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780Y1 -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780Y1
KR200409780Y1 KR2020050032050U KR20050032050U KR200409780Y1 KR 200409780 Y1 KR200409780 Y1 KR 200409780Y1 KR 2020050032050 U KR2020050032050 U KR 2020050032050U KR 20050032050 U KR20050032050 U KR 20050032050U KR 200409780 Y1 KR200409780 Y1 KR 200409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portion
screw
connector
tighten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성
Original Assignee
이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성 filed Critical 이화성
Priority to KR2020050032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7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구 본체(10)의 배관 접속부(12) 내측에는 차례대로 소직경부(14)와 중직경부(15) 및 대직경부(16)가 구비되고, 조임너트는 그 암나사부(22) 일측에 주름관(50)의 외경에 일치되는 소직경부(24)가 관통 형성된 주름관용 조임너트(20a)와 내면의 암나사부(22) 일측에 나사관(40)이 결합되는 제2암나사부(26)가 관통 형성된 나사관용 조임너트(20b) 중에서 선택되며, 패킹부재는 주름관(50)의 결합시 사용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대직경부(16)에 안착되는 오-링형 패킹부재(30a)와 나사관(40)의 결합시 사용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중직경부(15)에 안착되고 그 선단이 조임너트(20b)의 제2암나사부(26)에 결합된 나사관(40)의 선단면에 접하는 실린더형 패킹부재(30b) 중에서 선택된다. 별도의 수밀용 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름관은 원터치 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연결구에 접속된 주름관이나 나사관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배관 후의 누수 하자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주름관, 나사관, 배관, 연결구, 오-링, 패킹, 조임너트, 암나사부, 원터치 삽입

Description

배관 연결구 {Pipe joint}
도 1은 종래의 주름관 연결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름관 연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일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나사관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관 연결구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나사관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주름관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관 연결구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주름관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의한 배관 연결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구 본체 12 : 배관 접속부
13 : 수나사부 14 : 소직경부
15 : 중직경부 16 : 대직경부
20a : 조임너트(주름관용) 20b : 조임너트(나사관용)
22 : 암나사부 24 : 소직경부
26 : 제2암나사부 30a : 오-링형 패킹부재
삭제
삭제
삭제
30b : 실린더형 패킹부재 32 : 선단면
50 : 주름관 40 : 나사관
본 고안은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구 본체와 패킹부재 및 조임너트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배관 상에 주름관이나 나사관을 연결하고자 할 때 연결구 본체는 공통으로 사용하고 단지 그에 맞는 조임너트와 패킹부재만을 선택하기만 하면 되며, 별도의 수밀용 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름관은 원터치 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연결구에 접속된 주름관이나 나사관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배관 후의 누수 하자가 발생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스테인리스재 금속 주름관은 절곡성이 양호하여 배관작업에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수도나 난방용 배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주름관은 일반 직선관과는 달리 요철형의 주름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관에 사용되는 패킹구조로는 수밀을 유지할 수 없어 도 1에 일례로 도시한 바와 같은 특수한 형태의 주름관 연결구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주름관 연결구는 연결구 본체(1)와 캡너트(2)의 사이에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패킹(4)과 주름관(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스냅와셔(6)가 함께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연결구는 단지 주름관을 연결하는 것으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어 주름관을 직선관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연결구에 밸브 등을 접속하고자 할 경우 연결구 자체를 교체하거나 별도의 소켓이나 연장관 등을 기존의 연결구 일측에 연결시킨 후 소켓이나 연장관의 말단에 다시 밸브 등을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사관이나 일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밸브 등의 각종 배관자재를 연결구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소켓이나 연장관을 설치한 