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285A - 합성수지관연결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285A
KR20090117285A KR1020080043265A KR20080043265A KR20090117285A KR 20090117285 A KR20090117285 A KR 20090117285A KR 1020080043265 A KR1020080043265 A KR 1020080043265A KR 20080043265 A KR20080043265 A KR 20080043265A KR 20090117285 A KR20090117285 A KR 2009011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flange
pipe connec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950B1 (ko
Inventor
유수택
김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to KR102008004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95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공사를 위한 작업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종단부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구로서, 배관공사시 작업공간이 협소함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작업으로 합성수지관의 연결할 수 있어서 배관연결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배관용 파이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배관연결구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프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프랜지의 일측면의 동일원주상에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결합돌기 사이에 홀과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랜지와 접하며 연결을 위한 배관용 파이프가 삽입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두개의 배관연결구의 프랜지측을 마주보게 하여 결합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다.
배관연결구,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Description

합성수지관연결구{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배관공사를 위한 작업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종단부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합성수지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는 별도의 연결관 또는 이음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연결관의 외주면에 나사를 형성하고 이에 맞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연결관을 이용하여 두개의 연결관을 결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장치는 나사를 조이기 위해 별도의 공구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고 , 또한 나사를 조이기 위해 배관작업을 하는 공간이 협소함에도 불구하고 여러번 회전시켜서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관공사시 최소한의 작업으로 배관연결 시공이 용이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배관용 파이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고, 일측에 프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프랜지의 일측면의 동일원주상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겹합돌기(120) 사이에 상기 결합돌기(120)가 삽입되는 홀(130)과 삽입된 결합돌기(120)가 이동하는 결합홈(14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랜지(110)와 접하며 연결을 위한 배관용 파이프가 삽입되는 연결구(150)로 구성되며, 한쌍의 배관연결구(10)를 회전결합시켜 배관을 결속함으로써 완성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배관공사시 작업공간이 협소함에도 불구하고 배관공사시 최소한의 작업으로 합성수지관의 연결할 수 있어서 배관연결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연결구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배관연결시 사용되며, 배관용 파이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배관연결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프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프랜지의 일측면의 동일원주상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결합돌기(120) 사이에 홀(130)과 결합홈(14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랜지(110)와 접하며 연결을 위한 배관용 파이프가 삽입되는 연결구(1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두개의 배관연결구(10)를 결합하여 완성한다.
상기 프랜지(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20)는 머리부(120a)와 기둥부(120b)로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20a)는 기둥부(120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부(120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홀(130)에 삽입된 후 결합홈(140)을 따라 이동하여 결속되게 된다.
상기 결합돌기(120)가 삽입되는 홀(130)은 결합돌기(120)의 머리부(12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삽입된 결합돌기(120)는 기둥부(120b)를 결합홈(140)을 따라 이동시켜 결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40)은 원호형태로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결합돌기(120)가 결합홈(14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기둥부(120b)가 결합홈(140)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둥부(120b)가 밀착되게 됨으로써, 기둥부(120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120a)가 프랜지(110)에 걸리게 되어 결속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렌지(110)의 측면은 결합홈(140)의 이동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결합홈(140)을 따라 결합돌기(120)가 이동하면서 머리부(120a)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두개의 배관연결구(10)를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두개의 배관연결구(10)를 결합할 때, 수밀을 위한 패킹(30)이 두개의 배관연결구(1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패킹(30)은 고무재질이나 실리콘재질로 형성하게 된다.
이는 배관연결구(10)를 결합할 때, 수밀을 유지하는 목적이외에도, 두 관연결구사이의 완충을 위한 역할도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두개의 배관연결구(10)의 프랜지(110)측을 마주보게 하고, 각각의 프랜지(1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120)를 반대측에 있는 프랜지(110)의 홀(130)에 삽입한 후 회전시켜 결합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결합된 각각의 배관연결구(10)의 연결구(150)에 연결을 위한 파이프의 일측단부를 삽입하여 결속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결합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연결구의 또다른 실시예는, 배관용 파이프의 일측단부가 상기 본 발명의 연결구의 외경을 내삽하는 형태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배관용 파이프의 일측단부가 상기 배관연결구의 연결구 외경을 내삽하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배관연결구(20)는 일측에 프랜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랜지(210)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250)쪽으로 갈수록 점점 구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배관용 파이프에 내삽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배관용 파이프에 내삽될 때, 수밀을 유지하고,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수밀링(260)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패킹은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이프의 내경으로 삽입할 때, 삽입이 용이하며, 크기가 다양한 파이프에 삽입할 때에도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랜지(210)의 일측면 동일원주상에 결합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 또한 머리부(220a)와 기둥부(220b)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20)는 프랜지(220)의 일측에 형성된 홀(230)에 삽입되고, 결합홈(240)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두개의 배관연결구(20)의 프랜지(210)를 마주보게 하여 각각의 프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220)를 반대측에 위치한 홀(230)에 삽입한 후 회전시켜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두개의 배관연결구(20)의 연결구(250)의 외경을 연결을 위한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하게 되며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배관연결구(20)의 프랜지(210) 쪽으로 밀착시키게 되고, 일측에 구비된 수밀링(260)과 접하며 결속되고 수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결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20 : 배관연결구 30 : 패킹
110, 210 : 프랜지 120, 220 : 결합돌기
30, 230 : 홀 140, 240 : 결합홈
150, 250 : 연결구 260 : 수밀링

Claims (7)

