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521A - 배관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521A
KR20190114521A KR1020180037355A KR20180037355A KR20190114521A KR 20190114521 A KR20190114521 A KR 20190114521A KR 1020180037355 A KR1020180037355 A KR 1020180037355A KR 20180037355 A KR20180037355 A KR 20180037355A KR 20190114521 A KR20190114521 A KR 20190114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tting
ring
pressing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605B1 (ko
Inventor
김광범
조재훈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성
Priority to KR102018003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6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16L33/2071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the sleeve be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 F16L33/2078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the sleeve be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rigid member via an intermediat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16L13/142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element inserted into the female part before crimping or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금속관의 내,외면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피복이 형성된 배관이 삽입되고, 일단이 개구되어 있고, 외주면에 끼움환턱이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개의 끼움환턱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이 형성되는 끼움부와,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단부에 확장외경부를 구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끼움부와 결합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몸체, 끼움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끼움부가 배관에 삽입시 배관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압착부재, 결합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니온을 포함하는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연결장치{PIPE CONNECTOR}
개시되는 발명은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관 또는수지관에 적용되는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일반상가건물에는 강관파이프, PE파이프, 동(Cu)파이프 등 여러 종류의 파이프로 배관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용 파이프는 파이프 설치시 또는 수리시에 파이프끼리 연결하거나 파이프를 다른 부품에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구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파이프 끼리 연결시 파이프 단부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양측 파이프 단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패킹이 개재된 조임구를 양측에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파이프 중에는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킬 수 없는 복합피복층을 갖는 다층관이 있으므로 이러한 다층관은 전술한 나사 결합방식의 연결구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 10-2014-0108834호
개시되는 발명은 금속관의 내,외면에 다층의 피복이 형성된 다층관 또는 PE재질과 같은 연성의 특성을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관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다층관끼리 또는 수지관끼리 또는 다층관과 수지관끼리 혹은 다층관이나 수지관을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금속관의 내,외면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피복이 형성된 배관이 삽입되고, 일단이 개구되어 있고, 외주면에 끼움환턱이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개의 끼움환턱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이 형성되는 끼움부와,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단부에 확장외경부를 구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끼움부와 결합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몸체; 끼움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끼움부가 배관에 삽입시 배관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압착부재; 및 결합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니온;을 포함하는 배관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관의 내,외면에 다층의 피복이 형성된 다층관 또는 수지로 형성되는 수지관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도, 압착에 의해 밀봉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유니온을 이용해 보일러 본체나 다른 파이프 끝단에서 나사산이 구비된 연결부에 변형이 없이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어 배관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나사산을 형성할 수 없는 피복 다층관이나 수지관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압착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9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압착부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압착부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압착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9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압착부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압착부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A)는, PE 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관 또는 금속관의 내,외면에 다층의 피복이 형성된 다층관(도 4 도면부호 100 참조)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끼움부(28)와 유니온(7)이 구비되는 결합부(29)를 형성하는 몸체(2)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지관이나 다층관은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연성으로 인해 나사결합시 결합력이 금속파이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배관을 예시로 든 것으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층관으로 설명한다.
일측에 다층관이 연결되는 몸체(2)의 끼움부(28) 일단에는 끼움부 개구부(22)가 구비되고, 유니온(7)이 구비되는 타측으로는 타단에 결합부 개구부(23)가 구비된다.
몸체(2) 내부에는 끼움부 개구부(22)와 결합부 개구부(23)를 관통하는 통로(24)가 형성된다.
끼움부(28) 외주면에는 다층관의 내부와 밀착결합되는 끼움환턱(26)이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개의 끼움환턱(26) 사이에 오링(27)이 형성된다. 끼움환턱(26)은 경사면을 구비하고 경사면은 다층관의 삽입방향을 향하도록, 즉 개구부(22)를 향해 하향 경사져 끼움부(28)가 다층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용이하게 하고, 일단 다층관이 삽입되면 잘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오링(27)은 탄성부재로서 다층관 내부와 끼움부(28) 사이 간극을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오링(27)은 다층관 삽입시 위치이동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끼움부(28)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위치고정될 수 있으며, 끼움부(28) 외주면 상에는 복수의 오링(27)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오링(27)은 단면이 원형, 다각형 또는 반원형 등으로 된 링모양이다.
몸체(2)의 외주면 중간부위에는 돌출부(4)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몸체(2)의 끼움부(28) 외측에는 끼움부(28)에 결합되는 다층관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압착부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착부재(6)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단 개구부(62)에는 확관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확관부(64)는 개구부(22)를 향해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나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압착부재(6)의 외면 일측 단부에는 내부에 삽입된 다층관의 인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66)이 형성된다. 확인공(66)은 몸체(2)의 결합부(29)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압착부재(6)의 내경은 다층관의 외경 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압착부재(6)는 도시하지 않은 압착 공구를 이용하여 외주면을 압착시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압착부재(6)는 끼움부(28)의 외주면 일부형상과 대응되게 굴곡 압착됨으로써 결합상태가 정상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도 4 참조).
