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54Y1 -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 Google Patents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54Y1
KR200491654Y1 KR2020200000422U KR20200000422U KR200491654Y1 KR 200491654 Y1 KR200491654 Y1 KR 200491654Y1 KR 2020200000422 U KR2020200000422 U KR 2020200000422U KR 20200000422 U KR20200000422 U KR 20200000422U KR 200491654 Y1 KR200491654 Y1 KR 200491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bow
connection portion
couple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조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훈 filed Critical 조재훈
Priority to KR2020200000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엘보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내부에 제1암나사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본체부와 일단에는 상기 제1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지관이나 다층관이 결합 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수지관이나 다층관의 결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연결몸체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 되는 상기 수지관이나 다층관을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 형태의 압착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압착부재의 내측단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몸체부로부터 상기 압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재와 상기 연결몸체부의 외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부와 상기 연결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Description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Elbow Crimp Pipe Connector}
본 명세서는 물 분배기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수도관과 같이 내부에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을 이음연결하기 위한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일반 상가건물에는 강관 파이프, PE 파이프, 동 파이프 등 여러종류의 파이프가 매설되거나 노출된 상태로 배관된다.
전술한 배관용 파이프는 파이프를 배관시 또는 수리시에 파이프끼리 이음연결하거나, 파이프를 다른 부품에 이음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구를 사용하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파이프 이음연결시, 파이프 단부의 외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양측 파이프 단부에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패킹이 결합된 조임구를 양측에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파이프 중에는 외측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킬 수 없는 복합피복층을 갖는 다층관이 있게 되는데, 이러한 다층관은 전술한 나사 결합방식의 연결구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38137호에는 비상급수용 유니온 파이프가 게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미터기 본체의 양측에 수도관과 각각 연결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이 대향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미터기 본체의 내부로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되어 상단부의 계측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한 익차를 구비한 수도계량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도관과 미터기 본체의 유입관 사이에 공사로 인한 단수의 발생 및 관로의 플러싱 작업시 에도 급수를 지속적으로 행하기 위한 보조 연계수단을 더 구비하며, 이 보조 연계수단은 수도계량기의 유입관에 체결되는 중계너트 및 이 중계너트에 결속된 상태에서 일 측 수도관의 접속너트에 체결되는 유니온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너트의 일측에는 미터기 본체 상의 봉인선이 연결되는 한쌍의 걸림고리가 상호 대향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관통공 내에 2개의 오른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니온 파이프의 양측 선단에는 중계너트 및 수도관을 결속시키기 위한 오른나사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중앙 상단부에 분기관이 접속됨과 동시에 이 분기관내에는 급수유닛을 개재하여 급수파이프의 접속너트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수유닛은 몸체 하우징의 상단부 내,외측에 각각 장착되는 밀폐링 및 상기 몸체 하우징 내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유동하는 개폐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하우징의 외주 둘레에는 탄성리브 및 보강리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 하우징의 하부에는 저면 에 통공을 갖는 스프링받이를 개재하여 상기 개폐구로부터 하향하여 형성된 안내봉이 출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개폐구에 연결된 안내봉을 길게 연장한 상태에서 그 끝단부에 장착된 부력판과 상기 탄성리브의 끝단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분기관 내면의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상급수용 유니온 파이프의 경우에도 파이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PE 등의 수지관 또는 금속관의 내,외측면에 피복층이 형성된 다층관 등을 엘보우 형태의 분배기에 결합한 후 압착방식으로 압착시켜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한,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종재질의 배관을 이음연결하는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와 관련된다.
개시된 내용은, 엘보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내부에 제1암나사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본체부와 일단에는 상기 제1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지관이나 다층관이 결합 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수지관이나 다층관의 결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연결몸체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 되는 상기 수지관이나 다층관을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 형태의 압착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압착부재의 내측단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몸체부로부터 상기 압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재와 상기 연결몸체부의 외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부와 상기 연결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연결부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수지관이나 다층관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재의 타단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재의 내측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 되는 제1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 외주면에는 안착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재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안착턱에 걸리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본체부의 일측에는 일단에 제4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밸브연결부가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분배기 박스의 내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부는 외면이 각진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부의 내측에는 상기 패킹부재가 안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본체부는 상기 제1본체부와 직각을 이루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PE 등의 수지관 또는 금속관의 내,외측면에 피복층이 형성된 다층관 등을 엘보우형태의 연결구에 끼워맞춘 후 프레스 압착기로 압착고정시켜 이음연결함에 따라 관련분야 비숙련 작업자도 쉽게 이음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종재질의 배관을 이음연결시 압착기에 의해 압착고정시켜 이음연결함에 따라 시공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인건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시된 내용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시된 내용의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시된 내용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시된 내용의 결합단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관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고정되는 분배기 박스(2) 내부에 설치하여, 급수관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배하여 사용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분배기 박스(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나, 분배기 박스(2)의 내부에만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엘보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00)의 양단 내부에는 제1암나사부(101)를 포함한다.
