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29B1 -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129B1
KR102433129B1 KR1020210095650A KR20210095650A KR102433129B1 KR 102433129 B1 KR102433129 B1 KR 102433129B1 KR 1020210095650 A KR1020210095650 A KR 1020210095650A KR 20210095650 A KR20210095650 A KR 20210095650A KR 102433129 B1 KR102433129 B1 KR 10243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pe
faucet
extension pip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이영주
김준
최승태
김용진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에 관한 발명이며, 길이방향 일단부에 수전이 결합되고, 타단부에 연장 파이프가 결합되는 체결부(100); 상기 체결부(100)의 중앙 외주부에 결합되어, 내주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 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구다.

Description

배관 연결구{Pipe Connector}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착할 시에 결합 구조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각각 복수의 구멍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구비된 수평 지지부와 수직 고정부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고 그 고정부를 사용하여 온수분배기 몸체에 결합고정될 수 있는 고정브래킷; 고정브래킷의 수평 지지부 상에 이 지지부 상의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설치되고, 그 일측 및 타측에 싱크대 급수전을 위한 배관 파이프가 연결설치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각각 형성한 연결밸브수단; 을 포함하는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싱크대 급수전의 배관연결구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엘보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내부에 제1암나사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본체부; 일단에는 제1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지관이나 다층관이 결합되도록 제1연결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외면에 수지관이나 다층관의 결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연결몸체부; 제2연결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수지관이나 다층관을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 형태의 압착부재; 제2연결부의 내측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압착부재의 내측단에 타단이 결합되며, 연결몸체부로부터 압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재; 연결몸체부의 외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부; 연결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결합돌기부와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 를 포함하는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양단에는 제1암나사부와 제2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본체부; 일단이 제1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타단에는 제3암나사부를 포함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제2본체부; 일단에는 제1암나사부, 제2암나사부 및 제3암나사부와 각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며, 타단에는 수지관이나 다층관이 결합되도록 제1연결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외면에는 수지관이나 다층관의 결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연결몸체부; 제2연결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수지관이나 다층관을 반경 방향으로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 형태의 압착부재; 제2연결부의 내측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압착부재의 내측단에 타단이 결합되며, 연결몸체부로부터 압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재; 연결몸체부의 외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부; 연결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결합돌기부와 제1본체부 또는 제2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 를 포함하는 T형 압착식 배관연결구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내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홈이 형성되어 잇는 캡; 캡의 나사부와 대응하는 나사부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배관보호구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 캡의 내경으로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홈의 일부가 돌출되고, 걸림돌기의 반대측으로 조임돌기가 형성되며, 내삽되는 배관을 결속하기 위한 스토퍼; 스토퍼와 접하고, 연결관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접하는 이중단부를 형성하며, 내삽되는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 캡의 내경으로 돌출되는 스토퍼의 홈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스포터를 가압하는 압착링; 연결구에 스토퍼와 패킹을 내삽하고 캡을 결합한 후 연결구 및 캡을 이중으로 결속하기 위한 배관보호구; 를 포함하는 배관연결구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20-0292699 Y1 (2002년10월08일) KR 20-0491654 Y1 (2020년05월08일) KR 20-0491729 Y1 (2020년05월20일) KR 10-0833816 B1 (2008년05월26일)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착할 시에 결합 구조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에 관한 발명이며, 길이방향 일단부에 수전이 결합되고, 타단부에 연장 파이프가 결합되는 체결부(100); 상기 체결부(100)의 중앙 외주부에 결합되어, 내주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100)는 길이방향 양단 외주부에 형성되어, 수전 및 연장 파이프에 체결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체결 나사부(1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100)는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가 내주부에 삽입되는 체결 홈(12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100)는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 내주부에 밀착하는 가이드부(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일단 내주부에 형성되는 조임 나사부(2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체결부(100) 외주부와 결착하는 후크부(2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타단 내주부에 배치되어, 연장 파이프 외주부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조임쇠(2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연장 파이프를 가압하는 조임부와 수전 및 연장 파이프를 양단부에 배치시키는 체결부와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의도치 않게 수압에 의해 결합 구조가 해제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임부를 구성하는 조임 돌기가 연장 파이프와 점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배관 연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배관 연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임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임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임쇠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부에 수전이 결합되며, 타단부에 연장 파이프가 결합되는 체결부(100); 상기 체결부(100)의 중앙 외주부에 결합되어, 내주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연장 파이프로 이송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대한 발명이다.
