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383B1 -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383B1
KR100899383B1 KR1020080086012A KR20080086012A KR100899383B1 KR 100899383 B1 KR100899383 B1 KR 100899383B1 KR 1020080086012 A KR1020080086012 A KR 1020080086012A KR 20080086012 A KR20080086012 A KR 20080086012A KR 100899383 B1 KR100899383 B1 KR 10089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main body
synthetic resin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호
Original Assignee
조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호 filed Critical 조문호
Priority to KR102008008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6Screw-threa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배관을 연결할 때, 접착제가 건조될 때까지 배관이 연결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나사부(11), 배관삽입부(12),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와 나사부(21), 가이드홀(22), 가압홈(23)이 형성되어 있는 캡(2); 및 돌기(31), 측면부(32), 제1굴곡부(33), 제2굴곡부(34) 및 개구부(35)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3)으로 구성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완성된다.
합성수지관, 연결구, 연결관, 배관연결구, 접착제

Description

합성수지관용 연결구{CONNECTOR FOR PLASTIC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배관을 연결할 때, 접착제가 건조될 때까지 배관이 연결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이다.
통상적으로 상·하수도 및 각종 배관에 사용되는 연결방법은 합성수지관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연결관에 삽입하는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배관이 이탈되거나, 고르게 접착되지 않고 배관의 하중으로 인하여 연결부위에서 두개의 배관이 평행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고압의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위가 파손되거나, 배관을 타고 이송되는 대상물이 연결부위에서 병목되어 이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있거나, 별도의 결속부재를 더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합성수지관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결할 때, 연결되는 배관이 평행하게 결합되며, 연결관 내부에 고르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연결되는 배관의 평행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배관용 합성수지관이 연결구로부터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용 합성수지관의 외경이 연결구의 내경에 고르게 접합되도록 합성수지관의 중심이 연결구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잡아줄 수 있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1), 캡(2), 고정링(3)으로 구성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나사부(11)가 형성되고, 입구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할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배관삽입부(12)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삽입부(12)와 접하며, 고정링(3)에 형성된 제2굴곡부(34)와 접하며,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압하는 걸림턱(13)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11)와 접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21)와 중앙부에 형성되어 내삽되는 배관과 연결구의 중심을 일치하도록 지지해주는 가이드홀(22)과 고정링(3)에 형성된 제1굴곡부(33)와 접하며, 가압하는 가압홈(23)이 형성되는 캡(2); 및
상기 본체(1)와 캡(2)의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을 위해 내삽되는 배관의 외주면을 결속하기 위한 돌기(31)와, 상기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32)와, 상기 측면부와 접하며 캡(2)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홈(23)과 접하는 제1굴곡부(33)와, 상기 본체(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3)과 접하는 제2굴곡부(34) 및 개구부(35)로 형성되는고정링(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완성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배관을 결합할 때, 연결구로부터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관연결부위의 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연결을 위한 다수개의 배관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관의 내부로 이동하는 내용물이 병목현상 없이 이동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1은 본 발명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결합을 도시한 전개사시도, 도2는 본 발명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본체(1)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본체(1)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캡(2)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캡(2)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고정링(3)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고정링(3)의 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는 본체(1), 캡(2), 고정링(3)으로 구성되며,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4)의 일부를 삽입하여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연결구와 배관의 중심을 일치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본체(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에 배관(4)의 단부를 내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측면부 양측 외주면의 일부에는 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11)는 캡(2)을 결합할 때, 캡(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21)와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속할 수 있다.
상기 본체(1)의 내측면에는 배관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배관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관삽입부(12)는 본체(1)의 입구쪽에서 내측으로 이동 할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입구쪽에서 내측으로 이동할수록 점점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내측으로 이동할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연결을 위한 다양한 구경의 배관이 내삽될 때, 배관의 외경과 본체(1)의 내경이 접합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계절에 따라 합성수지관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등의 크기 변화로 인하여 연결관에 삽입하기 난해한 것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배관삽입부(12)는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4)의 일측단부 외주면과 접하는 것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배관의 외주면이 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삽입부(12)와 접하며, 본체(1)의 내측면 입구측에 형성된 걸림턱(13)은 내삽되는 배관을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링(3)이 접하는 곳으로, 상기 캡(2)을 본체(1)와 결합할 때, 상기 본체(1)와 캡(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링(3)을 가압하며,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해주는 것으로, 오목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걸림턱(13)에 고정링(3)의 제2굴곡부(34)가 접하게 되며, 배관의 연결을 위해 캡(2)을 본체(1)에 결합하게 되면 고정링(3)이 본체(1)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걸림턱(13)에 걸려 더이상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링(3)을 가압하여 직경을 축소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링(3)의 직경이 축소됨으로 인하여 내삽된 배관(4)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와 결합하며, 연결을 위한 배관의 일부분이 내삽되는 캡(2)은 상기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13)에 결합되어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내삽되는 배관을 결속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캡(2)은 내측에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배관의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1)는 