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53B1 -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53B1
KR102498853B1 KR1020210126239A KR20210126239A KR102498853B1 KR 102498853 B1 KR102498853 B1 KR 102498853B1 KR 1020210126239 A KR1020210126239 A KR 1020210126239A KR 20210126239 A KR20210126239 A KR 20210126239A KR 102498853 B1 KR102498853 B1 KR 102498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refighting
sleeve
fire
wat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범
조현용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성
Priority to KR1020210126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는 소방용 파이프,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슬리브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및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FIREFIGHTING PIPE ASSEMBLY AND AND FIREFIGHTING PIP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옥내에 설치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유류화재, 전기화재 및 특수화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적인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는 물을 이용한 소화설비가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다.
이에 따라 건물 내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조기 진압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옥내 소화 설비인 소방설비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되어 있으며, 소방설비 시스템은 건축물의 실내 천정에 스프링클러(Sprinkler)를 설치하고, 화재 발생시 소방펌프(엔진펌프)를 구동하여 물을 스프링클러에 공 급하여 화재현장을 포함한 실내에 뿌려 주는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소방용 배관 시스템은 소방용 파이프로서 강관 또는 동관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금속제 소방용 파이프는 소방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이온에 의해 금속의 공식(pitting corrosion)으로 인한 누수의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방용 합성수지제 배관으로 CPVC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CPVC 소재가 가지는 취성 특성으로 내외 충격에 의한 크랙의 위험성이 높고, 이음관 접합부의 수밀성이 좋지 않아 CPVC 배관 역시 누수의 위험이 높다. 또한, 종래에는 소방용 배관이 가지치기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음관 접합부가 다수 존재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누수의 위치를 찾기 어렵고 누수에 의한 피해가 크다.
따라서, 내식성, 내충격성, 수밀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소방용 배관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소방용 파이프의 연결부위 및 소방용 파이프의 중간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식성, 내충격성, 수밀성, 안전성 및 작업성이 개선된 소방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는 소방용 파이프,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슬리브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및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의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가 배치된 측의 반대측 단부에는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는 각각,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의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의 상기 제2 슬리브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는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의 압착에 의해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중간층은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의 압착 굴곡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돌출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돌출부 확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리브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 확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2 측벽, 상기 제2 측벽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벽, 및 상기 제1 측벽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확인공은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확인공은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몸체의 상기 돌출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보다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벽의 반경방향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확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리브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벽에 형성되는 슬리브 확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방용 배관 시스템은,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출수구와 소방용 수원에 연결되는 입수구를 포함하는 소방용수 분배 장치, 및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입수구에 결합되고 소방용 수원과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를 연결하는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는 또 다른 소방용수 분배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입수구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에 또 다른 소방용수 분배장치가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구와 상기 연결구는 구경이 서로 같고, 상기 입수구와 상기 연결구 중 하나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와 상기 연결구 중 다른 하나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는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입수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는 입상관 형태의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입수구측 단부가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상기 출수구와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서로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구와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 중 하나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와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방용 배관 시스템은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상기 입수구에 결합되고, 상기 급수관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급수관 연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소방용 파이프를 압착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포함하므로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소방용수 분배장치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이음매가 없이 하나의 소방용 파이프로 연결되므로 소방용 파이프의 중간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설치 작업성, 기밀성,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소방용 파이프가 파이프 연결장치 및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에 정상적으로 삽입되고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소방용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며 기밀성 및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다층으로 구성되는 소방용 파이프가 금속층을 포함하므로 화재 시에 열의 전도가 빨라 열에 의해 파이프가 손상되지 않으며 내외부 충격에 의해 파이프가 파손되지 않아 수밀성, 내진성,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다층으로 구성되는 소방용 파이프가 수지층을 포함하므로 내외부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부식되지 않아 수밀성, 내부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소방용 배관 시스템은 확장이 가능한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수 