가정이나 공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수도 시설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며, 시설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수전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이 때, 수전의 일반적인 구조의 특성상, 수전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수도를 사용하는 거주자가 필요한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운반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상기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파이프를 수전과 결합하여 수도가 필요한 공간으로 물을 직접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전과 결합하는 파이프의 일단부가 수압에 의해 수전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전의 배출구 및 연장 파이프의 일단부와 결착하는 체결부(100)와 체결부(100) 중앙 외주부에 배치되어, 내주부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길이방향 일단 내주부에 형성되는 제1 통공(101); 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길이방향 타단 내주부에 형성되는 제2 통공(102); 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복수의 상기 통공(101,102)은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단부가 수전의 배출구 및 연장 파이프와 결합하는 체결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체결부(100)는 수전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내부에 일시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공급받은 물을 파이프로 배출시켜야 한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체결부(100)는 수전의 배출구와 결합되는 길이방향 일단부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는 제1 통공(101)과 연장 파이프와 결합되는 길이방향 타단부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는 제2 통공(102)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통공(101,102)은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체결부(100)는 제1 통공(101)의 타단부와 제2 통공(102)의 일단부가 상호 연통되어,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연속적으로 연장 파이프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외주부에 형성되어, 타 구성에 체결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체결 나사부(1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단부가 수전의 배출구 및 연장 파이프와 결합하는 체결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수전의 배출구와 결합하는 기능적인 특성상, 체결부(100)는 수전의 배출구와 같은 타 구성에 체결력을 부여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주부에 복수의 통공(101,102)이 형성된 체결부(100)의 외주부는 소정의 피치 값으로 나사 가공된 하나 이상의 체결 나사부(11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나사부(110)는 상기 체결부(1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나사부(111); 상기 체결부(10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 나사부(1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나사부(111)는 수전의 유로 내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나사부(112)는 상기 조임부(200)의 내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체결부(100) 외주부에 형성되어, 타 구성에 체결력을 부여하는 체결 나사부(110)에 대한 발명이다. 체결부(100)는 수전의 배출구와 연장 파이프를 상호 결착하여, 수전의 배출구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연장 파이프로 전달한다. 따라서, 체결부(100)의 일단부는 수전의 배출구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체결부(100)의 일단 외주부는 수전 배출구 내주부에 형성되는 나사 가공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 체결 나사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나사부(111)가 수전 배출구 내주부에 결합됨에 따라, 제1 통공(101) 내측으로 물이 투입된다.
또한 체결부(100)의 중앙 외주부는 소정 피치 값으로 가공되는 제2 체결 나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나사부(112)가 형성된 구간에 조임부(200)가 체결됨에 따라, 체결부(100)의 중앙 외주부에서 내주부를 향하여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나사부(112)가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100)의 중앙부의 종단면은 상기 체결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체결부(100)의 중앙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 나사부(112)에 대한 발명이다. 제2 체결 나사부(112)에 조임부(200) 내주부가 결착됨에 따라, 체결부(100)가 수전 및 연장 파이프와 결착 시에 내주부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조임부(200)의 내주부에 결착력을 부여하는 제2 체결 나사부(112)는 체결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여 나사 가공이 이루어진다면, 상호 접하는 구간이 최소화됨에 따라 종속적으로 조임부(200)에 부여되는 체결력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조임부(200)의 내주부와 접하는 제2 체결 나사부(112)가 형성되는 구간을 증대시켜, 상호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가 내측에 삽입되는 체결 홈(12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단부가 수전의 배출구 및 연장 파이프와 결합하는 체결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체결부(100)는 수전의 배출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연장 파이프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수전의 배출구 및 연장 파이프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체결부(1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수전의 배출구와 결합하는 제1 체결 나사부(111)가 형성된다.
