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325B1 - 파이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이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325B1
KR102237325B1 KR1020210001186A KR20210001186A KR102237325B1 KR 102237325 B1 KR102237325 B1 KR 102237325B1 KR 1020210001186 A KR1020210001186 A KR 1020210001186A KR 20210001186 A KR20210001186 A KR 20210001186A KR 102237325 B1 KR102237325 B1 KR 10223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325B9 (ko
Inventor
김광범
조현용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성
Priority to KR102021000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325B1/ko
Publication of KR10223732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32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5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a sleeve being movable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Abstract

파이프 어셈블리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는 파이프,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슬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의 압착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중간층은 상기 슬리브의 압착 굴곡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어셈블리{PIPE ASSEMBLY}
본 발명은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하여 파이프를 다른 파이프 또는 다른 물체에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와 수지 재료로 형성된 층과 금속 재료로 형성된 층을 포함하는 다층 파이프로 구성되는 파이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 공장, 아파트 등에 수도, 가스 등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스틸, 구리 등의 금속제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파이프는 설치 형태에 따라서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이 요구되거나 처짐이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요구된다.
파이프는 연장, 분기 또는 굴곡을 위하여 다른 파이프와 연결하거나 다른 접속구에 결속시키기 위하여 파이프 연결장치가 필요하다. 파이프 연결장치는 고압의 액체나 기체가 이송되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기밀성을 유지하고 고압에도 파이프와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합성수지제 파이프는 단부에 암부와 수부를 각각 설치하고 어느 하나의 파이프의 암부에 다른 하나의 수부를 오링 밀착에 의해 기밀성 있게 결합하거나,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의 단부를 삽입하고 조임링 등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결합하였다. 오링 밀착으로 합성수지제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파이프와 오링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불완전 결합에 의해 내압 변화에 따라 이음부 내의 부속이 유동하고 이는 오링과 파이프의 접촉부위의 결함으로 이어져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겨울철 낮은 온도로 인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조임링 등으로 가압하여 연결하는 방식의 경우, 작업자가 너트를 너무 헐겁게 조이거나 너무 강하게 조임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파이프와 연결장치의 치수 공차에 따라서 압착에 헐거움이 발생할 수 있다.
금속제 파이프는 단부에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를 가공하여 어느 하나의 파이프의 암나사부에 다른 하나의 수나사부를 오링 밀착에 의해 기밀성 있게 결합하거나,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의 단부를 삽입하고 유압식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였다. 금속제 파이프에 가공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결합하는 경우 합성수지제 파이프의 암부와 수부를 결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금속제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중량이 큰 압착공부를 휴대하여야 하고,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요성, 강성 및 내부식성을 모두 가지는 수지-금속 다층 파이프와 파이프가 정상적으로 삽입되고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며 기밀성 및 내구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장치가 포함된 파이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는 파이프,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슬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의 압착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중간층은 상기 슬리브의 압착 굴곡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돌출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돌출부 확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 확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2 측벽, 상기 제2 측벽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벽, 및 상기 제1 측벽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확인공은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확인공은 상기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몸체의 상기 돌출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보다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벽의 반경방향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확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확인창은 상기 확인공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벽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벽에 형성되는 슬리브 확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확인창은 상기 확인공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중간벽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는 가요성, 강성 및 내부식성을 모두 가지는 수지-금속 다층 파이프가 파이프 연결장치에 정상적으로 삽입되고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며 기밀성 및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의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의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전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가 결합되어 가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는 몸체(10), 슬리브(30), 연결부재(20) 및 오링(4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1)의 몸체(10)는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110), 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되고 파이프(3)의 단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20), 몸체(10)의 타측에 형성되고 암나사부를 가지는 다른 체결구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40), 삽입부(120)와 체결부(140)를 연결하고 몸체(10)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30)는 파이프 연결장치(1)의 체결부(140)와 다른 체결구(미도시)를 체결하는 데에 용이하도록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체결부(140)가 몸체(10)의 타측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로 도시되어 있으나, 몸체의 타측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의 타측에는 다른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또 다른 삽입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의 타측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연결되거나 두 개 이상의 체결구가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 또는 또 다른 삽입부가 두 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장치(1)의 슬리브(30)는 연결부재(20)에 의해 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의 삽입부(120)에 파이프(3)의 단부가 끼워지면 슬리브(30)는 파이프(3)의 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30)는 파이프(3)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몸통부(310)와 몸통부(3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확장되는 확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확관부(320)는 파이프(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한다. 