분배장치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이음매가 없고 가요성, 강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므로 내식성, 내충격성, 수밀성, 안정성 및 설치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시스템은 소방용 파이프가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용도의 배관 설비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이를 회피하도록 설치가 가능하므로 슬라브와 천장 마감재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층고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방용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소방용 파이프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소방용 파이프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소방용 파이프의 전개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에 소방용 파이프가 결합되어 가압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에 소방용 파이프가 결합되어 가압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의 소방용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1)는 소방용 파이프(30), 파이프 연결장치(20),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40), 및 스프링클러 헤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1)이 소방용 파이프(30)는 금속층을 포함하여 여러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의 일측 단부에는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연결을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20)가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의 일측에는 슬리브(300)가 배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결합을 위한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의 타측 단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50)의 연결을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4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4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40)는 스프링클러 헤드(50)가 소방용 파이프(30)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ㄱ'자 형태로 굴곡된 몸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40)의 일측에는 슬리브(300)가 배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방용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장치(20)는 몸체(100), 슬리브(300), 연결부재(200) 및 오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의 몸체(100)는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110),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20), 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되고 암나사부를 가지는 다른 체결구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40), 삽입부(120)와 체결부(140)를 연결하고 몸체(100)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30)는 파이프 연결장치(20)의 체결부(140)와 다른 체결구(미도시)를 체결하는 데에 용이하도록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체결부(140)가 몸체(100)의 타측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로 도시되어 있으나, 몸체의 타측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장치(20)의 슬리브(300)는 연결부재(200)에 의해 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0)의 삽입부(120)에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가 끼워지면 슬리브(30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30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몸통부(310)와 몸통부(3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내경이 확장되는 확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확관부(32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한다. 슬리브(30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확관부(320)는 연결부재(200)에 삽입되어 슬리브(300)와 연결부재(200)가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슬리브(300)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0)는 가압 공구(미도시)에 의해 압착되면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의 연결부재(20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제1 측벽(220), 제1 측벽(220)의 외경과 슬리브(300)의 외경보다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2 측벽(210), 제2 측벽(210)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측벽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벽(230), 제1 측벽(220)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소방용 파이프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장치(20)의 몸체(100)의 삽입부(12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삽입부(120)의 외주면에는 오링(400)이 장착되는 오링홈(121)과 끼움환턱(122)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오링홈(121)은 끼움환턱(12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환턱(122)은 상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소방용 파이프(30)를 끼우기는 쉽고 끼워진 후에는 빠지기 어렵게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몸체(100)는 연결부재(200)가 장착되는 장착홈(124)과 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홈(124)과 돌출부(123)는 삽입부(120)와 파지부(13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홈(124)은 삽입부(1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장착홈(124)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상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200)를 장착홈(124)에 끼우기는 쉽고 끼워진 후에는 빠지기 어렵게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의 하부벽(240)은 몸체(100)의 장착홈(124)의 너비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고, 몸체(100)의 돌출부(123)의 최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의 하부벽(240)에는 반경방향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장착돌기(24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돌기(241)는 몸체(100)의 장착홈(1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124)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고 장착홈(124)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241)의 내주면 하부측 모서리는 몸체(100)의 돌출부(123)를 넘어가기에 용이하도록 라운딩 또는 모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몸체(100)의 삽입부에 끼워진 소방용 파이프(30)의 일단이 연결부재(200)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와 몸체(10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가 파이프 연결장치(10)에 삽입되면 연결부재(200)의 하부벽(24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는 금속제 파이프이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된 층을 포함하는 다층 파이프일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가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몸체(10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몸체(100)에 포함된 금속 재질과 소방용 파이프(30)에 포함된 금속 재질의 이온화 경향성의 차이에 의한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와 몸체(100)를 절연함으로써 소방용 파이프(30)와 몸체(100)의 손상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의 제2 측벽(210)은 내주면 상부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슬리브 장착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장착돌기(232)는 슬리브(300)의 몸통부(310)의 외경보다는 크고 슬리브(300)의 확관부(320)의 외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장착돌기(232)의 내주면 상부측 모서리는 슬리브(300)의 확관부가 넘어가기에 