이에 추가적으로,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연장 파이프가 삽입되는 체결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홈(120)에 의해 연장 파이프의 위치가 결정됨에 따라, 복수의 통공(101,102)을 통과하는 물이 연장 파이프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120)은 상기 체결부(100)의 상기 제2 체결 나사부(112)와 대향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120)은 상기 체결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체결부(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홈(120)에 대한 발명이다. 체결 홈(120) 내측에 연장 파이프가 삽입됨에 따라, 체결부(100) 내에서 연장 파이프가 결합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체결 홈(120)은 체결부(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연장 파이프의 중심축과 체결부(100)의 중심축을 상호 일치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 홈(120)은 조임부(200)가 체결되는 제2 체결 나사부(112)와 대향되는 내측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조임부(200)에서 내주부를 향하여 가하는 압력이 연장 파이프의 외주부로 용이하게 전달되어, 수압에 의해 연장 파이프가 체결부(100)의 타단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일단부가 상기 체결 홈(120)과 직교 연통되고, 타단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벤트 홀(14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140)의 직경은 상기 제2 통공(102)의 직경 대비 1/10 내지 1/100 값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단부가 수전의 배출구 및 연장 파이프와 결합하는 체결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체결부(100)의 타단부에 체결 홈(120)이 형성됨에 따라, 연장 파이프가 체결 홈(120) 내측으로 투입되어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체결 홈(120) 내에 공기가 존재한다면, 연장 파이프가 체결 홈(120)의 저면부까지 투입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체결부(100)는 체결 홈(120)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별도의 벤트 홀(14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 파이프가 체결 홈(120) 내측으로 투입될 시에 체결 홈(120) 내에 잔존하던 공기는 벤트 홀(140)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연장 파이프의 단부가 체결 홈(120)의 저면부까지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벤트 홀(140)은 체결 홈(120)과 직교로 연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시에 직경 값이 제2 통공(102)의 직경 대비 1/10 내지 1/100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벤트 홀(140)의 직경이 제2 통공(102)의 직경 대비 1/10 값을 초과할 시에 체결부(100)의 전반적인 내구성이 하락할 수 있음과 동시에 1/100 미만으로 형성될 시에 공기가 용이하게 유출될 수 없는 현상을 고려한 임계수치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 내주부에 밀착하는 가이드부(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단부가 수전의 배출구 및 연장 파이프와 결합하는 체결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체결부(100)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연장 파이프가 삽입되는 체결 홈(120)이 형성되어, 체결부(100)와 결합 시에 연장 파이프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 때, 체결부(100)는 길이방향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 파이프 내주부와 밀착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가 연장 파이프 내주부에 밀착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연장 파이프를 체결부(100)에 체결할 시에 체결 홈(120) 내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0)는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밀착 돌기(131); 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밀착 돌기(131)는 연장 파이프의 내주부와 접하는 제1 돌출부(131-1); 연장 파이프의 내주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돌출부(131-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장 파이프를 체결 홈(120) 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130)에 대한 발명이다. 체결부(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가이드부(130)가 형성됨에 따라, 연장 파이프는 체결 홈(120) 내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연장 파이프의 내주부와 접하여 삽입 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130)는 외주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돌출되는 밀착 돌기(131)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밀착 돌기(131)가 연장 파이프 측으로 압력을 부여함에 따라, 연장 파이프와 체결부(100) 사이에 추가적인 결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밀착 돌기(131)는 연장 파이프 내주부와 밀착하는 제1 돌출부(131-1)와 연장 파이프 내주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2 돌출부(131-2)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파이프 내주부와 밀착하는 구간을 한정하여, 연장 파이프 내주부의 전면을 파지하는 실시예와 비교했을 시에 높은 압력(P=F/A)으로 연장 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0)는 복수의 상기 밀착 돌기(13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밀 홈(132); 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기밀 홈(132) 내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기밀재(3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장 파이프를 체결 홈(120) 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130)에 대한 발명이다. 가이드부(130)는 외주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밀착 돌기(130)에 의해, 연장 파이프 측으로 추가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밀착 돌기(130) 사이에는 추가적인 기밀재(300)가 삽입되는 기밀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기밀 홈(132) 내측에 기밀재(300)가 추가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연장 파이프의 내주부와 체결부(100)의 외주부 간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기밀재(300)의 구조나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오링(O-ring)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일단 내주부에 형성되는 조임 나사부(2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100)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조임부(200)는 체결부(100)의 외주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내주부를 향하여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여, 연장 파이프와 체결부(100) 간의 상호 체결력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조임부(200)는 체결부(100)의 외주부와의 체결력을 부여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일단 내주부에 소정 피치 값으로 나사 가공이 이루어진 조임 나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조임 나사부(210)는 상기 제2 체결 나사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200)의 일단 내주부 종단면은 상기 조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조임부(200)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체결부(100)의 외주부에 상호 체결력을 부여하는 조임 나사부(210)에 대한 발명이다. 조임 나사부(210)에 의해 조임부(200)가 체결부(100) 외주부에 고정됨에 따라, 조임부(200)가 체결부(100)를 향하여 압력을 부여하는 구간이 결정된다.
