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337B1 -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 Google Patents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337B1
KR101538337B1 KR1020140187383A KR20140187383A KR101538337B1 KR 101538337 B1 KR101538337 B1 KR 101538337B1 KR 1020140187383 A KR1020140187383 A KR 1020140187383A KR 20140187383 A KR20140187383 A KR 20140187383A KR 101538337 B1 KR101538337 B1 KR 10153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ing
connector
expanding
herme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현
신용
강영록
Original Assignee
(주) 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테크 filed Critical (주) 신테크
Priority to KR102014018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specially adapted for hos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가 개시된다.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는 배관연결구; 배관; 및 기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연결구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배관의 외면 일부에 상기 기밀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배관 및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확관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통해 상기 배관연결구 및 상기 배관은 결합된다.

Description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PIPE CONNECTION AND PIPE ASSEMBLY}
본 발명은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신속한 결합이 가능한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건축물의 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배관(piping)의 용도와,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배관 부속품(pipe fitting)이 마련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 부속품은 그 용도에 따라, 배관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엘보(elbow)와, 기존배관에서 새로운 배관을 분기시키는 티(tee)와, 배관과 다른 배관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유니온 이음(union joint)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배관 부속품과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배관과 배관 부속품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나사 이음(screw joint), 용접 이음(welding joint), 플랜지 이음(flange joint), 그루브드 이음(grooved joint) 등이 있다.
상술한 배관 부속품의 연결 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단부를 절삭가공 또는 소성 가공하여 배관 부속품을 장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나사 이음의 경우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단부에 테이퍼 나사를 절삭 가공하여 배관 부속품에 마련된 암나사부에 삽입하여 배관 부속품을 장착하고, 플랜지 이음의 경우에는 연결하고자하는 배관의 단부에 플랜지를 용접하고 배관 부속품에 마련된 플랜지의 결합면을 마주보게 하여 각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홀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플랜지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그루브드 이음은 연결하고자 하는 각 배관의 양단의 원주면에 소정 폭의 홈을 가공하여 형성하고, 배관의 이음부에 기밀을 위한 고무재질의 링을 끼워 넣고, 각 배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각 배관을 지지하는 돌기가 마련된 상, 하부 하우징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각 배관을 연결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과 배관 부속품의 연결방법은 배관의 단부를 가공하여 배관부속품을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관 연결에 따른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볼트 및 너트의 결합, 나사산 가공, 본딩 또는 용접 처리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배관연결구 및 배관이 간단하게 결합되고, 결합상태가 견고하며,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고, 유체 이동을 위한 배관 설비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배관연결구; 배관; 및 기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연결구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배관의 외면 일부에 상기 기밀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배관 및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확관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통해 상기 배관연결구 및 상기 배관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연결구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상기 제1 걸림턱에 지지되는 제1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관부는 상기 제1 걸림턱의 앞에서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은 하나 이상의 제2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확관부는 상기 기밀부재가 결합된 부분에서 1회 이상으로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연결구는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배관 및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2 걸림턱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기밀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제2 걸림턱에 지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확관부는 상기 제1 확관부를 단말 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압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연결구는 환형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상기 환형홈에 지지되는 제1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관부는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에서 상기배관의 외경이 상기 환형홈의 내측을 향해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연결구의 다른 예로서 소켓 형태의 배관연결구를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가 배관 부속품들과 연결되는 형태를 예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연결구 및 배관을 연결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배관연결구에 배관 부속품이 결합된 상태 및 배관 부속품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배관 부속품의 개구가 마감재로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배관 부속품이 천정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존의 볼트 및 너트의 결합, 나사산 가공, 본딩 또는 용접 처리에 의해 배관연결구 및 배관을 연결하는 방식을 탈피한 새로운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을 통해 결합된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는 서로 결합된 배관연결구(100); 기밀부재(300); 및 배관(200)을 포함하며, 각각의 결합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배관연결구(100), 기밀부재(300) 및 배관(200)은 서로 결합하기 위해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모두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배관연결구(100)는 배관과 배관이 연결될 때 배관들 사이에서 각각의 배관들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배관과 배관 부속품, 예를 들면, 엘보(elbow), 티(tee)와 같은 배관 부속품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배관연결구(100)는 배관(200)의 일부분 및 기밀부재(300)를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연결구(100)는 배관연결구(100)와 결합하는 배관(200)의 일부분 및 기밀부재(300)를 수용하는 제1 영역과, 타 배관 또는 배관 부속품과 결합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영역은 타 배관 또는 배관 부속품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예를 들면, 니플 형태)이거나, 타 배관 또는 배관 부속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형태(예를 들면, 소켓 형태)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니플 형태에 대해 예시되어 있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연결구의 다른 예로서 소켓 형태의 배관연결구를 예시한다.
