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964A -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 Google Patents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964A
KR20190052964A KR1020170148861A KR20170148861A KR20190052964A KR 20190052964 A KR20190052964 A KR 20190052964A KR 1020170148861 A KR1020170148861 A KR 1020170148861A KR 20170148861 A KR20170148861 A KR 20170148861A KR 20190052964 A KR20190052964 A KR 20190052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lding
flange
weld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겸
Original Assignee
김원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겸 filed Critical 김원겸
Priority to KR102017014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964A/ko
Publication of KR2019005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배관용 파이프를 용접으로 결합하는 소방 배관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플랜지의 관통공 상부에 파이프 안착홈과 용접물 유도홈을 다단 구조로 형성하여 파이프의 단부를 파이프 안착홈에 삽입 안착시켜 정 위치에서 간단히 용접하도록 함은 물론 용접물이 용접물 유도홈에 채워지면서 용접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물이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므로 용접 부위가 깔끔하고 넓은 범위로 기포 발생 없이 용접하면서 지진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함과 정밀 용접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Flange For Fire Piping}
본 발명은 소방 배관용 파이프에 용접으로 결합 사용하는 소방 배관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플랜지 몸체의 정 위치에 간단히 용접하도록 함은 물론 용접 부위가 깔끔하고 넓은 범위로 기포 발생 없이 일정하게 용접되면서 지진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함과 정밀 용접이 가능한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발생시 초기 진압을 위해 건축물 내에 소화기,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 설비를 갖추고 있다.
특히, 소화전 및 스프링 쿨러와 같이 소화수를 사용하는 소화 설비의 경우에 건축물에 소방 배관을 배설하여 화재 발생시 소방 배관을 통해 소화전 및 스프링 쿨러로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에 배설되는 소방 배관은 파이프와 플랜지를 각각 마련하여 건축 현장에서 용접하므로 사용하는데,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플랜지(2) 중앙에 관통공(2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상부외측으로 파이프(5)의 단부를 밀착시켜 플랜지와 파이프의 밀착 부분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결합하였다.
이러한 종래 플랜지는 파이프를 건축 현장에서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사용하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플렌지의 관통공(2a) 상부 외측으로 파이프(5)의 단부를 정확하게 관통 연결되게 위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못하는 작업 불량이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플랜지의 관통공(2a) 상부 외측으로 파이프(5)의 단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외측 접합 부위를 따라 용접을 행하게 되는데, 용접봉을 용융시킨 용접물이 외측 접합 부위(모서리 위치)에 일정하게 접합되지 못하고 외측으로 흘러 용접 부위(8)가 깨끗하게 형성되지 않고 정밀 용접이 곤란하며, 용접 부위에 기포가 많이 발생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하지 못함은 물론 판넬 건물의 경우에 용접할 때 불똥이 튀어 화재 등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셋째, 상기 플랜지(2)와 파이프(5)의 용접 부위(8)에 대한 결합력, 즉 견고성이 취약하여 지진 및 지반의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내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691021호(2016년12월23일) 등록특허 제10-1685512호(2016년12월06일) 공개특허 제10-2017-0025887호(2017년03월08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파이프를 플랜지 몸체의 정 위치에 간단히 용접하도록 함은 물론 용접 부위가 깔끔하고 넓은 범위로 기포 발생 없이 일정하게 용접되면서 지진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함과 정밀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두께의 몸체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상부 외측으로 파이프의 단부를 밀착시켜 용접에 의해 관통 연결시키되, 상기 몸체의 관통공은 상부 원주상에 파이프의 단부를 일정 위치로 삽입 안착시키는 파이프 안착홈과, 상기 파이프 안착홈 상부 원주상에 용접물이 삽입되어 접합부를 일정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용접물 유도홈을 다단 구조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접물 유도홈은 외주연을 수직면이 아닌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플랜지의 관통공 상부에 파이프 안착홈과 용접물 유도홈을 다단 구조로 형성하여 파이프의 단부를 파이프 안착홈에 삽입 안착시켜 정 위치에서 간단히 용접하도록 함은 물론 용접물이 용접물 유도홈에 채워지면서 용접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물이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므로 용접 부위가 깔끔하고 넓은 범위로 기포 발생 없이 용접하면서 지진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함과 정밀 용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비 숙련자에 의해서도 공사 현장에서 간단하고 우수하게 용접 작업할 수 있어 공사 시간 단축, 품질 향상은 물론 공사 현장의 주위 환경을 깨끗하게 관리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소방 배관 플랜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플랜지를 이용한 용접 결합 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방 배관 플랜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랜지를 이용한 용접 결합 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소방 배관의 일 례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몸체(11) 중앙에 관통공(1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상부 외측으로 파이프(20)의 단부를 밀착시켜 용접에 의해 관통 연결 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몸체의 관통공(12)은 상부 원주상에 파이프의 단부(21)를 일정 위치로 삽입 안착시키는 파이프 안착홈(13)과, 상기 파이프 안착홈(13) 상부 원주상에 용접물이 삽입되어 접합부(15)를 일정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용접물 유도홈(14)을 다단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접물 유도홈(14)은 외주연을 수직면이 아닌 경사면(14a)으로 형성하여 용접물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함은 물론 접합부의 두께를 넓게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20)의 타측 원주상에는 조인트 홈(2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미 설명 부호로서, 11a는 볼트 체결공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플랜지(10)의 몸체(11)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12)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20)의 단부(21)를 삽입하여 안착시킨다.
즉, 작업자가 파이프의 용접 위치를 정확히 맞추는 별도의 작업 없이도 파이프의 단부(21)를 안착홈(12)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비 숙련자의 경우에도 용접 위치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셋팅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10) 상부에 파이프(20)의 단부를 밀착되게 안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하여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플랜지 몸체의 안착홈(12) 상부 외측으로 형성된 용접물 유도홈(14)으로 용접물이 삽입되면서 종래와 같이 용접물이 외측으로 흘러 용접부위가 깨끗히 형성되지 않고 기포가 많이 발생하며 더우기 판넬 건물의 경우에 용접할 때 불똥이 튀어 화재 위험이 있는 문제를 방지하고 용접물이 용접물 유도홈(14)에 삽입되면서 깔끔하고 일정하게 용접하는 용접부(15)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접물 유도홈(14)은 외주연을 수직면이 아닌 경사면(14a)으로 형성되어 있어 용접물이 유도홈 내부로 월활히 삽입되도록 유도함은 물론 용접부(15)의 두께를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비 전문가에 의해서도 플랜지와 파이프의 용접 위치를 일정하게 하고, 용접을 깔끔하고 그리고 넓은 범위로 기포 발생 없이 행하면서 지진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함은 물론 정밀한 용접이 가능하고, 비 숙련자에 의해서도 간단하고 우수하게 용접 작업할 수 있어 공사 시간 단축, 품질 향상은 물론 공사 현장의 주위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파이프(20)의 타측 원주상에 형성되는 조인트 홈(22)을 이용하여 호스나 별도의 파이프 결합시 조인트(미도시)로 조인트 홈(22)을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면서 견고한 연결 조립이 가능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10: 플랜지 11: 몸체
12: 관통공 13: 파이프 안착홈
14: 용접물 유도홈 14a: 경사면
20: 파이프 21: 단부

