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607B1 - 소방용 배관 - Google Patents
소방용 배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7607B1 KR101917607B1 KR1020180021126A KR20180021126A KR101917607B1 KR 101917607 B1 KR101917607 B1 KR 101917607B1 KR 1020180021126 A KR1020180021126 A KR 1020180021126A KR 20180021126 A KR20180021126 A KR 20180021126A KR 101917607 B1 KR101917607 B1 KR 101917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socket
- main body
- circumferential surface
-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본체와 상기 배관본체의 측단에 결합되는 소켓의 결합을 확고히 하여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중공된 배관본체와, 상기 배관본체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된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배관본체에서 상기 소켓과 결속하여 접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측면에 한 쌍의 밀폐링들이 각각 밀착되면서 접하는 돌출환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은, 내측 중앙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링의 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돌출환부와의 사이에 상기 밀폐링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돌출형성된 내측돌턱을 가지는 중공된 외관과, 상기 외관에서 상기 배관본체의 단부가 삽입수용되는 방향의 내측면에 삽입고정되며 측단부가 상기 돌출환부의 측부와 근접하면서 상기 밀폐링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되며 내측면이 상기 배관본체의 외주면이 면접촉하도록 된 중공된 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 개의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관에서 상기 내관과 접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맞춤되게 억지 끼움되어 결합하는 끼움요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는 소방용 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본체와 상기 배관본체의 측단에 결합되는 소켓의 결합을 확고히 하여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진 등과 같은 진동에너지가 인가되더라도 풀림등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작업현장에서 배관본체와의 결속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소방용 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소방배관설비를 구성하는 스프링쿨러(SPRINKLER)는, 공급되는 물을 분산하여 뿌려주도록 한 살수(撒水) 장치로써,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분무하여 화재를 소화하도록 된 소방설비이다.
이러한 스프링쿨러는, 건물의 천정에 주로 설치되며, 이때, 천정의 내부로 용수 공급을 위한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를 연결설치하며, 상기 분지급수관의 단부측에 상기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은 각각 금속재로 성형된 것을 주로 사용하며, 화재시 발생되는 고열 및 이차적으로 파생되는 각종 압력에 의해 훼손되거나,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에서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Sprinkler)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신축성 관체를 통해 연결되어 용수를 용이하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성 관체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주름부를 가지어 신축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 신축성 관체의 일단부에는 스프링쿨러헤드가 고정되는 연결관(레듀샤)와 접속하여 결합하는 별도의 고정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기구는, 통상적으로 상기 연결관과 나사결합하며 상기 신축성 배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너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분지급수관은, 내화학성, 내열성이 일반 PVC보다 우수한 CPVC(연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상기 신축성 관체와 상기 분지급수관이 서로 이형의 재질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하고자 할 때, 별도의 소켓구조가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신축성 관체의 단부에 별도의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소켓을 결합하고, 상기 소켓을 상기 분지급수관과 연결하여 상기 분지급수관을 통해 상기 스프링쿨러에 소화수를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소켓구조는 상기 신축성 관체와 결속된 후에는, 설치 및 조립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야만 소방안전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소방설비의 공간적 제한에 따라, 작업현장에서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신축성 관체와 상기 소켓구조의 결속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작업효율을 향상에 대한 주요 관점이 된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46722호(명칭: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프링쿨러 주배관(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쿨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신축배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관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쿨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소켓과; 상기 신축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쿨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의 양측 말단에는 상기 소켓과 후레어 너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확관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소켓과 후레어 너트를 상기 확관부 측으로 완전 밀었을 때의 상기 소켓과 후레어 너트의 주름부측 말단의 상기 신축파이프 부분에는 상기 소켓과 후레어 너트가 상기 주름부 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흐름방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외부 원주에는 상기 소켓을 파이프렌치로 핸드링하기 위한 육각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내부에는 