이러한 배관연결구(100)는 상기 배관(200)과의 결합을 위해, 제1 단턱부(110)를 포함한다. 제1 단턱부(110)는 배관연결구(1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단턱부(110)는 제1 영역의 제1 단부(100a)로부터 소정의 길이, 예를 들면, 길이 L 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연결구(100)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PVC 재질일 수 있다.
기밀부재(300)는 배관연결구(100) 및 배관(2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기밀부재(300)는 배관연결구(100)의 제1 단턱부(110)의 뒤로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면, 배관연결구(100)의 제1 단부(100a) 및 제1 단턱부(110)의 이격된 길이 L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배관(200)은 일부분이 배관연결구(100)의 제1 영역에서 제1 단부(100a)를 통해 배관연결구(100)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배관(200)은 제1 확관부(210) 및 제2 확관부(220)를 포함한다.
제1 확관부(210)는 배관(200)의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된다. 제1 확관부(210)는 배관연결구(100)의 내면의 제1 단턱부(110)의 앞에 위치하여 제1 단턱부(110)에 지지되어 있다.
제2 확관부(220)는 배관(200)의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된다. 제2 확관부(220)는 제1 확관부(2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기밀부재(300)가 위치한 부분에 배치되어 기밀부재(300)의 일부분을 가압하고 있다. 제2 확관부(220)는 기밀부재(300)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기밀부재(300)가 배관연결구(100)의 내면 및 배관(200)의 외면 사이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확관부(22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 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확관부(2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복수인 경우 그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2 확관부(220)는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관부(220)가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확관부(220)는 하나 일 수 있다.
이러한 배관(200)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SUS) 관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가 배관 부속품들과 연결되는 형태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배관연결구(100)의 제2 영역은 배관 부속품들(500)과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결합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연결구 및 배관을 연결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은, 배관연결구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배관의 말단부를 삽입하는 단계(S110);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배관의 외면 일부에 기밀부재를 체결하는 단계(S120); 상기 배관 및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S130); 확관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단계 S110 내지 S150에 각각 대응된다.
S110 단계에서는, 배관(200)의 말단부가 배관연결구(100)의 제1 단부를 통해 배관연결구(1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배관(200)의 직경은 배관연결구(10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배관(200)의 외면은 배관연결구(100)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D)으로 이격된다.
S120 단계에서는, 배관연결구(100)의 내부로 삽입된 배관(200)을 배관연결구(100)의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를 향해 더 전진시켜서 배관(200)의 말단부를 제2 단부의 외부로 인출한다. 이때, 배관(200)이 인출된 길이는 상기 길이 L 보다 긴 길이로 인출된다. 배관(200)의 말단부가 인출되면 배관(200)의 외면 일부에 기밀부재(300)가 체결된다. 여기서, 기밀부재(300)의 길이는 상기 길이 L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고, 기밀부재(300)의 두께는 배관(200)의 외면과 배관연결구(100)의 내면이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는 두께일 수 있다. 또한 기밀부재(300)는 배관(200)의 말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한다.
S130 단계에서는, 기밀부재(300)가 체결된 배관(200)을 배관연결구(100)의 내부로 위치시킨다. 이때, 기밀부재(300)는 배관연결구(100) 내부의 제1 단턱부(110)의 뒤로 위치하도록 하고, 기밀부재(300) 및 배관(200)의 말단부 사이의 배관(200)의 일부 영역은 제1 단턱부(110)의 앞에 위치하도록 한다.
S140 단계에서는, 확관기를 이용하여 배관(200)의 외경을 확장시킨다. 이때, 배관(200)의 외경이 확장되는 부분은 제1 단턱부(110)의 앞에 위치하는 배관(200)의 일부 영역이다.
