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00B1 -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00B1
KR101778100B1 KR1020160037045A KR20160037045A KR101778100B1 KR 101778100 B1 KR101778100 B1 KR 101778100B1 KR 1020160037045 A KR1020160037045 A KR 1020160037045A KR 20160037045 A KR20160037045 A KR 20160037045A KR 101778100 B1 KR101778100 B1 KR 101778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sion
adapter
ring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Priority to KR102016003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댑터의 외측 오링삽입부의 외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이후 외측 오링을 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내측 오링삽입부의 내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의 결합 전 내측 오링을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여 상기 어댑터와 오링이 독립적으로 상기 신축파이프에 결착되므로 상기 배관을 현장에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어댑터 내 오링 삽착의 비용이성과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단순해진 오링삽입부의 형상에 따라 어댑터 제조가 용이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JOINT FOR SPRINKL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댑터의 외측 오링삽입부의 외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이후 외측 오링을 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내측 오링삽입부의 내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의 결합 전 내측 오링을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여 상기 어댑터와 오링이 독립적으로 상기 신축파이프에 결착되므로 상기 배관을 현장에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어댑터 내 오링 삽착의 비용이성과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단순해진 오링삽입부의 형상에 따라 어댑터 제조가 용이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sprinkler)는 화재 발생시 이상고온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물을 살수하는 설비이며 주급수관을 실내의 천장에 배치하고 곳곳의 분지급수관 선단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부착하여,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퓨즈가 끊어져 물이 살수되는 것으로 초기 소화용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 내 화재 발생을 대비하여 스프링클러가 의무적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지급수관과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플랙시블하게 구부러지고 금속재로 제작된 플랙시블 튜브(Flexible Tube)(t)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랙시블 튜브(t)는 플랙시블하게 구부러지게 하기 위해 외주면을 나선 형상으로 주름지게 형성하고 고압으로 용수가 흐를 때 압력으로 인하여 관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지급수관과 연결되는 부분에 오링과 체결링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플랙시블 튜브는 일단이 분지급수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링클러가 고정되는 레듀셔(Reducer)(r)라고 하는 연결관과 결합한다. 또한, 이러한 레듀셔(r)를 고정하고 회전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고정부재(b)가 사용된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h)와 결합되며 고정부재(b)에 의해 고정되는 레듀셔(r)와 플랙시블 튜브(t)의 결합을 위하여 너트(n)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이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 종래의 스틸파이프 재질의 주급수관을 대신하여 작업성이 뛰어난 CPVC 재질의 배관을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에서 신축파이프에 결착되는 어댑터 측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래의 스프링클러 신축파이프(플랙시블 튜브)(p)에 대해 살펴보면, 주배관(m)과 신축파이프(p)의 상호 결합을 위한 어댑터(a)의 외측 오링삽입홈(g1)과 내측 오링삽입홈(g2)의 양 측에 모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a)를 신축파이프에 결착시키기 전에 먼저 상기 내외측 오링삽입홈(g1, g2)에 내외측 오링(r1, r2)을 조립하여야 했다. 따라서, 오링(r1, r2)이 조립된 어댑터(a)를 신축파이프(p)에 결착하여야 했으므로 상기 어댑터(a)와 신축파이프(p)의 상호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링삽입홈(g1, g2)의 양측에 단턱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 어댑터(a) 제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 역시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오링(r1, r2)은 반드시 현장에서의 배관 설치 전에 어댑터(a)에 먼저 조립되어야 하므로 상기 오링(r1, r2) 삽착이 상대적으로 비용이하고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 문제 역시 발생하였다.
