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021B1 - 소방용 배관 - Google Patents

소방용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021B1
KR101691021B1 KR1020160057150A KR20160057150A KR101691021B1 KR 101691021 B1 KR101691021 B1 KR 101691021B1 KR 1020160057150 A KR1020160057150 A KR 1020160057150A KR 20160057150 A KR20160057150 A KR 20160057150A KR 101691021 B1 KR101691021 B1 KR 10169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tubular body
sealing r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훈
Original Assignee
(주)광운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운기업 filed Critical (주)광운기업
Priority to KR102016005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함은 물론, 밀폐성을 확고히 유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축되는 신축부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관체의 일단이 사출금형에 끼움된 상태에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insert) 사출성형 공법을 통해 성형되되; 상기 소켓과 접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에는, 밀폐링이 결합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소방용 배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용 배관{A firefighting pipe}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는 소방용 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함은 물론, 밀폐성을 확고히 유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소방용 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쿨러(SPRINKLER)는, 공급되는 물을 분산하여 뿌려주도록 한 살수(撒水) 장치로써,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분무하여 화재를 소화하도록 된 소방설비이다.
이러한 스프링쿨러는, 건물의 천정에 주로 설치되며, 이때, 천정의 내부로 용수 공급을 위한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를 연결설치하며, 상기 분지급수관의 단부측에 상기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은 각각 금속재로 성형된 것을 주로 사용하며, 화재시 발생되는 고열 및 이차적으로 파생되는 각종 압력에 의해 훼손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Sprinkler)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신축성 관체를 통해 연결되어 용수를 용이하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성 관체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주름부를 가지어 신축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 신축성 배관의 일단부에는 스프링쿨러헤드가 고정되는 연결관(레듀샤)와 접속하여 결합하는 별도의 고정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기구는, 통상적으로 상기 연결관과 나사결합하며 상기 신축성 배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너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분지급수관은, 내화학성, 내열성이 일반 PVC보다 우수한 CPVC(연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상기 신축성 관체와 상기 분지급수관이 서로 이형의 재질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하고자 할 때, 별도의 소켓구조가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신축성 관체의 단부에 별도의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소켓을 결합하고, 상기 소켓을 상기 분지급수관과 연결하여 상기 분지급수관을 통해 상기 스프링쿨러에 소화수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46722호(명칭: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프링쿨러 주배관(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쿨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신축배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관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쿨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소켓과; 상기 신축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쿨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의 양측 말단에는 상기 소켓과 후레어 너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확관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소켓과 후레어 너트를 상기 확관부 측으로 완전 밀었을 때의 상기 소켓과 후레어 너트의 주름부측 말단의 상기 신축파이프 부분에는 상기 소켓과 후레어 너트가 상기 주름부 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흐름방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외부 원주에는 상기 소켓을 파이프렌치로 핸드링하기 위한 육각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내부에는 누설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가지게 하며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 측에 2개로 구성된 제1오링과,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에 워터햄머나 응력이 발생 시 최종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축파이프 측에 제2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소켓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되는 신축파이프 삽입중공과,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이 삽입되는 주배관 삽입중공으로 분리되며, 상기 신축파이프 삽입중공의 내부에는 상기 제1오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1오링 삽입홈과, 상기 제2오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2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 삽입중공과 주배관 삽입중공은 직경이 상이하여 단층이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가 상기 소켓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며, 상기 후레어 너트는 너트본체와, 접합되는 상기 신축파이프와 상기 후레어 너트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과, 상기 신축파이프와 상기 후레어 너트와의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패킹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본체의 상기 신축파이프 측 내부에는 상기 절연링이 접합되는 절연링시트면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본체의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상기 레듀싱 엘보우 측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와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1인치 직경의 PF나사가 형성되는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40284호(명칭: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마디로 제작하여 주배관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신축배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관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어댑터로 구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의 상기 어댑터가 설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주배관 측으로 상기 어댑터가 빠지지 않게 하는 커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의 상기 커링부와 주름부 사이의 상기 어댑터 끝부분에는 상기 어댑터가 상기 주름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벌징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링부와 벌징부 사이에는 상기 어댑터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신축파이프에서 상기 홀더 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의 주배관 측 말단과 상기 커링부 내측에 설치되는 메인오링과; 상기 홀더의 내주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에서 상기 홀더 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홀더내부 보조오링과; 상기 메인바디와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급격한 압력이나 응력에 의해 상기 메인오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홀더외부 오링과; 상기 홀더의 상기 주름부 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홀더가 내측에 결합되는 홀더결합부와,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는 주배관 결합부로 구성되는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46722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40284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용 배관 및 그 제조방법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비 경제적임은 물론, 금속재질의 관체와 CPVC 재질의 소켓의 연결부위에서의 밀폐성을 확고히 확보하지 못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함은 물론, 밀폐성을 확고히 유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소방용 배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방용 배관은, 신축되는 신축부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관체의 일단이 사출금형에 끼움된 상태에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insert) 사출성형 공법을 통해 성형되되; 상기 소켓과 접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에는, 밀폐링이 결합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은,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에 적용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이종의 관체와 소켓을 결합할 때, 내부에 밀폐링을 구비하여 밀폐성을 확고히 유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 및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개략 분리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은, 신축되는 신축부(21)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관체(2)와, 상기 관체(2)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소켓(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미 도시된 스프링쿨러 주배관인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연결관(레듀사)의 사이를 연결하여 용수(소화수)를 스프링쿨러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스프링쿨러 주배관인 분지급수관은, C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소켓(3)과 접착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에서, 상기한 소켓(3)은, 상기 관체(2)의 일단이 사출금형에 끼움된 상태에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insert) 사출성형 공법을 통해 성형된다.