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와 결합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홀(22)은 캡(2)의 중앙부 외측에 형성되는데, 배관이 내삽되었을 때, 배관의 외경을 밀착시켜서 배관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홀(22)은 캡(2)의 중앙부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내삽되는 배관과 연결구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잡아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고정링(3)의 측면부(32)가 상기 가이드홀(22)에 접하도록 하여, 배관과 연결구의 중심을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2)의 내측에는 고정링(3)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홈(23)은 내측에 삽입되는 배관을 결속하기 위한 고정링(3)의 제1굴곡부(33)가 접하는 부분으로 내측 일측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캡(2)을 본체(1)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고정링(3)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본체(1)와 캡(2)의 중간에 위치하며, 내주면에 배관(4)의 일부분을 삽입하고, 상기 본체(1)와 캡(2)의 결합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링(3)의 직경이 작아지 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관(4)을 결속해주는 고정링(3)은 내주면에 돌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제1굴곡부(33)와 제2굴곡부(3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3)과 상기 캡(2)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홈(23)에 의해 각각 가압되어 내측에 삽입되는 배관의 외경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링(3)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31)는 상측방향, 하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배관연결을 위해 삽입되는 배관이 상기 본체(1)와 캡(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합성수지관이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연결관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배관의 자중에 의해 배관연결관과 배관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돌기(31)는 상측과 하측을 지향하도록 다수개가 형성되어 배관이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미끌어져서 연결관의 내측방향으로 밀려들어가거나, 연결관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돌기(31)는 돌기의 방향이 상측방향으로 향하는 것과 하측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고정링(3)의 측면부(32)의 내측에 배열되도록 하여 내삽되는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돌기가 상측방향으로 향하는 것과 하측방향으로 향하는 것은 동일선상에 교차배열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측방향으로 향하는 돌기가 일 직선상에 배열되고, 그 다음에 하측방향으로 향하는 돌기를 일직선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31)는 고정링(3)의 측면부(32)의 일부분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돌기(31)가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함으로써 완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링(3)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캡(2)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홈(23)과 접하는 제1굴곡부(33)와 상기 본체(1)의 걸림턱(13)에 접하는 제2굴곡부(34)는 각각 본체(1)와 캡(2)의 결합에 의해 가압되어 구경이 작아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1)와 캡(2)이 결합하게되면, 캡(2)이 본체(1)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각각 제1굴곡부(33)와 제2굴곡부(34)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굴곡부(33)와 제2굴곡부(34)를 가압하게되면,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부(35)에 의해 상기 고정링(3)의 구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내측에 삽입되는 배관(4)을 결속해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굴곡부(33)와 제2굴곡부(34)를 형성함으로써,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4)과 배관연결관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일 굴곡부만을 사용하게 되면, 내삽되는 외주면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내삽되어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배관의 자중으로 인하여 배관연결부재의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는데, 두개의 굴곡부인 제1굴곡부(33)와 제2굴곡부(34)를 형성함으로써, 배관연결관의 내경에 삽입되는 배관의 외경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두개의 굴곡부를 통하여 이중으로 가압함으로써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배관연결관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일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배관연결관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배관에 배관연결을 위한 합성수지관의 일부분을 내삽할 때, 연결을 위한 배관연결관의 내측면과 합성수지관의 외측면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여기서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은 배관연결관의 내측에 도포하거나, 합성수지관의 외측면 중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배관연결관에 배관을 내삽할 때, 상기 배관(4)의 외주면을 캡(2)의 내경에 삽입하고, 그 다음 고정링(3)의 내경에 순서대로 삽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관의 일부분이 내삽되면, 상기 캡(2)을 본체(1)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링(3)을 본체(1)와 캡(2)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와 캡(2)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21)를 나사결합하며, 상기 고정링(3)의 제1굴곡부(33)는 캡(2)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홈(23)에 접하고, 제2굴곡부(34)는 본체(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접하게 되어 가압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되면 상기 고정링(3)의 일측에 개방된 개구부(35)의 간격이 좁아지게 됨과 동시에 고정링(3)의 직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내삽된 배관의 외주 면과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링(3)이 내삽된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될 때, 내측 측면부(32)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31)에 의해 배관과 결속되어 배관이 연결관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31)는 상측과 하측을 지향하도록 다수개가 형성되어 배관이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미끌어져서 연결관의 내측방향으로 밀려들어가거나, 연결관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돌기(31)는 돌기의 방향이 상측방향으로 향하는 것과 하측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고정링(3)의 측면부(32)의 내측에 배열되도록 하여 내삽되는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돌기가 상측방향으로 향하는 것과 하측방향으로 향하는 것은 동일선상에 교차배열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측방향으로 향하는 돌기가 일직선상에 배열되고, 그 다음에 하측방향으로 향하는 돌기를 일직선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배관이 배관연결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관의 자중에 의해 배관연결부재의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연결관과 배관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배관연결관의 결합을 도시한 전개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 배관연결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 배관연결관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본체(1)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본체(1)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캡(2)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캡(2)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고정링(3)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고정링(3)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용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본체 2 : 캡
3 : 고정링 11 : 나사부
12 : 배관삽입부 13 : 걸림턱
21 : 나사부 22 : 가이드홀
23 : 가압홈 31 : 돌기
32 : 측면부 33 : 제1굴곡부
34 : 제2굴곡부 35 : 개구부