여기서, 확관기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도 6d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다. 즉, 확관기(400)는 신축성이 없는 소재, 예를 들면, 철재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2개의 가압부재(410) 및 2개의 가압부재(410) 사이에 위치한 신축성 있는 소재, 예를 들면, 고무로 이루어진 신축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200)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기 위해 이러한 확관기(400)는 배관(2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신축부재(420)는 배관(200)의 외경을 확장시키고자 하는 영역에 위치되고, 2개의 가압부재(410)를 신축부재(420)를 향해 밀어서 신축부재(420)를 가압하거나, 1개의 가압부재(410)는 배관(200)의 내부에 고정시키고 다른 1개의 가압부재(410)를 신축부재(420)를 향해 밀어서 신축부재(420)를 가압하여, 신축부재(420)를 배관(200)의 내경 및 외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링 형태로 변형시킨다. 링 형태로 변형된 신축부재(420)는 배관(200)의 내면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해 배관(200)의 외경은 확장되어 제1 단턱부(110) 앞에 위치하는 제1 확관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제1 확관부(210)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S140 단계에서는 배관연결구(100)의 제1 단턱부(110)의 앞에서 배관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만이 실행되어도 무관하지만, 기밀부재(30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기밀부재(300)가 결합된 부분에서 배관(200)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배관(200)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배관(200)의 내부로 삽입된 확관기(400)의 신축부재(420)가 기밀부재(300)가 체결되어 있는 배관(200)의 영역 내로 위치시킨 후 앞서 설명한 확관기(400)를 이용한 배관(200)의 외경의 확장 과정을 실시한다. 일 예로, 기밀부재(300)가 결합된 부분에서 추가적으로 배관(200)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과정은 기밀부재(300)의 길이 범위 내에서 확관기(400)를 소폭으로 이동시키면서 2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배관(200)에는 복수의 제2 확관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은 앞서 설명된 S110 내지 S140의 단계로 완료될 수 있으나, 더욱 견고한 연결을 위해, 제1 걸림턱 앞에서 확관된 부분, 즉 제1 확관부(210)를 단말 처리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라 함은, 배관의 확관된 부분을 압착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S150 단계에서는, 예를 들면, 유압잭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제1 확관부(210)의 전방에 위치한 배관(200)의 말단부에 배관(200)의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1 확관부(210)를 단말 처리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확관부(210)는 압착된다. 예를 들면, 제1 확관부(210)는 단면 형상이 삼각뿔과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압착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처리된 제1 확관부(210)는 제1 단턱부(110) 및 배관연결구(100)의 내면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각 단계들(S110, S120, S130, S140, S150)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가 완성된다. 배관연결구(100) 및 배관(200)이 결합된 상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구조들에 의해 견고한 상태를 이룬다.
첫째, 배관연결구(100)의 제1 단턱부(110) 및 배관연결구(100)의 내면에 배관(200)의 제1 확관부(210)가 밀착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관연결구(100) 내부로 삽입된 배관(200)의 결합부분은 배관연결구(100)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둘째, 기밀부재(300)가 배관연결구(100)의 내면 및 배관(200)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배관(200)에 형성된 제2 확관부(220)는 기밀부재(300)를 향해 확관되어 기밀부재(300)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기밀부재(300)에서 제2 확관부(220)에 대응하는 부분은 수축하여 배관연결구(100)의 내면에 단단히 밀착하게 되고, 제2 확관부(220)는 기밀부재(300)와 단단히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기밀부재(300)는 배관연결구(100)의 내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높은 수밀성이 확보되며, 배관(200) 및 배관연결구(10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배관연결구(100)는 제1 단부(100a)에 형성된 제2 단턱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관연결구(100)에 제2 단턱부(120)이 더 형성되는 경우, S130의 단계에서, 배관(200) 및 기밀부재(300)가 배관연결구(100) 내부로 위치하도록 이동될 때 상기 제1 단부(100a)에 대향하는 기밀부재(300)의 일단부가 제2 단턱부(120)에 지지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관(200) 및 기밀부재(300)를 이동 거리를 감안하지 않더라도 기밀부재(300)의 단부가 제2 단턱부(120)에 지지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기밀부재(300)는 제1 단턱부(110) 및 제2 단턱부(120)의 사이에 정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밀부재(300) 및 배관(200)을 배관연결구(100)의 내부의 결합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의 결합구조를 볼 때, 기밀부재(300)의 단부는 제2 단턱부(120)에 지지되므로 기밀부재(300)가 배관연결구(100)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배관연결구(100)는 도 3에 도시된 제1 단턱부(110)를 대신하는 환형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연결구(100)에 환형홈(110')이 형성되는 경우, S140의 단계에서, 환형홈(110')의 내측을 향해 배관(200)의 외경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환형홈(110')의 내측을 향해 외경이 확장된 부분은 배관(200)의 제1 확관부(210)를 형성하며, 제1 