즉, 상기 관체(2)와 상기 소켓(3)이 별도의 접착제 및 고정수단 없이 일체화되면서 성형되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에서, 상기 소켓(3)과 접하는 상기 관체(2)의 부위에는, 밀폐링(4)이 결합하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 공법에 의해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상기 관체(2)와 소켓(3)의 사이에 상기 밀폐링(4)이 배치되어 밀폐성을 더욱 확고히 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관체(2)와 상기 소켓(3)의 사이에 별도의 밀폐작업이 구조를 성형 및 구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그 구조와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생산성 증대를 통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요철부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2)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돌출부(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밀폐링(4)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어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돌출부(22)는, 중앙에 상기 관체(2)의 외주면이 끼움결합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형의 '판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체(2)의 외주면에 용접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2)를 절곡하여 외부로 돌출하여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요철부는,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2)의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개구를 가지도록 파여진 '요홈' 형상의 요입부(2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밀폐링(4)의 외주면이 상기 요입부(23)에 수용되어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요입부(23)는, 상기 관체(2)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소켓(3)은, 미 도시된 상기 분지급수관에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관체(2)가 결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관체(2)에서 타단에는, 미도시된 상기 연결관과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5)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체(2)에서 신축부(21)는,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관체(2)를 주름관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에서 상기 요철부는, 복수 개가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와 상기 요입부(23)가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제조방법은, 도 4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위에 주름형상의 신축부(21)가 형성된 관체(2)를 형성하여 제조하는 관체제조공정과; 상기 관체제조공정을 통해 형성된 상기 관체(2)의 일단을 CPVC 재질의 소켓(3)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인서트(insert)한 상태에서 상기 소켓(3)을 성형하는 소켓성형공정을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즉, 신축부(21)를 가지는 상기 관체(2)를 제조한 후, 상기 관체(2)와 상기 소켓(3)을 인서트 사출성형공법을 봉해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시 소켓(3)을 성형함과 동시에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관체(2)와 상기 소켓(3)을 결합하도록 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을 증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관체제조공정은, 상기 소켓(3)과 접하는 부위에 밀폐링(4)을 끼움 고정하는 요철부를 절곡성형하는 요철부성형단계와, 상기 요철부성형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요철부에 밀폐링(4)을 끼움고정하는 밀폐링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요철부성형단계를 통해 상기 요철부를 형성한 후, 상기 요철부에 별도로 제조된 상기 밀폐링(4)을 상기 밀폐링고정단계를 통해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링(4)이 상기 요철부에 고정된 후, 상기 소켓성형공정을 통해 상기 밀폐링(4)이 고정된 부위에 상기 소켓(3)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2)의 일부위에 주름형태의 신축부(21)를 형성하여 신축성을 가지는 상기 관체(2)를 성형하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2)에서 상기 소켓(3)이 배치되는 부분의 일 부위를 절곡하여 상기 요철부를 성형한다.