본체부(100)의 일단은 급수관과 연결되는 입수구가 되고, 타단은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된다.
본체부(100)의 크기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며, 제1암나사부(101)의 크기 또한 후술할 연결몸체부(200)의 구경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밸브연결부(1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밸브연결부(110)에는 볼 밸브, 앵글밸브 등 다양한 밸브들이 결합된다.
이러한 밸브들이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사산에 의한 나사결합을 위해 밸브연결부(110)의 일단에는 제2암나사부(111)가 형성된다.
밸브 등이 나사결합을 통해 제2암나사부(111)에 결합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연결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일측에서 일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돌출되는 정도는 다양한 값을 갖게 형성될 수 있는데, 본체부(100)는 분배기 박스(2)의 내부에 고정되고, 밸브연결부(110)는 본체부(100)가 고정되는 면에거 분배기 박스(2)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분배기 박스(2)가 벽체 등에 매립된 상태로 몰탈 등의 마감이 된 상태에서 밸브연결부(110)가 벽체 등의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밸브 또는 수전과 결합하여 사용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밸브연결부(110)의 돌출되는 정도는 이점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제2암나사부(111)의 구경 또한 결합하고자 하는 밸브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15A, 30A, 등의 밸브나 부싱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2암나사부(111)의 구경도 15A, 30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고정부(120)는 본체부(100)가 분배기 박스(2)에 엥커볼트, 나사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12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홀(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12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본체부(100)가 분배기 박스(2)의 일면에 고정되는 점을 고려하여, 평면의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120)는 분배기 박스(2)의 일면과 면접을 하기 위해 본체부(100)의 후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0)가 고정부(120)와 나사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 분배기 박스(2)의 일면에는 고정부(120)의 결합홀(122)에 대응되는 분배기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홀(122)과 분배기결합홀(미도시)에 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본체부(100)가 분배기 박스(2)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120)는 엘보형 본체부(100)의 절곡되는 부분에 형성되거나, 일단부나 타단부 등, 다양한 위치 다양한 갯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는 관통형성되어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이 본체부(100)의 내부를 통해 배수구로 배출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몸체부(200)의 일단에는 제1연결부(210)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제1암나사부(101)와 나사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제1연결부(210)의 외면에는 제1암나사부(10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연결부(210)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면. 제1연결부(210)는 제1암나사부(101)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제1연결부(210)의 크기와 형상은 제1암나사부(10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30)는 제1연결부(210)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된다.
즉 연결몸체부(200)의 일단에 제1연결부(210)가 타단에 제2연결부(230)가 형성된다.
제2연결부(230)에는 수지관이나 다층관(1)이 결합된다.
제2연결부(230)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수지관, 다층관(1) 같은 배관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바, 제2연결부(230)도 종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크기는 수지관이나 다층관(1)이 제2연결부(23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인바, 수지관이나 다층관(1)의 지름보다 작은 값의 지름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30)의 외면에는 이탈방지턱(233)이 형성된다.
이탈방지턱(23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2연결부(230)에는 원통형의 배관이 삽입되고 이탈방지턱(233)은 배관의 내측면에 걸려져야 함으로 제2연결부(23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상단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턱(2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톱니형태의 상단은 수지관이나 다층관(1)이 제2연결부(230)에 끼워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탈방지턱(233)의 형상에 의해, 수지관 등의 배관은 내측면이 제2연결부(230)에 걸리게 되어, 수지관 등이 연결몸체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부(130)는 연결몸체부(200)의 외면에 형성된다.
결합돌기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30)의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몸체부(200)는 결합돌기부(130)를 기준으로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30)로 구분되어진다.
결합돌기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연결몸체부(200)가 횡단면이 원형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결합돌기부(130)가 연결몸체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단가 측면에서 경제적인바, 결합돌기부(130)는 연결몸체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돌기부(130)는, 제1연결부(210)를 제1암나사부(101)에 나사결합을 할 때, 파이프렌치 등과 같은 공구로 결합돌기부(130)를 잡아 회전 시킴으로써, 연결몸체부(200)를 본체부(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결합돌기부(130)의 외면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이진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결합돌기부(130)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파이프렌치와 같은 공구로 연결몸체부(200)를 잡고 회전하여 결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30)의 나사산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150)는 연결몸체부(200)의 외면에 형성된다.
패킹부재(150)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패킹부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 연결몸체부(200)에 삽입결합된다.
일반적으로 패킹부재(15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연결몸체부(200)를 본체부(100)에 결합시, 결합돌기부(130)와 본체부(100) 사이에 개재된다.
