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744B1 - 배관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744B1
KR101020744B1 KR1020100027894A KR20100027894A KR101020744B1 KR 101020744 B1 KR101020744 B1 KR 101020744B1 KR 1020100027894 A KR1020100027894 A KR 1020100027894A KR 20100027894 A KR20100027894 A KR 20100027894A KR 101020744 B1 KR101020744 B1 KR 101020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ipe
cap
screw
mai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백규
Original Assignee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specially adapted for spigot-and-socket joint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고압의 압력이 배관의 연결부위에 가해져도 연결구로부터 배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력을 높여주는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배관의 일부를 내삽할 수 있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메인캡(20)과 상기 메인캡(20)의 일측에 위치하여 메인캡(20)이 진동에 의해 결속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조임캡(30)과 상기 메인캡(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스토퍼조임캡(30)에 의해 가압되어 조여지는 스토퍼(4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배관용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Description

배관연결구{PIPE CONNECTOR}
본 발명은 수도관 등과 같은 배관에 사용되는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고압의 압력이 배관의 연결부위에 가해져도 연결구로부터 배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력을 높여주는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배관연결구는 배관연결을 위한 파이프의 단부를 내삽하여 고정하는 장치로 스토퍼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배관연결구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가압하기 위해, 캡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캡을 이용하여 캡을 결속함과 동시에 수밀을 위한 패킹과 배관을 결속하기 위한 스토퍼를 동시에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관연결구의 경우 고압의 압력이 배관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면, 배관연결구로부터 배관이 이탈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시 패킹과 스토퍼를 동시에 하나의 캡으로 조여야 하므로 과도한 힘이 필요하며, 패킹과 스토퍼의 상하관계에 의하여 스토퍼의 결속력이 느슨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관 이탈의 원인 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캡을 이용하여 결속하여 배관연결을 하는 경우, 배관에 고압의 압력이 가해지면, 배관이 공진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이 캡에 전해지게 되어 캡의 결속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배관연결 부위에 고압의 압력이 가해져도 배관연결구로부터 배관이 이탈되지 않는 배관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압의 압력이 배관에 가해져 배관연결부재의 결속력이 저하되어 배관이 배관연결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배관의 일부를 내삽할 수 있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메인캡(20)과 상기 메인캡(20)의 일측에 위치하여 메인캡(20)이 진동에 의해 결속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조임캡(30)과 상기 메인캡(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스토퍼조임캡(30)에 의해 가압되어 조여지는 스토퍼(4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배관용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배관연결부위에 고압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어도, 배관용 파이프가 연결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압의 압력이 배관에 가해져 진동이 발생되어도, 배관연결부재간의 결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스토퍼(4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스토퍼(4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관 형태의 좌우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양측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메인캡(20)과, 상기 메인캡(20)의 일측에 위치하여, 메인캡(2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스토퍼(40)와 나사결합되는 스토퍼조임캡(30)과, 내측에 삽입되는 배관용 파이프(60)의 외경에 밀착되며 조여주는 스토퍼(40) 및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내측단부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나사부(1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외측에서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이동할수록 점점 그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삽입되는 패킹(50)이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11)는 몸체부(10)와 결합되는 메인캡(20)이 접하는 부분으로써, 메인캡(20)의 내측 측면부에 형성되는 나사부(21)와 대응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11)에 결합되는 메인캡(20)은 내측 측면부에 상기 나사부(11)와 대응되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경에 배관용 파이프(60)를 내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인캡(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스토퍼조임캡(30)은 메인캡(20)과 몸체부(10)에 내삽되는 스토퍼(4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측면에 스토퍼결합나사부(3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부(10)의 내측에 내삽되고, 상기 몸체부(10)와 결합되는 메인캡(20)의 내경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스토퍼조임캡(30)이 결합되는 스토퍼(40)는 배관용 파이프(6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속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조임캡(30)은 메인캡(20)과 접하도록 위치하여, 메인캡(20)이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몸체부(10)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부(10)와 나사결합되는 메인캡(20)과 접하도록 위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메인캡(2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진동에 의해 메인캡(20)이 조금이라도 풀리게 되면, 상기 메인캡(20)과 접하고 있는 스토퍼조임캡(30)에 