이 때, 조임 나사부(210)는 체결부(100)의 중앙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 나사부(112)와 결합하여, 체결부(100)의 중앙 내주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조임 나사부(210)는 제2 체결 나사부(112)와 대응되는 형상 및 피치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 나사부(112)가 체결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된다면, 조임 나사부(210) 또한 이와 대응되는 각도로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체결부(100) 외주부와 결착하는 후크부(2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100)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조임부(200)는 체결부(100) 외주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100)를 가압하여, 연장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 때, 조임부(200)는 체결부(100)의 외주부에서 조임부(200)의 위치를 결정하는 후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20)가 체결부(100)의 외주부와 결합됨에 따라, 조임부(200)는 조임 나사부(210) 외에도 체결부(100)의 외주부에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220)는 상기 조임부(200) 외주부에 형성되는 힌지(221); 일단부가 상기 힌지(221)와 결합되어, 타단부가 소정 각도 회동하는 후크(222); 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외주부의 상기 제1 체결 나사부(111) 및 제2 체결 나사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소정 깊이 함몰된 구조의 후크 체결 홈(150); 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후크(222)의 타단부는 상기 후크 체결 홈(15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체결부(100) 외주부와 결착되는 후크부(220)에 대한 발명이다. 후크부(220)가 조임부(200)에 포함됨에 따라, 조임부(200)는 체결부(100) 외주부와 결합하는 구성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후크부(220)는 조임부(200)의 외주부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후크부(220)에 의해 체결부(100) 및 조임부(200)의 상호 결착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후크부(220)는 조임부(200)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힌지(221), 일단부가 힌지(221)에 결합되어 타단부가 소정 각도 회동하는 후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00)는 외주부에 형성되어, 조임부(200) 결착 시에 후크(222)를 내부에 수용하는 후크 체결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후크 체결 홈(150) 내에 후크(222)의 타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체결부(100)로부터 조임부(200)가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221)는 후크(222)의 타단부가 체결부(100)의 외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항시 외력을 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6-5)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후크(222)는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는 구조의 파단 홈(222-1);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후크 체결 홈(150)에 타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부(100)와 조임부(200) 간의 상호 체결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후크(222)에 대한 발명이다. 후크(222)는 일단부가 조임부(200) 외주부의 힌지(221)와 결합되어 타단부가 소정 각도 회동함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도달했을 시에 타단부가 후크 체결 홈(15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수전과 연장 파이프 간의 체결 구조를 해체할 시, 후크(222)에 의해 조임부(200)가 체결부(100)의 외주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크(22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파단 홈(222-1)이 형성되어, 조임부(200)가 체결부(100)의 길이방향 타단부로 이동하는 외력에 의해 후크(222)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타단 내주부에 배치되어, 연장 파이프 외주부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조임쇠(2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100)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조임부(200)는 체결부(100)의 외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체결부(100) 측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조임부(200)는 내주부에 배치되어, 체결부(100)를 가압하는 구성을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타단 내주부에 배치되는 조임쇠(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길이방향 일단 내주부에 형성되는 조임 나사부(210)가 제2 체결 나사부(112)와 상호 체결됨에 따라, 위치가 결정된 조임쇠(230)는 연장 파이프를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조임쇠(230)는 내주부에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소정 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조임 돌기(231); 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조임 돌기(231)는 내주부를 향하여 단면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조임쇠(230)는 상기 조임부(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조임부(200)의 내주부에 배치되어, 연장 파이프를 가압하는 조임쇠(230)에 대한 발명이다. 조임쇠(230)는 조임부(200)의 타단 내주부에 배치되어, 연장 파이프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조임쇠(230)는 조임부(200)의 중심부 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조임 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임 돌기(231)는 중심부로 진행될수록 단면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의 외주부와 점접촉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임쇠(230)는 조임부(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와의 상호 결착 및 분리 시에 조임쇠(230)가 소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7-5)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조임쇠(23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외주면과 상면 또는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필렛부(232); 를 포함한다.
