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816B1 -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Google Patents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1816B1 KR102581816B1 KR1020210022677A KR20210022677A KR102581816B1 KR 102581816 B1 KR102581816 B1 KR 102581816B1 KR 1020210022677 A KR1020210022677 A KR 1020210022677A KR 20210022677 A KR20210022677 A KR 20210022677A KR 102581816 B1 KR102581816 B1 KR 102581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reducer structure
- ceiling
- pipe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은,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도킹 링(ceiling docking ring), 그리고 천장 도킹 링의 결합원에 끼워져 천장 도킹 링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면서 천장 패널을 관통하는 링결합 관과 이동유도 관과 헤드 관으로 이루어진 하부 레듀셔 구조물; 하부 레듀셔 구조물을 둘러싸도록,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랜딩 링(ceiling landing ring), 그리고 천장 랜딩 링의 접속원 주변에 부착되어 천장 랜딩 링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링접속 관과 나선노출 관으로 이루어진 상부 레듀셔 구조물; 및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 사이에 천장 도킹 링과 천장 패널, 그리고 천장 패널과 천장 랜딩 링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제1 패킹 링과 제2 패킹 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패널에서 천장 패널을 관통하여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는 신축 배관을 이어주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때, 개별 층에 횡주관을 가지고, 이웃하는 층의 횡주관을 이어주는 입상관을 갖는다. 상기 입상관은 건축물의 측벽을 따라 위치되어 횡주관에 물을 전달하고, 상기 횡주관은 층마다 천장에 위치되어 개별 층의 용수(用水) 시설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횡주관은, 용수 시설 중 방화 시설에서 천장 구조물을 고려하여 신축 배관을 통해 레듀셔와 스프링클러 헤드에 순차적으로 물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천장 구조물은 건축물의 개별 층에서 공간을 수평하게 구획하는 복수의 천장 패널, 그리고 건축물과 개별 천장 패널을 이어주는 다양한 현수(懸垂) 도구, 그리고 이웃하는 천장 패널을 연결시키는 다양한 체결 도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장 패널은, 완벽한 기밀 유지와 뛰어난 내식성과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는 에스.지(S.G; steel gypsum) 패널을 지칭한다. 상기 에스.지 패널은 석고 보드를 강판으로 샌드위치시켜 강판에 색깔을 입히거나 강판 상에 다른 색깔 강판을 부착시켜 건축물의 천장 마감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천장 패널은 기존 시공 방법에서 현수 도구에 연결되는 패널 지지 프레임에 안착되지 않고 현수 도구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새로운 간단한 시공 방법을 제시하나 패널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레듀셔를 지지하는 센터 브라켓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패널은 별도의 고정 장치를 관통시켜 천장 패널 상에서 고정 장치에 레듀셔를 연결시키고 천장 패널 아래에서 고정 장치를 통과시킨 레듀셔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시키도록 요구한다. 여기서, 상기 레듀셔에 스프링클러 헤드의 연결 후, 상기 레듀셔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형상 때문에 고정장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고정 장치 또는 레듀셔의 형상 때문에 고정 장치에서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여 신축 배관의 설치 자유도에도 한계를 갖는다.