공개특허 제10-2005-0117359호는 스프링쿨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 관한 것으로, 가요성 주름관체(10)와 슬립너트(20)와 콘넥터(3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30)에 일체로 분기급수관체(1)와 접속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걸림홈(72)이 파여지는 체결나사(40)와; 이 콘넥터(30)에 일체로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나사(40)의 선단 끝단면을 향해 입수측 직관부(11)로부터 확관되어 입수측 직관부(11)의 외주면과 체결나사(40)의 접촉면 사이 틈새를 가로막게 하는 직각확관부(50)와; 상기 입수측 직관부(11)와 콘넥터(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기능을 갖도록 외경이 확관되는 걸림확관부(60)와; 상기 입수측 직관부(11)와 콘넥터(30) 사이의 접촉 틈새를 밀폐시키도록 걸림홈(72)에 위치되는 제1 밀폐링(70)과; 상기 콘넥터(30)에 파여진 조립홀(31)을 통하여 오링시트(82)에 위치되는 제2 밀폐링(80)과; 이 제2 밀폐링(80)을 압착하도록 조립홀(31)에 나사 체결되는 조임부재(90)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개특허를 살펴보면, 상기 걸림홈(72)에 위치하는 제1 밀폐링(70)은 상기 콘넥터(30)에 미리 조립된 이후 상기 주름관체(10)에 상기 콘텍터(30)와 함께 결착되므로, 전술한 문제점들이 여전히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용이한 오링 삽착과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를 방지하고, 어댑터와 신축파이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어댑터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어댑터를 포함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어댑터에 삽착되는 오링이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어댑터를 형성하여 상기 어댑터에 대한 오링 삽착의 비용이성과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의 외측 오링삽입부의 외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이후 외측 오링을 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내측 오링삽입부의 내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의 결합 전 내측 오링을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신축배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의 외측 오링삽입부의 외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이후 외측 오링을 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내측 오링삽입부의 내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용이한 제조에 따른 원가절감과 그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외측 오링을 상기 어댑터의 일측에 미리 조립하지 않고 상기 어댑터와 독립적으로 신축파이프에 결착되므로 상기 어댑터의 신축파이프로의 용이한 결착을 도모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파이프의 제 1 및 제 2 확관부가 어댑터의 제 1 및 제 2 접촉부와 접촉되어 상기 어댑터가 일측에 고정(결착)된 이후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이탈하여 상기 어댑터와 신축파이프가 상호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PVC 재질의 스프링클러 주배관에 대응하기 위한 CPVC 재질의 어댑터를 상기 주배관에 결합하여 상기 어댑터와 주배관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상호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PVC 재질의 스프링클러 주배관에 대응하기 위한 CPVC 재질의 어댑터를 상기 주배관에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과 어댑터가 접착제에 의하여 용이하고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수단의 내부 관통공 일측 외주면을 따라 끼움부를 삽입 또는 접합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제 2 몸체부가 직접 접촉할 수 없도록 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 사이에서 이중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축파이프와 결합하는 측 내부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3 몸체부와, 상기 제 3 몸체부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 3 확관부가 제 2 몸체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끼움부를 통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 사이에서 이중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을 상기 체결수단 내부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돌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삽입하여 상기 고정링과 돌출면에 의해 규정되는 사이 공간에 상기 제 3 확관부가 삽입되어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확관부의 최상부가 상기 제 3 몸체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데 적합한 두께의 고정링과 돌출면을 통해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 사이에서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3 확관부로부터 신축파이프의 양 말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안착부에 상기 주배관과 레듀셔의 일측이 안착되어 상기 주배관 그리고 레듀셔와, 신축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결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은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하는 신축파이프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스프링클러 주배관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를 포함하여 상기 오링 삽착과, 어댑터와 신축파이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상기 어댑터는 몸체를 이루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이한 직경 크기를 가지는 관통공들이 연통되어 형성되는 제 1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부는 1차 누설 방지를 위한 외측 오링이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의 일측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외측 오링삽입부와, 2차 누설 방지를 위한 내측 오링이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의 타측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내측 오링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상기 외측 오링삽입부는 외측방향을 따라 단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이후 상기 외측 오링을 상기 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내측 오링삽입부는 내측방향을 따라 단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의 결합 전 상기 내측 오링을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여 상기 오링 삽착과, 어댑터와 신축파이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상기 신축파이프는 신축성을 도모하여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시켜 주는 주름부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확관부와, 상기 제 1 확관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제 1 확관부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의 일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확관부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의 