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487B1 - 흄관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흄관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487B1
KR100743487B1 KR1020070041261A KR20070041261A KR100743487B1 KR 100743487 B1 KR100743487 B1 KR 100743487B1 KR 1020070041261 A KR1020070041261 A KR 1020070041261A KR 20070041261 A KR20070041261 A KR 20070041261A KR 100743487 B1 KR100743487 B1 KR 10074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fixed
variabl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문경식
Original Assignee
김용현
문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문경식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102007004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18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branch pipe being movable

Abstract

본 발명은 흄관에 삽입되는 고정직관과, 상기 고정직관의 끝에서 일정한 곡률로 확대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단부의 외주에는 수체결부가 형성된 고정확관으로 이루어진 고정관; 상기 고정확관에 일부 삽입되어 밀착되면서 일정각도 회전되는 가변확관과, 상기 가변확관의 끝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가변직관으로 이루어진 가변관; 상기 고정관의 직관에 밀착 삽입되고, 단부에는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이 형성된 패킹; 상기 가변확관에 씌어지고 내부에는 상기 가변확관이 빠져나가지 않고 걸리도록 내주를 따라 플랜지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확관의 수체결부에 착탈되는 암체결관으로 이루어진 체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흄관, 연결관, 고정관, 가변관, 패킹

