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832B1 -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 Google Patents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832B1
KR102245832B1 KR1020200072803A KR20200072803A KR102245832B1 KR 102245832 B1 KR102245832 B1 KR 102245832B1 KR 1020200072803 A KR1020200072803 A KR 1020200072803A KR 20200072803 A KR20200072803 A KR 20200072803A KR 102245832 B1 KR102245832 B1 KR 10224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호성
이기준
윤병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올
문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올, 문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올
Priority to KR102020007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는 커넥터, 결합용 너트, 가이드 편체로 구성되어 전체 구성요소가 연결되는 배관 구성요소 연결모드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을 타고 후진이동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 편체가 상기 커넥터의 제2결합단 상부면으로부터 밀착 해제되면서 상기 배관 구성요소와 커넥터가 상기 연결관의 이동없이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탈리되는 배관 구성요소 해제모드가 구현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Easy Disassembly Pipe Component Connectivity Assembly}
본 발명은 밸브, 레귤레이터, 압력계 등의 배관 구성요소를 배관라인에 연결시키는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배관라인의 연결관을 이동시키지 않고 배관 구성요소의 결합 해제와 부분 분리를 수행할 수 있는 형상구조와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배관 설비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 땅 속에 매립되거나 차량, 기관 속에 배치되는 등 사용처가 다양하다. 특히 차량에는 흡입가스와 냉각수 윤활유 등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관과 냉난방을 위한 배관용 파이프 등 다수의 파이프 배관이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의 연결 부위는 용접을 통해 연결되거나, 배관연결구와 고정수단과 같은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데, 연결 부위에 누수가 발생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유지보수가 종종 필요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배관 연결구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1994-013350호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9780호 '배관 연결구'등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는 소켓본체에 스냅링과 조임너트를 조립한 상태 하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엑셀호스 및 금속파이프 등의 연결관을 한차례 삽입작업과 삽입 후 조임너트를 조여주는 조임작업으로 이루어져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연결구'는 연결구 본체와 패킹부재 및 조임너트를 구비하여 연결구 본체를 교체하지 않고 패킹부재와 조임너트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주름관이나 나사관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수밀상태와 결합상태의 견고함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차량용 배관에서 해당 부위를 분리해야할 때 결합된 배관을 전, 후로 선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간결한 결합 구조로 배관의 이동 없이 해당 부위만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1994-013350호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9780호 '배관 연결구'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배관 구성요소(밸브, 레귤레이터, 압력계 등)에 연결관이 내입되는 구조가 아닌 배관 구성요소의 커넥터에 면접촉하는 소켓을 매개로 연결관이 간접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배관라인의 연결관을 이동시키지 않고 배관 구성요소의 결합 해제와 부분 분리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배관 라인의 설정지점에 배치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배관 구성요소(10)를 연결관(20)에 결합시키는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 있어서,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 구성요소(10)의 양단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개방연결구(11)와 결합되는 제1결합단(111), 수나사가공 외주면(1121)을 갖는 제2결합단(112)이 양단부위에 형성되는 커넥터(110);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20)을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커넥터(110)의 수나사가공 외주면(1121)에 대응하는 암나사가공 내주면(1211)을 갖는 몸체단(121), 상기 몸체단(12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연결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져 상기 가이드 편체(130)에 걸리는 상부 걸림단(122)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용 너트(120); 상기 연결관(20)의 끝단부위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관(20)의 하단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하부면이 면접촉되는 가이드 편체(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에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몸체단(121)이 볼트-너트 결합구조로 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편체(130)가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에 의해 밀려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밀착되는 배관 구성요소 연결모드,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몸체단(121)이 결합해제되어 상기 연결관(20)의 외주면을 타고 후진이동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 편체(130)가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으로부터 밀착 해제되면서 상기 배관 구성요소(10)와 커넥터(110)가 상기 연결관(20)의 이동없이 상기 연결관(20)으로부터 탈리되는 배관 구성요소 해제모드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서 상기 배관 구성요소(10)의 개방연결구(11) 내주면과 상기 커넥터(110)의 제1결합단(111) 외주면은 나사가공되어 서로 볼트-너트 