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663Y1 -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663Y1
KR200213663Y1 KR2020000026232U KR20000026232U KR200213663Y1 KR 200213663 Y1 KR200213663 Y1 KR 200213663Y1 KR 2020000026232 U KR2020000026232 U KR 2020000026232U KR 20000026232 U KR20000026232 U KR 20000026232U KR 200213663 Y1 KR200213663 Y1 KR 200213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crew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tapered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2020000026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663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 파이프 상호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기밀유지는 물론, 파이프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음관(6)의 내주면 경사면(10)에 패킹(5)과 와샤(4)를 차례로 삽설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를 상기 패킹(5)과 와샤(4)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이음관(6)의 걸림턱(9)까지 밀어 넣은 후에, 상기 이음관(6)에 고정볼트(3)를 나사결합하면 상기 이음관(6)의 경사면(10)에 설치된 패킹(5)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패킹(5)이 이음관(6) 내주면의 경사면(10)과 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에 압축 밀착되어 배관의 기밀을 유지하게 하고, 그런 다음에 고정볼트(3)에 구비된 다수의 절개부(7)를 갖는 테이퍼나사부(12)를 조임너트(2)로 나사결합하여 고정볼트(3)와 파이프(1)가 견고하게 압축 밀착되게 함으로써, 배관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배관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구{Pipe fittings}
본 고안은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 파이프 상호간을 연결하는 메카니칼 이음 구조로써 배관의 기밀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견고한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카니칼 이음 구조는, 첨부된 도 1과 도 2와 같이 내주면의 축방향 중앙부에 걸림턱(9)을 형성한 이음관(6)을 구비하고, 상기 이음관(6)의 내주면에 신축성 있는 패킹(5)과 와샤(4)를 차례로 삽설한 후에,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 외주면에 고정볼트(3c)를 끼워 넣고 파이프(1)를 이음관(6) 내주면에 이미 설치한 패킹(5)과 와샤(4)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이음관(6)의 내주면 중앙부 걸림턱(9)까지 밀어 넣은 다음에 상기 고정볼트(3c)를 이음관(6)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상기 패킹(5)이 이음관(6) 내주면의 경사면(10)과 파이프(1) 외주면 사이에 압축 밀착되어 배관의 기밀을 유지하고 파이프(1)가 이음관(6)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 연결구는 이음관에 파이프가 패킹의 압착에 의해서만 고정되기 때문에 배관의 기밀을 유지하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배관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 상호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기밀유지는 물론, 파이프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분해시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결합단면도
도 9a는 본 고안의 이음관 형상을 L형으로 형성시킨 결합단면도
도 9b는 본 고안의 이음관 형상을 T형으로 형성시킨 결합단면도
도 10a는 본 고안의 파이프 형상을 L형으로 형성시킨 결합단면도
도 10b는 본 고안의 파이프 형상을 T형으로 형성시킨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1a : L형 연결관
1b : T형 연결관 2, 2a : 조임너트
3, 3a, 3b, 3c : 고정볼트 4 : 와샤
5 : 패킹 6, 6a : 이음관
6b : L형 이음관 6c : T형 이음관
7 : 절개부 8 : 둘레홈
9 : 걸림턱 10 : 경사면
11, 11a : 평행나사부 12 : 테이퍼나사부
12a : 테이퍼부 13 : 중심부
14 : 조임나사부 15 : 너트나사부
16 : 너트테이퍼부
본 고안은 이음관(6)에 패킹(5)과 와샤(4)를 설치하고 고정볼트(3)로 이음관(6)에 나사결합하여 이음관(6)과 파이프(1)를 연결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3)의 일측 단부에 다수의 절개부(7)를 갖는 테이퍼나사부(12)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볼트(3)의 테이퍼나사부(12)를 조임너트(2)로 나사결합하면 고정볼트(3)의 테이퍼나사부(12) 내주면과 파이프(1)의 외주면이 상호 압축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축방향 중심부는 체결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각면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의 축방향 중앙부에 걸림턱(9)을 형성하고 상기 내주면 중앙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양단부의 내주면에는 각각 암나사부를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부에 연장되어 중앙부 쪽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면(10)을 가지는 이음관(6)을 구비하고, 상기 이음관(6)의 경사면(10)에 링모양이며 이음관(6)의 경사면(10)과 대향하는 측단부의 외주면 모서리가 곡면인 신축성 있는 패킹(5)을 삽설한 후에, 이어서 와샤(4)를 상기 이음관(6)의 내주면에 삽설한다.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 외주면에 조임너트(2)와 고정볼트(3)를 미리 끼워 넣은 후에, 상기 파이프(1)를 상기 이음관(6)에 이미 삽설된 패킹(5)과 와샤(4)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음관(6) 중앙부의 걸림턱(9)까지 밀어 넣는다. 