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70B1 -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70B1
KR102000670B1 KR1020180042417A KR20180042417A KR102000670B1 KR 102000670 B1 KR102000670 B1 KR 102000670B1 KR 1020180042417 A KR1020180042417 A KR 1020180042417A KR 20180042417 A KR20180042417 A KR 20180042417A KR 102000670 B1 KR102000670 B1 KR 10200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dapter
nut
piping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6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어댑터를 기계적으로 배관에 신뢰성 있게 결합하고 배관 사이에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배관 결합용 어댑터는 배관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는데, 내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일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 내측에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그루우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어댑터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Adapter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p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댑터를 기계적으로 배관에 신뢰성 있게 결합하고 배관 사이에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련한다.
어댑터(adapter)는 배관에 결합하여 해당 배관에 다른 대상물, 가령 다른 배관이나 부품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와 관련되어 국내 등록특허 제1538337호는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를 개시하고 있다.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는 배관연결구; 배관; 및 기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연결구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배관의 말단부를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인 제2 단부의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배관의 외면 일부에 상기 기밀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배관 및 상기 기밀부재를 상기 배관연결구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확관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통해 상기 배관연결구 및 상기 배관이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에 의하면, 배관연결구를 이용하여 배관 사이가 연결되면 배관의 길이를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배관연결구의 내부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배관의 제1확관부를 안착시켜 배관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어 배관과 배관연결부의 결합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결합 과정에서 확관기를 이용하여 지정된 위치에 제1 및 제2확관부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로워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 형태로 끼워진 기밀부재에 의해서만 누수를 차단하기 때문에 누수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 과정에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 신뢰성과 누수 신뢰성이 향상된 배관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 후에도 길이 조절을 위해 분해가 용이한 배관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배관 결합용 어댑터로서, 상기 어댑터는 배관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내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일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 내측에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그루우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용 어댑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측면에 상기 배관을 가압하는 볼트가 끼워지는 볼트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은, 제1배관과 제2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배관의 단부에 어댑터가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배관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용 엠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제1배관의 단부는 수평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어댑터는 일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 내측에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엠보스가 끼워지는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배관은 기밀부재가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제1배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배관에 끼워진 너트가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어댑터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패킹이 상기 너트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너트는 내부에 양단의 직경이 다른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큰 직경의 일단 내측에 상기 어댑터의 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작은 직경의 타단에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패킹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 홈은 연속하는 그루우브이거나 상기 엠보스에 대응하여 이격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 후에도 어댑터와 나사 결합한 너트를 분해한 후 어댑터가 결합되지 않은 배관을 잡아 빼거나 더 깊이 끼워 쉽게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어댑터를 배관에 결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일단 결합되면 배관의 엠보스와 플랜지에 의해 어댑터가 배관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어댑터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패킹이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배관의 플랜지, 어댑터의 몸체 및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배관과 어댑터 사이의 틈을 통한 누수가 확실하게 차단된다. 더욱이, 배관에 끼워진 오-링에 의해 누수가 더욱 확실하게 차단된다.
또한, 패킹을 개재하여 너트와 어댑터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제1배관의 엠보스와 플랜지 두 부분에 의해 어댑터와 결합을 이루기 때문에 어댑터는 제1배관으로부터 이탈되기 어려우며, 제2배관의 경우, 오-링이 제1배관의 내면에 대해 미끄러지더라도 패킹에 의해 걸리기 때문에 쉽게 빠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댑터를 적용한 배관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나타낸다.
도 3(a)은 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3(b)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댑터를 적용한 배관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나타낸다.
이 실시 예에서는 어댑터(100)를 적용하여 배관(200, 300)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관(200) 대신에 다른 부품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댑터(100)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배관(300)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용 엠보스(310)가 다수 개 돌출되고, 단부는 수평으로 절곡되어 플랜지(320)를 형성한다.
엠보스(310)는, 가령 배관(300)의 내측으로부터 기설정된 형상으로 프레스 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실시 예와 같이 다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지 않고 연속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배관(300)이나 어댑터(1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배관(200)에는 오-링(220, 222)이 끼워지는 삽입 홈(210, 21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너트(240)는 어댑터(100)와 나사 결합하는데, 도 2(a)를 참조하면, 너트(240)의 내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데 양단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큰 직경의 일단 내측에 나사부(242)가 형성되고, 배관(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작은 직경의 타단에는 가압부(243)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너트(240)와 어댑터(100)를 패킹(230)을 개재하여 나사 결합할 경우, 너트(240)의 가압부(243)는 패킹(230)을 강하게 가압하여 밀착한다.
이 실시 예에서, 너트(240)의 가압부(243)는 패킹(230)의 삼각형의 단면 형상에 매칭되도록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어댑터(100)는 배관(300)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는데, 도 2(b)를 참조하면, 어댑터(100)는 내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단일 몸체(110)로 이루어지며, 일단의 외주면에 나사부(120)가 형성되고 일단 내측에 단턱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110)의 내주면에는 배관(300)에 형성된 엠보스(310)가 끼워지는 연속하는 그루우브(140)가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불연속하는, 다시 말해 다수 개의 엠보스(310)에 대응하도록 삽입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몸체(110)의 측면에 볼트 구멍(1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볼트 구멍(150)에는 다른 부품이 나사 결합되어 부착되거나 무두 볼트가 결합하여 배관(300)을 가압함으로써 어댑터(100)와 배관(300)을 더욱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a)은 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3(b)은 단면도이다.