몸체(2)의 외측에는 끼움부(28)측 안쪽으로 받침부재(5)가 구비된다. 받침부재(5)는 일측에 확장개구(52)가 형성되어 압착부재(6)의 단부가 삽입되고, 내주연에 단턱(54)이 형성되어 압착부재(6)의 단부가 지지된다. 받침부재(5)의 확장개구(52) 내주면에는 압착부재(6)의 단부에 지지되는 지지돌부(56)가 형성된다.
몸체(2)의 결합부(29) 외측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한 유니온(7)이 구비된다. 유니온(7)의 외주면은 육각 또는 다각형으로 나사결합시 도구 등이 미끄러지지 않고 조이는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결합부(29)의 단부는 유니온(7)이 이탈되지 않도록 외경이 확장된다. 외경이 확장된 단부에는 규격화된 배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돌출부(25)가 구비되고, 돌출부(25)에는 오링(271)이 구비되어 결합부(29)와 이에 연결되는 배관을 밀착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결합부(29) 외주면에는 표시선(292)이 복수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표시선(292)은 유니온(7)이 배관 등 연결부위에 결합시 표시선(292)의 노출정도에 따라 적당한 나사결합력으로 체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표식을 제공한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관에 적용되는 배관연결장치가 단부에 나사산을 구비한 배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의 끼움부(28)에는 다층관(100)이 끼움결합되고, 다층관(100) 외주면으로 압착부재(6)가 결합되어 다층관(100)과 배관연결장치(A)가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부(29)는 보일러 등의 배관(200) 단부와 밀착되고, 유니온(7)을 통해 보일러 등의 배관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쉽고 간편하게 배관 연결작업이 가능하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관에 적용되는 배관연결장치(B)는, 도 5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층관에 적용되는 배관연결장치(B)는 앞서 살펴본 배관연결장치(A)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층관에 적용되는 배관연결장치(B)는 끼움부(28)와 결합부(29')를 포함하는 몸체(2'), 끼움부(28)의 외측에 구비되는 압착부재(6), 압착부재(6)의 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부재(5)를 포함한다.
결합부(29')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나사산이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을 수리하기 위하여 배관 중간지점을 교체하거나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관에 적용되는 배관연결장치(A)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관에 적용되는 배관연결장치(B)를 연결하여 쉽게 배관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배관연결장치(A)의 결합부(29)와 배관연결장치(B)의 결합부(29')가 마주하여 밀착되고, 유니온(7)이 결합부(29')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결합되어 연결된다.
한편 압착부재(6)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압착부재(6)의 일부위를 원호형상으로 절개하되 일부는 남도록 하여 절개편(662)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편(662)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시켜 확인공(66')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다층관(100)을 압착부재(6)에 끼워넣으면 절개편(662)이 상방으로 펴지면서 확인공(66')을 막게 되므로 확인공(66')이 막힌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다층관(100)이 정확한 깊이로 삽입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압착부재(6)의 내주면에 마찰성과 기밀성을 갖도록 도막층(T)이 형성된다.
도막층(T)은 내열 실리콘 소재이며, 소정의 두께로 압착부재(6)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다층관(100)을 삽입하였을때 다층관(1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고 아울러 기밀성을 갖도록 하여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압착부재(6)의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돌기부(S)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층관(100)을 삽입하였을때 다층관(100)의 외면에 돌기부(S)가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2)의 끼움부(28)를 다층관(100)의 내경에 억지끼움으로 가압하여 결합시킨다.
이후 다층관(100)의 외주면에 압착부재(6)를 삽입한 후 이동시켜 몸체(2)의 끼움부(28)의 외측에 대응되게 밀어 이동한다.
이후 압착부재(6)를 공구를 이용하여 가압시킴으로써 압착부재(6)가 다층관(100)에 압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고, 아울러 오링(27)에 의해 기밀성을 갖게된다.