그런 후에 고정볼트(3)의 평행나사부(11)를 상기 이음관(6)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면 패킹(5)이 상기 이음관(6)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10)과 상기 파이프(1) 외주면 사이에서 압축 밀착되어 배관의 기밀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3)의 테이퍼나사부(12)에 내주면이 테이퍼 암나사로 형성된 조임너트(2)를 나사결합하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3)에 형성된 다수의 절개부(7)를 갖는 테이퍼나사부(12)가 파이프(1) 외주면 방향으로 조여지기 때문에, 상기 고정볼트(3)의 테이퍼나사부(12) 내주면과 상기 파이프(1) 외주면이 압축 밀착되게 되어 견고한 배관 연결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3)의 구조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체결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외주면의 축방향 중심부(13)가 다각면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부(13)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평행나사부(11)와 테이퍼나사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평행나사부(11)는 평행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음관(6)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테이퍼나사부(12)는 축방향으로 절개한 다수의 절개부(7)로 구성되어 있고 선단부 방향으로 외주면 직경이 차차로 작아지는 테이퍼를 이루는 테이퍼 수나사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중심부(13)에서 테이퍼나사부(12)가 시작되는 곳에 환형의 둘레홈(8)을 형성하여 조임너트(2)의 나사결합 시에 테이퍼나사부(12) 내주면이 연결된 파이프(1) 외주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져 상호 압축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첨부된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써, 배관 연결 구조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생략하고, 다만 특징적인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실시예의 이음관(6)의 내주면 양단부와 고정볼트(3)의 평행나사부(1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의 위치를 반대 주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이음관(6a)은 외주면 양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양선단부에서 내주면 중앙부 방향으로 경사면(10)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또한 고정볼트(3a)의 평행나사부(11a)는 암나사부로 형성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 고정볼트(3a)의 테이퍼나사부(12) 구조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첨부된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써, 배관 연결 구조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고정볼트(3b)의 구조와 이에 체결되는 조임너트(2a)의 구조가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이룬다. 고정볼트(3b)의 구조는 원통형으로 체결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외주면의 축방향의 중심부(13)가 다각면체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13)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평행나사부(11)와 조임나사부(14)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나사부(14)의 단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테이퍼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행나사부(11)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조임나사부(14)는 평행나사로 형성되어있고 조임너트(2a)의 너트나사부(15)에 나사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테이퍼부(12a)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7)로 구성되어 있고 선단부 방향으로 외주면 직경이 차차로 작아지는 테이퍼를 이루며, 조임나사부(14)에서 테이퍼부(12a)가 시작되는 곳에 환형의 둘레홈(8)을 형성하여 조임너트(2a)를 조임나사부(14)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너트테이퍼부(16)에 의해 테이퍼부(12a) 내주면이 연결된 파이프(1) 외주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져 상호 압축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임너트(2a)의 구조는 원통형으로 내주면이 너트나사부(15)와 이에 연장하여 내향돌출된 너트테이퍼부(16)로 구성되어 있다. 너트나사부(15)는 상기 고정볼트(3b)의 조임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도록 평행암나사로 형성하고, 너트테이퍼부(16)는 선단부 방향으로 내주면 직경을 점점 작게 하여 테이퍼를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조임너트(2a)의 너트나사부(15)를 상기 고정볼트(3b)의 조임나사부(14)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조임너트(2a)의 너트테이퍼부(16)에 의해 고정볼트(3b)의 테이퍼부(12a)가 파이프(1) 외주면 방향으로 휘어져 고정볼트(3b)와 파이프(1)가 상호 압축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첨부된 도 9a와 도 9b는 상기 제1실시예의 이음관(6)의 형상을 L형과 T형으로 형성시킨 배관 연결구에 대한 실시예로써, 배관의 연결 구조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이음관(6)을 L형 이음관(6b)과 T형 이음관(6c)으로 형성하여 된 배관 연결 구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첨부된 도 10a와 도 10b는 상기 제1실시예의 파이프(1)의 형상을 L형과 T형으로 형성시킨 배관 연결구에 대한 실시예로써, 배관의 연결 구조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파이프(1)를 L형과 T형으로 형성하여 각각 L형 연결관(1a)과 T형 연결관(1b)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종래의 엘보(Elbow)나 티(Tee) 등의 단부에 나사를 내거나 벌징작업 등을 하는 추가 가공 공정이 없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가공비용이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이음관(6)으로 파이프(1)를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이음관(6)에 패킹(5)과 와샤(4)를 삽설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를 상기 패킹(5)과 와샤(4)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이음관의 걸림턱(9)까지 밀어 넣은 후에, 상기 이음관(6)에 고정볼트(3)를 나사결합하면 상기 이음관(6)의 경사면(10)에 삽설된 패킹(5)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패킹(5)이 이음관(6)의 내주면과 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에 압축 밀착되어 배관의 기밀을 유지하게 하고, 그런 다음에 고정볼트(3)에 구비된 다수의 절개부(7)를 갖는 테이퍼나사부(12)를 조임너트(2)로 나사결합하여 고정볼트(3)와 파이프(1)가 견고하게 압축 밀착되게 함으로써, 배관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배관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8)