주름부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확관부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정도의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2 확관부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정도의 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어댑터는 CPVC 재질로 형성되어 CPVC 재질의 스프링클러 주배관과 접착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접착되어 시공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주배관에 접착되어 상기 주배관과 어댑터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주배관결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주배관결합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주배관과 어댑터의 용이하고 간편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신축배관은 신축파이프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파이프와 이종금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파이프와 레듀셔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수단의 몸체를 이루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 2 몸체부와, 상기 체결수단의 내부 관통공 일측 외주면을 따라 삽입 또는 접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제 2 몸체부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중금속 간 부식을 방지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끼움부는 상기 신축파이프와 결합하는 측 내부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3 몸체부와, 상기 제 3 몸체부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의 제 3 확관부가 상기 제 2 몸체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돌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상호 해제를 방지하는 고정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고정링과 돌출면 사이 공간에 상기 제 3 확관부가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고정링과 돌출면은 삽입되는 제 3 확관부의 최상부가 상기 제 3 몸체부와 접촉하지 않아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배관 결합 과정에서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어댑터를 고정하는 어댑터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오링 삽착과, 어댑터와 신축파이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상기 어댑터고정단계는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 오링을 삽입하는 내측 오링삽입단계와, 상기 내측 오링 삽입 후 상기 어댑터의 내측 관통공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상기 어댑터의 신축파이프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결합단계와, 상기 어댑터 결합 후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 오링을 삽입하는 외측 오링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오링 삽착과, 어댑터와 신축파이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배관 결합 과정에서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어댑터를 고정하는 어댑터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오링 삽착과, 어댑터와 신축파이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의 상기 어댑터고정단계는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 오링을 삽입하는 내측 오링삽입단계와, 상기 내측 오링 삽입 후 상기 어댑터의 내측 관통공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상기 어댑터의 신축파이프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결합단계와, 상기 어댑터 결합 후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 오링을 삽입하는 외측 오링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오링 삽착과, 어댑터와 신축파이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은 상기 외측 오링 삽입 후 상기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어댑터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확관부를 형성하는 1차 확관단계와, 상기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어댑터와 내외측 오링을 상기 제 1 확관부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어댑터의 제 1 접촉부가 상기 제 1 확관부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의 일단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어댑터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의 상기 어댑터고정단계는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1 확관부의 접촉 후 상기 어댑터의 제 2 접촉부 측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 2 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어댑터의 제 2 접촉부가 상기 제 2 확관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 주름부 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2차 확관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은 상기 신축파이프의 타단에 상기 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수단을 고정하는 체결수단고정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은 상기 체결수단고정단계는 상기 체결수단의 내측 관통공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타단을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수단의 끼움부와 고정링이 안착되어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결합단계와, 상기 끼움부와 고정링 사이 공간 측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 3 확관부를 형성하는 3차 확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댑터에 삽착되는 오링이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어댑터를 형성하여 상기 어댑터에 대한 오링 삽착의 비용이성과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의 외측 오링삽입부의 외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이후 외측 오링을 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내측 오링삽입부의 내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의 결합 전 내측 오링을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신축배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의 외측 오링삽입부의 외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이후 외측 오링을 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내측 오링삽입부의 내측방향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용이한 제조에 따른 원가절감과 그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외측 오링을 상기 어댑터의 일측에 미리 조립하지 않고 상기 어댑터와 독립적으로 신축파이프에 결착되므로 상기 어댑터의 신축파이프로의 용이한 결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파이프의 제 1 및 제 2 확관부가 어댑터의 제 1 및 제 2 접촉부와 접촉되어 상기 어댑터가 일측에 고정(결착)된 이후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이탈하여 상기 어댑터와 신축파이프가 