Claims (5)

  1.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나사부(11)가 형성되고, 연결을 위해 내삽되는 배관의 외주면과 접하는 배관삽입부(12)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삽입부(12)와 접하며, 고정링(3)에 형성된 제2굴곡부(34)와 접하며, 상기 고정링(3)이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압하는 걸림턱(13)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11)와 접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21)와 중앙부에 형성되어 내삽되는 배관과 연결구의 중심을 일치하도록 지지해주는 가이드홀(22)과 고정링(3)에 형성된 제1굴곡부(33)와 접하며, 가압하는 가압홈(23)이 형성되는 캡(2); 및
    상기 본체(1)와 캡(2)의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을 위해 내삽되는 배관의 외주면을 결속하기 위한 돌기(31)와, 상기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32)와, 상기 측면부와 접하며 캡(2)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홈(23)과 접하는 제1굴곡부(33)와, 상기 본체(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3)과 접하는 제2굴곡부(34) 및 개구부(35)로 형성되는고정링(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삽입부(12)는 본체부(1)의 입구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1)는 고정링(3)의 측면부(32)의 일부분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돌기(31)가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020080086012A 2008-09-01 2008-09-01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00899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12A KR100899383B1 (ko) 2008-09-01 2008-09-01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12A KR100899383B1 (ko) 2008-09-01 2008-09-01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383B1 true KR100899383B1 (ko) 2009-05-26

Family

ID=4086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12A KR100899383B1 (ko) 2008-09-01 2008-09-01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841B1 (ko) 2014-12-09 2015-04-29 디케이락 주식회사 부시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2993U (ko) * 1990-10-03 1992-05-28
KR100213407B1 (ko) 1996-12-27 1999-08-02 신진욱 관 이음구
KR100326341B1 (ko) 1999-03-27 2002-02-28 김선홍 삼중관 소켓의 제조장치
JP2003074779A (ja) 2001-04-20 2003-03-12 San-Ei Faucet Mfg Co Ltd 樹脂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2993U (ko) * 1990-10-03 1992-05-28
KR100213407B1 (ko) 1996-12-27 1999-08-02 신진욱 관 이음구
KR100326341B1 (ko) 1999-03-27 2002-02-28 김선홍 삼중관 소켓의 제조장치
JP2003074779A (ja) 2001-04-20 2003-03-12 San-Ei Faucet Mfg Co Ltd 樹脂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841B1 (ko) 2014-12-09 2015-04-29 디케이락 주식회사 부시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0824C1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CN100491799C (zh) 紧压卡箍
US9388927B2 (en) Polymer pipe connection assembly
JP7080248B2 (ja) 管継手
KR200452915Y1 (ko) 배관 연결부재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0899383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02035976B1 (ko)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US4238132A (en) Connector
KR101029111B1 (ko) 배관연결구
KR101131815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US7887364B2 (en) Coaxial cable adapter
KR100926361B1 (ko) 관이음부재의 패킹 결합구조
KR100791455B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100952725B1 (ko) 케이피식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RU2350825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ниппеля с гибким рукавом
KR101035553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상수도관 이음장치
KR102113691B1 (ko) 고압 호스용 연결구
KR101208671B1 (ko) 파이프 고정기구
CN220102454U (zh) 一种管道快速连接头
US765109A (en) Hose-coupling.
KR102323500B1 (ko) 그랩링 모듈부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101491054B1 (ko) 신축성에 대응하는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을 사용한 수도배관 설치구조
KR200379213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구
KR20190000417A (ko) 파이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