  1. 이음관(6)의 내주면 양단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부에 연장하여 내주면 중앙부 방향으로 경사면(10)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10)에 패킹(5)과 와샤(4)를 삽설하고 고정볼트(3c)로 이음관(6)에 나사결합하여 파이프(1)를 연결시키는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고정볼트(3)의 외주면을 중심부(13)와 상기 중심부(13)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평행나사부(11)와 테이퍼나사부(12)로 형성하여서, 상기 중심부(13)는 체결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각면체로 형성하며, 상기 평행나사부(11)를 이음관(6)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패킹(5)에 압력이 가해져서 패킹(5)이 이음관(6)의 내주면과 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에 압축 밀착되어 배관의 기밀을 유지하게 하고, 축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7)를 가지며 선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나사부(12)에 내주면이 테이퍼 나사로 형성된 조임너트(2)를 나사결합하면 상기 테이퍼나사부(12)내주면이 파이프(1) 외주면 방향으로 휘어져 파이프(1)와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이음관(6a)의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음관(6a)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a)의 내주면에 평행나사부(11a)가 형성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볼트(3, 3a)의 테이퍼나사부(12)가 시작되는 곳에 환형의 둘레홈(8)을 형성하여 조임너트(2)의 나사결합 시에 테이퍼나사부(12)가 파이프(1)의 외주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져 상호 압축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볼트(3)의 테이퍼나사부(12)를 조임나사부(14)와 이에 연장하여 테이퍼부(12a)로 형성하여서 상기 조임나사부(14)는 평행나사로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12a)는 축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를 가지며 선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를 이루는 고정볼트(3b)를 형성하고, 조임너트(2a)를 내주면이 너트나사부(15)와 이에 연장하여 내향돌출된 너트테이퍼부(16)로 형성하여서 상기 너트나사부(15)를 고정볼트(3b)의 조임나사부(14)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조임너트(2a)의 너트테이퍼부(16)에 의해 고정볼트(3b)의 테이퍼부(12a)가 파이프(1) 외주면 방향으로 휘어져 고정볼트(3b)와 파이프(1)가 상호 압축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이음관(6)이 L형 이음관(6b)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이음관(6)이 T형 이음관(6c)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1)가 L형 연결관(1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1)가 T형 연결관(1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KR2020000026232U 2000-09-19 2000-09-19 배관 연결구 KR200213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32U KR200213663Y1 (ko) 2000-09-19 2000-09-19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32U KR200213663Y1 (ko) 2000-09-19 2000-09-19 배관 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003A Division KR20020022566A (ko) 2001-09-04 2001-09-04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663Y1 true KR200213663Y1 (ko) 2001-02-15

Family

ID=7308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232U KR200213663Y1 (ko) 2000-09-19 2000-09-19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6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44B1 (ko) 2010-03-29 2011-03-09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200492191Y1 (ko) * 2020-02-27 2020-08-26 이충열 조임표시형 배관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44B1 (ko) 2010-03-29 2011-03-09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200492191Y1 (ko) * 2020-02-27 2020-08-26 이충열 조임표시형 배관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908B1 (en) Hydraulic fitting
KR20010033868A (ko) 수지제관 조인트
EP0528079B1 (en) Connector for smooth pipe ends and method of connection
US20130154257A1 (en) Hose coupling
KR200213663Y1 (ko) 배관 연결구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20022566A (ko) 배관 연결구
JPH07103379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200213672Y1 (ko) 배관 연결 구조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JPH08145251A (ja) 管接続装置
KR200220098Y1 (ko) 배관용 조인트
JP2000193157A (ja) 管継手
KR10200067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KR200396421Y1 (ko) 편심 파이프 이음용 유니언.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KR100866905B1 (ko)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KR200228039Y1 (ko) 배관 연결 구조
KR100363212B1 (ko) 볼밸브의 관이음쇠
KR200231636Y1 (ko) 관연결구
KR960000436Y1 (ko) 관 연결구
JP6488035B1 (ja) 管接続構造
KR20010001172U (ko) 관연결구용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