Description

흄관용 연결관{Connecting tube for hu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연결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연결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연결관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연결관의 가변관이 일측으로 완전히 꺽였을때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연결관의 가변관이 다른 일측으로 완전히 꺽였을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연결관이 흄관에 결합되었들 때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관 110 : 고정직관
112 : 회전방지돌기 120 : 고정확관
122 : 수체결부 200 : 가변관
210 : 가변직관 220 : 가변확관
230 : 걸림턱 300 : 패킹
310 : 걸림편 312 : 회전방지홈
314 : 돌출링 400 : 체결관
410 : 걸림부 412 : 암체결부
500 : 수밀링
본 발명은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흄관을 분기시켜 연결할 때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조절되는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으며, 연결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흄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흄관은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예로서 상수도나 하수도를 건설할 때 사용된다. 흄관은 종류로는 합성수지관, 강관, 콘크리트관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관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여기서는 흄관으로부터 분기하여 PVC 등의 합성수지관으로 연결하는데, 합성수지관은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방향이 분기시킬 때 엘보우를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엘보우는 구부러진 각도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현장에서 꺽이는 각도가 바뀌면 연결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여러개의 엘보우를 가지면서 다니면서 꺽이 는 각도에 맞춰 시공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이 흄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연결할 때 엘보우가 가지는 단점 때문에 불편하여 일정 각도내에서 임의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연결관이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흄관내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지금까지의 연결관은 흄관의 분기구멍에서 수밀유지가 잘 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고, 가변관의 가변 각도도 작아 절곡이 많이 되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으며, 연결과정도 복잡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흄관에서 분기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연결부위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고, 일반적인 연결관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각도로 꺽어서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흄관용 연결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흄관에 삽입되는 고정직관과, 상기 고정직관의 끝에서 일정한 곡률로 확대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단부의 외주에는 수체결부가 형성된 고정확관으로 이루어진 고정관; 상기 고정확관에 일부 삽입되어 밀착되면서 일정각도 회전되는 가변확관과, 상기 가변확관의 끝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가변직관으로 이루어진 가변관; 상기 고정관의 직관에 밀착 삽입되고, 단부에는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이 형성된 패킹; 상기 가변확관에 씌어지고 내부에는 상기 가변확관이 빠져나가지 않고 걸리도록 내주를 따라 플랜지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확관의 수체결부에 착탈되는 암체결관으로 이루어진 체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연결관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연결관은 고정관(100), 가변관(200), 패킹(300), 체결관(400), 수밀링(50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관(100)은 고정직관(110)과 고정확관(12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직관(110)은 흄관(1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흄관(10)에 관용적으로 형성되는 분기구멍의 크기에 맞추어 설계된 것이다.
고정직관(110)의 끝에는 원주를 따라 일정곡률로 직경이 확대되어 반구형을 이루는 고정확관(120)이 형성되고, 고정확관(120)의 단부 외주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수체결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직관(110)에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300)이 삽입된다. 패킹(300)은 흄관(10)에 형성된 분기구멍(12)에 먼저 삽입되어 고정직관(110)이 삽입될 때 압착되어 흄관(10)을 타고 흐르는 유체(식수, 오수, 폐수 등)가 누수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것으로서, 흄관(10)의 두께를 고려하여 그 두께에 맞게 폭을 설정한다. 패킹(300)의 양측단 외주에는 흄관(10)에 삽입되어 흄관(10)의 내측 벽면에 걸리도록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310)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중앙에는 원주를 따라 돌출링(314)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링(314)은 패킹(300)의 중심방향으로 2 ~ 8mm 정도 돌출된 것으로 고정직관(310)이 삽입될 때 패킹(300)의 압력을 받아 돌출링(314)에 대응되는 패킹(300)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게 하는 것이다.
고정직관(110)과 고정확관(120) 사이의 연결부 외측에는 수개의 회전방지돌기(112)가 형성되고, 패킹(300)의 일단에는 회전방지돌기(112)에 대응되는 회전방지홈(312)을 형성할 수 있다. 패킹(300)은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회전방지홈(312)을 형성하지 않아도 조립시 눌리면서 회전방지돌기(112)를 압박하여 고정직관(110)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가변관(200)은 가변직관(210)과 가변확관(220)으로 이루어진다. 가변확관(220)은 고정확관(120)에 삽입되어 면접촉되면서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으로, 고정확관(120)에 대응되는 곡률과 구조로 형성된다.
가변확관(220)의 끝에는 가변확관(220)의 중심선과 일정각도 경사진 가변직관(210)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경사각은 10 ~ 40°가 바람직하다. 경사각도가 40°이상이면 너무 많이 꺽여 가벽확관(220)의 일부가 고정직관(110)의 내경을 막아버려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고, 10°이하이면 시공현장에서 절곡각도에 대한 가변성이 떨어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2°이다.
가변확관(220)의 외주에는 고정확관(120)과 가변확관(220)을 결합하는 체결관(400)이 설치되고, 체결관(400)의 내주에는 수체결부(122)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암체결부(412)가 형성되고, 체결관(400)의 내측단에는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형태의 걸림부(410)가 형성된다. 걸림부(410)의 내경은 가변 확관(220)의 최대지름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가변확관(220)의 끝부분에 걸려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체결관(400)의 걸림부(410)에는 체결관(400)에 의해 고정확관(120)과 가변확관(220)이 결합되었을 때 유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수밀링(500)이 안착된다. 수밀링(500)의 중심에는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이 형성되면 압축률을 높이고 압축에 의해 반발력을 높게 하여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연결관의 작용과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나 하수도 등으로 이용되는 흄관(10)이 구비되고, 흄관(10)의 일측에는 코어드릴을 이용하여 분기구멍(12)을 뚫는다.
분기구멍(12)에 패킹(300)을 삽입하여 패킹(300)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310)가 분기구멍(12)이 형성된 흄관(10)의 내벽면에 걸리도록 하고,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310)이 외벽면에 걸리도록 한다.
패킹(300)이 분기구멍에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관(100)을 밀어넣으면, 고정직관(110)이 패킹(300) 내부로 삽입되면서 패킹(300)을 압박하여 패킹(300)이 분기구멍(12)이 형성된 흄관(10)을 압박하여 밀착되면서 패킹(300)과 분기구멍(12) 사이를 실링한다. 이때 패킹(300)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링(314)에 대응되는 부분의 패킹(300)면은 상대적으로 더 강한 압박을 받으면서 실링된다. 즉 돌출링(314) 부분의 패킹(300)이 외측으로 밀려 올라와 더 강한 압박을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직관(11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12)와 패킹(300)에 형성된 걸림방지홈(312)이 맞물리게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관(100)이 패킹(30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확관(120)에 가변확관(220)을 끼우고, 기변직관(210)을 통해 가변확관(220)에 체결관(400)을 끼운후 체결관(400)을 돌려 암체결부(412)와 수체결부(122)가 맞물려 고정관(100)과 가변관(200)을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관(400)의 걸림부(410)에 수밀링(500)을 안착시킨 후 체결하면 걸림부(410)와 고정확관(120)의 단부면 사이에 수밀링(500)이 위치되어 눌리면서 고정관(100)과 가변관(200) 사이의 수밀이 유지된다.
고정관(100)에 가변관(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변관(20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절곡시켜 분기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시키는데, 가변관(200)을 일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절곡시키면 가변확관(220)의 상부 외주에 형성된 걸림턱(230)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다른 일측으로 절곡시키면 가변직관(210)의 일측이 체결관(400)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는 필요이상으로 회전시키면 가변확관(220)의 끝부분이 유로로 돌출되어 유로의 내경을 실질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관이 막히는 등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관이 일정각도 경사져 있어서 상대적으로 절곡각도가 큰 곳에서도 시공이 용이하고, 고정직관에 패킹이 삽입되어 있어 흄관의 분기구멍을 통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며, 패킹의 내주에 돌출링이 형성되어 고정직관 삽입시 돌출링에 대응되는 패킹의 외부가 돌출되면서 더 큰 압력으 로 가압되므로 패킹에 의한 실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변관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시공시 발생될 수 있는 유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수밀링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수밀링에 의한 가압과 복원력이 증대되어 고정관과 가변관 사이의 실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관에 회전방지돌기와 패킹의 회전방지홈이 맞물려서 시공시 고정관이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체결관을 돌릴때 발생할 수 있는 고정관의 헛도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흄관에 삽입되는 고정직관과, 상기 고정직관의 끝에서 일정한 곡률로 확대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단부의 외주에는 수체결부가 형성된 고정확관으로 이루어진 고정관;
    상기 고정확관에 일부 삽입되어 밀착되면서 일정각도 회전되는 가변확관과, 상기 가변확관의 끝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가변직관으로 이루어진 가변관;
    상기 고정관의 직관에 밀착 삽입되고, 단부에는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이 형성된 패킹;
    상기 가변확관에 씌어지고 내부에는 상기 가변확관이 빠져나가지 않고 걸리도록 내주를 따라 플랜지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확관의 수체결부에 착탈되는 암체결관으로 이루어진 체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연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내주에는 내주를 따라 돌출링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연결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확관의 외주에는 가변확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연결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의 걸림부에는 수밀링이 안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연결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의 중심은 중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연결관.
KR1020070041261A 2007-04-27 2007-04-27 흄관용 연결관 KR10074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61A KR100743487B1 (ko) 2007-04-27 2007-04-27 흄관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61A KR100743487B1 (ko) 2007-04-27 2007-04-27 흄관용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487B1 true KR100743487B1 (ko) 2007-07-30

