의 나사체결공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상기 압륜에는 상기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볼트의 헤드가 위치되는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볼트의 헤드가 걸리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이웃하는 수도관(1) 사이에 개재된 연결관(2)과, 상기 수도관(1)과 상기 연결관(2)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2)은 이웃하는 수도관(1) 사이에 개재되어 그 이웃하는 수도관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도관(1)이 연결되기 위한 상기 연결관(2)의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21,22)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21,22)는 상기 연결구(3)의 압륜(33)과의 결합을 위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연결관(2)은 수도관(1)의 연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관(2)은 수도관(1)의 연결 각도, 연결되는 수에 따라 직선형, L자형(엘보우), T자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연결관(2)의 입구로 수도관(1)의 말단부가 삽입되며,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관(2)의 입구로 삽입된 수도관(1)과 그 연결관(2)의 입구는 상기 연결구(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2)의 내주면과 상기 수도관(1)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밀봉링(31)이 삽입되는데, 상기 연결관(2)의 입구에는 상기 밀봉링(31)이 삽입되면서 조여지도록 쐐기면(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관(2)의 입구 내측에는 입구 측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쐐기면(2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의 입구 내측에 형성된 쐐기면(23)에 대응되는 쐐기면(31b)이 형성된 상기 밀봉링(31)은 압륜(33)에 의해 상기 연결관(2)측으로 밀리는 스토퍼링(32)에 의해 상기 연결관(2)의 입구쪽으로 가압됨으로써 밀봉링(31)의 쐐기면(31b)이 상기 연결관(2)의 쐐기면(23)에 밀착되면서 쐐기 현상에 의해 조여지면서 상기 연결관(2) 및 상기 수도관(1)과의 접촉이 더욱 압착된다.
상기 연결구(3)는 상기 연결관(2)의 입구에 삽입된 수도관(1)과 그 연결관(2)을 밀봉시키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3)는 밀봉링(31), 스토퍼링(32), 압륜(33), 커버링(34) 및 체결수단(35,36)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링(31)은 상기 연결관(2)의 입구에 삽입된 수도관(1)의 말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관92)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기 위한 환형의 링으로서, 상기 수도관(1)과 상기 연결관(2) 사이의 틈새에 개재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링(31)에는 상기 연결관(2)의 입구 내측에 형성된 쐐기면(23) 에 대응되는 쐐기면(31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밀봉링(31)은 압륜(33)에 의해 상기 연결관(2)측으로 밀리는 스토퍼링(32)에 의해 상기 연결관(2)의 입구쪽으로 가압됨으로써 밀봉링(31)의 쐐기면(31b)이 상기 연결관(2)의 쐐기면(23)에 밀착되면서 쐐기 현상에 의해 조여지게 되고, 그 내주면(31a)이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더욱 밀착됨으로써 상기 밀봉링(31)과 상기 연결관(2) 및 상기 수도관(1) 사이의 틈새가 확실하게 밀봉된다.
상기 스토퍼링(32)는 상기 수도관(1)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압륜(33)에 의해 조여지면서 상기 수도관(1)에 조여지기 위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의 스토퍼링을 도시한 사시도 및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링(32)은 상기 연결관(2)에 삽입된 수도관(1)이 삽입되고 그 수도관(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32b)가 형성된다. 상기 톱니(32b)는 상기 스토퍼링(32)이 조여지면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을 파고들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수도관(2)은 상기 스토퍼링(32)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톱니(32b)는 상기 수도관(1)이 상기 연결관(2)로부터 빠지는 방향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톱니(32b)는 상기 수도관(1)이 상기 연결관(2)로부터 빠질 때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걸리는 면(32b-1)은 거의 연직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걸리는 면(32b-1)의 반대측 면(32b-2)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톱니(32b)는 그 길이가 너무 길면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 표면을 파고드는 정도가 작아지게 된 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링(32)의 톱니(32b)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홈(32c)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스토퍼링(32)은 상기 연결관(2)의 플랜지부(21)에 결합되는 압륜(33)에 의해 조여진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링(32)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관(2)의 플랜지부(21)측으로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쐐기면(32a)이 형성되며, 그 쐐기면(32a)에는 상기 압륜(33)에 형성된 쐐기면(33a)이 접촉되어 상호 쐐기 작용에 의해 상기 스토퍼링(32)은 조여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여지는 스토퍼링(32)은 소정 위치(32d)에서 분리되어 그 분리된 부분이 서로 맞닿을 때까지 직경이 축소되면서 조여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링(32)은 비교적 강성이 큰 철재의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링(32)이 그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조여지는 경우에는 매우 큰 힘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링(32)의 외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부(32e)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링(32)의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조여지는 경우에 그 절개부(32e)가 벌어짐으로써 상기 스토퍼링(32)이 잘 조여지게 된다.
상기 압륜(33)은 상기 연결관(2)의 플랜지부(21)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토퍼링(32)을 조이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압륜(33)은 상기 연결관(2)에 삽입된 수도관(1)이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스토퍼링(32)의 쐐기면(32a)에 대응되는 쐐기면(33a)이 형성된다. 상기 압륜(33)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수단의 볼트(35)가 삽입되기 위한 나사체결공(33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압륜(33)에는 상기 나사체결공(33b)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체결수단의 볼트(35)의 헤드(35a)가 위치되는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볼트(35)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볼트(35)의 헤드 (35a)가 걸리는 안착부(33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35)에 너트(36)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35a)가 상기 안착부(33c)에 걸려 회전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너트(36)의 체결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 커버링(34)은 상기 밀봉링(31)과 상기 스토퍼링(3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밀봉링(31)과 상기 스토퍼링(32)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밀봉링(31)은 고무와 같은 수축 및 확장이 잘되는 연질 재질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스토퍼링(32)은 소정의 위치에서 분리되어 있는데 그 분리된 부분이 서로 조여지면서 그 분리된 부분의 말단이 상기 밀봉링(31)의 접촉면을 일부 파고들게 된다. 상기 커버링(34)은 상기 스토퍼링(32)이 상기 밀봉링(31)에 직접 접촉되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링(32)의 분리된 부분의 말단이 상기 밀봉링(31)의 접촉면을 파고 들지 않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링(34)은 철재나 경질의 수지재와 같은 경질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35,36)은 상기 압륜(33)의 쐐기면(33a)이 상기 스토퍼링(32)의 쐐기면(32a)에 밀착되어 상기 스토퍼링(32)이 압착되도록 상기 압륜(33)과 상기 연결관(2)의 플랜지부(21)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35)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36)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35)는 상기 연결관(2)의 플랜지부(21)에 걸리는 헤드(35a)와 상기 너트(36)가 체결되는 나삽부(35b)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35)는 상기 헤드(35a)가 상기 연결관(2)의 플랜지부(21)에 걸리게 상기 압륜(33)의 나사체결공(33b)에 삽입되며, 상기 너트(36)는 상기 볼트(35)의 나삽부(35b)에 나사체결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연결관(2)의 플랜지부(21)에는 상기 압륜(33)과 같이 별도의 나사체결공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볼트(36)의 헤드(36a)가 그 플랜지부(21)에 걸리면서 상기 압륜(33)과 상기 연결관(2)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볼트(35)의 헤드(35a)를 상기 연결관(2)의 플랜지부(21)에 걸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압륜(33)과 상기 연결관(2)의 결합이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도관 연결 장치는 연결부에 결합력과 기밀성을 증대시켜 수압으로 인한 수도관의 이탈 및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수도관 연결 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연결되기 위한 수도관 사이에 개재된 연결관과, 상기 수도관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관 연결 장치에 있어서,
    수도관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의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의 입구로 수도관의 말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관의 입구에 삽입된 수도관의 말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도록 그 틈새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환형의 밀봉링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된 수도관이 삽입되고 그 수도관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측으로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쐐기면이 형성되며 소정 위치에서 분리된 환형의 스토퍼링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된 수도관이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스토퍼링의 쐐기면에 대응되는 쐐기면이 형성된 압륜과, 상기 압륜의 쐐기면이 상기 스토퍼링의 쐐기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토퍼링이 압착되도록 상기 압륜과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입구 내측에는 입구 측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쐐기 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링에는 상기 연결관의 입구 내측에 형성된 쐐기면에 대응되는 쐐기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링은, 상기 압륜에 의해 상기 연결관측으로 밀리는 스토퍼링에 의해 상기 연결관의 입구쪽으로 가압됨으로써 밀봉링의 쐐기면이 상기 연결관의 쐐기면에 밀착되면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의 톱니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은 그 외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과 상기 스토퍼링 사이에는 커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륜의 외측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에 걸리는 헤드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부에 걸리게 상기 압륜의 나사체결공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륜에는 상기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볼트의 헤드가 위치되는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볼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볼트의 헤드가 걸리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 장치.
KR2020060000962U 2005-12-28 2006-01-12 수도관 연결 장치 KR2004137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598 2005-12-28
KR20050036598 2005-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764Y1 true KR200413764Y1 (ko) 2006-04-13