구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서 상기 가이드 편체(130)는, 상기 커넥터(1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의 내경과 상기 커넥터(1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중공형 바닥체(1311), 상기 중공형 바닥체(1311)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상향 ㅁ연장형성되는 제1측벽체(13122')로 이루어지고, 중공형 바닥체(1311)와 제1측벽체(13122')로 둘러싸인 내부 장착공간(1310)에 상기 연결관(20)의 하단이 끼움고정되며, 상기 중공형 바닥체(1311)의 하부면이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면접촉되되, 상기 중공형 바닥체(1311)의 내경은 상기 연결관(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소켓(131); 상기 연결관(20)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과 맞물리게 되고, 쐐기형상의 수직단면 구조를 가져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전진이동시 상기 소켓(131)의 제1측벽체(13122')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중공형 바닥체(1311)의 하부면이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슬리브(1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서 상기 커넥터(110)는 상기 제2결합단(112)의 상부면에 오링홈(113)을 요입형성하되, 상기 오링홈(113)에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단(11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소켓(131)의 중공형 바닥체(1311) 하부면에 밀착되는 오링(1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서 상기 가이드 편체(130)는, 상기 커넥터(1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의 내경과 상기 커넥터(1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커넥터 접촉단(1311'), 상기 연결관(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커넥터 접촉단(1311')으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되는 내턱(13121')와 상기 내턱(13121')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되는 제1제1측벽체(13122')로 이루어지는 연결관 접촉단(1312')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턱(13121')와 제1제1측벽체(13122')로 둘러싸인 제1내부 장착공간(1310')에 상기 연결관(20)의 하단이 끼움고정되며, 상기 커넥터 접촉단(1311')의 하부면이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면접촉되며, 상기 커넥터 접촉단(1311')의 외주면이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이 상기 커넥터 접촉단(1311')의 외주면에 걸림고정되는 확장형 소켓(131'); 상기 연결관(20)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쐐기형상의 수직단면 구조를 가지는 제1슬리브(132');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20)을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확장형 소켓(131')의 연결관 접촉단(1312')의 제1수나사가공 외주면(13120')에 대응하는 제1암나사가공 내주면(13310')을 갖는 제1몸체단(1331'), 상기 제1몸체단(133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연결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져 상기 제1슬리브(132')에 걸리는 제1상부 걸림단(13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형 소켓(131')과 볼트-너트 구조로 체결되면서 상기 연결관(20)과 확장형 소켓(131')이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보조 너트(13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서 상기 커넥터(110)는 상기 제2결합단(112)의 상부면에 제1오링홈(113')을 요입형성하고, 상기 확장형 소켓(131')은 상기 커넥터 접촉단(1311')의 하측 외주면에 제2오링홈(1311a')을 요입형성하되, 상기 제1오링홈(113')에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단(11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확장형 소켓(131')의 커넥터 접촉단(1311') 하부면에 밀착되는 제1오링(1131'); 상기 제2오링홈(1311a')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 접촉단(1311')의 하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오링(1311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 의하면, 연결관의 이동 없이 배관 구성요소를 한정된 공간에서 손쉽게 해체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와 가이드 편체가 단순 밀착 연결되어 추가적인 분리 동작이 필요 없어 즉각적으로 해체가 가능하므로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너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내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구성요소 해제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밸브, 배관, 콕, 개폐동작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100)는 전동차, 철도차량 등의 배관 라인 설정지점에 배치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배관 구성요소(10)를 연결관(20)에 결합시키고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커넥터(110), 결합용 너트(120), 가이드 편체(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배관 구성요소는 밸브, 레귤레이터, 압력계 등이 될 수 있다.
커넥터(11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관 구성요소(1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1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결합단(111)과 제2결합단(112)이 일체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결합단(111)과 제2결합단(112) 사이 부위는 외측으로 돌출 된다.
제1결합단(111)은 배관 구성요소(10)의 양단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개방연결구(11)와 결합되는 것으로, 개방연결구(11) 내주면과 제1결합단(111) 외주면은 나사가공되어 서로 볼트-너트 구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결합단(112)은 제1결합단(111)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어 수나사가공 외주면(1121)을 형성한다.
한편 커넥터(110)는 오링홈(113), 보조오링홈(114)을 형성하며, 배관 구성요소(10)와 커넥터(110)의 연결부위에서 유체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오링홈(113)은 제2결합단(112)의 상부면에 요입형성되고, 보조오링홈(114)은 중앙 부위에 요입형성된다. 오링(1131)은 오링홈(113)과 보조오링홈(114)에 삽입되어 앞부분이 돌출되며 배관 구성요소(10)와 소켓(131)에 밀착된다.
