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563B1 - 폴리에틸렌 이음관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563B1
KR101006563B1 KR1020100037039A KR20100037039A KR101006563B1 KR 101006563 B1 KR101006563 B1 KR 101006563B1 KR 1020100037039 A KR1020100037039 A KR 1020100037039A KR 20100037039 A KR20100037039 A KR 20100037039A KR 101006563 B1 KR101006563 B1 KR 10100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pipes
support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식
Original Assignee
(주)삼원테크
(주)제일이엔지
(주)베네테크
주식회사 건영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테크, (주)제일이엔지, (주)베네테크, 주식회사 건영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원테크
Priority to KR102010003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관을 상호 연결하는 폴리에틸렌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이음관은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의 연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호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외주면 측으로 밴딩된 밴딩부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고리형태로 형성된 체결본체와, 상기 체결본체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들의 연결지점을 통한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실링밴드와, 상기 체결본체가 상기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상기 밴딩부들을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견인하여 지지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밴딩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양 단부가 결합 및 지지되는 지지체와, 파이프와의 체결을 위해 이격되어 있는 밴딩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본체가 감싸지 못하는 파이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체결본체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보조커버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이음관은 장착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이프들의 연결지점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이음관 {Polyethylene conneting pipe}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관을 상호 연결하는 폴리에틸렌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관, 하수관, 폐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파이프는 소정의 단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황에 따라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파이프를 연결할 때, 파이프 커플링이라고도 불리는 이음관을 사용한다.
상기한 파이프 커플링은 유체 또는 기체를 이송하는 관과 관의 맞닿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고 볼트 및 너트로서 커플링의 재킷을 조여주어 이로부터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두 관을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고, 두 관이 연결되어 맞닿은 부분의 틈새로 유체 또는 기체가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과 관의 이음새 부분을 고무, 합성수지 등과 같은 실링재로 밀봉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 커플링은 두 개의 관이 충격을 받거나 또는 관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 또는 흐름 변화에 따라 관이 요동을 하더라도 관의 연결이 탈관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압착하고 있어야 하며, 두 개의 관이 연결되는 관의 단부의 틈새로 유체 또는 기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연결 고정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하는 파이프 커플링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관과 관의 단부를 긴밀하게 연결하는 고무밴드와, 상기 고무밴드 표면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바깥쪽으로 밴딩되어 인장부를 형성하는 금속재의 본체와, 상기 인장부 내부에 삽입되고 체결구멍을 갖는 인장봉과,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너트와 나사 결합 되면서 본체 양단부를 내측으로 조여 연결되는 두 관을 긴밀하게 연결 고정하는 결합부재와, 인장부 내측 양단부에 위치하여 고무밴드를 커버하고 압착하는 보조인장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은 두 개의 관을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파이프 커플링을 체결 고정시 고무밴드는 항상 일정한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압착되기 때문에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주름진 부분이 서로 겹치면서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의해 관과 관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 커플링은 길이가 짧더라도 하나의 체결부재만을 사용하면 체결부재가 설치된 부분에서만 인장력이 크고 파이프 커플리의 양 단부 측에서는 충분한 인장력이 제공되지 못하여 파이프의 연결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게 하는데, 각각의 체결부재들을 일일이 조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체결이 번거로우며, 각 체결부재들의 체결력이 일정치 않아 어느 일측으로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두 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할 때, 연결되는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위를 통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이음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체결부재들이 동일한 체결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폴리에틸렌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이음관은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의 연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호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외주면 측으로 밴딩된 밴딩부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고리형태로 형성된 체결본체와, 상기 체결본체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들의 연결지점을 통한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실링밴드와, 상기 체결본체가 상기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상기 밴딩부들을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견인하여 지지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밴딩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양 단부가 결합 및 지지되는 지지체와, 파이프와의 체결을 위해 이격되어 있는 밴딩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본체가 감싸지 못하는 파이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체결본체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보조커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호 마주보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유(U)"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커버부재는 상기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파이프의 연결부분으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실링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실링밴드의 단부와 상기 실링플레이트의 단부는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이 상기 체결본체의 직경축소시에도 접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링밴드 및 상기 실링플레이트에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차단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밴딩부가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견인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체결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일측 지지체를 관통하여 타측 지지체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단부에 상기 일측 지지체의 관통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웜기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웜기어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결합부재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공구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웜기어부에 치합되어 상기 웜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이음관은 장착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이프들의 연결지점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이음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폴리에틸렌 이음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폴리에틸렌 이음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이음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이음관(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이음관(100)은 두 개의 파이프(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체결본체(110)와, 실링밴드(120), 결합부재(130), 지지체(140) 및 보조커버부재(150)를 포함한다.