슬리브(3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확관부(320)는 연결부재(20)에 삽입되어 슬리브(30)와 연결부재(20)가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슬리브(30)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는 가압 공구(미도시)에 의해 압착되면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1)의 연결부재(20)는 파이프(3)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제1 측벽(220), 제1 측벽(220)의 외경과 슬리브(30)의 외경보다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2 측벽(210), 제2 측벽(210)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측벽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벽(230), 제1 측벽(220)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의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장치(1)의 몸체(10)의 삽입부(120)는 파이프(3)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의 삽입부(120)의 외주면에는 오링(40)이 장착되는 오링홈(121)과 끼움환턱(122)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오링홈(121)은 끼움환턱(12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환턱(122)은 상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파이프(3)를 끼우기는 쉽고 끼워진 후에는 빠지기 어렵게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몸체(10)는 연결부재(20)가 장착되는 장착홈(124)과 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홈(124)과 돌출부(123)는 삽입부(120)와 파지부(13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홈(124)은 삽입부(1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장착홈(124)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상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20)를 장착홈(124)에 끼우기는 쉽고 끼워진 후에는 빠지기 어렵게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하부벽(240)은 몸체(10)의 장착홈(124)의 너비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고, 몸체(10)의 돌출부(123)의 최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하부벽(240)에는 반경방향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장착돌기(24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돌기(241)는 몸체(10)의 장착홈(1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124)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고 장착홈(124)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241)의 내주면 하부측 모서리는 몸체(10)의 돌출부(123)를 넘어가기에 용이하도록 라운딩 또는 모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몸체(10)의 삽입부에 끼워진 파이프(3)의 일단이 연결부재(20)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파이프(3)의 단부와 몸체(1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이프(3)가 파이프 연결장치(10)에 삽입되면 연결부재(20)의 하부벽(24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파이프(3)는 금속제 파이프이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된 층을 포함하는 다층 파이프일 수 있다. 파이프(3)가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몸체(1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몸체(10)에 포함된 금속 재질과 파이프(3)에 포함된 금속 재질의 이온화 경향성의 차이에 의한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파이프(3)의 단부와 몸체(10)를 절연함으로써 파이프(3)와 몸체(10)의 손상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제2 측벽(210)은 내주면 상부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슬리브 장착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장착돌기(232)는 슬리브(30)의 몸통부(310)의 외경보다는 크고 슬리브(30)의 확관부(320)의 외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장착돌기(232)의 내주면 상부측 모서리는 슬리브(30)의 확관부가 넘어가기에 용이하도록 라운딩 또는 모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의 확관부(320)가 연결부재(20)의 슬리브 장착돌기(232)와 중간벽(230) 사이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슬리브(30)와 연결부재(20)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슬리브(30)가 적절하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슬리브 확인창(23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연결부재(20)의 제1 측벽(220)과 제2 측벽(210)을 연결하는 중간벽(230)에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의 일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을 통하여 슬리브 장착돌기(232)와 중간벽(230) 사이의 홈에 삽입된 슬리브(30)의 단부, 즉 확관부(320)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연결부재(20)가 파이프 연결장치(1)의 몸체(10)에 바르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돌출부 확인창(24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확인창(242)은 연결부재(20)의 하부벽(240)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 확인창(242)은 하부벽(240)의 일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 확인창(242)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하부벽(240)에 마련된 장착돌기(241)가 몸체(10)의 장착홈(124)에 바르게 삽입되면 몸체(10)의 돌출부(123)를 연결부재(20)의 돌출부 확인창(242)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몸체(10)의 삽입부에 끼워진 파이프(3)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공(221)은 연결부재(20)의 제1 측벽(220)에 형성될 수 있다. 