결합용 너트(12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관(2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배관 구성요소(10)와 연결조립체(100)의 연결 및 분리가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너트(120)는 도 4에서와 같이 몸체단(121), 상부 걸림단(122)이 일체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몸체단(121)은 커넥터(110)의 수나사가공 외주면(1121)에 대응하는 암나사가공 내주면(1211)이 형성되고, 커넥터(110)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부 걸림단(122)은 몸체단(12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결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관(20)의 외주면의 가이드 편체(130)에 걸리도록 한다.
가이드 편체(130)는 연결관(20)의 끝단부위 외주면에 장착되어 연결관(20)의 하단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하부면이 면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편체(130)는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소켓(131)과 슬리브(1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소켓(131)은 커넥터(110)와 면접촉하게 구비되고, 중공형 바닥체(1311), 제1측벽체(1312)로 이루어진다.
중공형 바닥체(1311)는 커넥터(1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를 가지는 동시에 연결관(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내경과, 커넥터(1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진다. 그리고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면접촉되되, 결합용 너트(120)의 후진이동 시 면접촉 해제된다. 또한 중공형 바닥체(1311) 하부면에는 제2결합단(112)의 오링홈(113)에 삽입된 오링(1131)이 밀착된다.
제1측벽체(1312)는 중공형 바닥체(1311)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중공형 바닥체(1311)와 제1측벽체(1312)로 둘러싸인 내부 장착공간(1310)에 연결관(20)의 하단이 끼움고정된다.
슬리브(132)는 쐐기형상의 수직단면 구조를 가지게 제조되고, 연결관(20)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과 맞물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132)는 결합용 너트(120)의 전진이동 시 소켓(131)의 제1측벽체(1312)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중공형 바닥체(1311)의 하부면이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밀착된다.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 도 7에서와 같이 배관 구성요소 연결모드, 배관 구성요소 해제모드가 구현된다.
배관 구성요소 연결모드는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100)의 전 구성이 연결, 결합되어 있는 모드이다.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에 결합용 너트(120)의 몸체단(121)이 볼트-너트 결합구조로 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편체(130)가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에 의해 밀려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밀착된다.
배관 구성요소 해제모드는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100)의 구성 결합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모드이다.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으로부터 결합용 너트(120)의 몸체단(121)이 결합해제되어 연결관(20)의 외주면을 타고 후진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편체(130)가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으로부터 밀착 해제되면서 배관 구성요소(10)와 커넥터(110)가 연결관(20)의 이동없이 연결관(20)으로부터 탈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성요소 연결조립체(100)는 도 6에서와 같이 커넥터(110), 결합용 너트(120), 가이드 편체(130')를 구비한다.
커넥터(11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관 구성요소(1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10)는 제1결합단(111)과 제2결합단(112)이 일체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결합단(111)과 제2결합단(112) 사이 부위는 외측으로 돌출 된다.
제1결합단(111)과 제2결합단(112)은 전술한 상기 제1결합단(111)과 제2결합단(112)과 동일하다. 그리고 제2결합단(112)은 상부면 일측에 제1오링홈(113')을 요입형성한다. 한편 커넥터(110)는 제1오링홈(113'), 보조오링홈(114)이 형성된다. 제1오링(1131')은 제1오링홈(113')에 삽입되어 제2결합단(11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결합용 너트(120)는 전술한 상기 결합용 너트(120)와 동일하다.
가이드 편체(130')는 연결관(20)의 끝단부위 외주면에 장착되어 연결관(20)의 하단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하부면이 면접촉된다. 가이드 편체(130')는 도 6에서와 같이 확장형 소켓(131'), 제1슬리브(132'), 보조 너트(133')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확장형 소켓(131')은 커넥터(110)와 면접촉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 일측에는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을 걸림고정시키는 단차(1300')가 형성되어 결합용 너트(120)에 걸림고정되면서 커넥터(110) 단부와 면접촉되는 커넥터 접촉단(1311')과 연결관 접촉단(1312')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접촉단(1311')은 커넥터(1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커넥터(1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진다. 커넥터 접촉단(1311')의 하부면이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면접촉되는데, 커넥터 접촉단(1311')의 외주면 일측은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을 걸림고정시키는 단차(1300')가 형성되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이 커넥터 접촉단(1311')의 외주면에 걸림고정된다.