누설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가지게 하며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 측에 2개로 구성된 제1오링과,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에 워터햄머나 응력이 발생 시 최종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축파이프 측에 제2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소켓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되는 신축파이프 삽입중공과,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이 삽입되는 주배관 삽입중공으로 분리되며, 상기 신축파이프 삽입중공의 내부에는 상기 제1오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1오링 삽입홈과, 상기 제2오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2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 삽입중공과 주배관 삽입중공은 직경이 상이하여 단층이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가 상기 소켓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며, 상기 후레어 너트는 너트본체와, 접합되는 상기 신축파이프와 상기 후레어 너트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과, 상기 신축파이프와 상기 후레어 너트와의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패킹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본체의 상기 신축파이프 측 내부에는 상기 절연링이 접합되는 절연링시트면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본체의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상기 레듀싱 엘보우 측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와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1인치 직경의 PF나사가 형성되는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40284호(명칭: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마디로 제작하여 주배관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신축배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관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어댑터로 구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의 상기 어댑터가 설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주배관 측으로 상기 어댑터가 빠지지 않게 하는 커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의 상기 커링부와 주름부 사이의 상기 어댑터 끝부분에는 상기 어댑터가 상기 주름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벌징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링부와 벌징부 사이에는 상기 어댑터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신축파이프에서 상기 홀더 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의 주배관 측 말단과 상기 커링부 내측에 설치되는 메인오링과; 상기 홀더의 내주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에서 상기 홀더 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홀더내부 보조오링과; 상기 메인바디와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급격한 압력이나 응력에 의해 상기 메인오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홀더외부 오링과; 상기 홀더의 상기 주름부 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홀더가 내측에 결합되는 홀더결합부와,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는 주배관 결합부로 구성되는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691021호(명칭: 소방용 배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신축되는 신축부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관체의 일단이 사출금형에 끼움된 상태에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insert) 사출성형 공법을 통해 성형되되; 상기 소켓과 접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에는, 밀폐링이 결합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소방용 배관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780894호(명칭: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방화수가 유입되는 CPVC 재질의 주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가 장착되는 레듀사엘보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배관 조립체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가해지는 응력을 상쇄하며 일단부에는 환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외향 확장된 격벽부가 형성된 신축관; 상기 신축관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레듀사엘보와 신축관을 체결시키는 플레어너트; 상기 격벽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신축관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주배관과 신축관을 체결시키는 CPVC 재질의 소켓부; 상기 격벽부의 일측에 밀착된 형태로 상기 신축관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부와 신축관 사이를 밀폐하는 제1패킹; 및 상기 격벽부의 타측에 밀착된 형태로 상기 신축관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부와 신축관 사이를 밀폐하는 제2패킹;을 포함하는 신축배관 조립체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용 배관들은, 금속재질의 배관본체와, CPVC 재질의 소켓의 연결부위가 나사결합구조가 적용되거나, 일체로 인서트사출성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지진 등과 같은 재해의 발생에 따라 인가되는 진동에너지에 의한 풀림 및 이격 등이 발생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로, 작업현장에서 배관본체와 소켓의 결속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본체와 상기 배관본체의 측단에 결합되는 소켓의 결합을 확고히 하여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진 등과 같은 진동에너지가 인가되더라도 풀림등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작업현장에서 배관본체와의 결속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소방용 배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방용 배관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중공된 배관본체와, 상기 