확인공(221)은 제1 측벽(2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파이프(3)의 단부가 연결부재(20)의 내측까지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확인공(221)은 제1 측벽(22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돌출부 확인창(242)은 하부벽(24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 확인창(242)은 확인공(2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확인공(2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돌출부 확인창(242)과 슬리브 확인창(231)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중간벽(230) 및 하부벽(240)에 투명재료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된 돌출부 확인창(242)과 슬리브 확인창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0)의 돌출부 확인창(242)과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 및 하부벽(240) 등 연결부재(20)와 다른 구성요소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 확인창(242)과 슬리브 확인창(231)은 연결부재(20)의 다른 구성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투명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의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2)와 몸체(10), 슬리브(30), 오링(40)의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2)의 몸체(10), 슬리브(30), 오링(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2)의 연결부재(21)는 파이프(3)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제1 측벽(220), 제1 측벽(220)의 외경과 슬리브(30)의 외경보다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2 측벽(210), 제2 측벽(210)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측벽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벽(230), 제1 측벽(220)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24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1)의 하부벽(243)은 몸체(10)의 장착홈(1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124)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1)의 하부벽(243)은 몸체(10)의 돌출부(123)의 최외경보다는 작고 장착홈(124)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벽(243)의 내주면 하부측 모서리는 몸체(10)의 돌출부(123)를 넘어가기에 용이하도록 라운딩 또는 모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1)는 몸체(10)의 돌출부(123)와 몸체(10)에 끼워진 파이프(3)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222)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공(222)은 연결부재(21)의 제1 측벽(220)에 형성될 수 있다. 확인공(222)은 제1 측벽(2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1)의 확인공(222)을 통하여 몸체(10)의 삽입된 파이프(3)의 단부가 연결부재(21)의 내측까지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1)의 하부벽(243)이 몸체(10)의 장착홈(124)에 바르게 삽입되면 연결부재(21)의 확인공(222)을 통하여 몸체(10)의 돌출부(123)를 확인함으로써 연결부재(21)가 파이프 연결장치(2)의 몸체(10)에 바르게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파이프(3)가 파이프 연결장치(10)에 삽입되면 파이프(3)는 몸체(10)의 돌출부(123)의 경사면에 안착될 수 있다. 파이프(3)는 합성수지제 파이프이거나 수지 재질로 형성된 층을 최내층으로 하는 다층 파이프일 수 있다. 파이프(3)가 수지 재질의 내층과 금속 재질의 중간층을 갖는 경우, 파이프(3)가 몸체(10)의 돌출부(123)의 경사면에 안착됨으로써, 파이프(3)의 수지 재질의 내층이 돌출부(123)의 경사면과 선접촉을 하게 되고, 파이프(3)의 금속 재질의 중간층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몸체(10)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는 슬리브 장착돌기(232), 슬리브 확인창(231)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의 연결부재(21)에 마련된 슬리브 장착돌기(232), 슬리브 확인창(231)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1)의 연결부재(21)에 마련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재(21)의 확인공(222)은 제1 측벽(22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1)의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확인공(22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1)는 슬리브 확인창(231)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1)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중간벽(230)에 투명재료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된 슬리브 확인창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1)의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 등 연결부재(21)와 다른 구성요소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1)는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슬리브 확인창(231)은 연결부재(21)의 다른 구성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투명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3)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31),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33)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35)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층(31)과 중간층(33) 사이에는 내층(31)과 중간층(33)의 접합을 위한 제1 접착층(32)이 마련될 수 있고, 중간층(33)과 외층(35) 사이에는 중간층(33)과 외층(35)의 접합을 위한 제2 접착층(3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3)의 내층(31)은 고온용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3)의 내층(31)은 내열성, 위생성, 내약품성의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내층(31)은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의 유체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열전달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며,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다.
파이프(3)의 중간층(33)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33)은 산소나 유기용제의 관내 침투를 방지하고, 파이프(3)의 내압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파이프(3)의 중간층(33)은 적절한 강성으로 파이프(3)의 처짐이나 휨을 방지하며, 배관 시 파이프의 굴곡이 필요한 경우 굴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파이프(3)의 외층(35)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층(35)은 중간층(33)의 파손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접착층(32)과 제2 접착층(34)은 접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층(31)과 중간층(33), 중간층(33)과 외층(35)은 제1 접착층(32) 및 제2 접착층(34)에 의해 화학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32)과 제2 접착층(34)에 의하여 파이프(3)를 굴곡 변형시키더라도 층간 분리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가 결합되어 가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에 파이프(3)를 삽입한 후 가압 공구를 사용해 슬리브(30)를 가압하여 파이프(3)의 단부에 파이프 연결장치(1)가 결합된 파이프 어셈블리(4)를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4)는 파이프(3), 몸체(10), 슬리브(30), 연결부재(20), 오링(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 슬리브(30), 연결부재(20), 오링(40) 등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1, 2)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파이프 어셈블리(4)의 슬리브(30)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는 가압 공구(미도시)에 의해 압착되면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4)의 파이프(3)는 슬리브(30)의 압착에 의해 중간층(33)이 슬리브(30)의 압착 굴곡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파이프 어셈블리(4)가 금속층을 포함하지 않는 합성수지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슬리브(30)의 압착에 의해 파이프 연결장치(1)의 몸체(10)와 파이프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4)가 금속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경우 역시 슬리브(30)의 압착에 의해 파이프 연결장치(1)의 몸체(10)와 파이프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4)는 파이프(3)가 몸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파이프(3)의 삽입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4)는 파이프(3)를 몸체(10)의 삽입부(120)에 정확히 압착하기 위하여 