한편 가이드 편체(130')는 커넥터 접촉단(1311')의 하측 외주면에 제2오링홈(1311a')이 요입형성된다. 제2오링홈(1311a')에 삽입된 제2오링(13110a')은 커넥터 접촉단(1311')의 하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 내주면에 밀착된다.
연결관 접촉단(1312')은 연결관(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면서 커넥터 접촉단(1311')으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되는 내턱(13121')와 내턱(13121')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되는 제1측벽체(13122')로 이루어진다. 제1측벽체(13122')는 외주면에 제1수나사가공 외주면(13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측벽체(13122')와 제1측벽체(13122')로 둘러싸인 제1내부 장착공간(1310')에 연결관(20)의 하단이 끼움고정된다.
제1슬리브(132')는 쐐기형상의 수직단면 구조를 가지게 제조되는 것으로, 연결관(20)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그리고 전술된 슬리브(132)와 동일하다.
보조 너트(133')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연결관(2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확장용 소켓(131)과 볼트-너트 구조로 체결되면서 연결관(20)과 확장형 소켓(131')이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너트(133')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몸체단(1331'), 제1상부 걸림단(1332')이 일체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몸체단(1331')은 확장용 소켓(131)의 연결관 접촉단(1312')의 제1수나사가공 외주면(13120')에 대응하는 제1암나사가공 내주면(13310')이 형성된다.
제1상부 걸림단(1332')은 몸체단(12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결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이 형성되고, 제1슬리브(132')에 걸리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관 구성요소
11 : 개방연결구
20 : 연결관
100 :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110 : 커넥터
111 : 제1결합단
112 : 제2결합단
1121 : 수나사가공 외주면
113 : 오링홈
1131 : 오링
113' : 제1오링홈
1131' : 제1오링
114 : 보조오링홈
120 : 결합용 너트
121 : 몸체단
1211 : 암나사가공 내주면
122 : 상부 걸림단
130 : 가이드 편체
131 : 소켓
1310 : 내부 장착공간
1311 : 중공형 바닥체
1312 : 측벽체
132 : 슬리브
130' : 가이드 편체
131' : 확장형 소켓
1310' : 제1내부 장착공간
1311' : 커넥터 접촉단
1311a' : 제2오링홈
13110a' : 제2오링
1312' : 연결관 접촉단
13120' : 제1수나사가공 외주면
13121' : 내턱
13122' : 제1측벽체
132' : 제1슬리브
133' : 보조 너트
1331' : 제1몸체단
13310' : 제1암나사가공 내주면
1332' : 제1상부 걸림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배관 라인의 설정지점에 배치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배관 구성요소(10)를 연결관(20)에 결합시키는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 있어서,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 구성요소(10)의 양단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개방연결구(11)와 결합되는 제1결합단(111), 수나사가공 외주면(1121)을 갖는 제2결합단(112)이 양단부위에 형성되는 커넥터(110);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20)을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커넥터(110)의 수나사가공 외주면(1121)에 대응하는 암나사가공 내주면(1211)을 갖는 몸체단(121), 상기 몸체단(12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연결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져 가이드 편체(130)에 걸리는 상부 걸림단(122)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용 너트(120);
    상기 연결관(20)의 끝단부위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관(20)의 하단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하부면이 면접촉되는 가이드 편체(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에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몸체단(121)이 볼트-너트 결합구조로 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편체(130)가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에 의해 밀려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에 밀착되는 배관 구성요소 연결모드,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몸체단(121)이 결합해제되어 상기 연결관(20)의 외주면을 타고 후진이동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 편체(130)가 상기 커넥터(110)의 제2결합단(112) 상부면으로부터 밀착 해제되면서 상기 배관 구성요소(10)와 커넥터(110)가 상기 연결관(20)의 이동없이 상기 연결관(20)으로부터 탈리되는 배관 구성요소 해제모드가 구현되는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편체(130')는,
    원통체로서,
    일측 단부에는 내경이 상기 커넥터(1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로 형성되고, 외경이 상기 커넥터(1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을 걸림고정시키는 단차(1300')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용 너트(120)에 걸림고정되면서 상기 커넥터(110) 단부와 면접촉되는 커넥터 접촉단(131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내측에 상기 연결관(20)이 삽입되면 연결관(20)의 단부와 접촉되는 내턱(13121')이 형성되고, 상기 내턱(13121')에서 타측단부 끝까지의 내경은 상기 연결관(20) 외경과 일치하는 연결관 끼움고정부와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연결관 삽입가이드부로 구분 형성되는 제1측벽체(13122')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제1수나사(13120')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20)을 끼움 고정시키는 연결관 접촉단(1312')이 형성되는 확장형 소켓(131')과;