용이하도록 라운딩 또는 모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0)의 확관부(320)가 연결부재(200)의 슬리브 장착돌기(232)와 중간벽(230) 사이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슬리브(300)와 연결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슬리브(300)가 적절하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슬리브 확인창(23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연결부재(200)의 제1 측벽(220)과 제2 측벽(210)을 연결하는 중간벽(230)에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의 일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을 통하여 슬리브 장착돌기(232)와 중간벽(230) 사이의 홈에 삽입된 슬리브(300)의 단부, 즉 확관부(320)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연결부재(200)가 파이프 연결장치(20)의 몸체(100)에 바르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돌출부 확인창(24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확인창(242)은 연결부재(200)의 하부벽(240)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 확인창(242)은 하부벽(240)의 일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 확인창(242)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의 하부벽(240)에 마련된 장착돌기(241)가 몸체(100)의 장착홈(124)에 바르게 삽입되면 몸체(100)의 돌출부(123)를 연결부재(200)의 돌출부 확인창(242)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몸체(100)의 삽입부에 끼워진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공(221)은 연결부재(200)의 제1 측벽(220)에 형성될 수 있다. 확인공(221)은 제1 측벽(220)의 일부를 절개하여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가 연결부재(200)의 내측까지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의 확인공(221)은 제1 측벽(22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의 돌출부 확인창(242)은 하부벽(24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 확인창(242)은 확인공(2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의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확인공(2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돌출부 확인창(242)과 슬리브 확인창(231)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중간벽(230) 및 하부벽(240)에 투명재료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된 돌출부 확인창(242)과 슬리브 확인창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00)의 돌출부 확인창(242)과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 및 하부벽(240) 등 연결부재(200)와 다른 구성요소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 확인창(242)과 슬리브 확인창(231)은 연결부재(200)의 다른 구성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투명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소방용 파이프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연결부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21)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20)와 몸체(100), 슬리브(300), 오링(400)의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21)의 몸체(100), 슬리브(300), 오링(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21)의 연결부재(201)는 소방용 파이프(3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제1 측벽(220), 제1 측벽(220)의 외경과 슬리브(300)의 외경보다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2 측벽(210), 제2 측벽(210)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측벽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벽(230), 제1 측벽(220)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24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01)의 하부벽(243)은 몸체(100)의 장착홈(1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124)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1)의 하부벽(243)은 몸체(100)의 돌출부(123)의 최외경보다는 작고 장착홈(124)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벽(243)의 내주면 하부측 모서리는 몸체(100)의 돌출부(123)를 넘어가기에 용이하도록 라운딩 또는 모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01)는 몸체(100)의 돌출부(123)와 몸체(100)에 끼워진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222)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공(222)은 연결부재(201)의 제1 측벽(220)에 형성될 수 있다. 확인공(222)은 제1 측벽(2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1)의 확인공(222)을 통하여 몸체(100)의 삽입된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가 연결부재(201)의 내측까지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01)의 하부벽(243)이 몸체(100)의 장착홈(124)에 바르게 삽입되면 연결부재(201)의 확인공(222)을 통하여 몸체(100)의 돌출부(123)를 확인함으로써 연결부재(201)가 파이프 연결장치(21)의 몸체(100)에 바르게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가 파이프 연결장치(10)에 삽입되면 소방용 파이프(30)는 몸체(100)의 돌출부(123)의 경사면에 안착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는 합성수지제 파이프이거나 수지 재질로 형성된 층을 최내층으로 하는 다층 파이프일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가 수지 재질의 내층과 금속 재질의 중간층을 갖는 경우, 소방용 파이프(30)가 몸체(100)의 돌출부(123)의 경사면에 안착됨으로써, 소방용 파이프(30)의 수지 재질의 내층이 돌출부(123)의 경사면과 선접촉을 하게 되고, 소방용 파이프(30)의 금속 재질의 중간층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몸체(100)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1)는 슬리브 장착돌기(232), 슬리브 확인창(231)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1)의 연결부재(201)에 마련된 슬리브 장착돌기(232), 슬리브 확인창(231)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20)의 연결부재(200)에 마련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재(201)의 확인공(222)은 제1 측벽(22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1)의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확인창(231)은 확인공(22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01)는 슬리브 확인창(231)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1)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중간벽(230)에 투명재료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된 슬리브 확인창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01)의 슬리브 확인창(231)은 중간벽(230) 등 연결부재(201)와 다른 구성요소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1)는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슬리브 확인창(231)은 연결부재(201)의 다른 구성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투명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소방용 파이프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방용 파이프(30)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31),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33)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35)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층(31)과 중간층(33) 사이에는 내층(31)과 중간층(33)의 접합을 위한 제1 접착층(32)이 마련될 수 있고, 중간층(33)과 외층(35) 사이에는 중간층(33)과 외층(35)의 접합을 위한 제2 접착층(34)이 마련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의 내층(31)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의 내층(31)은 내열성, 내화학성, 내부식성의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내층(31)은 화재 시 열에 의해 달궈진 금속제 중간층(33)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고,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다.