또한 다층관(100)의 피복층에 끼움환턱(26) 및 오링(27), 압착부재(6)가 파고들어가서 견고하게 협착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몸체 26 : 끼움환턱
27 : 오링 28 : 끼움부
29, 29' : 결합부
4 : 돌출부 5 : 받침부재
52 : 확장개구 54 : 단턱
56 : 지지돌부
6 : 압착부재 64 : 확관부
66 : 확인공
7 : 유니온

Claims (9)

  1.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금속관의 내,외면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피복이 형성된 배관이 삽입되고, 일단이 개구되어 있고, 외주면에 끼움환턱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끼움환턱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이 형성되는 끼움부와,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단부에 확장외경부를 구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상기 끼움부와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끼움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부가 상기 배관에 삽입시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압착부재;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니온;을 포함하는 배관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경에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는 표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단 개구부에는 확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의 외면 일측 단부에는 내부에 삽입된 배관의 인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환턱은
    상기 끼움부의 일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에 끼워지고, 일측에 확장개구가 형성되어 압착부재의 단부가 삽입되고,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되어 압착부재의 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일부위를 원호형상으로 절개하되 일부는 남도록 하여 절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편을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시켜 확인공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재의 내주면에 도막층 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9.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금속관의 내,외면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피복이 형성된 배관이 삽입되고, 일단이 개구되어 있고, 외주면에 끼움환턱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끼움환턱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이 형성되는 끼움부와,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외경에 나사산을 구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상기 끼움부와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끼움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부가 상기 배관에 삽입시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압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KR1020180037355A 2018-03-30 2018-03-30 배관연결장치 KR10206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55A KR102066605B1 (ko) 2018-03-30 2018-03-30 배관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55A KR102066605B1 (ko) 2018-03-30 2018-03-30 배관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21A true KR20190114521A (ko) 2019-10-10
KR102066605B1 KR102066605B1 (ko) 2020-01-15

Family

ID=6820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355A KR102066605B1 (ko) 2018-03-30 2018-03-30 배관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54Y1 (ko) * 2020-02-04 2020-05-14 조재훈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200491729Y1 (ko) * 2020-02-04 2020-05-26 조재훈 T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102125654B1 (ko) * 2019-11-06 2020-07-07 한지현 파이프 조인트 및 이를 사용한 파이프 조립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325B1 (ko) * 2021-01-06 2021-04-14 주식회사 미성 파이프 어셈블리
KR102237317B1 (ko) * 2021-01-06 2021-04-14 주식회사 미성 파이프 연결장치
KR102498853B1 (ko) * 2021-09-24 2023-02-10 주식회사 미성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102498846B1 (ko) * 2021-09-24 2023-02-10 주식회사 미성 소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7809A1 (en) * 2006-09-14 2008-03-20 Foshan Rifeng Enterprise Co., Ltd. Press-fitting
KR20140108834A (ko) 2013-03-02 2014-09-15 이병길 공기열 공기열 이원 사이클 히트펌프 냉난방 장치의 제어방법
US20150102597A1 (en) * 2013-09-13 2015-04-16 Marine Canada Acquisition Inc. Hydraulic fitting for a hydraulic ho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7809A1 (en) * 2006-09-14 2008-03-20 Foshan Rifeng Enterprise Co., Ltd. Press-fitting
KR20140108834A (ko) 2013-03-02 2014-09-15 이병길 공기열 공기열 이원 사이클 히트펌프 냉난방 장치의 제어방법
US20150102597A1 (en) * 2013-09-13 2015-04-16 Marine Canada Acquisition Inc. Hydraulic fitting for a hydraulic ho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654B1 (ko) * 2019-11-06 2020-07-07 한지현 파이프 조인트 및 이를 사용한 파이프 조립물
KR200491654Y1 (ko) * 2020-02-04 2020-05-14 조재훈 엘보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KR200491729Y1 (ko) * 2020-02-04 2020-05-26 조재훈 T형 압착식 배관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605B1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605B1 (ko) 배관연결장치
JP4088923B2 (ja) 波形のたわみ管用の管継手
US8820799B2 (en) Tube coupling
RU2556944C2 (ru) Фитинг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в частности гибких труб
KR101518377B1 (ko) 배관 연결용 커넥터
KR102039135B1 (ko) 배관용 연결장치
JP2019505734A (ja) ワンタッチ配管連結装置
US20070013189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KR101984278B1 (ko) 다층관에 적용되는 압착식 배관연결장치
JP2008163981A (ja) 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US20020145284A1 (en) Fitting assembly for corrugated tubing
JP2019120309A (ja) 金属管継手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RU2761694C2 (ru) Фитинг для медицинской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ы
JP2007078158A (ja) ホースエンド接続継手
KR20190000418A (ko) 파이프 고정장치
KR20150120328A (ko) 배관 연결용 커넥터
JP2005325933A (ja) フレキシブルメタルホースの端末構造
KR101700063B1 (ko) 호스 연결구
KR101053127B1 (ko) 금속 파이프용 이음구
JP2021131099A (ja) 火無し継手における気密試験用プラグ取付構造、火無し継手、及び気密試験用プラグ
KR20130003744A (ko) 파이프 연결구
KR100548725B1 (ko) 주름관의 연결장치
KR20200028117A (ko) 주름관 연결 장치의 결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