한편, 상기 레듀셔와 고정 장치와 스프링클러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009호에 종래기술로서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장 패널에서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는 신축 배관과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이어주도록 천장 패널을 관통해도 스프링클러 헤드의 형상에 관계없이 신축 배관의 설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은, 건축물의 천장 패널에서 상기 천장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는 신축 배관을 이어주도록, 상기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도킹 링(ceiling docking ring), 그리고 상기 천장 도킹 링의 결합원에 끼워져 상기 천장 도킹 링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천장 패널을 관통하는 링결합 관과 이동유도 관과 헤드 관으로 이루어진 하부 레듀셔 구조물;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을 둘러싸도록, 상기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랜딩 링(ceiling landing ring), 그리고 상기 천장 랜딩 링의 접속원 주변에 부착되어 상기 천장 랜딩 링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링접속 관과 나선노출 관으로 이루어진 상부 레듀셔 구조물; 및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 사이에서 상기 천장 도킹 링과 상기 천장 패널, 그리고 상기 천장 패널과 상기 천장 랜딩 링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제1 패킹 링과 제2 패킹 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은, 상기 이동 유도관과 상기 링접속 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천장 패널의 면 방향에 직각되게 레벨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도킹 링은, 상기 제1 패킹 링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천장 도킹 링의 상기 결합원의 둘레를 따라 상기 링결합 관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천장 랜딩 링은, 상기 제2 패킹 링 상에 위치되어 상기 천장 랜딩 링의 상기 접속원 주변에서 상기 링접속 관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은,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에서 서로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접속 관과 상기 나선노출 관은,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에서 서로에 대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은, 상기 나선노출 관 아래에서 상기 이동유도 관을 통해 상기 링접속 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링결합 관은, 상기 링결합 관의 외주면에서 볼 때,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상기 천장 도킹 링과 상기 제1 패킹 링과 상기 제2 패킹 링을 지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도 관은,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상기 천장 랜딩 링과 상기 링접속 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도 관은, 상기 링접속 관과 나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도 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수나사선은, 상기 링접속 관의 상기 내주면에 위치되는 암나사선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관은,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상기 링접속 관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 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라인으로 위치되는 밀봉홈을 가지고, 상기 헤드 관의 상기 밀봉홈에 오링을 구비하여 상기 오링을 통해 상기 헤드 관과 상기 링접속 관 사이의 틈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링결합 관은, 상기 이동유도 관 및 상기 헤드 관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이동유도 관 및 상기 헤드 관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상기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은, 상기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의 순서대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접속 관은, 상기 나선노출 관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나선노출 관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결합 관은, 상기 링결합 관의 외주면에서 볼 때, 상기 천장 도킹 링 아래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내지 제3 링결합 관을 가지고,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제1 링결합 관을 통해 상기 천장 도킹 링과 상기 제1 패킹 링을 지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링결합 관은, 상기 제1 내지 제3 링결합 관의 순서대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경을 가지고, 제1 및 제3 링결합 관은, 개별적으로 하나의 외경 및 하나의 내경을 가지고, 제2 링결합 관은, 상기 제1 및 제3 링결합 관을 이어주는 기울어진 외주면 및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유도 관은,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제2 패킹 링과 상기 천장 랜딩 링과 상기 링접속 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도 관은, 상기 링접속 관과 나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도 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수나사선은, 상기 링접속 관의 상기 내주면에 위치되는 암나사선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관은,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상기 링접속 관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 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라인으로 위치되는 밀봉홈을 가지고, 상기 헤드 관의 상기 밀봉 홈에 오링을 구비하여 상기 오링을 통해 상기 헤드 관과 상기 링접속 관 사이의 틈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링결합 관은, 상기 이동유도 관 및 상기 헤드 관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제2 및 제3 링결합 관보다 더 큰 외경과 내경을 가지고, 상기 제1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은, 상기 제1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의 순서대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접속 관은, 상기 나선노출 관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나선노출 