연결몸체부(200)는 본체부(100)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인바, 결합돌기부(130)를 회전시켜 연결몸체부(200)를 본체부(100)에 결합시, 개재된 패킹부재(150)는 결합돌기부(130)와 본체부(100) 사이에 나사 조임에의한 힘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연결몸체부(200)와 본체부(100) 사이의 누수가 방지 된다.
이러한 패킹부재(150)의 결합 및 고정의 용이성을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부(130)의 내측에는 고정홈(133)이 형성된다.
결합돌기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몸체부(200)의 외주면 즉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원형으로 형성되고, 패킹부재(150)도 환형으로 형성되는바, 고정홈(133)도 이에 대응하여, 결합돌기부(130)의 내측에 형성되되 결합돌기부(13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재(400)는 제2연결부(23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이탈방지턱(233)에 결합되는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을 프레스 압착기(미 도시됨)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sleeve) 형태로 형성된다.
이탈방지턱(233)의 내측단에 일단(도면상, 상단을 말함)이 결합되고 압착부재(400)의 내측단(도면상, 상단을 말함)에 타단(도면상, 하단을 말함)이 결합되며, 연결몸체부(200)로부터 압착부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재가 구비된다.
슬리브 형태의 금속관으로 형성된 압착부재(400)를 프레스 착압기(미 도시됨)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킴에 따라, 연결몸체부(200)에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을 이음연결하는 기술내용과, 수지관 또는 다층관(1)에 대한 구조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2연결부(230)의 이탈방지턱(233)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안착홈(240)에 장착되는 오링(3)(일 예로서, 내구성을 갖도록 EPDM재로 형성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이탈방지턱(233)에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을 결합한 후, 압착부재(400)를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할 경우에, 연결몸체부(200)와 수지관 또는 다층관(1)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연결몸체부(200)의 내부 통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압착부재(400)는 수지관 또는 다층관(1)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측단에 확관부(410)가 형성된다.
압착부재(400)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환형의 돌출부(420)가 걸리도록 스토퍼부재(300)의 내측단에는 스토퍼부재(300)로부터 압착부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걸림턱(30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압착부재(400)의 외측단(도면상, 하단을 말함)에 외측으로 확개되도록 형성된 확관부(410)에 의해 이탈방지턱(233)과 압착부재(400)사이에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을 간섭없이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압착부재(400)의 내측단(도면상, 상단을 말함)에 형성된 환형의 돌출부(420)와 이와 대응되게 스토퍼부재(300)의 하단 내주연에 형성된 제1걸림턱(301)의 상호 형합됨에 의해 스토퍼부재(300)로부터 압착부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이탈방지턱(233)의 내측단 외주연에는 안착턱(235)이 형성된다.
안착턱(235)에 걸리도록 스토퍼부재(300)의 상단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303)을 더 구비함에 따라, 제2걸림턱(303)이 안착턱(235)에 걸려 연결몸체부(200)로부터 스토퍼부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이탈방지턱(233)의 내측단(도면상, 상단을 말함)에 형성된 안착턱(235)과 대응되게 스토퍼부재(300)의 상단 내주연에 형성된 제2걸림턱(303)이 상호 형합됨에 의해 연결몸체부(200)로부터 스토퍼부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PE재로 형성되는 수지관 또는 금속관의 내,외측면에 피복층이 형성된 다층관(1) 일단을 연결몸체부(200)의 이탈방지턱(233)과 슬리브 형태의 압착부재(400) 사이에 삽입할 경우 압착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된 나팔관 형태의 확관부(410)에 의해 간섭없이 쉽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연결몸체부(200)와 압착부재(400)사이에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을 삽입한 후, 프레스 압착기(미 도시됨)에 의해 압착부재(400)를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킬 경우, 금속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성을 갖는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이 탄성변형되어 연결몸체부(200) 일단에 톱니 형태로 형성된 이탈방지턱(233)에 밀착된다.