소방용 파이프(30)의 중간층(33)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33)은 산소나 유기용제의 관내 침투를 방지하고, 소방용 파이프(30)의 내압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소방용 파이프(30)의 중간층(33)은 적절한 강성으로 소방용 파이프(30)의 처짐이나 휨을 방지하며, 배관 시 파이프의 굴곡이 필요한 경우 굴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의 외층(35)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층(35)은 중간층(33)의 파손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층(31)과 외층(35)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은 밀도에 따라 소재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소방용 파이프(30)의 연성와 인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CPVC 관과 달리 취성을 낮출 수 있어 내충격성이 좋아 소방용 배관 시스템과 같이 소방용수를 상시 채운 상태로 유지되는 소방용 파이프에 적합하다.
제1 접착층(32)과 제2 접착층(34)은 접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층(31)과 중간층(33), 중간층(33)과 외층(35)은 제1 접착층(32) 및 제2 접착층(34)에 의해 화학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32)과 제2 접착층(34)에 의하여 소방용 파이프(30)를 굴곡 변형시키더라도 층간 분리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다층 합성수지-금속 복합관으로 형성된 소방용 파이프(30)는 이종 재질이 가지는 각 특성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종래의 CPVC관이나 금속관에 비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파이프의 변위 흡수 능력이 뛰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아 내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에 소방용 파이프가 결합되어 가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파이프 연결장치(20)에 소방용 파이프(30)를 삽입한 후 가압 공구를 사용해 슬리브(300)를 가압하여 소방용 파이프(30)를 소방용수 분배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의 슬리브(300)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0)는 가압 공구(미도시)에 의해 압착되면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는 슬리브(300)의 압착에 의해 중간층(33)이 슬리브(300)의 압착 굴곡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파이프 연결장치(20)에 금속층을 포함하지 않는 합성수지제 소방용 파이프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슬리브(300)의 압착에 의해 파이프 연결장치(20)의 몸체(100)와 합성수지제 소방용 파이프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에 금속제 소방용 파이프가 결합되는 경우 역시 슬리브(300)의 압착에 의해 파이프 연결장치(20)의 몸체(100)와 금속제 소방용 파이프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는 소방용 파이프(30)가 몸체(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방용 파이프(30)의 삽입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는 소방용 파이프(30)를 몸체(100)의 삽입부(120)에 정확히 압착하기 위하여 슬리브(300)와 연결부재(200)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슬리브 확인창(23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와 몸체(10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몸체(100)의 삽입부에 끼워진 소방용 파이프(30)의 일단이 연결부재(200)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소방용 파이프(30)의 중간층(33)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몸체(10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몸체(100)에 포함된 금속 재질과 소방용 파이프(30)의 중간층(33)에 포함된 금속 재질의 이온화 경향성의 차이에 의한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소방용 파이프(30)의 중간층(33)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0)는 황동 또는 니켈, 크롬 도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와 몸체(100)를 절연함으로써 소방용 파이프(30)와 몸체(100)의 손상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가압 공구(미도시)로 슬리브(300)를 가압할 때 가압 공구의 기준위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20)는 가압 공구(미도시)로 슬리브(300)를 가압할 때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결부재(200)가 몸체(100)에 바르게 결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돌출부 확인창(2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파이프 연결장치(20)는 몸체(100)에 삽입된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와 몸체(100)의 돌출부(123)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에 소방용 파이프가 결합되어 가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40)의 슬리브(300)는 연결부재(200)에 의해 몸체(101)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40)의 몸체(101), 연결부재(200), 슬리브(3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20, 21)의 몸체, 연결부재 및 슬리브의 구성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40)의 몸체(101), 연결부재(200), 슬리브(300)의 구성에 관한 다른 설명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20, 21)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2)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된 주관(10)과 주관(10)의 축 방향을 따라 주관(1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분기관(12)을 포함할 수 있다. 주관(10)의 일측 단부에는 수방용 수원에 연결되는 급수관(미도시)이 결합되도록 마련된 입수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11)에는 급수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거나 관의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분기관(12)의 단부에는 입수구(11)로 유입된 소방용수가 분배되어 토출되는 출수구(13)가 마련될 수 있다. 분기관(12)은 주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측과 우측에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출수구(13)는 소방용수 분배장치(2)의 일측에 마련된 입수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2)의 출수구(13)에는 출수구(13)에서 토출되는 소방용수를 분출위치까지 이송하는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1)가 연결될 수 있다.