관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접속 관은, 상기 링접속 관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유도 관의 암나사선을 노출시키는 고정홀을 가지고, 상기 링접속 관의 상기 고정홀에 고정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이동유도 관의 상기 암나사선에 상기 고정부재를 접촉시키면서 상기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유도 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결합 관은, 상기 링결합 관의 수용 홀을 통해, 상기 천장 도킹 링 아래에 위치되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와 나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나선 노출관의 수나사선은, 상기 신축 배관에 연결되는 슬립(slip) 너트의 암나사선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은,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어 천장 패널을 관통하는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어 하부 레듀셔 구조물을 둘러싸는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구비하고,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나선 결합시키면서 하부 레듀셔 구조물에 대해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상대적으로 나선 운동을 시키므로,
천장 패널에서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는 신축 배관과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이어주도록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의 나선 결합을 통해 하부 레듀셔 구조물을 천장 패널에 관통시켜도 스프링클러 헤드의 형상에 관계없이 신축 배관의 설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장 도킹 링과 제1 패킹 링과 제2 패킹 링과 천장 랜딩 링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의 사용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의 사용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장 도킹 링과 제1 패킹 링과 제2 패킹 링과 천장 랜딩 링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의 사용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의 사용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천장 도킹 링과 제1 패킹 링과 제2 패킹 링과 천장 랜딩 링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80)은, 건축물의 천장 패널(도 8 또는 도 9의 8)에서 천장 패널(8)을 관통하여 천장 패널(8) 아래에 위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도면에 미도시)와 천장 패널(8) 상에 위치되는 신축 배관(도면에 미도시)을 이어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천장 패널(8)은,에스.지(S.G; steel gypsum) 패널을 지칭한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과 같이, 상기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80)은,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과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은, 도 1 및 도 2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천장 패널(8) 아래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도킹 링(ceiling docking ring; 12), 그리고 천장 도킹 링(12)의 결합원(도 2의 11)에 끼워져 천장 도킹 링(12)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면서 천장 패널(8)을 관통하는 링결합 관(14)과 이동유도 관(16)과 헤드 관(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은, 도 1 및 도 2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을 둘러싸도록, 천장 패널(8) 상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랜딩 링(ceiling landing ring; 33), 그리고 천장 랜딩 링(33)의 접속원(도 2의 32) 주변에 부착되어 천장 랜딩 링(33)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링접속 관(36)과 나선노출 관(3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은, 도 1 및 도 2 및 도 4 및 도 8를 고려해 볼 때,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 사이에서 천장 도킹 링(12)과 천장 패널(8), 그리고 천장 패널(8)과 천장 랜딩 링(33)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은, 이동 유도관(16)과 링접속 관(36)의 결합을 통해 천장 패널(8)의 면 방향에 직각되게 레벨 조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천장 도킹 링(12)은, 제1 패킹 링(65) 아래에 위치되어 천장 도킹 링(12)의 결합원(11)의 둘레를 따라 링결합 관(14)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천장 랜딩 링(33)은, 제2 패킹 링(75) 상에 위치되어 천장 랜딩 링(33)의 접속원(32) 주변에서 링접속 관(36)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링결합 관(14)과 이동유도 관(16)과 헤드 관(18)은, 도 1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에서 서로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링접속 관(36)과 나선노출 관(39)은, 도 1 및 도 3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에서 서로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링결합 관(14)과 이동유도 관(16)과 헤드 관(18)은, 도 1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나선노출 관(39) 아래에서 이동유도 관(16)을 통해 링접속 관(36)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링결합 관(14)은, 도 1 및 도 2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링결합 관(14)의 외주면에서 볼 때,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천장 패널(8)에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을 고정시, 천장 도킹 링(12)과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을 지난다.
상기 이동유도 관(16)은, 도 1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천장 패널(8)에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을 고정시, 천장 랜딩 링(75)과 링접속 관(36)에 삽입된다. 상기 이동유도 관(16)은, 도 1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링접속 관(36)과 나선 결합한다. 상기 이동유도 관(16)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수나사선(15)은,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링접속 관(36)의 내주면에 위치되는 암나사선(35)과 결합한다.