슬리브(30)와 연결부재(20)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슬리브 확인창(23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파이프(3)의 단부와 몸체(1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몸체(10)의 삽입부에 끼워진 파이프(3)의 일단이 연결부재(20)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파이프(3)의 중간층(33)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몸체(1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몸체(10)에 포함된 금속 재질과 파이프(3)의 중간층(33)에 포함된 금속 재질의 이온화 경향성의 차이에 의한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파이프(3)의 중간층(33)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는 황동 또는 니켈, 크롬 도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파이프(3)의 단부와 몸체(10)를 절연함으로써 파이프(3)와 몸체(10)의 손상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가압 공구(미도시)로 슬리브(30)를 가압할 때 가압 공구의 기준위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4)는 가압 공구(미도시)로 슬리브(30)를 가압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결부재(20)가 몸체(10)에 바르게 결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돌출부 확인창(2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파이프 어셈블리(4)는 몸체(10)에 삽입된 파이프(3)의 단부와 몸체(10)의 돌출부(123)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1, 2: 파이프 연결장치 3: 파이프
4: 파이프 어셈블리 10: 몸체
20, 21: 연결부재 30: 슬리브
31: 내층 32, 34: 접착층
33: 중간층 35: 외층
40: 오링 220: 제1 측벽
210: 제2 측벽 230: 중간벽
240, 243: 하부벽 221, 222: 확인공
231: 슬리브 확인창 242: 돌출부 확인창
310: 몸통부 320: 확관부

Claims (10)

  1.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는 파이프;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슬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2 측벽;
    상기 제2 측벽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벽;
    상기 제1 측벽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 및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압착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중간층은 상기 슬리브의 압착 굴곡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돌출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돌출부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확인공은 상기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몸체의 상기 돌출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벽의 반경방향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확인창은 상기 확인공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벽의 위치에 형성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벽에 형성되는 슬리브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확인창은 상기 확인공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중간벽의 위치에 형성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KR1020210001186A 2021-01-06 2021-01-06 파이프 어셈블리 KR10223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86A KR102237325B1 (ko) 2021-01-06 2021-01-06 파이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86A KR102237325B1 (ko) 2021-01-06 2021-01-06 파이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325B1 true KR102237325B1 (ko) 2021-04-14
KR102237325B9 KR102237325B9 (ko) 2022-04-15

Family

ID=7547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186A KR102237325B1 (ko) 2021-01-06 2021-01-06 파이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3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529B1 (ko) * 2022-03-18 2022-08-26 (주)그린텍 수중펌프용 케이블보호관
KR102498846B1 (ko) * 2021-09-24 2023-02-10 주식회사 미성 소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102498853B1 (ko) * 2021-09-24 2023-02-10 주식회사 미성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20230161256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미성 난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용 배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981A (ja) * 2006-12-27 2008-07-17 San-Ei Faucet Mfg Co Ltd 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JP2012189147A (ja) * 2011-03-10 2012-10-04 Inoac Housing &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パイプ継手
KR102066605B1 (ko) * 2018-03-30 2020-01-15 주식회사 미성 배관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981A (ja) * 2006-12-27 2008-07-17 San-Ei Faucet Mfg Co Ltd 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JP2012189147A (ja) * 2011-03-10 2012-10-04 Inoac Housing &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パイプ継手
KR102066605B1 (ko) * 2018-03-30 2020-01-15 주식회사 미성 배관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846B1 (ko) * 2021-09-24 2023-02-10 주식회사 미성 소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102498853B1 (ko) * 2021-09-24 2023-02-10 주식회사 미성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102436529B1 (ko) * 2022-03-18 2022-08-26 (주)그린텍 수중펌프용 케이블보호관
KR20230161256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미성 난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용 배관 시스템
KR102616488B1 (ko) * 2022-05-18 2023-12-21 주식회사 미성 난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용 배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325B9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325B1 (ko) 파이프 어셈블리
US9631757B2 (en) Pipe joint
US7017951B2 (en) Strengthened pipe fitting having encapsulated reenforcing collar
JP6031032B2 (ja) ウエルドレスアルミニウム製hvacシステム
JP5915918B2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KR200391276Y1 (ko) 관이음 구조
KR102237317B1 (ko) 파이프 연결장치
US20160025252A1 (en) Quick fitting connector
KR101218352B1 (ko) 배관용 연결기구
JP5576691B2 (ja) 管継手
KR101040230B1 (ko) 배관용 연결기구
TW200307103A (en) Sealing compression ferrule for plumbing connection fitting
CN112145826A (zh) 一种不锈钢或铜摩擦焊接活接头及制造工艺
CN216643433U (zh) 一种无o型环的管道接头
CN213299121U (zh) 一种不锈钢或铜摩擦焊接活接头
EP3924658A2 (en) Flexible pipeline
KR100791455B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CN220623118U (zh) 具备密封齿的密封橡胶圈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102102661B1 (ko) 금속관용 피팅구조
KR200324262Y1 (ko) 관 이음 장치
CN211925046U (zh) 管道系统
CA2720300A1 (en) Transitional composite coupling
KR200421044Y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