의해 더 이상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조임캡(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결합나사부(31)는 정방향 나사의 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진동이 심하게 발생할 경우 역방향 나사의 형상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는 메인캡(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스토퍼조임캡(30)을 결합하기 때문에, 만약 메인캡(20)이 진동에 의해 풀리더라도, 스토퍼조임캡(30)은 반대방향으로 적용되어 잠기게 되기 때문에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결합나사부(31)의 단면은 1°~ 5°경사를 갖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토퍼결합나사부(31)의 나사부를 따라 진행하게 되면, 점점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40)를 조여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와 메인캡(20)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삽입되는 배관용 파이프(6)를 결속하기 위한 스토퍼(40)는 메인캡(20)에 의해 몸체부(10)쪽으로 가압되고, 일부분이 상기 메인캡(20)의 내경으로 돌출되어 스토퍼조임캡(30)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4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부(43)는 스토퍼조임캡(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결합나사부(31)의 나사방향에 대응되도록 정방향 나사의 형상 또는 역방향 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수밀을 위한 패킹(50)은 배관용 파이프(60)와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패킹(50)은 메인캡(20)에 의해 몸체부(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토퍼(30)에 의해 가압되고, 몸체부(10)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게 되어 그 직경이 작아지며, 배관용 파이프(6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밀력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스토퍼(4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스토퍼(40)의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스토퍼(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관연결을 위하여 배관연결구의 내측에 배관용 파이프(60)의 단부를 내삽하게 되고, 배관연결구로부터 배관용 파이프(6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토퍼(40)는 걸림턱(41), 절개홈(42), 나사부(43) 및 톱니부(44)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1)은 스토퍼(40)가 몸체부(10)의 내측에 삽입되어, 메인캡(20)에 의해 몸체부(10)의 내측방향으로 가압될 때, 메인캡(20)이 접하는 것이며, 스토퍼(40)가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상 내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40)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홈(42)은 내측에 삽입되는 배관용 파이프(60)의 외주면에 스토퍼(40)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40)의 직경을 작아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절개홈(42)을 중심으로 스토퍼(40)의 측면부가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조임캡(30)이 스토퍼(40)와 결합될 때, 스토퍼(40)를 가압하여 절개홈(42)의 빈공간을 활용하여 직경을 작아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40)의 측면 외주면에는 스토퍼조임캡(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결합나사부(31)와 결합되는 나사부(43)가 형성된다. 이는 스토퍼(40)가 몸체부(10)와 메인캡(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메인캡(20)의 내경을 통하여 상기 나사부(43)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나사부(43)에 스토퍼조임캡(30)의 스토퍼결합나사부(31)가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43)는 정방향 나사의 형상 또는 역방향 나사의 형상 중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스토퍼조임캡(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결합나사부(31)의 방향이 정방향일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정방향 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스토퍼결합나사부(31)가 역방향 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이에 대응되도록 역방향 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40)의 측면 내주면에 형성되는 톱니부(44)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내삽되는 배관용 파이프(60)의 외주면에 접하며, 밀착되어 배관용 파이프(60)가 배관연결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토퍼(40)는 몸체부(10)의 내부에 나사부(43)의 반대측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스토퍼(40)의 나사부(43)측에는 메인캡(2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의 나사부(43)는 메인캡(20)의 내경으로 돌출되고, 상기와 같이 돌출된 나사부(43)는 스토퍼조임캡(30)이 결합되며, 스토퍼조임캡(30)에 의해 스토퍼(40)를 가압하여 직경을 작아지도록 하여 내삽되는 배관용 파이프(6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배관용 파이프(60)가 배관연결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개의 배관을 연결할 때, 배관용 파이프의 단부를 스토퍼(40), 패킹(50) 및 몸체부(10)의 순서대로 내삽하고, 메인캡(20)과 스토퍼조임캡(30)을 차례대로 결합하여 결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캡(20)은 몸체부(10)의 일측에 구비된 나사부(11)에 대응하는 나사부(21)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스토퍼(40)의 걸림턱(41)이 메인캡(20)의 내주면에 가압되어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패킹(50)을 가압하게 되어, 내삽되는 배관용 파이프(60)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캡(20)을 몸체부(10)에 결합하게 될 때, 상기 스토퍼(40)의 일측이 상기 메인캡(20)의 내경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된 스토퍼(4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43)에 스토퍼조임캡(30)을 결합하여 상기 스토퍼(40)의 직경을 작아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조임캡(30)을 스토퍼(40)의 외측에 접하도록 하여 결합하고 가압하여 스토퍼(40)의 직경을 작아지게 하여 내삽되는 배관용 파이프(60)의 외주면에 스토퍼(40)의 내측에 형성된 톱니부(44)를 밀착시켜 배관용 파이프(60)가 배관연결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배관용 파이프를 배관연결구에 결합하여 배관 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부 11 : 나사부
20 : 메인캡 21 : 나사부
30 : 스토퍼조임캡 31 : 스토퍼결합나사부
40 : 스토퍼 41 : 걸림턱
42 : 절개홈 43 : 나사부
44 : 톱니부 50 : 패킹