상기 헤드 관(18)은, 도 1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천장 패널(8)에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80)을 고정시, 링접속 관(36)에 위치되고, 헤드 관(18)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라인으로 위치되는 밀봉홈(17)을 가지고, 헤드 관(18)의 밀봉홈(17)에 오링(55)을 구비하여 오링(55)을 통해 헤드 관(18)과 링접속 관(36) 사이의 틈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링결합 관(14)은, 도 1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이동유도 관(16) 및 헤드 관(18)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고, 이동유도 관(16) 및 헤드 관(18)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상기 링결합 관(14)과 이동유도 관(16)과 헤드 관(18)은, 링결합 관(14)과 이동유도 관(16)과 헤드 관(18)의 순서대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경을 갖는다. 상기 링접속 관(36)은, 도 1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나선노출 관(39)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나선노출 관(39)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상기 링접속 관(36)은, 도 1 및 도 3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링접속 관(36)을 관통하여 이동유도 관(16)의 암나사선(15)을 노출시키는 고정홀(34)을 가지고, 링접속 관(36)의 고정홀(34)에 고정부재(A)를 수용하여 이동유도 관(16)의 암나사선(15)에 고정부재(A)를 접촉시키면서 고정부재(A)를 통해 이동 유도관(16)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A)는 고정홀(34)과 나선 결합하는 나사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링결합 관(14)은,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링결합 관(14)의 수용 홀(13)을 통해 천장 도킹 링(12) 아래에 위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나선 결합한다. 상기 나선 노출관(39)의 수나사선은, 도 1 및 도 4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신축 배관에 연결되는 슬립(slip) 너트(도면에 미도시)의 암나사선과 결합한다.
한편, 상기 천장 도킹 링(12)과 링결합 관(14)과 이동유도 관(16)과 헤드 관(18)은, 천장 랜딩 링(33)과 링접속 관(36)과 나선노출 관(39)과 함께, 알루미늄(Al) 또는 텅스텐 합금(SUS) 또는 금속(아연(Zn) 또는 니켈(Ni))을 도금시킨 철(Fe)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130)은, 도 1 내지 도 4의 소방 레듀셔 구조물(8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아래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의 소방 레듀셔 구조물(80)과 부분적으로 다른 구조를 개시한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130)은, 도 5와 같이,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과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천장 패널(8) 아래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도킹 링(90), 그리고 천장 도킹 링(90)의 결합원(도 2의 11 참조)에 끼워져 천장 도킹 링(90)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면서 천장 패널(8)을 관통하는 링결합 관(95)과 이동유도 관(97)과 헤드 관(9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을 둘러싸도록, 천장 패널(8) 상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랜딩 링(113), 그리고 천장 랜딩 링(113)의 접속원(도 2의 32 참조) 주변에 부착되어 천장 랜딩 링(113)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링접속 관(116)과 나선노출 관(11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 사이에서 천장 도킹 링(90)과 천장 패널(8), 그리고 천장 패널(8)과 천장 랜딩 링(113)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은, 이동 유도관(97)과 링접속 관(116)의 결합을 통해 천장 패널(8)의 면 방향에 직각되게 레벨 조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상기 천장 도킹 링(90)은, 제1 패킹 링(65) 아래에 위치되어 천장 도킹 링(90)의 결합원의 둘레를 따라 링결합 관(95)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천장 랜딩 링(113)은, 제2 패킹 링(75) 상에 위치되어 천장 랜딩 링(113)의 접속원 주변에서 링접속 관(116)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링결합 관(95)과 이동유도 관(97)과 헤드 관(99)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에서 서로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링접속 관(116)과 나선노출 관(119)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에서 서로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링결합 관(95)과 이동유도 관(97)과 헤드 관(99)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나선노출 관(119) 아래에서 이동유도 관(97)을 통해 링접속 관(116)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링결합 관(95)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링결합 관(95)의 외주면에서 볼 때, 천장 도킹 링(65) 아래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내지 제3 링결합 관(91, 92, 94)을 가지고, 천장 패널(8)에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을 고정시, 제1 링결합 관(91)을 통해 천장 도킹 링(90)과 제1 패킹 링(65)을 지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링결합 관(91, 92, 94)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제1 내지 제3 링결합 관(91, 92, 94)의 순서대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경을 가지고, 제1 및 제3 링결합 관(91, 94)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개별적으로 하나의 외경 및 하나의 내경을 가지고, 제2 링결합 관(92)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제1 및 제3 링결합 관(91, 94)을 이어주는 기울어진 외주면 및 내주면을 갖는다.
상기 이동유도 관(97)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천장 패널(8)에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을 고정시, 제2 패킹 링(75)과 천장 랜딩 링(113)과 링접속 관(116)에 삽입된다. 상기 이동유도 관(97)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링접속 관(116)과 나선 결합한다. 상기 이동유도 관(97)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수나사선(96)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링접속 관(116)의 내주면에 위치되는 암나사선(115)과 결합한다.