후 이 소켓이나 연장관에 나사관을 연결시켜 주어야 했었으므로 부품의 추가로 인한 비용추가는 물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소켓이나 연장관 부분에 수밀용 테이프를 감아주어야 했었으므로 이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으며, 좁은 장소에서의 배관작업은 더더욱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름관이나 나사관을 손쉽게 그리고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되,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별도의 수밀용 테이프나 소켓 또는 연장관 등을 부속자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며, 주름관을 원터치 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배관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배관 접속부가 구비된 연결구 본체와, 이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와, 이 조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본체와 주름관 또는 나사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본체의 배관 접속부는 그 외측에 조임너트가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유체가 흐르는 소직경부와 이 소직경부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며 주름관의 선단 또는 패킹부재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중직경부와 이 중직경부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가 끼워지는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조임너트는 그 내면의 암나사부 일측에 주름관의 외경에 일치되는 소직경부가 관통형성된 주름관용 조임너트나 내면의 암나사부 일측에 나사관이 결합되는 제2암나사부가 관통형성된 나사관용 조임너트를 선택 사용하며; 상기 패킹부재는 주름관의 결합시 사용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의 대직경부에 안착되는 오-링형 패킹부재나 나사관의 결합시 사용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중직경부에 안착되고 그 선단이 조임너트의 제2암나사부에 결합된 나사관의 선단면에 접하는 실린더형 패킹부재 중에서 선택 사용되어 주름관과 나사관을 결합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일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나사관을 배관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일측에 배관 접속부(12)가 구비된 연결구 본체와, 이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와, 이 조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본체와 나사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배관 접속부(12)는 그 외측에 조임너트(20b)가 체결되는 수나사부(13)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내부에서부터 외부를 향하여 차례대로 유체가 흐르는 소직경부(14)와 이 소직경부(14)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중직경부(15)와 이 중직경부(15)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대직경부(16)를 갖고, 상기 조임너트(20b)는 그 내면의 암나사부(22) 일측에 나사관(40)이 결합되는 제2암나사부(26)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30b)는 연결구 본체(10)의 중직경부(15)에 안착되고 그 선단이 조임너트(20b)의 제2암나사부(26)에 결합된 나사관(40)의 선단면에 접하는 실린더형 패킹부재(30b)가 사용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의 배관 연결구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배관 접속부(12)의 반대쪽에는 수나사형으로 이루어진 나사결합부(11)가 형성되어 이 나사결합부(11)가 수도 또는 난방용 배관의 각종 설비에 직접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배관 연결구는 그 양단에 동일한 형태의 배관 접속부(12)가 형성되어 동일한 형태의 나사관(40)을 상호 연결시키는데 사용하거나, 형태는 동일하지만 그 치수가 상이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배관과 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데 사용하거나, 배관 접속부(12)는 동일하게 형성되나 여기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와 조임너트를 달리하여 나사관과 주름관을 상호 연결시키는데 사용하거나, 일측의 배관 접속부만 본 고안의 형태로 하고 타측은 공지된 여타의 배관 접속구조 중의 어느 한 형태로 함으로써 현재 수도나 난방용 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형태의 파이프와 부속자재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실시 예에 의한 배관 연결구에서 사용되는 패킹부재(30b)는 실린더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외측 선단면(32)은 패킹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여기에 나사관이나 밸브 일측의 결합부가 나사결합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관(40) 일측의 결합부 선단면이 밀착되면서 입체적으로 넓게 밀착되어 더욱 견고한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형 패킹부재(30b)는 내측의 관통공 직경이 연결구 본체(10)의 소직경부(14)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유체 흐름에 방해를 하거나 유체 중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패킹부재의 내부에 잔류하거나 관로가 폐쇄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30b)의 내측 선단면(34)은 소직경부(14)와 중직경부(15)사이의 단턱면에 밀착되도록 