좌우로 교번하여 출수구를 배치하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출수구에서 동시에 출수가 이루어져 순간적으로 수압이 크게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출수구를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에만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2)는 입수구(11)로 들어온 소방용수가 모두 출수구(13)로 출수될 수 있도록 주관(10)의 타측 단부가 캡(1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3)는 주관(10)의 타측 단부에 또 다른 소방용수 분배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결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3)의 연결구(15)에는 또 다른 소방용수 분배장치로 소방용수를 이송하기 위한 연결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연결구(15)에는 연결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거나 관의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3)의 연결구(15)는 입수구(11)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15)의 구경은 소방용수 분배장치(3)의 출수구(13)를 통해서 출수되어야 하는 소방용수의 수압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3)의 주관(10), 분기관(12), 입수구(11), 출수구(13)의 구성은 도 13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4)는 주관(10)의 타측 단부에 또 다른 소방용수 분배장치를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4)는 연결구(16)에 또 다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입수구가 결합할 수 있도록 입수구(11)와 연결구(16)의 구경이 서로 같게 형성될 수 있고, 입수구(11)와 연결구(16) 중 하나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4)는 필요한 스프링클러 설치 개소의 개수에 출수구(13) 개수가 맞도록 확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4)는 8개의 출수구(13)를 포함하고 있으나, 소방용수 분배장치(4)는 다양한 개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소방용수 분배방치(4)를 서로 연결하여 필요에 맞게 출수구(13)를 확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소방용수 분배장치는 주관(10)의 타측 단부가 폐쇄된 도 13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가 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4)의 주관(10), 분기관(12), 입수구(11), 출수구(13)의 구성은 도 13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와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배장치(5)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된 주관(17)은 입수구(11)가 형성되는 측의 단부가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주관(17)의 입수구측 단부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입수구(11)가 하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입수구(11)는 입상관 형태로 형성된 급수관(미도시)의 단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5)는 입수구(11)로 들어온 소방용수가 모두 출수구(13)로 출수될 수 있도록 주관(17)의 타측 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캡을 포함하거나 주관(17)의 타측 단부에 또 다른 소방용수 분배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수 분배장치(5)의 분기관(12), 입수구(11), 출수구(13)의 구성은 도 13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1),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1)가 결합되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 3, 4, 5), 및 소방용 수원과 소방용수 분배장치(2, 3, 4, 5)를 연결하는 급수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다층관 형태로 형성된 급수관과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압착 연결 식 급수관 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은 금속층을 포함하여 여러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급수관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 연결장치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소방용수 분배장치(2, 3, 4, 5)의 입수구(11)에 결합될 수 있다. 급수관 연결장치의 일측 단부에는 소방용수 분배장치(2, 3, 4, 5)의 입수구(11)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수나사산 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급수관 연결장치는 타측 단부에 배치되고 급수관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의 소방용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확인공(311)이 형성된 슬리브(301)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01)는 몸체의 삽입부(120)에 끼워진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311)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공(311)은 슬리브(30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확인공(311)은 슬리브(30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확인공(311)은 연결부재(202) 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소방용 파이프(30)의 단부가 연결부재(202)까지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확인공이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1: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2, 3, 4, 5: 소방용수 분배장치
10, 17: 주관 11: 입수구
12: 분기관 13: 출수구
14: 캡 15, 16: 연결구
20, 21, 22: 파이프 연결장치 30: 소방용 파이프
31: 내층 32, 34: 접착층
33: 중간층 35: 외층
40: 스크링클러 헤드 연결장치 50: 스프링클러 헤드
100, 101: 몸체 200, 201, 202: 연결부재
220: 제1 측벽 210: 제2 측벽
230: 중간벽 240, 243: 하부벽
221, 222: 확인공 231: 슬리브 확인창
242: 돌출부 확인창 300, 301: 슬리브
310: 몸통부 311: 확인공
320: 확관부 400: 오링

Claims (22)

  1.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출수구와 소방용 수원에 연결되는 입수구를 포함하는 단위 유닛으로 형성되고, 필요한 개수에 따라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방용수 분배 장치; 및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상기 입수구에 결합되고 소방용 수원과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를 연결하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는 소방용 파이프;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슬리브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및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는 더 작은 구경의 또 다른 소방용수 분배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구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으로 형성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수구는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입수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소방용 