상기 헤드 관(99)은,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천장 패널(8)에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을 고정시, 링접속 관(116)에 위치되고, 헤드 관(99)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라인으로 위치되는 밀봉홈(98)을 가지고, 헤드 관(99)의 밀봉 홈(98)에 오링(55)을 구비하여 오링(55)을 통해 헤드 관(99)과 링접속 관(116) 사이의 틈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제1 링결합 관(91)은, 도 5 및 도 7 및 도 도 9를 고려해 볼 때, 이동유도 관(97) 및 헤드 관(99)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제2 및 제3 링결합 관(92, 94)보다 더 큰 외경과 내경을 갖는다. 상기 제1 링결합 관(91)과 이동유도 관(97)과 헤드 관(99)은, 도 5 및 도 7 및 도 도 9를 고려해 볼 때, 제1 링결합 관(91)과 이동유도 관(97)과 헤드 관(99)의 순서대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경을 갖는다.
상기 링접속 관(116)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나선노출 관(119)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나선노출 관(119)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상기 링접속 관(116)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링접속 관(116)을 관통하여 이동유도 관(97)의 암나사선(96)을 노출시키는 고정홀(114)을 가지고, 링접속 관(116)의 고정홀(114)에 고정부재(A)를 수용하여 이동유도 관(97)의 암나사선(96)에 고정부재(A)를 접촉시키면서 고정 부재(A)를 통해 이동유도 관(97)에 고정된다.
상기 링결합 관(95)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링결합 관(95)의 수용 홀(93)을 통해, 천장 도킹 링(90) 아래에 위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도면에 미도시)와 나선 결합한다. 상기 나선 노출관(119)의 수나사선(118)은,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신축 배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는 슬립(slip) 너트의 암나사선과 결합한다.
도 8은 도 1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의 사용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과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과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충분히 설명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패킹 링(65)이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킹 링(65)은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을 둘러싸면서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의 천장 도킹 링(도 1 또는 도 4의 12) 상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건축물에서 천장 패널(8)의 설치홀(4)에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설치홀(4) 주변에 제1 패킹 링(65)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패킹 링(65)은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의 천장 도킹 링(12)을 사용하여 천장 패널(8)의 하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은 링결합 관(도 1 또는 도 4의 14)과 이동유도 관(도 1 또는 도 4의 16)과 헤드 관(도 1 또는 도 4의 18)을 통해 천장 패널(8)을 관통한다. 계속해서, 상기 천장 패널(8) 상에 상부 레듀셔 구조물(40)과 제2 패킹 링(도 1 또는 도 4의 75)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킹 링(75)은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을 둘러싸서 천장 패널(8)의 상면 상에 위치된다.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은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을 둘러싸면서 제2 패킹 링(75) 상에 천장 랜딩 링(도 1 또는 도 4의 33)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에서 링접속 관(도 1 또는 도 4의 36)의 암나사선(도 4의 35)은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에서 이동유도 관(16)의 수나사선(도 4의 15)과 결합한다.
계속해서,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에 대해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이 상대적으로 나선 운동(R1)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은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M1). 이와 유사하게,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은 서로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 중 적어도 하나가 천장 패널(8)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인 후,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에서 링결합 관(36)의 고정홀(도 1 또는 도 3의 34)에 고정부재(A)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A)는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에서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40)과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은 천장 패널(8)에서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80)을 구성한다. 이후로,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20)의 수용홀(13)에 스프링클러 헤드(도면에 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40)의 수나사선(38)에 신축배관(도면에 미도시)의 슬립너트의 암나사선이 결합된다.