Family

ID=3849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261A KR100743487B1 (ko) 2007-04-27 2007-04-27 흄관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01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청학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28A (ko) * 2002-08-01 2004-02-11 한국미라이공업 주식회사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28A (ko) * 2002-08-01 2004-02-11 한국미라이공업 주식회사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01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청학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2326135B1 (ko) * 2020-04-14 2021-11-15 주식회사 청학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3840B2 (en) System and method of releasably connecting pipe sections
US20060033333A1 (en) Self locking threaded connector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JP2019505734A (ja) ワンタッチ配管連結装置
CN211525753U (zh) 带有将螺母插入端口内侧的加强件的pb管道连接端口装置
KR20090117285A (ko) 합성수지관연결구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KR100836834B1 (ko)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102300286B1 (ko) 주관 밀폐력이 향상된 분기관 연결장치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US20070200341A1 (en) Sewer tap with watertight lip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KR200258641Y1 (ko) 스테인리스 배급수관 연결기구
KR102454257B1 (ko) 하수관 연결구조체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KR101339840B1 (ko) 관 연결구
KR102263217B1 (ko) 스마트 니플
JP3413478B2 (ja) 流体管のための差込式管継手、及びこれによって構成されるマルチヘッダ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RU23086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напорных полимерных труб
JP3888901B2 (ja) 通水管と継手部材の接続構造
KR20050113587A (ko) 용수관 설치용 분기구
KR200364167Y1 (ko) 체결형 가변각도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