    상기 연결관(20)과 연결관 접촉단(1312')의 제1측벽체(13122')가 형성시키는 공간에 끼워지는 쐐기형상 단면 구조의 제1슬리브(132')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20)을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내주면 일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나사에 체결되는 제1암나사(13310')가 형성된 제1몸체단(1331')과, 상기 제1몸체단(1331')에서 연장되는 타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132')의 타측단부에 스토핑되는 제1상부 걸림단(1332')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확장형 소켓(131')의 타측단부와 볼트-너트 구조로 체결되면서 상기 연결관(20)과 확장형 소켓(131')이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1슬리브(132')를 가압시키는 보조 너트(13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10)는 상기 제2결합단(112)의 상부면에 제1오링홈(113')을 요입형성하고,
    상기 확장형 소켓(131')은 상기 커넥터 접촉단(1311')의 하측 외주면에 제2오링홈(1311a')을 요입형성하되,
    상기 제1오링홈(113')에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단(11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확장형 소켓(131')의 커넥터 접촉단(1311') 하부면에 밀착되는 제1오링(1131');
    상기 제2오링홈(1311a')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 접촉단(1311')의 하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용 너트(120)의 상부 걸림단(122)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오링(1311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KR1020200072803A 2020-06-16 2020-06-16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KR10224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803A KR102245832B1 (ko) 2020-06-16 2020-06-16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803A KR102245832B1 (ko) 2020-06-16 2020-06-16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832B1 true KR102245832B1 (ko) 2021-04-28

Family

ID=7572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803A KR102245832B1 (ko) 2020-06-16 2020-06-16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8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378A (ja) * 1991-10-02 1993-04-20 Aeroquip Ag 管継手
KR940013350A (ko) 1992-12-09 1994-07-15 이정록 봉밀삼(蜂蜜蔘)의 제조방법
KR200379790Y1 (ko) * 2004-12-31 2005-03-25 조봉안 무용접 배관
KR200409780Y1 (ko) 2005-11-11 2006-03-03 이화성 배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378A (ja) * 1991-10-02 1993-04-20 Aeroquip Ag 管継手
KR940013350A (ko) 1992-12-09 1994-07-15 이정록 봉밀삼(蜂蜜蔘)의 제조방법
KR200379790Y1 (ko) * 2004-12-31 2005-03-25 조봉안 무용접 배관
KR200409780Y1 (ko) 2005-11-11 2006-03-03 이화성 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980A (en) Deep drawn quick connect coupling
EP0040485A1 (en) Tube fittings, couplings for tubing and fluid connector joints
US20100171302A1 (en) Push-twist connector
JPH0448987B2 (ko)
US7857361B1 (en) Coupler assembly
JPH08505207A (ja) 高圧の迅速コネクタ
US7237808B2 (en) Tube and pipe fittings
US7527300B2 (en) Flexible tubing connector
KR200491654Y1 (ko)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JPH0712692U (ja) 配管用継手機構
EP1627175B1 (en) Straight thread adjustable port end
US7021392B2 (en) Body with couplings
US8007009B2 (en) Male coupling for connecting to female threaded coupling
US708964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 pressure fluid quick connect
KR200491729Y1 (ko) T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EP1368590B1 (en) Pipe coupling
US11781686B2 (en) Quick-fitting pipe fitting assembly
KR102245832B1 (ko) 간편 분해형 배관 구성요소 연결조립체
US20080174108A1 (en) Snap-in-place valved coupler
AU2015205848A1 (en) Quick fitting connector
US20090026760A1 (en) Hose coupling assembly
KR102331199B1 (ko) 신축 유니언
EP0946842B1 (en) High pressure quick connect coupling with reduced volumetric displacement and piloted snap ring
US6079445A (en) Quick universal joint of auto-separating two-way check valve
US7108296B2 (en) Fluid quick connector for threaded fluid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