도 9는 도 5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의 사용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130)의 설치 방법은, 도 8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80)의 설치 방법과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130)은, 도 8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80)과 유사하게, 천장 패널(8)에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과 제1 패킹 링(65)과 제2 패킹 링(75)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130)은, 도 8의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80)과 유사하게,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천장 패널(8) 사이에 제1 패킹(65), 그리고 천장 패널(8)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 사이에 제2 패킹(75)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에 대해 상부 레듀셔 구조물(130)이 상대적으로 나선 운동(R2)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130)은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M2). 이와 유사하게,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300)은 서로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과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 중 적어도 하나가 천장 패널(8)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인 후,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에서 링접속 관(116)의 고정홀(도 5 또는 도 6의 114)에 고정부재(A)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A)는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에서 상부 레듀셔 구조물(120)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그러나,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의 구조 관점에서 볼 때,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100)의 링 결합 관(도 5 또는 도 7의 95)은 도 8의 링결합 관(도 1 또는 도 4의 14)과 다르다.
즉, 도 8의 링결합 관(14)은 외주면을 따라 볼 때 동일한 외경을 갖지만, 상기 링결합 관(95)은 외주면을 따라 볼 때 천장 패널(8) 아래를 향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제1 내지 제3 링결합 관(91, 92, 9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링결합 관(91, 92, 94)은 제3 링결합 관(94)의 수용홀(93)에 스프링클러 헤드(도면에 미도시)를 수용하여, 도 8의 링결합 관(14)과 다르게, 천장 패널(8)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12; 천장 도킹 링, 14; 링결합 관
16; 이동유도 관, 17; 밀봉홈
18; 헤드 관, 20; 히부 레듀셔 구조물
33; 천장 랜딩 링, 34; 고정홈
36; 링접속 관, 39; 나선노출 관
40; 상부 레듀셔 구조물, 55; 오링
65 & 75; 제1 및 제2 패킹 링
16; 이동유도 관, 17; 밀봉홈
18; 헤드 관, 20; 히부 레듀셔 구조물
33; 천장 랜딩 링, 34; 고정홈
36; 링접속 관, 39; 나선노출 관
40; 상부 레듀셔 구조물, 55; 오링
65 & 75; 제1 및 제2 패킹 링
Claims (22)
- 건축물의 천장 패널에서 상기 천장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는 신축 배관을 이어주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도킹 링(ceiling docking ring), 그리고 상기 천장 도킹 링의 결합원에 끼워져 상기 천장 도킹 링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천장 패널을 관통하는 링결합 관과 이동유도 관과 헤드 관으로 이루어진 하부 레듀셔 구조물;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을 둘러싸도록, 상기 천장 패널 상에 위치되는 환형의 천장 랜딩 링(ceiling landing ring), 그리고 상기 천장 랜딩 링의 접속원 주변에 부착되어 상기 천장 랜딩 링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링접속 관과 나선노출 관으로 이루어진 상부 레듀셔 구조물; 및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 사이에서 상기 천장 도킹 링과 상기 천장 패널, 그리고 상기 천장 패널과 상기 천장 랜딩 링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제1 패킹 링과 제2 패킹 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은,
상기 이동 유도관과 상기 링접속 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천장 패널의 면 방향에 직각되게 레벨 조정되고,
상기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은,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에서 서로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접속 관과 상기 나선노출 관은,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에서 서로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결합 관은,
상기 이동유도 관 및 상기 헤드 관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이동유도 관 및 상기 헤드 관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상기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은,
상기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의 순서대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경을 가지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도킹 링은,
상기 제1 패킹 링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천장 도킹 링의 상기 결합원의 둘레를 따라 상기 링결합 관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천장 랜딩 링은,
상기 제2 패킹 링 상에 위치되어 상기 천장 랜딩 링의 상기 접속원 주변에서 상기 링접속 관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결합 관과 상기 이동유도 관과 상기 헤드 관은,
상기 나선노출 관 아래에서 상기 이동유도 관을 통해 상기 링접속 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링결합 관은,