배관본체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된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배관본체에서 상기 소켓과 결속하여 접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측면에 한 쌍의 밀폐링들이 각각 밀착되면서 접하는 돌출환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은, 내측 중앙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링의 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돌출환부와의 사이에 상기 밀폐링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돌출형성된 내측돌턱을 가지는 중공된 외관과, 상기 외관에서 상기 배관본체의 단부가 삽입수용되는 방향의 내측면에 삽입고정되며 측단부가 상기 돌출환부의 측부와 근접하면서 상기 밀폐링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되며 내측면이 상기 배관본체의 외주면이 면접촉하도록 된 중공된 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 개의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관에서 상기 내관과 접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맞춤되게 억지 끼움되어 결합하는 끼움요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배관은, 금속재질의 배관본체와, CPVC 재질의 소켓의 결속이 외관의 내측면에 대한 내관의 억지 끼움을 통해 구현됨에 따라, 배관본체와 소켓의 결속이 확고히 됨에 따라, 지진 등과 같은 진동에너지가 인가되더라도 풀림등이 발생하지 않아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작업현장에서 배관본체와 소켓의 결속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분리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결합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구성하는 외관과 내관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구성하는 외관과 내관의 끼움돌부 및 끼움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구성하는 내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결합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구성하는 외관과 내관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구성하는 외관과 내관의 끼움돌부 및 끼움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구성하는 내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중공된 배관본체(2)와, 상기 배관본체(2)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된 소켓(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미 도시된 스프링쿨러 주배관인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연결관(레듀사)의 사이를 연결하여 용수(소화수)를 스프링쿨러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스프링쿨러 주배관인 분지급수관은, C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소켓(3)과 접착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에서, 상기 배관본체(2)에는, 미도시 된 신축되는 신축부가 형성되어,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상기 배관본체(2)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도록 되는 것이 바림작하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배관본체(2)의 일부위를 주름관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은, 상기 배관본체(2)에서 상기 소켓(3)과 결속하여 접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측면에 한 쌍의 밀폐링(4)들이 각각 밀착되면서 접하는 돌출환부(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관본체(2)와 상기 소켓(3)의 사이에 상기 밀폐링(4)들이 배치되어 밀폐성을 더욱 확고히 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돌출환부(21)는, 상기 배관본체(2)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에 상기 배관본체(2)의 외주면이 끼움결합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형의 '판체'로 이루어져 상기 배관본체(2)의 외주면에 용접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본체(2)의 일부위를 절곡하여 외부로 돌출하여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에서, 상기 소켓(3)은, 내측 중앙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링(4)의 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돌출환부(21)와의 사이에 상기 밀폐링(4)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돌출형성된 내측돌턱(31)을 가지는 중공된 외관(32)과, 상기 외관(32)에서 상기 배관본체(2)의 단부가 삽입수용되는 방향의 내측면에 삽입고정되며 측단부가 상기 돌출환부(21)의 측부와 근접하면서 상기 밀폐링(4)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되며 내측면이 상기 배관본체(2)의 외주면이 면접촉하도록 된 중공된 내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밀폐링(4)들이 상기 배관본체(2)의 돌출환부(21)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2)의 내측에 상기 배관본체(2)의 일단부를 상기 밀폐링(4)들과 함께 삽입고정하고, 상기 외관(32)의 단부에 상기 내관(33)을 결속하면서 결합하여 상기 내관(33)의 단부가 상기 돌출환부(21)와 밀폐링(4)들을 가압하면서 상기 배관본체(2)가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에서, 상기 내관(33)의 외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 개의 끼움돌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외관(32)에서 상기 내관(33)과 접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끼움돌부(34)가 맞춤되게 억지 끼움되어 결합하는 끼움요부(35)들이 형성된다.
즉, 상기 외관(32)의 일단 내측으로 상기 내관(33)이 삽입되면서 끼움고정될 때, 상기 끼움돌부(34)가 상기 끼움요부(35)에 맞춤되게 억지 끼움되어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관본체(2)와 상기 소켓(3)의 결속이 확고히 됨에 따라, 지진 등과 같은 진동에너지가 인가되더라도 풀림등이 발생하지 않아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작업현장에서 상기 배관본체(2)와 상기 소켓(3)의 결속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제조현장에서, 상기 배관본체(2)의 일부위에 주름형태의 미 도시된 신축부를 형성하여 신축성을 가지는 상기 배관본체(2)를 성형하고, 상기 배관본체(2)에서 상기 소켓(3)에 수용배치되는 부분의 일 부위를 절곡하여 상기 돌출환부(21)를 성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본체(2)의 성형의 완료되면, 상기 돌출환부(21)의 양측에 상기 밀폐링(44)들이 밀착되도록 하여 끼움고정한 후, 상기 밀폐링(4)들이 고정된 상기 배관본체(2)를 상기 외관(32)의 내측에 끼워 삽입한다.