이때, 상기 요철부는, 외부로 절곡하여 돌출된 돌출부(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절곡하여 내입된 요입부(23)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관체(2)에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에 맞춤되게 결합하는 상기 밀폐링(4)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한 후, 상기 밀폐링(4)이 고정된 상기 관체(2)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된 인서트 사출성형금형(6)에 상기 요철부가 위치된 부위가 상기 사출성형금형(6)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성형금형(6)의 성형부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관체(2)가 상기 사출성형금형(6)에 고정된 후,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CPVC 재질의 사출원료를 상기 성형부에 투입하여 사출성형하여 상기 소켓(3)을 형성한 후,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성형금형(6)에서 상기 관체(2)를 분리하면 소방용 배관(1)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켓(3)이 구비된 소방용 배관(1)이 완료되면, 타단에 후레아 너트(5)의 체결 등과 같은 별도의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배관 2 : 관체
21 : 신축부 22 : 돌출부
23 : 요입부 3 : 소켓
4 : 밀폐링 5 : 후레아 너트
6 : 사출성형금형

Claims (2)

  1. 일부위에 주름형상의 신축부(21)가 형성된 금속재질의 관체(2)와, 상기 관체(2)의 일단이 사출성형금형(6)에 끼움된 상태에서 인서트(insert) 사출성형 공법을 통해 성형되어 상기 관체(2)에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소켓(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1)에 있어서;
    상기한 관체(2)는,
    상기 소켓(3)과 접하는 부위에 밀폐링(4)을 끼움 고정하는 요철부를 절곡 성형하는 요철부성형단계와, 상기 요철부성형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요철부에 밀폐링(4)을 끼움고정하는 밀폐링고정단계를 통해 상기 소켓(3)과 접하는 부위에 상기 밀폐링(4)이 결합되되;
    상기한 요철부는,
    상기 관체(2)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돌출부(22)와;
    상기 관체(2)의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개구를 가지도록 파여진 '요홈' 형상의 요입부(23)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밀폐링(4)에는,
    상기 돌출부(22)가 수용되어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
  2. 삭제
KR1020160057150A 2016-05-10 2016-05-10 소방용 배관 KR101691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50A KR101691021B1 (ko) 2016-05-10 2016-05-10 소방용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50A KR101691021B1 (ko) 2016-05-10 2016-05-10 소방용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021B1 true KR101691021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150A KR101691021B1 (ko) 2016-05-10 2016-05-10 소방용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0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670B1 (ko) 2017-05-30 2017-09-21 노규빈 버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시트 착석부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용 스프링구조체의 인서트사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90052964A (ko) 2017-11-09 2019-05-17 김원겸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KR102261041B1 (ko) * 2020-01-17 2021-06-04 주식회사 코뿔소 금속재 주름파이프와 염소화 피브이씨 파이프의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889A (ja) * 1998-10-30 2000-05-16 Taifurekkusu Kk 樹脂管接続用可撓管の製造方法
KR101340284B1 (ko) 2013-01-29 2013-12-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346722B1 (ko)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889A (ja) * 1998-10-30 2000-05-16 Taifurekkusu Kk 樹脂管接続用可撓管の製造方法
KR101346722B1 (ko)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340284B1 (ko) 2013-01-29 2013-12-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670B1 (ko) 2017-05-30 2017-09-21 노규빈 버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시트 착석부 서스펜션 어셈블리 제조용 스프링구조체의 인서트사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90052964A (ko) 2017-11-09 2019-05-17 김원겸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KR102261041B1 (ko) * 2020-01-17 2021-06-04 주식회사 코뿔소 금속재 주름파이프와 염소화 피브이씨 파이프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021B1 (ko) 소방용 배관
US10591098B2 (en) Garden hose with metal sheath
ES2383529T3 (es) Elemento de conexión para tubos reutilizable
KR101780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JP4819579B2 (ja) 継手への二重管の接続構造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1712144B1 (ko) 소방용 플렉시블 조인트
KR101917607B1 (ko) 소방용 배관
JP3855170B2 (ja) 配水管用継手装置
KR20120103885A (ko) 관 연결구
KR101797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CN213117977U (zh) 一种克拉管的连接密封结构
TWM505573U (zh) 瓦斯彎管組之構造
CN104913143A (zh) 快速连接管
DK1486716T3 (da) Sanitetsslange med drejelig kobling til et tilslutningsstykke
KR20190030147A (ko) 소방용 스프링쿨러 신축 배관 연결장치
KR102417641B1 (ko) 연결 조인트 구조
JP4121181B2 (ja) 変換継手
CN218657679U (zh) 一种结构简化便于组装的水管快装旁通
JP7245762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継手
JPH0244156Y2 (ko)
JPH0212392Y2 (ko)
RU34987U1 (ru) Муфт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00010535U (ko) 용수관분기용 새들의 패킹결합구조
JP2005027769A (ja) スプリンクラー用フレキ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