확관부(210)는 환형홈(11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의 결합구조를 볼 때, 환형홈(110') 내로 제1 확관부(210)가 위치함에 따라 배관(200)이 배관연결구(100)의 양단부를 향해 밀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배관(200)이 배관연결구(100)에 결합된 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을 이용하여 완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을 결합하는 과정이 신속해지고, 배관 대 배관의 연결 및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을 위해 이용된, 볼트 및 너트의 결합, 나사산 가공, 본딩 또는 용접 처리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배관연결구 및 배관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는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어 수밀성이 확보되고, 배관연결구 및 배관을 고정하는 별도의 부품이 없이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유체 이동을 위한 배관 설비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관 부속품과 결합될 수 있는데, 배관 부속품과 결합되는 경우 배관 부속품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배관연결구에 배관 부속품이 결합된 상태 및 배관 부속품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배관 부속품(500)은 배관연결구(10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배관 부속품(500)은 배관(20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어 있는 배관 부속품(500)은 확관기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510)가 배관(200)과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배관 부속품(500)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라도 배관(200)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과정을 자유롭게 실시하여 배관(200) 및 배관연결구(10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개구(510)는 배관(200)의 외경을 확장시켜서 배관(200) 및 배관연결구(100)를 결합하는 과정 이후에 밀폐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배관 부속품의 개구가 마감재로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개구(510)는 마감재(600)로 밀폐된다. 마감재(600)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제일 수 있다. 마감재(600)는 개구(510)를 밀폐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면 특별히 크기에 제한은 없다. 한편 마감재(600)에는 제1 나사구멍(6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구멍(610)에 도 11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는 연결이 완료된 이후 실내공간의 천정에 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화용 배관으로서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관(200)이 일방향으로만 연장될 때는 배관(200)을 지지하기 위한 큰 힘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간단한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배관(200)을 천정에 지지할 수 있다.
반면, 배관 부속품(500)을 중심으로 배관(200)이 다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이면 배관 부속품(500)을 천정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배관 부속품(500)을 천정에 견고히 고정하는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아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배관 부속품이 천정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배관연결구(100)와 결합된 상태의 배관 부속품(500)을 천정(10)에 고정하기 위해 원통 형상의 천정연결봉(700)이 이용될 수 있다. 천정연결봉(700)의 상단부는 천정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배관연결구(100)와 연결되어 배관 부속품(500)을 천정에 고정할 수 있다. 천정연결봉(700)이 천정 및 배관 부속품(500)과 결합되기 위해, 마감재(600)의 상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제1 나사구멍(610)이 형성될 수 있고, 천정에 제2 나사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천정연결봉(700)의 상단부를 제2 나사구멍(11)에 나사결합하고 하단부를 제1 나사구멍(610)에 나사결합하면 천정연결봉(700)에 의해 배관 부속품(500)은 천정에 고정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배관연결구; 배관; 및 기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연결구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배관의 외면 일부에 상기 기밀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배관 및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확관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관의 확장된 부분을 단말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배관연결구 및 상기 배관은 결합되고,
    상기 배관연결구는 상기 배관연결구의 제1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밀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제2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환형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상기 환형홈에 지지되는 제1 확관부 및 상기 기밀부재에 접하는 다수의 제2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배관 및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2 걸림턱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기밀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제2 걸림턱에 지지되고,
    상기 제1 확관부는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배관의 전체 길이 중 상기 기밀부재의 단부에 인접한 일부분을 상기 환형홈의 내측을 향해 확장시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확관부는 상기 배관의 확장된 부분을 단말처리하는 단계에서 압착되어 단말처리되고,