직각면으로 형성되어 조임너트(30b)가 조여짐에 따라 그리고 나사관이 조여짐에 따라 압박되어 배관 연결구 본체(10)와 나사관(40) 사이에서 완벽한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주름관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배관 연결구는 연결구 본체(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고, 조임너트와 패킹부재의 형태만이 상이한데, 조임너트(20a)는 그 내면의 암나사부(22) 일측에 주름관(50)의 외경에 일치되는 소직경부(24)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패킹부재(30a)는 연결구 본체(10)의 대직경부(16)에 안착되는 오-링 형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임너트(20a)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의 조임너트(20b)보다 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단지 조임너트(20a)의 암나사부(22) 일측에 주름관(50)의 외경에 일치되는 소직경부(24)가 관통 형성되어 있을 뿐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패킹부재(30a)는 오-링 형태의 패킹부재로 연결구 본체(10)의 대직경부(16)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대직경부(16)의 깊이는 오-링형 패킹부재(30a)의 절반이 삽입되는 깊이로 형성하고, 대직경부(16)의 내경은 오-링형 패킹부재(30a)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상기 중직경부(15)의 내경은 오-링형 패킹부재(30a)의 내경과 외경의 대략 중간 정도의 치수로 형성함으로써 주름관(50)을 조임너트(30)의 외부에서 연결구 본체(10)의 중직경부(15)로 압박하여 끼울 경우에도 오-링형 패킹부재(30a)가 대직경부(16)에서 이탈되어 중직경부(15)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며, 오-링형 패킹부재(30a)는 대직경부(16)에서 조임너트(20a)의 체결력에 의해 압박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본체(10)와 주름관(50)의 골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직경부(15)의 깊이는 주름관(50)의 적어도 2피치가 삽입되는 깊이로 형성함으로써 주름관(50)의 선단부가 연결구 본체(10)의 중직경부(15)에 끼워진 상태에서 선단부에서 2피치가 되는 위치에서 오-링형 패킹부재(30a)에 의해 고정되며, 여기에 주름관(50)은 그 외경에 일치되는 조임너트(20a)의 소직경부(24)에 끼워진 상태가 되므로 주름관(50)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주름관의 흔들림으로 인한 이탈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구 본체(10)가 T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배관 접속부(12a,12b,12c)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부 다르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T자형 배관 연결구(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2개소의 배관 접속부(12a,12c)에는 주름관(50)을 연결시키고, 나머지 한쪽에는 밸브 일단의 나사관(40)이나 수도꼭지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의한 배관 연결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자형 배관 연결구로도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4개소의 배관 접속부(12a,12b,12c,12d)를 모두 동일하게 하거나 일부만을 동일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다른 형태로 함으로써 복잡한 배관에서 필요로 하는 어떠한 형태의 배관 연결구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배관 연결구에 나사관을 결합하는 방법과 주름관을 결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나사관을 연결시키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 본체(10)에 실린더형 패킹부재(30b)를 삽입하여 조임너트(20b)를 체결한 상태에서 조임너트(20b)의 제2암나사부(26)에 도 3 내지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 선단의 나사관(40)을 결합시키면 이 나사관(40) 선단이 내부의 패킹부재(30b)에 밀착되어 수밀이 유지되면서 결합이 완료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조임너트(20b)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나사관(40)의 결합 각도를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으며, 해체시에는 조임너트(20b) 또는 나사관(4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손쉽게 해체할 수 있다.
또, 주름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본체(10)의 대직경부(16)에 오-링형 패킹부재(30a)를 끼워 넣고 조임너트(20a)를 연결구 본체(10)의 수나사부(13)에 나사결합시키되 완전히 결합시키지 않고 헐거운 상태로 끼워 놓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름관(50)을 조임너트(s0a)의 소직경부(24)에 끼우고 내측으로 강하게 밀어 넣으면 주름관(50)의 선단이 오-링형 패킹부재(30a)를 타고 넘으면서 연결구 본체(10)의 중직경부(15)에 끼워지게 된다.
주름관(50)의 선단이 중직경부(15)에 완전히 끼워지면 '딱' 하는 소리가 나는데 작업자는 이 소리를 확인한 후 조임너트(20a)를 다시 조여주면 내부의 오-링형 패킹부재(30a)가 주름관(50)의 2번째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연결구 본체(10)와 주름관(50)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게 되어 주름관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처럼 오-링형 패킹부재(30a)를 삽입시키고 조임너트(20a)를 연결부 본체(10)에 가체결한 상태에서 주름관(50)은 원터치 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된다.