상호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PVC 재질의 스프링클러 주배관에 대응하기 위한 CPVC 재질의 어댑터를 상기 주배관에 결합하여 상기 어댑터와 주배관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상호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PVC 재질의 스프링클러 주배관에 대응하기 위한 CPVC 재질의 어댑터를 상기 주배관에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과 어댑터가 접착제에 의하여 용이하고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수단의 내부 관통공 일측 외주면을 따라 끼움부를 삽입 또는 접합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제 2 몸체부가 직접 접촉할 수 없도록 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 사이에서 이중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축파이프와 결합하는 측 내부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3 몸체부와, 상기 제 3 몸체부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 3 확관부가 제 2 몸체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끼움부를 통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 사이에서 이중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을 상기 체결수단 내부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돌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삽입하여 상기 고정링과 돌출면에 의해 규정되는 사이 공간에 상기 제 3 확관부가 삽입되어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확관부의 최상부가 상기 제 3 몸체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데 적합한 두께의 고정링과 돌출면을 통해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 사이에서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3 확관부로부터 신축파이프의 양 말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안착부에 상기 주배관과 레듀셔의 일측이 안착되어 상기 주배관 그리고 레듀셔와, 신축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에서 신축파이프에 결착되는 어댑터 측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따른 신축파이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신축파이프의 단면도
도 8은 도 3에 따른 주배관의 참고도
도 9는 도 3에 따른 레듀셔의 참고도
도 10은 도 3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C-C'선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
도 12는 도 3에 따른 체결수단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D-D'선에 따른 체결수단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의 블럭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어댑터고정단계의 블럭도
도 16은 도 14에 따른 체결수단고정단계의 블럭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에 따른 신축배관의 결합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용 어댑터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내측 방향은 신축파이프(1)의 말단으로부터 주름부(11) 측 방향을, 외측 방향은 상기 주름부(11)로부터 신축파이프(1) 말단 측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따른 신축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신축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따른 주배관의 참고도이고, 도 9는 도 3에 따른 레듀셔의 참고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C'선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3에 따른 체결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D-D'선에 따른 체결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하여 주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와 결합하는 스프링클러 주배관(3)과, 스프링클러 헤드(h)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신축파이프(1)와 결합하는 레듀셔(5)와, 상기 주배관(3)과 간편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1)와 주배관(3)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7)와, 상기 신축파이프(1)와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와 레듀셔(5)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수단(9)을 포함하여 상기 어댑터(7)에 용이한 오링 삽착을 가능하게 하여 시공성 저하를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신축파이프(1)와 어댑터(7)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에 관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신축파이프(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하여 주는 구성이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는 후술할 스프링클러 주배관(3)의 결합을 위한 어댑터(7)가 결착되고, 타단에는 후술할 레듀셔(5)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9)이 결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는 주름부(11), 제 1 확관부(13), 제 2 확관부(15), 제 3 확관부(17)와, 안착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부(11)는 신축성을 도모하여 충격 및/또는 진동 등에 의해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시켜 주고 간편한 시공을 위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후술할 제 2 확관부(15)와 제 3 확관부(17)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름부(11)에 형성되는 주름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확관부(13)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어댑터(7)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측에 결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의 일단 측으로 이탈하여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확관부(13)는 신축파이프(1)에 어댑터(7)가 결착된 이후 상기 신축파이프(1)의 내측 관통공에 확관기계를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1)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확관부(15)는 상기 제 1 확관부(13)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어댑터(7)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주름부(11) 측으로 이탈하여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확관부(15)는 상기 어댑터(7)를 상기 제 1 확관부(13)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어댑터(7)의 일측을 고정시킨 후 타측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어댑터(7)의 양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3 확관부(17)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체결수단(9)이 상기 신축파이프(1)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안착부(19)는 상기 제 1 및 제 3 확관부(13, 17)로부터 상기 신축파이프(1)의 양 말단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스프링클러 주배관(3)과 레듀셔(5)의 일측이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3) 그리고 