  1. 배관용 파이프의 일측단부가 내삽되어 파이프를 연결하는 합성수지관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에 프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프랜지의 일측면의 동일원주상에 결합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겹합돌기(120) 사이에 상기 결합돌기(120)가 삽입되는 홀(130)과 삽입된 결합돌기(120)가 이동하는 결합홈(140)이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랜지(110)와 접하며 연결을 위한 배관용 파이프가 삽입되는 연결구(150)로 구성되는 배관연결구(10)와 상기와 같은 배관연결구(10) 한쌍을 프랜지(110)가 마주보도록하고, 상기 한쌍의 배관연결구(10) 사이에 수밀과 완충을 위하여 패킹(30)을 위치하게 한 후 회전결합시켜 배관을 결속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20)는 머리부(120a)와 기둥부(120b)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120a)는 기둥부(120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부(120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홀(130)에 삽입된 후 결합홈(140)을 따라 이동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연결구.
  3. 제 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40)은 폭이 점점 좁 아지게 형성되어 결합돌기(120)가 결합홈(14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기둥부(120b)가 결합홈(14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연결구.
  4. 상기 제1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관연결구(10)의 일측에 형성된 프랜지(110)의 측면은 결합홈(140)의 이동방향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40)을 따라 결합돌기(120)가 이동하면서 머리부(120a)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한쌍의 배관연결구(10)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진관연결구.
  5. 배관용 파이프의 일측단부에 내삽되어 파이프를 연결하는 합성수지관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에 프랜지(210)가 형성되고, 상기 프랜지의 일측면의 동일원주상에 결합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220)가 삽입되는 홀(230)과 삽입된 결합돌기(220)가 이동하는 결합홈(240)이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랜지(210)와 접하며 연결을 위한 배관용 파이프에 내삽되는 연결구(250)로 구성되는 배관연결구(210)와 상기와 같은 배관연결구(210) 한쌍을 프랜지(210)가 마주보도록하고, 상기 한쌍의 배관연결구(20) 사이에 수밀과 완충을 위하여 패킹(30)을 위치하게 한 후 회전결합시켜 배관을 결속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연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50)는 연결구쪽으로 갈수록 점점 구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연결구.
  7. 제 5항 또는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연결구(20)의 일측에는 수밀링(2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연결구.
KR1020080043265A 2008-05-09 2008-05-09 합성수지관연결구 KR10099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265A KR100996950B1 (ko) 2008-05-09 2008-05-09 합성수지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265A KR100996950B1 (ko) 2008-05-09 2008-05-09 합성수지관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285A true KR20090117285A (ko) 2009-11-12
KR100996950B1 KR100996950B1 (ko) 2010-11-26

Family

ID=4160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265A KR100996950B1 (ko) 2008-05-09 2008-05-09 합성수지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9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988B1 (ko) * 2012-09-05 2014-03-06 (주)복바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직선형 파형관 및 관로 어댑터
CN106704739A (zh) * 2017-01-22 2017-05-24 江苏顺通管业有限公司 一种新型平焊法兰
CN106813028A (zh) * 2017-01-22 2017-06-09 江苏顺通管业有限公司 一种带颈对焊法兰
CN108413160A (zh) * 2018-05-14 2018-08-17 河北省农林科学院粮油作物研究所 快接法兰及法兰连接结构
KR102033094B1 (ko) 2018-12-18 2019-11-08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일체형 플랜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관
KR20220026259A (ko) * 2020-08-25 2022-03-04 최윤경 지하수 배관용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9561A4 (en) * 2016-07-20 2020-01-01 Sang Seon Lee PLASTIC VALVE THAT CAN PREVENT DISTOR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0354A (en) * 1936-12-28 1939-05-30 Evans William Hooper Coupling for fabric hose
US2819028A (en) 1956-10-15 1958-01-07 Gen Electric Waste disposal apparatus
KR100723229B1 (ko) 2005-12-22 2007-05-29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접합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988B1 (ko) * 2012-09-05 2014-03-06 (주)복바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직선형 파형관 및 관로 어댑터
CN106704739A (zh) * 2017-01-22 2017-05-24 江苏顺通管业有限公司 一种新型平焊法兰
CN106813028A (zh) * 2017-01-22 2017-06-09 江苏顺通管业有限公司 一种带颈对焊法兰
CN108413160A (zh) * 2018-05-14 2018-08-17 河北省农林科学院粮油作物研究所 快接法兰及法兰连接结构
KR102033094B1 (ko) 2018-12-18 2019-11-08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일체형 플랜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관
KR20220026259A (ko) * 2020-08-25 2022-03-04 최윤경 지하수 배관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950B1 (ko)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950B1 (ko) 합성수지관연결구
KR20010093182A (ko) 튜브 커플링
JP2008298155A (ja) 管継手のシール材およびこのシール材を用いた管継手
KR101579403B1 (ko) 이중관 파이프 체결구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JP2009103169A (ja) 継手
JP2009008125A5 (ko)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US20210324987A1 (en) Pipe fittings
KR200438887Y1 (ko) 이중벽관 이음용 패킹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JP2007092986A (ja) 継手体の接続方法
KR101029111B1 (ko) 배관연결구
JP2007107618A (ja) 管継手およびその保護キャップ
JP2009047190A (ja) 管継手
KR100674497B1 (ko) 공동주택용 전선의 파형보호관 접속체결구
JP2001248774A (ja) リブ付管継手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JP2003014183A (ja) 管継手
JP5706720B2 (ja) 仮設配管用継手付樹脂管、仮設配管用継手付樹脂管の連結構造、仮設配管管路及び金属製継手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KR20170003104U (ko) 하수관거
KR102447124B1 (ko) 하수관 결합구조체
KR20130121267A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