(실시예 7-6)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5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필렛부(2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7-7) 본 발명은 수전과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5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100)의 길이방향 타단 내주부는 상기 필렛부(2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조임부(200)의 내주부에 배치되어, 연장 파이프를 가압하는 조임쇠(230)에 대한 발명이다. 조임쇠(230)는 조임부(200)의 타단 내주부에 배치되어, 연장 파이프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이 때, 조임쇠(230)는 조임부(200)가 체결부(100) 외주부에 결착될 시에 연장 파이프를 향하여 압력을 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조임쇠(230)는 길이방향 양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필렛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조임쇠(230)의 일단부와 접하는 체결부(100)의 타단부 및 조임쇠(230)의 타단부와 접하는 조임부(200)의 타단 내주부는 필렛부(2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 및 형상으로 설계됨에 따라, 조임쇠(230)가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하는 힘의 일부가 연장 파이프 측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전환되어, 연장 파이프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 수전 20 : 연장 파이프
100 : 체결부 101 : 제1 통공
102 : 제2 통공
110 : 체결 나사부 111 : 제1 체결 나사부
112 : 제2 체결 나사부
120 : 체결 홈 130 : 가이드부
131 : 밀착 돌기 131-1 : 제1 돌출부
131-2 : 제2 돌출부 132 : 기밀 홈
140 : 벤트 홀 150 : 후크 체결 홈
200 : 조임부 210 : 조임 나사부
220 : 후크부 221 : 힌지
222 : 후크 222-1 : 파단 홈
230 : 조임쇠 231 : 조임 돌기
232 : 필렛부
300 : 기밀재

Claims (7)

  1. 수전과 연장 파이프 사이에 상호 결착력을 부여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부에 수전이 결합되며, 타단부에 연장 파이프가 결합되는 체결부(100);
    상기 체결부(100)의 중앙 외주부에 결합되어, 내주부에 압력을 가하는 조임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100)는,
    외주부에 형성되어, 타 구성에 체결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체결 나사부(110);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가 내측에 삽입되는 체결 홈(120);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 내주부에 밀착하는 가이드부(130); 및
    상기 체결 홈(120)과 직교로 연통하는 구조로 벤트 홀(14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조임부(200)는,
    길이방향 일단 내주부에 형성되는 조임 나사부(210);
    길이방향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체결부(100) 외주부와 결착하는 후크부(220); 및
    길이방향 타단 내주부에 배치되어, 연장 파이프 외주부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조임쇠(230); 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220)는,
    상기 조임부(200)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힌지(221); 및
    일단부가 힌지(221)에 결합되어 타단부가 소정 각도 회동하는 후크(222)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22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파단 홈(222-1)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95650A 2021-07-21 2021-07-21 배관 연결구 KR102433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50A KR102433129B1 (ko) 2021-07-21 2021-07-21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50A KR102433129B1 (ko) 2021-07-21 2021-07-21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129B1 true KR102433129B1 (ko) 2022-08-16

Family

ID=8306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650A KR102433129B1 (ko) 2021-07-21 2021-07-21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129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263U (ja) * 1992-03-02 1993-09-28 クン・ヤング、チェン 水道蛇口装置