레듀셔(5)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3)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h)를 통해 살수되는 물을 상기 헤드(h) 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어댑터(7)에 의하여 신축파이프(1)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3)은 작업성을 위하여 C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축파이프(1)와 결합하는 측 스프링클러 주배관(3)의 직경 크기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직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레듀셔(5)는 스프링클러 헤드(h)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신축파이프(1)와 결합되며 그 말단에 예를 들어 후술할 체결수단(9)과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신축파이프(1)와 결합하는 측의 레듀셔(5)의 직경 크기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직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7)는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상기 어댑터(7) 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후술할 오링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축파이프(1)와 스프링클러 주배관(3)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의 일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상기 오링 삽착과, 상기 어댑터(7)와 신축파이프(1)의 결착의 용이성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7)는 CPVC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CPVC 재질의 스프링클러 주배관(3)과 접착제에 의하여 간편하게 접착될 수 있어 시공 비용 절감을 통해 경제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어댑터(7)는 제 1 몸체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몸체부(71)는 상기 어댑터(7)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몸체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한 직경 크기를 가지는 관통공들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몸체부(71)는 주배관결합부(711), 제 1 접촉부(712), 외측 오링삽입부(713), 신축파이프결합부(714), 내측 오링삽입부(715)와, 제 2 접촉부(7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배관결합부(711)는 상기 제 1 몸체부(71)의 일단으로부터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3)과 접촉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3)과 어댑터(7)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3)과 어댑터(7) 모두 C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주배관결합부(71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주배관(3)과 어댑터(7)의 용이하고 간편한 결합을 도모하여 시공비용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712)는 상기 제 1 확관부(13)와 접촉되어 상기 어댑터(7)가 신축파이프(1)의 일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주배관결합부(711)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접촉부(712)는 상기 제 1 확관부(13)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정도의 단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측 오링삽입부(713)는 1차 누설 방지를 위한 외측 오링(r1)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7)의 일측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외측 오링삽입부(713)는 종래의 오링삽입홈과는 달리 외측방향에 단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7)가 신축파이프(1)에 결합된 이후 상기 외측 오링(r1)을 상기 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도 11 참조). 따라서 상기 오링삽입홈 내 오링 삽착의 비용이성과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원가절감과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상기 외측 오링(r1)을 오링삽입홈에 미리 조립할 필요가 없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현장에서 직접 상기 어댑터(7)의 외측 오링삽입부(713)에 삽착시킬 수 있어 상기 어댑터(7)의 신축파이프(1)로의 용이한 결착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 역시 있다. 상기 외측 오링삽입부(713)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접촉부(712)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측 오링(r1)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연장면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다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외측 오링(r1)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신축파이프결합부(714)는 상기 어댑터(7)가 신축파이프(1)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 1 몸체부(71)의 내부 관통공일측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신축파이프(1)에 안착되는데 적합한 직경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몸체부(71)는 상기 외측 오링삽입부(713)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측 오링삽입부(715)는 2차 누설 방지를 위한 내측 오링(r2)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7)의 타측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오링삽입부(713)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측 오링삽입부(715)는 내측방향에 단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7)의 결합 전 상기 내측 오링(r2)을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링삽입홈 안으로의 오링 삽착의 비용이성과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원가절감과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상기 내측 오링(r2)을 오링삽입홈에 미리 조립할 필요가 없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현장에서 직접 상기 어댑터(7)의 내측 오링삽입부(715)에 삽착시킬 수 있어 상기 어댑터(7)의 신축파이프(1)로의 용이한 결착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 역시 있다. 