상기 링결합 관의 외주면에서 볼 때,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상기 천장 도킹 링과 상기 제1 패킹 링과 상기 제2 패킹 링을 지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도 관은,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상기 천장 랜딩 링과 상기 링접속 관에 삽입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도 관은,
상기 링접속 관과 나선 결합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도 관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수나사선은,
상기 링접속 관의 상기 내주면에 위치되는 암나사선과 결합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관은,
상기 천장 패널에 상기 하부 레듀셔 구조물과 상기 상부 레듀셔 구조물을 고정시, 상기 링접속 관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 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라인으로 위치되는 밀봉홈을 가지고,
상기 헤드 관의 상기 밀봉홈에 오링을 구비하여 상기 오링을 통해 상기 헤드 관과 상기 링접속 관 사이의 틈을 차단시키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접속 관은,
상기 나선노출 관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나선노출 관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접속 관은,
상기 링접속 관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유도 관의 암나사선을 노출시키는 고정홀을 가지고,
상기 링접속 관의 상기 고정홀에 고정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이동유도 관의 상기 암나사선에 상기 고정부재를 접촉시키면서 상기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유도 관에 고정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결합 관은,
상기 링결합 관의 수용 홀을 통해, 상기 천장 도킹 링 아래에 위치되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와 나선 결합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노출관의 수나사선은,
상기 신축 배관에 연결되는 슬립(slip) 너트의 암나사선과 결합하는,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677A KR102581816B1 (ko) | 2021-02-19 | 2021-02-19 |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677A KR102581816B1 (ko) | 2021-02-19 | 2021-02-19 |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793A KR20220118793A (ko) | 2022-08-26 |
KR102581816B1 true KR102581816B1 (ko) | 2023-09-22 |
Family
ID=8311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2677A KR102581816B1 (ko) | 2021-02-19 | 2021-02-19 |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181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0709Y1 (ko) * | 2011-12-22 | 2012-06-13 | 서원기 |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
KR101705240B1 (ko) * | 2016-02-19 | 2017-02-09 | 임영순 |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5009B1 (ko) | 2016-06-24 | 2017-04-10 | (주)여는 | 수방식 스프링클러 |
KR102092781B1 (ko) * | 2018-08-13 | 2020-03-24 | 승진산업 (주) | 소방 구조물 |
-
2021
- 2021-02-19 KR KR1020210022677A patent/KR1025818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0709Y1 (ko) * | 2011-12-22 | 2012-06-13 | 서원기 |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
KR101705240B1 (ko) * | 2016-02-19 | 2017-02-09 | 임영순 |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793A (ko) | 2022-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49600E1 (en) | Flexible assembly for sprinklers | |
KR102581816B1 (ko) |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 |
KR102162670B1 (ko) |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 |
US20190162348A1 (en) | Pipe coupling module | |
KR101993806B1 (ko) | 안정적 결합과 편심에 의한 휘어짐을 방지하는 신축배관 | |
LT3292B (en) | Device for essembling of pipework and using the same | |
US20180133528A1 (en) | Fire sprinkler assembly including adjustable drop | |
KR102694296B1 (ko) | 소방 레듀셔 구조체 | |
KR20200019012A (ko) | 소방 구조물 | |
KR102498846B1 (ko) | 소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 |
US4239263A (en) | Spherical connector having integrally formed outlets | |
JP2008248983A (ja) | 絶縁継手とその継手の組付方法 | |
KR102498853B1 (ko) |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 |
KR102212136B1 (ko) | 소방 레듀서 구조물 | |
CN220824431U (zh) | 一种旋转弯头及喷头组件 | |
KR102416907B1 (ko) | 소방용 배관 시스템 | |
JP2021060083A (ja) | 配線・配管吊下支持具 | |
US20220316636A1 (en) | Adjus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a sprinkler-branch line to a fire-sprinkler head | |
KR101467455B1 (ko) | 다목적 천장용 행거 | |
CN219345621U (zh) | 主阀装置及具有其的切换阀 | |
KR20190052964A (ko) |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 |
JP2000014822A (ja) | スプリンクラー用配管構造及びスプリンクラー用の分岐管及び施工方法 | |
JP2014150983A (ja) | スプリンクラー用フレキシブル配管 | |
KR200259791Y1 (ko) | 스프링클러용 관연결구조 | |
KR20210017530A (ko) |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