Family

ID=4929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962U KR200413764Y1 (ko) 2005-12-28 2006-01-12 수도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7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968B1 (ko) * 2008-02-01 2008-06-19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장치
KR100864283B1 (ko) * 2008-02-01 2008-10-20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장치의 스토퍼 링
KR200471097Y1 (ko) * 2013-03-29 2014-02-04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신축 관 이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968B1 (ko) * 2008-02-01 2008-06-19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장치
KR100864283B1 (ko) * 2008-02-01 2008-10-20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장치의 스토퍼 링
KR200471097Y1 (ko) * 2013-03-29 2014-02-04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신축 관 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27818A1 (en) Sealing ring for connecting the spigot of a corrugated pipe with a pipe socket having a smooth inside wall
US7070209B2 (en) Tapping sleeve
US20040041353A1 (en) Metal packing
JP6790090B2 (ja) ワンタッチ配管連結装置
US5353841A (en) Pneumatic plug for clean-out tees
US5234034A (en) Pneumatic plug device
US6336640B1 (en) Gasket
KR200413764Y1 (ko) 수도관 연결 장치
US8646314B2 (en) Externally engaging test barrier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JP4827171B2 (ja) 管用栓を用いた管端閉塞工法
US10041630B1 (en) Pipe fitting with sealable access opening for line testing
JP4276014B2 (ja) 分水栓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US6116262A (en) Plumbing coupling and method of use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KR200252276Y1 (ko) 관연결구용 패킹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JP3806216B2 (ja) 流体の分岐方法
JP2019027079A (ja) マンホール用下水バイパス装置
US11668425B1 (en) Push seal pipe adapter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JPH07332558A (ja) 管体の接続部構造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200302170Y1 (ko) 이음관용 조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721

Effective date: 20090225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