먼저, 어댑터(100)를 배관(300)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 도 2(a)의 화살표 방향으로 어댑터(100)를 배관(300)에 끼워 올리는데,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어댑터(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그루우브(140)에 배관(300)의 엠보스(310)가 강제로 끼워지면서 배관(30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320)는 어댑터(100)의 단턱부(130)에 안착된다.
따라서, 어댑터(100)를 배관(300)에 결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일단 결합되면 배관(300)의 엠보스(310)와 플랜지(330)에 의해 어댑터(100)가 배관(300)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어댑터(100)의 단턱부(130)가 단부로부터 깊게 형성되어 배관(300)의 플랜지(320)가 안착되어도 일정한 수용 공간(322)이 형성된다.
한편, 배관(200)의 삽입 홈(210, 21)에는 오-링(220, 222)을 끼워 연결 준비를 한 다음, 배관(200)의 단부로부터 너트(240)를 끼운 상태에서 배관(300)에 강제로 끼운다.
이어 단면이 삼각형 형상의 패킹(230)을 수용 공간(322)에 안착한 상태에서, 너트(240)를 어댑터(100)와 나사 결합하여 조인다.
도 3(b)과 같이, 너트(240)가 어댑터(100)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패킹(230)이 개재되는데, 너트(240)의 가압부(243)가 경사를 이루고 있어 수용 공간(322)의 형상은 대략 패킹(230)과 같은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너트(240)의 가압부(243)가 패킹(230)을 강하게 압착하여 패킹(230)이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배관(300)의 플랜지(330), 어댑터(100)의 몸체(110) 및 배관(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배관(200)과 어댑터(100) 사이의 틈을 통한 누수가 확실하게 차단된다.
더욱이, 배관(200)에 끼워진 오-링(220, 222)에 의해 누수가 더욱 확실하게 차단된다.
또한, 패킹(230)을 개재하여 너트(240)와 어댑터(100)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배관(300)의 엠보스(310)와 플랜지(330) 두 부분에 의해 어댑터(100)와 결합을 이루기 때문에 어댑터(100)는 배관(300)으로부터 이탈되기 어렵다.
배관(200)의 경우, 상방으로 잡아당겨 오-링(220, 222)이 배관(300)의 내면에 대해 미끄러지더라도 패킹(230)에 의해 걸리기 때문에 쉽게 빠지지 않는다.
상기한 것처럼, 이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머리 없는 볼트를 어댑터(100)의 볼트 구멍(150)에 끼워 가압함으로써 어댑터(100)와 배관(300)의 결합을 더욱 확실하게 하거나, 다른 부품을 볼트를 개재하여 어댑터(100)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배관(200)의 길이를 조절하려면 어댑터(100)에 나사 결합한 너트(240)를 푼 다음, 배관(300)에 대해 배관(200)을 잡아 빼거나 더 깊이 끼워 쉽게 길이 조절을 한 후 다시 너트(240)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너트(240)를 풀기만 하면 배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어댑터
200, 300: 배관
220, 222: 오-링
230: 패킹
240: 너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제1배관과 제2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배관의 단부에 어댑터가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배관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용 엠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제1배관의 단부는 수평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어댑터는 일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 내측에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엠보스가 끼워지는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배관은 기밀부재가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제1배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배관에 끼워진 너트가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어댑터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패킹이 상기 너트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
  4. 청구항 3에서,
    상기 너트는 내부에 양단의 직경이 다른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큰 직경의 일단 내측에 상기 어댑터의 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작은 직경의 타단에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패킹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
  5. 청구항 3에서,
    상기 삽입 홈은 연속하는 그루우브이거나 상기 엠보스에 대응하여 이격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
KR1020180042417A 2018-04-11 2018-04-11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KR10200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17A KR102000670B1 (ko) 2018-04-11 2018-04-11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17A KR102000670B1 (ko) 2018-04-11 2018-04-11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55A Division KR102013451B1 (ko) 2019-07-05 2019-07-05 배관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670B1 true KR102000670B1 (ko) 2019-07-16

Family

ID=6747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17A KR102000670B1 (ko) 2018-04-11 2018-04-11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039Y1 (ko) * 2000-04-11 2000-10-02 최영철 호스 연결구
KR20140062166A (ko) * 2011-09-22 2014-05-2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
KR101538337B1 (ko) * 2014-12-23 2015-07-22 (주) 신테크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039Y1 (ko) * 2000-04-11 2000-10-02 최영철 호스 연결구
KR20140062166A (ko) * 2011-09-22 2014-05-2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
KR101538337B1 (ko) * 2014-12-23 2015-07-22 (주) 신테크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5917A (ko) 주름관 연결구
US8056939B2 (en) Plug connector for piping
KR101723205B1 (ko) 냉매관 연결구
JP2011163533A (ja) 管継手
KR10200067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JP3086898B2 (ja) 管継手
KR100242821B1 (ko)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TWI624612B (zh) 管接頭
KR100871105B1 (ko) 결합체결이 간편한 배관이음형 커플링
JP6343131B2 (ja) 継手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102013451B1 (ko) 배관 결합체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20060103698A (ko) 주름관 연결 구조
JP2009133417A (ja) 管継手
JP4045305B1 (ja) 管継手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200123920A (ko)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KR20210104894A (ko) 조인트 구조체
KR20160095571A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20070049269A (ko) 급수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간편하게 연결 할수 있는리듀싱 커플링
JP6294986B1 (ja) 直管パイプ用継手
KR200213663Y1 (ko) 배관 연결구
KR100446186B1 (ko) 튜브커플러
KR200231636Y1 (ko) 관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