이때, 상기 외관(32)의 내측에 상기 끼움요부(35)가 형성부위에 상기 배관본체(2)의 단부를 삽입수용하면 상기 외관(32)의 상기 내측돌턱(31)에 상기 밀폐링(4)이 밀착되게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관(32)의 내부에 상기 배관본체(2)의 일단부가 배치되면, 상기 내관(33)의 내측면에 상기 배관본체(2)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한 후,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내관(33)이 상기 외관(32)의 내부에 억지 끼움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내관(33)을 외부에서 강한 타격을 가하여 상기 끼움돌부(34)들이 상기 끼움요부(35)들에 대하여 억지 주행하여 다수의 끼움돌부(34)들이 상기 끼움요부(35)들에 각각 맞춤되면서 결속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금속재질의 상기 배관본체(2)와, CPVC 재질의 상기 소켓(3)의 결속이 상기 외관(32)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내관(33)의 억지 끼움을 통해 구현됨에 따라, 상기 배관본체(2)에 대한 상기 소켓(3)의 결속이 확고히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을 구성하는 외관(32)과 내관(33)에 형성된 끼움돌부(34) 및 끼움요부(35)의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끼움돌부(34) 및 상기 끼움요부(35)는, 상기 외관(32) 및 상기 내관(33)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경사면(S)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S)의 양측에 원호형상의 상향곡선면(UC)과 하향곡선면(LC)이 연결되며; 타 끼움돌부(34) 및 끼움요부(35)에 각각 형성된 상향곡선면(UC)에 대하여 상기 하향곡선면(LC)이 외접하면서 연결되고, 타 끼움돌부(34) 및 끼움요부(35)에 각각 형성된 하향곡선면(LC)에 대하여 상기 상향곡선면(UC)이 외접하면서 연결되면서 성형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기 외관(32)의 내측면에 대한 상기 내관(33)의 억지 끼움결합될 때, 상기 내관(33)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외관(32)의 내측에 결속됨은 물론,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향곡선면(UC)과 하향곡선면(LC)의 내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원호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S)은, 상기 외관(32) 및 상기 내관(33)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30~40°경사각(TA)를 가지면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을 구성하는 내관(33)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에서, 상기 내관(33)은, 양단면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하여 단면상 '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조립체(36)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체(36)들의 양단부에는, 서로 끼움결하는 돌기(37)와 요홈(38)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된 후에, 무단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현장에서 상기 배관본체(2)의 외주면에 상기 내관(33)을 관통하면서 고정할 때, 상기 조립체(36)들의 결합을 통해 더욱 편리하게 결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배관(1)에서, 상기 외관(32)과 내관(33)에는, 결합력을 보조하여 더욱 확고히 결속시키도록 된 보조결속수단(5)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결속수단(5)은, 상기 내관(33)이 진입하는 방향에 위치한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결속링(6)이 끼움결합되여 수용되는 결속홈(51)이 형성되며 상기 외관(32)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제1연장편(52)들과; 상기 내관(33)의 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연장편(52)들의 사이에 각각 끼움맞춤되면서 배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결속링(6)이 끼움결합되여 수용되는 결속홈(51)이 형성된 제2연장편(5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외관(32)에 상기 내관(33)이 결합할 때. 상기 제1연장편(52)들의 사이공간에 상기 제2연장편(53)들이 끼움맞춤되고, 상기 결속링(6)을 상기 결속홈(51)들에 끼움되면서, 상기 외관(33)과 상기 내관(33)을 더욱 확고히 결속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배관 2 : 배관본체
21 : 돌출환부 3 : 소켓
31 : 내측돌턱 32 : 외관
33 : 내관 34 : 끼움돌부
35 : 끼움요부 36 : 조립체
37 : 돌기 38 : 요홈
4 : 밀폐링 5 : 보조결속수단
51 : 결속홈 52 : 제1연장편
53 : 제2연장편 6 : 결속링
L : 외관 및 내관의 길이방향
S : 경사면 TA : 경사각
UC : 상향곡선면 LC : 하향경사면
21 : 돌출환부 3 : 소켓
31 : 내측돌턱 32 : 외관
33 : 내관 34 : 끼움돌부
35 : 끼움요부 36 : 조립체
37 : 돌기 38 : 요홈
4 : 밀폐링 5 : 보조결속수단
51 : 결속홈 52 : 제1연장편
53 : 제2연장편 6 : 결속링
L : 외관 및 내관의 길이방향
S : 경사면 TA : 경사각
UC : 상향곡선면 LC : 하향경사면
Claims (1)