한편, 주름관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조임너트(20a)를 절반 정도 풀고 주름관(50)을 잡아 빼면 쉽게 빠지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조임너트(20a)를 완전히 해체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구 본체와 패킹부재 및 조임너트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연결구 본체를 교체하지 않고 단지 패킹부재와 조임너트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주름관이나 나사관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 결합된 주름관이나 나사관은 넓은 면적이 지지가 되므로 배관의 흔들림이나 진동으로 인해 결합상태가 해제될 염려가 없고, 수밀상태 또한 완벽하게 유지되어 누수가 발생할 염려도 없고, 별도의 수밀용 테이프나 소켓 또는 연장관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밸브나 나사관을 연결구 본체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어 복잡한 배관을 경제적이면서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일측에 배관 접속부가 구비된 연결구 본체와, 이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와, 이 조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본체와 주름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배관 접속부(12)는 그 외측에 조임너트(20a)가 체결되는 수나사부(13)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내부에서부터 외부를 향하여 차례대로 유체가 흐르는 소직경부(14)와 이 소직경부(14)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며 주름관(50)의 선단이 끼워지는 중직경부(15)와 이 중직경부(15)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30a)가 끼워지는 대직경부(16)를 갖고;
    상기 조임너트(20a)는 그 내면의 암나사부(22) 일측에 주름관(50)의 외경에 일치되는 소직경부(24)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30a)는 주름관(50)의 결합시 사용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대직경부(16)에 안착되는 오-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2. 일측에 배관 접속부가 구비된 연결구 본체와, 이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와, 이 조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본체와 나사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배관 접속부(12)는 그 외측에 조임너트(20b)가 체결되는 수나사부(13)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내부에서부터 외부를 향하여 차례대로 유체가 흐르는 소직경부(14)와 이 소직경부(14)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중직경부(15)와 이 중직경부(15)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대직경부(16)를 갖고;
    상기 조임너트(20b)는 그 내면의 암나사부(22) 일측에 나사관(40)이 결합되는 제2암나사부(26)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30b)는 연결구 본체(10)의 중직경부(15)에 안착되고 그 선단이 조임너트(20b)의 제2암나사부(26)에 결합된 나사관(40)의 선단면에 접하는 실린더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패킹부재(30b)의 외측 선단면(32)은 패킹부재(30b)의 중심을 향하여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직경부(15)의 깊이는 적어도 주름관(50)의 2피치가 삽입되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부(16)의 깊이는 오-링형 패킹부재(30a)의 절반이 삽입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과 나사관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구.
KR2020050032050U 2005-11-11 2005-11-11 배관 연결구 KR200409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050U KR200409780Y1 (ko) 2005-11-11 2005-11-11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050U KR200409780Y1 (ko) 2005-11-11 2005-11-11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780Y1 true KR200409780Y1 (ko) 2006-03-03

Family

ID=4176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050U KR200409780Y1 (ko) 2005-11-11 2005-11-11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7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963B1 (ko) 2008-11-04 2009-05-12 김찬수 락볼트
KR102245832B1 (ko) 2020-06-16 2021-04-28 주식회사 다올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963B1 (ko) 2008-11-04 2009-05-12 김찬수 락볼트
KR102245832B1 (ko) 2020-06-16 2021-04-28 주식회사 다올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764B1 (en) Adjustable water-guiding rod for a cleaning brush
US7758085B2 (en) Tube couplings
JP3968397B1 (ja) 合成樹脂製通水管用の継手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US7419190B1 (en) Universal water meter connector assembly
JP6343131B2 (ja) 継手
JP2007138980A (ja) 管継手
KR20060088207A (ko) 상하수도용 파이프 연결구 및 그 결합방법
JP3134692B2 (ja) ヘッダー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200365477Y1 (ko) 수밀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배관 연결구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JP2005233351A (ja) 樹脂パイプ用継手構造および樹脂パイプ用継手を用いた樹脂パイプ接続方法
KR20190060277A (ko) 분수호스를 간편하게 삽설하기 위한 분수호스 밸브
JPH06272796A (ja) 液体分岐用ブロック
JP2007270875A (ja) ヘッダー配管接続構造およびヘッダー配管接続方法
KR100831560B1 (ko) 배관용 관이음 장치
JP2007263146A (ja) 管継手
JP4376583B2 (ja) 回転ヘッダー
KR200383824Y1 (ko) 호스 커플링 장치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JPH08270848A (ja) カウンターにおける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