즉, 프레스 압착기에 의한 강력한 압착으로 탄성체인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을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탄성체의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의 내주연은 톱니형태의 이탈방지턱(233)에 밀착되고 동시에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의 외주연은 압착부재(400)의 내주연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탄성변형된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이 연결몸체부(200)의 이탈방지턱(23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형태의 본체부(100)에 수지관 또는 다층관(1)을 압착방식으로 끼워맞추어 연결함에 따라 시공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인건비용(일 예로서, 용접에 의해 배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대비 1/2 ∼ 1/3정도를 절감할 수 있음)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지관 또는 다층관(1) 등을 압착식에 의한 원터치방식으로 끼워맞추어 이음연결함에 따라(즉, 배관을 용접하여 이음연결하거나 또는 나사체결방식으로 이음연결하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게 됨) 관련분야 작업경험이 적은 비숙련 작업자도 쉽게 이음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다층관
2 : 분배기 박스
3 : 오링
100 : 본체부
101 : 제1암나사부
110 : 밸브연결부
111 : 제2암나사부
120 : 고정부
122 : 결합홀
130 : 결합돌기부
133 : 고정홈
150 : 패킹부재
200 : 연결몸체부
210 : 제1연결부
230 : 제2연결부
233 : 이탈방지턱
235 : 안착턱
240 : 안착홈
300 : 스토퍼부재
301 : 제1걸림턱
303 : 제2걸림턱
400 : 압착부재
410 : 확관부
420 : 돌출부

Claims (8)

  1. 엘보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내부에 제1암나사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본체부;
    일단에는 상기 제1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지관이나 다층관이 결합 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수지관이나 다층관의 결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연결몸체부;
    상기 제2연결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 되는 상기 수지관이나 다층관을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 형태의 압착부재;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압착부재의 내측단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몸체부로부터 상기 압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재;
    상기 연결몸체부의 외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부; 및
    상기 연결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일단의 내부에 제2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밸브연결부가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수지관이나 다층관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재의 타단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재의 내측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 되는 제1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 외주면에는 안착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재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안착턱에 걸리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분배기 박스의 내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외면이 각진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의 내측에는 상기 패킹부재가 안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2020200000422U 2020-02-04 2020-02-04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200491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22U KR200491654Y1 (ko) 2020-02-04 2020-02-04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22U KR200491654Y1 (ko) 2020-02-04 2020-02-04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54Y1 true KR200491654Y1 (ko) 2020-05-14

Family

ID=7061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22U KR200491654Y1 (ko) 2020-02-04 2020-02-04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5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9905A (zh) * 2020-07-10 2020-10-16 宁波诗兰姆汽车零部件有限公司 管件连接装置
CN112096914A (zh) * 2020-09-10 2020-12-18 沈阳如茂空调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安全型空调系统用阀门
KR102433129B1 (ko) 2021-07-21 2022-08-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
KR20220129834A (ko) * 2021-03-17 2022-09-26 조재훈 수배관용 매립형 분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165Y1 (ko) * 1987-12-07 1991-04-04 비잉 이흐 황 파이프 이음쇠 구조물
KR101063783B1 (ko) * 2010-12-09 2011-09-08 주식회사 파이텍 친환경 수전 연결구
KR101694386B1 (ko) * 2016-08-03 2017-01-09 (주)피앤에프테크 다기능 플러그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033150A (ko) * 2015-09-16 2017-03-24 (주) 디엠테크 원터치 피팅 어댑터
KR20190114521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미성 배관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165Y1 (ko) * 1987-12-07 1991-04-04 비잉 이흐 황 파이프 이음쇠 구조물
KR101063783B1 (ko) * 2010-12-09 2011-09-08 주식회사 파이텍 친환경 수전 연결구
KR20170033150A (ko) * 2015-09-16 2017-03-24 (주) 디엠테크 원터치 피팅 어댑터
KR101694386B1 (ko) * 2016-08-03 2017-01-09 (주)피앤에프테크 다기능 플러그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114521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미성 배관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9905A (zh) * 2020-07-10 2020-10-16 宁波诗兰姆汽车零部件有限公司 管件连接装置
CN112096914A (zh) * 2020-09-10 2020-12-18 沈阳如茂空调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安全型空调系统用阀门
KR20220129834A (ko) * 2021-03-17 2022-09-26 조재훈 수배관용 매립형 분배기
KR102464968B1 (ko) * 2021-03-17 2022-11-09 조재훈 수배관용 매립형 분배기
KR102433129B1 (ko) 2021-07-21 2022-08-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654Y1 (ko)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200491729Y1 (ko) T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US6039361A (en) Plumbing compression fitting for connecting ends of pipe
US6578876B2 (en) Plumb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5328215A (en) Pipe joint assembly
TWI388755B (zh) 管聯接器之鎖扣裝置
US5498043A (en) Hose fitting having ferrule anti-rotation ratchet teeth
US7931310B2 (en) Pipe coupler
US4343498A (en) Swivel hose coupling
US20130161941A1 (en) Hand tightened hydraulic fitting
CN106461136A (zh) 与终端附接件联接的高压大内径软管
JP2000515953A (ja) 迅速連結式継手
KR200491655Y1 (ko) 압착방식의 배관 연결구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US7527300B2 (en) Flexible tubing connector
US7021392B2 (en) Body with couplings
US20080084062A1 (en) Adjust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its use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US20120217743A1 (en) Pipe coupling assembly with sleeve locking tab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7032598A (ja) 管継手構造および管継手システム
US10871247B2 (en) Compression couplings
KR101104085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2000018B1 (ko)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US6481086B1 (en) Method for sealingly interconnecting a pipe with a structure such that the pipe is axially movable with respect thereto
US6431610B1 (en) Tube assembly for communicating water to a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