상기 내측 오링삽입부(715)는 바람직하게 상기 신축파이프결합부(714)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내측 오링(r2)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내측 오링(r2)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제 2 접촉부(716)는 상기 제 2 확관부(15)와 접촉되어 상기 어댑터(7)가 신축파이프(1)의 주름부(11)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오링삽입부(715)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함입되어 상기 제 2 확관부(15)가 제 2 접촉부(716)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정도의 단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9)은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와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와 레듀셔(5) 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수단(9)은 제 2 몸체부(91), 체결부(93), 끼움부(95)와, 고정링(9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구성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몸체부(91)는 상기 체결수단(9)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상기 신축파이프(1) 및 레듀셔(5)와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부(91)는 외면은 상기 체결수단(9)을 배관 공구로 용이하여 결합 및 해제하기 위한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육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93)는 상기 체결수단(9)의 내측 관통공 일측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상기 관통공의 레듀셔(5)와 결합하는 측 외주면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93)의 암나사산을 통해 상기 레듀셔(5)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나사산과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듀셔(5)와 체결수단(9)과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95)는 상기 체결수단(9)의 내측 관통공 타측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의 신축파이프(1)와 결합하는 측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1)와 체결수단(9)의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신축파이프(1)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9)은 상이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와 제 2 몸체부(91)가 직접 접촉하여 상호 결합되는 경우 이종금속 간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9)은 상기 신축파이프(1)와 접촉하는 측 관통공에 상기 끼움부(95)를 삽입 또는 접합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끼움부(95)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끼움부(95)는 제 3 몸체부(951)와 돌출면(9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몸체부(951)는 상기 체결수단(9) 관통공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삽입 또는 접합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의 신축파이프(1)와 결합하는 측 외주면을 따라 삽입 또는 접합된다. 상기 제 3 몸체부(951)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3 몸체부(951)가 상기 제 2 몸체부(91)와 신축파이프(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몸체부(91)가 상기 신축파이프(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면(953)은 상기 제 3 몸체부(951)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신축파이프(1)의 제 3 확관부(17)가 상기 제 2 몸체부(91)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몸체부(951) 및 돌출면(953)에 의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와 체결수단(9)의 제 2 몸체부(91)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97)은 상기 체결수단(9) 상기 돌출면(953)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신축파이프(1)와 체결수단(9)의 상호 해제를 방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링(97)과 돌출면(953)에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상기 신축파이프(1)의 제 3 확관부(17)가 삽입될 수 있어 상기 신축파이프(1)와 체결수단(9)의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97)과 돌출면(953)은 그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제 3 확관부(17)의 최상부가 상기 제 2 몸체부(91)와 접촉하지 않아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의 블럭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어댑터고정단계의 블럭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따른 체결수단고정단계의 블럭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에 따른 신축배관의 결합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S1)에 대해 설명하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상기 배관 결합 과정에서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의 일단에 어댑터(7)를 고정하는 어댑터고정단계(S1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상기 신축파이프(1)와 체결수단(9)의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수단(9)을 고정하는 체결수단고정단계(S13)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S1)에 관한 것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고정단계(S11)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배관 결합 과정에서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의 일단에 어댑터(7)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를 위하여 내측 오링삽입단계(S111), 어댑터결합단계(S112), 외측 오링삽입단계(S113), 1차 확관단계(S114), 어댑터이동단계(S115)와, 2차 확관단계(S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오링삽입단계(S111)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상기 신축파이프(1) 외주면을 따라 내측 오링(r2)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S1)에 따르면, 어댑터의 오링삽입홈에 상기 내측오링(r2)을 미리 조립한 이후 상기 어댑터를 신축파이프(1)에 결합하는 것이 아닌 상기 내측 오링(r2)을 직접 상기 신축파이프(1)에 삽입하는 과정을 거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오링삽입부(715)에는 종래의 오링삽입홈과는 달리 내측방향에 단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7)의 결합 전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링삽입홈 안으로의 오링 삽착의 비용이성과 그에 따른 시공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원가절감과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상기 내측 오링(r2)을 오링삽입홈에 미리 조립할 필요가 없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현장에서 직접 상기 어댑터(7)의 내측 오링삽입부(715)에 삽착시킬 수 있어 상기 어댑터(7)의 신축파이프(1)로의 용이한 결착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 역시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결합단계(S112)는 상기 어댑터(7)의 내측 관통공에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삽입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에 상기 어댑터(7)의 신축파이프결합부(714)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어댑터결합단계(S112)를 통해 기 삽착된 내측오링(r2)은 상기 어댑터(7)의 내측 오링삽입부(715)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 오링삽입단계(S113)는 외측 오링(r1)이 상기 어댑터(7)의 외측 오링삽입부(713)에 삽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을 통해 상기 신축파이프(1) 외주면을 따라 외측 오링(r1)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외측 오링삽입단계(S113)는 내측 오링삽입단계(S111)와 마찬가지로, 어댑터의 오링삽입홈에 상기 내측오링(r2)을 조립한 이후 상기 어댑터를 신축파이프(1)에 결합하는 것이 아닌 상기 내측오링(r2)을 직접 상기 신축파이프(1)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 오링삽입단계(S111)와 동일한 이점을 가진다.