Claims (5)

  1. 배관시공시 다수개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구에 있어서,
    배관의 일부를 내삽할 수 있으며 관 형태의 좌우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부 외주면에 나사부(11)가 형성되며,내측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의 경사면은 내측으로 이동할 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측 측면에 상기 나사부(11)와 대응되는 나사부(21)가 형성되는 메인캡(20);
    상기 메인캡(20)의 일측에 위치하여 메인캡(20)이 진동에 의해 결속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내측에 나사부가 진행할수록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여, 그 단면의 경사도가 1°~ 5°의 경사각을 이루는 스토퍼결합나사부(31)가 형성되는 스토퍼조임캡(30);
    상기 메인캡(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캡(20)에 접하는 걸림턱(41)과 상기 메인캡(20)의 내경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스토퍼조임캡(30)과 스토퍼결합나사부(31)에 대응되도록 정방향 나사의 형상 또는 역방향 나사의 형상 중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나사부(43)와 상기 나사부(43)의 반대측인 내주면에 형성되는 톱니부(44)로 형성되는 스토퍼(40);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스토퍼(40)에 의해 가압되어 배관용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임캡(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결합나사부(31)는 정방향 나사의 형상 또는 역방향 나사의 형상 중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의 일측 측면에는 절개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KR1020100027894A 2010-03-29 2010-03-29 배관연결구 KR101020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94A KR101020744B1 (ko) 2010-03-29 2010-03-29 배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94A KR101020744B1 (ko) 2010-03-29 2010-03-29 배관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744B1 true KR101020744B1 (ko) 2011-03-09

Family

ID=4398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894A KR101020744B1 (ko) 2010-03-29 2010-03-29 배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7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580A (ko) 2017-09-29 2019-04-08 이철중 러그 플랜지 타입 배관 조립체
EP3553362A4 (en) * 2016-12-06 2020-05-06 PPI Pyungwha Co., Ltd QUICK ACTION PIPE CONNECTION APPARATUS
KR20200140956A (ko) * 2019-06-07 2020-12-17 에이네트 주식회사 부착식 전동릴 배터리 고정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8886U (ko) 1978-11-28 1980-05-30
JPS567185U (ko) 1979-06-29 1981-01-22
JPH04102790A (ja) * 1990-08-14 1992-04-03 Kitz Corp 鋼管継手
KR200213663Y1 (ko) 2000-09-19 2001-02-15 김용근 배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8886U (ko) 1978-11-28 1980-05-30
JPS567185U (ko) 1979-06-29 1981-01-22
JPH04102790A (ja) * 1990-08-14 1992-04-03 Kitz Corp 鋼管継手
KR200213663Y1 (ko) 2000-09-19 2001-02-15 김용근 배관 연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3362A4 (en) * 2016-12-06 2020-05-06 PPI Pyungwha Co., Ltd QUICK ACTION PIPE CONNECTION APPARATUS
US11002389B2 (en) 2016-12-06 2021-05-11 Ppi Pyungwha Co., Ltd.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KR20190037580A (ko) 2017-09-29 2019-04-08 이철중 러그 플랜지 타입 배관 조립체
KR20200140956A (ko) * 2019-06-07 2020-12-17 에이네트 주식회사 부착식 전동릴 배터리 고정구조
KR102213379B1 (ko) * 2019-06-07 2021-02-10 에이네트 주식회사 부착식 전동릴 배터리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5526B (zh) 将一对管元件的端部部分端对端地固定在一起的管联接件
US7431343B2 (en)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CN109424807B (zh) 榫槽连接接合器
CN105276307A (zh) 管接头
KR101295175B1 (ko) 상수관의 연결 구조
KR101020744B1 (ko) 배관연결구
KR100560438B1 (ko) 합성수지 편수칼라관의 수밀구조 및 이탈방지 연결구조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20090117285A (ko) 합성수지관연결구
KR101029111B1 (ko) 배관연결구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JP2010270771A (ja) 移動防止手段
KR101006563B1 (ko) 폴리에틸렌 이음관
KR100833816B1 (ko) 배관연결구
WO2014079229A1 (zh) 一种管接件密封结构及管接件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KR100845953B1 (ko) 배관 연결구
KR101131815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101111722B1 (ko) 관 이음장치
KR20130022451A (ko) 소켓 연결장치
KR100803556B1 (ko) 배관 연결구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JPH1019176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