KR200292699Y1 (ko) 2002-07-18 2002-10-25 (주)상신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싱크대 급수전의 배관연결구
KR100833816B1 (ko) 2008-03-20 2008-06-02 주식회사 두리 배관연결구
KR100883869B1 (ko) * 2008-07-14 2009-02-17 (주) 삼정디씨피 파이프 연결부재용 결속링
CN101520114A (zh) * 2009-04-07 2009-09-02 玉环弗兰克铜阀管件有限公司 管道的连接装置
KR20150112718A (ko) * 2014-03-27 2015-10-07 박강훈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KR20190014835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KR102000880B1 (ko) * 2018-09-13 2019-07-25 이강산 배관 이음매 연결구
KR20190136388A (ko) * 2018-05-30 2019-12-10 워텍 주식회사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KR200491654Y1 (ko) 2020-02-04 2020-05-14 조재훈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200491729Y1 (ko) 2020-02-04 2020-05-26 조재훈 T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20200090002A (ko) * 2019-01-18 2020-07-28 이성진 냉ㆍ온수 독립 조절형 수도전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263U (ja) * 1992-03-02 1993-09-28 クン・ヤング、チェン 水道蛇口装置
KR200292699Y1 (ko) 2002-07-18 2002-10-25 (주)상신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싱크대 급수전의 배관연결구
KR100833816B1 (ko) 2008-03-20 2008-06-02 주식회사 두리 배관연결구
KR100883869B1 (ko) * 2008-07-14 2009-02-17 (주) 삼정디씨피 파이프 연결부재용 결속링
CN101520114A (zh) * 2009-04-07 2009-09-02 玉环弗兰克铜阀管件有限公司 管道的连接装置
KR20150112718A (ko) * 2014-03-27 2015-10-07 박강훈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KR20190014835A (ko)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KR20190136388A (ko) * 2018-05-30 2019-12-10 워텍 주식회사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KR102000880B1 (ko) * 2018-09-13 2019-07-25 이강산 배관 이음매 연결구
KR20200090002A (ko) * 2019-01-18 2020-07-28 이성진 냉ㆍ온수 독립 조절형 수도전 안전밸브
KR200491654Y1 (ko) 2020-02-04 2020-05-14 조재훈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200491729Y1 (ko) 2020-02-04 2020-05-26 조재훈 T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973B2 (en) Plug-type connector
US20110309616A1 (en) Sanitary hose coupling
DK2304303T3 (en) The press fitting FOR A PIPE, IN PARTICULAR PLASTIC PIPES, OR PLASTMETALKOMPOSITRØR
US20150323112A1 (en) Push-Fit Pipe Couplings
EP3553362B1 (en) One-touch pipe connecting apparatus
KR102078646B1 (ko) 파이프 커넥터
KR102433129B1 (ko) 배관 연결구
KR101757575B1 (ko) 퀵 커플링장치
EP3284961B1 (en) Sanitary fitting
KR101854531B1 (ko) 분기장치
KR200491003Y1 (ko) 냉온수 분배 장치
US11359752B2 (en) Quick connector for removable joining of two pipes
KR20190123542A (ko) 수도꼭지 연결구
KR200491002Y1 (ko) 냉온수 분배 장치
KR20160061108A (ko) 수도꼭지용 급수관 커넥터 조립체
KR102112923B1 (ko) 일체형 노즐을 갖는 실리콘건
KR101239405B1 (ko) 급수호스 홀더
US20070180608A1 (en) Quick connection, and liquid supply system provided therewith
KR100899383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02126806B1 (ko) 호스용 커플러
KR200339746Y1 (ko) 스토퍼가 형성된 파이프 고정구
KR200493614Y1 (ko) 파이프 삽입 확인 장치
KR20190000417A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9990010213U (ko) 급수호스 연결장치
KR102399658B1 (ko) 동심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