도 18(a)를 참조하면, 상기 1차 확관단계(S114)는 상기 신축파이프(1)에 결합된 어댑터(7)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확관부(13)를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신축파이프(1)의 내측 관통공에 확관기계를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이동단계(S115)는 상기 신축파이프(1)에 결합된 어댑터(7)와 내외측 오링(r1, r2)을 상기 1차 확관단계(S114)를 통해 형성된 제 1 확관부(13)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어댑터(7)의 제 1 접촉부(712)가 상기 제 1 확관부(13)와 접촉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기 어댑터(7)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 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와 어댑터(7)의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8(c)를 참조하면, 상기 2차 확관단계(S116)는 상기 어댑터이동단계(S115)를 통해 상기 제 1 확관부(13)와 접촉한 상기 어댑터(7)의 제 2 접촉부(716) 측에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 2 확관부(15)를 형성하여 상기 어댑터(7)의 제 2 접촉부(716)가 상기 제 2 확관부(15)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2 확관부(15)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내측 관통공에 확관기계를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댑터(7)의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주름부(11) 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신축파이프(1)와 어댑터(7)의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차 확관단계(S116)에 따라 상기 신축파이프(1)에 어댑터(7)를 고정한 이후 상기 주배관결합부(71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삽입될 스프링클러 주배관(3)과 어댑터(7)를 상호 결합한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고정단계(S13)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상기 신축파이프(1)와 체결수단(9)의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수단(9)을 고정하는 단계로, 이를 위하여 체결수단결합단계(S131)와 3차 확관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결합단계(S131)는 상기 체결수단(9)의 내측 관통공에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을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수단(9)의 끼움부(95)와 고정링(97)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신축파이프(1)와 체결수단(9) 사이의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3차 확관단계(S133)는 상기 체결수단(9)의 끼움부(95)와 고정링(97) 사이 공간 측에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 3 확관부(17)를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신축파이프(1)의 내측 관통공에 확관기계를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3차 확관단계(S133)에 따라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측이 상기 체결수단(9)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 이후, 상기 체결수단(9)과 레듀셔(5)가 상호 결합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신축파이프
11 : 주름부 13 : 제 1 확관부 15 : 제 2 확관부 17 : 제 3 확관부
19 : 안착부
3 : 스프링클러 주배관
5 : 레듀셔
7 : 어댑터
71 : 제 1 몸체부
711 : 주배관결합부 712 : 제 1 접촉부 713 : 외측 오링삽입부
714 : 신축파이프결합부 715 : 내측 오링삽입부 716 : 제 2 접촉부
9 : 체결수단
91 : 제 2 몸체부 93 : 체결부
95 : 끼움부
951 : 제 3 몸체부 953 : 돌출면
97 : 고정링
r1 : 외측 오링 r2 : 내측 오링
S1 : 신축배관 제조방법
S11 : 어댑터고정단계
S111 : 내측 오링삽입단계 S112 : 어댑터결합단계
S113 : 외측 오링삽입단계 S114 : 1차 확관단계
S115 : 어댑터이동단계 S116 : 2차 확관단계
S13 : 체결수단고정단계
S131 : 체결수단결합단계 S133 : 3차 확관단계

Claims (18)

  1.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하는 신축파이프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스프링클러 주배관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몸체를 이루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이한 직경 크기를 가지는 관통공들이 연통되어 형성되는 제 1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파이프는, 신축파이프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확관부와, 상기 제 1 확관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제 1 확관부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의 일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확관부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의 타단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접촉부와, 1차 누설 방지를 위한 외측 오링이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의 일측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외측 오링삽입부와, 2차 누설 방지를 위한 내측 오링이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의 타측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내측 오링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오링삽입부는 외측방향을 따라 단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이후 상기 외측 오링을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내측 오링삽입부는 내측방향을 따라 단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어댑터의 결합 전 상기 내측 오링을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여 상기 오링 삽착과, 어댑터와 신축파이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파이프는 신축성을 도모하여 상기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시켜 주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확관부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정도의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2 확관부가 접촉하여 상기 어댑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정도의 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CPVC 재질로 형성되어 CPVC 재질의 스프링클러 주배관과 접착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접착되어 시공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주배관과 접착되어 상기 주배관과 어댑터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주배관결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주배관결합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주배관과 어댑터의 용이하고 간편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관은 신축파이프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와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와 레듀셔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수단의 몸체를 