    상기 제2 확관부는 상기 배관의 전체 길이 중 상기 기밀부재와 접하여 있는 일부분의 내측에서 상기 확관기를 소폭 이동시키면서 상기 배관의 외경을 2회 이상 확장시키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추가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배관의 반대편에서 상기 배관연결구에 결합되는 배관 부속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관 부속품은 상기 배관에 대향하게 위치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기는 상기 배관 부속품이 상기 배관연결구와 결합된 경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마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는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의 확장이 완료된 이후 상기 배관 부속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부속품이 상기 배관연결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배관 부속품을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천정연결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천정연결봉은 상단부가 천정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마감재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 부속품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KR1020140187383A 2014-12-23 2014-12-23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KR10153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83A KR101538337B1 (ko) 2014-12-23 2014-12-23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83A KR101538337B1 (ko) 2014-12-23 2014-12-23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337B1 true KR101538337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383A KR101538337B1 (ko) 2014-12-23 2014-12-23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3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54U (ko) * 2017-09-05 2019-03-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배관 커넥터 및 검사장치
KR102000670B1 (ko) * 2018-04-11 2019-07-16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KR20200082704A (ko) * 2018-12-31 2020-07-08 정운택 소방용 신축 배관
KR102243480B1 (ko) 2020-09-04 2021-04-22 문재일 배관 연결용 조인트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883A (en) * 1974-06-12 1975-12-09 Weatherhead Co Hose coupling
JPH0735271A (ja) * 1993-07-20 1995-02-07 Usui Internatl Ind Co Ltd 金属細径配管の連結固定方法
JP2003254474A (ja) * 2002-03-05 2003-09-10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鋼管の拡径接合継手構造
KR20110137010A (ko) * 2010-06-16 2011-12-22 모경택 멀티엘보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883A (en) * 1974-06-12 1975-12-09 Weatherhead Co Hose coupling
JPH0735271A (ja) * 1993-07-20 1995-02-07 Usui Internatl Ind Co Ltd 金属細径配管の連結固定方法
JP2003254474A (ja) * 2002-03-05 2003-09-10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鋼管の拡径接合継手構造
KR20110137010A (ko) * 2010-06-16 2011-12-22 모경택 멀티엘보연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54U (ko) * 2017-09-05 2019-03-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배관 커넥터 및 검사장치
KR200489626Y1 (ko) * 2017-09-05 2019-07-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배관 커넥터 및 검사장치
KR102000670B1 (ko) * 2018-04-11 2019-07-16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KR20200082704A (ko) * 2018-12-31 2020-07-08 정운택 소방용 신축 배관
KR102333915B1 (ko) * 2018-12-31 2021-12-01 정운택 소방용 신축 배관
KR102243480B1 (ko) 2020-09-04 2021-04-22 문재일 배관 연결용 조인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2098B2 (ja) ノンボルト継手構造およびノンボルト継手構造を形成する方法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US8230573B2 (en) Hose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arrangement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US6779269B2 (en) Self-compensating hose coupling
US20140361535A1 (en) Connection assembly
KR101377198B1 (ko) 부품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JP2007032598A (ja) 管継手構造および管継手システム
KR200269760Y1 (ko) 배관용 조인트
KR200220136Y1 (ko) 파이프 연결구
RU2761694C2 (ru) Фитинг для медицинской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ы
KR101538336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
KR200448977Y1 (ko) 배관 연결구
US20210003240A1 (en) Wall socket
KR20140100697A (ko) 가스 주름관 연결장치
KR20140098967A (ko) 가압식 패킹부재를 이용한 배관 커플러
KR200269752Y1 (ko) 배관용 조인트
CN112377705A (zh) 位置可调三通连接结构
EP3265714A1 (en) Wall socket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US20130099480A1 (en) Expansion Connector for a Fluid Connection Hose
KR101024326B1 (ko) 고압용 관 연결 조인트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JP5917198B2 (ja) 伸縮可撓式継手とこれを用いたサドル付分水栓
KR20130001740U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