Claims (2)

  1. 일정 두께의 몸체(11) 중앙에 관통공(1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상부외측으로 파이프(20)의 단부를 밀착시켜 용접에 의해 관통 연결시키는 소방 배관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관통공(12)은 상부 원주상에 파이프의 단부(21)를 일정 위치로 삽입 안착시키는 파이프 안착홈(13)과, 상기 파이프 안착홈(13) 상부 원주상에 용접물이 삽입되어 접합부(15)를 일정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용접물 유도홈(14)을 다단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물 유도홈(14)은 외주연을 수직면이 아닌 경사면(14a)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KR1020170148861A 2017-11-09 2017-11-09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KR20190052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61A KR20190052964A (ko) 2017-11-09 2017-11-09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61A KR20190052964A (ko) 2017-11-09 2017-11-09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64A true KR20190052964A (ko) 2019-05-17

Family

ID=6667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61A KR20190052964A (ko) 2017-11-09 2017-11-09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29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6331A (zh) * 2020-03-13 2020-06-2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L型撘焊法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12B1 (ko) 2016-07-08 2016-12-14 (주)한양기술단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1691021B1 (ko) 2016-05-10 2016-12-29 (주)광운기업 소방용 배관
KR20170025887A (ko) 2015-08-31 2017-03-08 금강이앤씨(주)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887A (ko) 2015-08-31 2017-03-08 금강이앤씨(주)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KR101691021B1 (ko) 2016-05-10 2016-12-29 (주)광운기업 소방용 배관
KR101685512B1 (ko) 2016-07-08 2016-12-14 (주)한양기술단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6331A (zh) * 2020-03-13 2020-06-2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L型撘焊法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632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
KR102286742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US20100126739A1 (en) Decorative support panel
KR20190052964A (ko)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KR101778487B1 (ko)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JP5420608B2 (ja) 水洗式便器の施工方法及び水洗式便器
JP6426990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6248168B1 (ja) 既設管を活用した排水配管
US11541638B2 (en) Cover plate and cover plate assembly for concealed fire protection sprinkler
US9327151B2 (en) Fire-fighting extinguisher nozzle; a method for fabricating such nozz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pray of fine-droplet mist
KR102484759B1 (ko) 건축물의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1356016B1 (ko) 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US10603532B2 (en) Foam-water sprinkler
JP6413043B1 (ja) 排水ジョイント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排水ジョイント構造並びに排水管の改修方法
KR101698689B1 (ko) 스프링클러 작동확인 장치
JP3200309U (ja) 深礎杭足場用治具
JP7036649B2 (ja) 配管閉塞用治具及びその治具を用いた配管閉塞方法
KR20160025354A (ko) 조준형 스프링쿨러
KR102581816B1 (ko)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JP6193804B2 (ja) 消雪ノズルの補修方法
JP5635431B2 (ja) 放射ヘッド設置高さ調整機構及び調整治具
CN214388631U (zh) 一种具有多个消防喷头的消防箱设备
JP2008011869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継手の構造
KR101437766B1 (ko) 천장 매립형 샤워기 고정장치
CN213062216U (zh) 一种室外消火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