이루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 2 몸체부와, 상기 체결수단의 내부 관통공 일측 외주면을 따라 삽입 또는 접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제 2 몸체부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중금속 간 부식을 방지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파이프는, 신축파이프의 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3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신축파이프와 결합하는 측 내부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3 몸체부와, 상기 제 3 몸체부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의 제 3 확관부가 상기 제 2 몸체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돌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관통공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상호 해제를 방지하는 고정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고정링과 돌출면 사이 공간에 상기 제 3 확관부가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과 돌출면은 삽입되는 제 3 확관부의 최상부가 상기 제 2 몸체부와 접촉하지 않아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13.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배관 결합 과정에서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어댑터를 고정하는 어댑터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고정단계는,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 오링을 삽입하는 내측 오링삽입단계와, 상기 내측 오링 삽입 후 상기 어댑터의 내측 관통공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삽입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에 상기 어댑터의 신축파이프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결합단계와, 상기 어댑터 결합 후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을 통해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 오링을 삽입하는 외측 오링삽입단계와, 상기 외측 오링 삽입 후 상기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어댑터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확관부를 형성하는 1차 확관단계와, 상기 신축파이프에 결합된 어댑터와 내외측 오링을 상기 제 1 확관부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어댑터의 제 1 접촉부가 상기 제 1 확관부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의 일단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어댑터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고정단계는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1 확관부의 접촉 후 상기 어댑터의 제 2 접촉부 측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 2 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어댑터의 제 2 접촉부가 상기 제 2 확관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어댑터가 신축파이프의 타단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2차 확관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신축파이프의 타단에 상기 신축파이프와 체결수단의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수단을 고정하는 체결수단고정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고정단계는 상기 체결수단의 내측 관통공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타단을 삽입하여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수단의 끼움부와 고정링이 안착되어 이종금속 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결합단계와,
    상기 끼움부와 고정링 사이 공간 측에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 3 확관부를 형성하는 3차 확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제조방법.
KR1020160037045A 2016-03-28 2016-03-28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77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45A KR101778100B1 (ko) 2016-03-28 2016-03-28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45A KR101778100B1 (ko) 2016-03-28 2016-03-28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100B1 true KR101778100B1 (ko) 2017-09-27

Family

ID=6003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045A KR101778100B1 (ko) 2016-03-28 2016-03-28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879B1 (ko) * 2020-03-12 2020-11-06 주식회사 다성테크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KR102631575B1 (ko) * 2023-05-18 2024-01-31 이희태 소방용 신축배관 자동 너트 체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22B1 (ko) *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22B1 (ko) *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879B1 (ko) * 2020-03-12 2020-11-06 주식회사 다성테크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KR102631575B1 (ko) * 2023-05-18 2024-01-31 이희태 소방용 신축배관 자동 너트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7530B2 (ja) 弧状剛性リブを有する継手
CN108779882B (zh) 具有带凸片的固持器的联接器
US7690693B2 (en) Pre-assemblable, push-in fitting connection for corrugated tubing
JP4088923B2 (ja) 波形のたわみ管用の管継手
US8770630B2 (en) Hose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arrangement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EA003502B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10177810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RU2543916C2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20170128761A (ko) 개선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101748395B1 (ko) 개선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JP2007032598A (ja) 管継手構造および管継手システム
US5180195A (en) Joint locking system for pipe
US9765911B2 (en) Soil pipe coupler
JP6110550B1 (ja) ホース接続具
JPH07253187A (ja) 管継手
KR102383855B1 (ko) 플렉시블 조인트
JP4542364B2 (ja) 管接続構造及び挿口管部への管内作業機の取付け方法
MX2011002785A (es) Accesorio compuesto en dos partes.
JP2007225011A (ja) 分岐管継手
ITBS20030054U1 (it) Raccordo di giunzione per tubi multistrato
KR101673243B1 (ko) 힌지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체결하는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US1298303A (en) Hose-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