-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중공된 배관본체(2)와; 상기 배관본체(2)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된 소켓(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관본체(2)에서 상기 소켓(3)과 결속하여 접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측면에 한 쌍의 밀폐링(4)들이 각각 밀착되면서 접하는 돌출환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3)은, 내측 중앙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링(4)의 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돌출환부(21)와의 사이에 상기 밀폐링(4)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돌출형성된 내측돌턱(31)을 가지는 중공된 외관(32)과, 상기 외관(32)에서 상기 배관본체(2)의 단부가 삽입수용되는 방향의 내측면에 삽입고정되며 측단부가 상기 돌출환부(21)의 측부와 근접하면서 상기 밀폐링(4)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되며 내측면이 상기 배관본체(2)의 외주면이 면접촉하도록 된 중공된 내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관(33)의 외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 개의 끼움돌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외관(32)에서 상기 내관(33)과 접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끼움돌부(34)가 맞춤되게 억지 끼움되어 결합하는 끼움요부(35)들이 형성되는 소방용 배관(1)에 있어서;
상기 내관(33)은,
양단면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하여 단면상 '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조립체(36)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33)이 진입하는 방향에 위치한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결속링(6)이 끼움결합되여 수용되는 결속홈(51)이 형성되며 상기 외관(32)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제1연장편(52)들과, 상기 내관(33)의 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연장편(52)들의 사이에 각각 끼움맞춤되면서 배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결속링(6)이 끼움결합되여 수용되는 결속홈(51)이 형성된 제2연장편(53)들을 가지어, 상기 외관(32)과 내관(33)을 결속시키도록 된 보조결속수단(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126A KR101917607B1 (ko) | 2018-02-22 | 2018-02-22 | 소방용 배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126A KR101917607B1 (ko) | 2018-02-22 | 2018-02-22 | 소방용 배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7607B1 true KR101917607B1 (ko) | 2018-11-12 |
Family
ID=6439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1126A KR101917607B1 (ko) | 2018-02-22 | 2018-02-22 | 소방용 배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760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2920B1 (ko) * | 2015-10-08 | 2016-12-20 |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 고정브래킷 이동장치를 갖춘 가지배관의 cpvc 접착용 신축배관 |
-
2018
- 2018-02-22 KR KR1020180021126A patent/KR1019176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2920B1 (ko) * | 2015-10-08 | 2016-12-20 |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 고정브래킷 이동장치를 갖춘 가지배관의 cpvc 접착용 신축배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46119B2 (en) | Grooved-ended resilient expansion joint for joining a pair of groove-ended pipes | |
US6059338A (en) | Pipe connection | |
KR101828783B1 (ko) |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 |
KR101341838B1 (ko) |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 |
KR101780894B1 (ko) |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 |
KR101691021B1 (ko) | 소방용 배관 | |
KR101839393B1 (ko) |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 |
KR101917607B1 (ko) | 소방용 배관 | |
RU2564156C2 (ru) | Фиттинг с фланцам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системой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 | |
KR20160086657A (ko) | 관연결장치 | |
LT3292B (en) | Device for essembling of pipework and using the same | |
KR101712144B1 (ko) | 소방용 플렉시블 조인트 | |
KR101778100B1 (ko) |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0010129A (ko) |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 |
KR0117170Y1 (ko) |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배관장치 | |
JP2007225011A (ja) | 分岐管継手 | |
KR20170128761A (ko) | 개선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 |
KR101797894B1 (ko) |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 |
KR101161717B1 (ko) | 배관용 조인트 | |
KR20190030147A (ko) | 소방용 스프링쿨러 신축 배관 연결장치 | |
KR20060003727A (ko) | 신축이음 | |
KR101748395B1 (ko) | 개선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58990Y1 (ko) | 고온 및 고압 가스관용 관이음 장치 | |
JP2005027769A (ja) | スプリンクラー用フレキユニット | |
US20240019054A1 (en) | Fixing cap assembly and pipe fitting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