파이프는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까지 이음매가 없이 일체로 형성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의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가 배치된 측의 반대측 단부에는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는 각각,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의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의 상기 제2 슬리브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는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의 압착에 의해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중간층은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의 압착 굴곡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의 돌출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돌출부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리브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제2 측벽;
    상기 제2 측벽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벽; 및
    상기 제1 측벽의 하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확인공은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확인공은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몸체의 상기 돌출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부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벽의 반경방향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의 너비 이하의 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몸체의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리브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벽에 형성되는 슬리브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방용 파이프의 단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확인공을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는 입상관 형태의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입수구측 단부가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상기 출수구와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서로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구와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 중 하나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와 상기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층, 금속 재료로 형성된 중간층 및 수지 재료로 형성된 외층을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수 분배장치의 상기 입수구에 결합되고, 상기 급수관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급수관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1020210126239A 2021-09-24 2021-09-24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102498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239A KR102498853B1 (ko) 2021-09-24 2021-09-24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239A KR102498853B1 (ko) 2021-09-24 2021-09-24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853B1 true KR102498853B1 (ko) 2023-02-10

Family

ID=8522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239A KR102498853B1 (ko) 2021-09-24 2021-09-24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35Y1 (ko) * 2001-11-06 2002-03-09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화재 진압용 물분사 장치
JP2012143511A (ja) * 2011-01-14 2012-08-02 Taifurekkusu Kk スプリンクラー消火配管
KR20140020496A (ko) * 2012-08-08 2014-02-19 주식회사 동명 건물용 소방 배관 구조
KR102066605B1 (ko) * 2018-03-30 2020-01-15 주식회사 미성 배관연결장치
KR102237325B1 (ko) * 2021-01-06 2021-04-14 주식회사 미성 파이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35Y1 (ko) * 2001-11-06 2002-03-09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화재 진압용 물분사 장치
JP2012143511A (ja) * 2011-01-14 2012-08-02 Taifurekkusu Kk スプリンクラー消火配管
KR20140020496A (ko) * 2012-08-08 2014-02-19 주식회사 동명 건물용 소방 배관 구조
KR102066605B1 (ko) * 2018-03-30 2020-01-15 주식회사 미성 배관연결장치
KR102237325B1 (ko) * 2021-01-06 2021-04-14 주식회사 미성 파이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2241B1 (en)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n inner wall of a tabular opening and at least one tube or duct at least partly received in the opening
EP1634006B1 (en)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 tubular opening and a tube
US6540261B1 (en) Fire sprinkler piping system fitting
US4428603A (en) Flange union with improved metal-to-metal seals
EP0994287B2 (en) Composite sleeve-shaped sealing means
KR102237325B1 (ko) 파이프 어셈블리
KR102498853B1 (ko)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US20230194040A1 (en) Pipe Assembly Insulation and Vapor Barrier
KR102498846B1 (ko) 소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US11002397B2 (en) Pipe coupling module
CN102102794A (zh) 管道防火绝缘保护外壳
JP2007285444A (ja) 管継手
US20140097274A1 (en) Rapid Mechanically-Connected Sprinkler System
KR102616488B1 (ko) 난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용 배관 시스템
KR102196488B1 (ko) 배관고정장치
KR20070097166A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64849Y1 (ko) 맞춤형 벌크헤드 유니온
KR102581816B1 (ko)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JP7158638B2 (ja) 消火設備用管継手
KR200420212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KR102237317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87144Y1 (ko) 소방 배관 연결구조
US20230233894A1 (en) Fire protection system pipe fittings
US20210379433A1 (en) Adapter for concealed sprinkler
US201502475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i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