체결본체(110)는 연결되는 파이프(10)의 연결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인데, 탄성변형이 가능한 금속재로 형성된다. 체결본체(110)의 양단부에는 외주면 측으로 밴딩되어 있는 밴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밴딩부(111)의 단부는 스폿용접을 통해 체결본체(11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밴딩부(111)에는 후술하는 결합부재(130)의 체결을 위해 체결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실링밴드(120)는 상기 체결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 또는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파이프(10)의 연결부분에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파이프(10)는 상호 연결되는 접합면이 아무리 정교하게 가공되어 있다 하더라도 완전히 밀착될 수 없으며, 연결부분에서의 이격공간을 통해 파이프(1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누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신축성이 있는 실링밴드(120)를 체결함으로써 실링밴드(120)를 통해 파이프(10)의 연결부분에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소량의 유체가 누출되더라도 체결본체(110)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실링밴드(120)는 내주면에 다수개의 차단돌기(121)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돌기(121)는 실링밴드(120)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요철이 형성된 형태인데, 이 차단돌기(121) 부분이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파이프(10)의 연결부분에서 유체가 누출되더라도 누출된 유체가 차단돌기(121)에 의해 이동하지 못하고 체결본체(110)의 내측에만 머물러 있도록 한다. 이 차단돌기(121)의 갯수 및 각각의 차단돌기(121)에 형성되는 요철의 갯수는 폴리에틸렌 이음관(100)의 크기 및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지체(140)는 상기 밴딩부(111)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결합부재(130)에 의해 밴딩부(111)가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견인될 때, 결합부재(130)에 의한 견인력을 지지하여 밴딩부(11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지지체(140)는 'U'자 형의 단면을 가지는데, 개방된 부분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누워있는 형태이다. 체결본체(11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밴딩부(111)에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지체(140)가 개방된 부분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해 있는 누워있는 유(U)자 형의 단면을 갖기 때문에 개방된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분이 결합부재(130)에 의해 체결될 때, 결합부재(130)의 견인력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체(140)의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체(140)에는 결합부재(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공(1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공(141)의 직경은 결합부재(130)의 스크류부(132)분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부재(130)가 스크류부(132)분만 관통하고 일단에 형성된 헤드와 타단에 결합되는 너트(134)부분은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밴딩부(111)들이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견인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140)가 'U'자 형의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원기둥이나 사각기둥 또는 'ㄷ'자 형 단면의 프로파일 형태 등 결합부재(130)에 의한 견인력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30)는 볼트(131)와 너트(134)가 적용되었는데, 볼트(131)의 스크류부(132)가 양측 밴딩부(11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지지체(140)의 결합공(141)을 통과해 연장되며, 그 단부에 너트(134)를 체결하고, 나사결합시키면서 너트(134)와 볼트(131)의 헤드부(133) 사이를 좁혀가면 양측 밴딩부(111)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견인되면서 체결본체(110)가 파이프(10)를 감싸는 체결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보조커버부재(150)는 체결본체(110)와 함께 연결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커버플레이트(151)와 실링플레이트(152)를 구비한다.
체결본체(110)는 파이프(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본체(110)만으로 연결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쌀 수 없다. 따라서 보조커버부재(150)를 통해 개구된 부분을 감싸 파이프(10)의 외주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51)는 개구된 부분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실링플레이트(152)는 커버플레이트(151)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밴드(1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실링밴드(120)와 함께 유체의 누출을 차단한다.
상기 실링플레이트(152)는 양 단부가 커버플레이트(151)보다 원주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밴드(120)의 단부 및 실링플레이트(152)의 단부는 상호 접촉되는 접촉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실링밴드(120)의 양 단부는 끝단으로부터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체결본체(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된 경사구간을 갖는데, 이 경사구간의 길이는 상기 실링플레이트(152)와 겹쳐지는 겹침영역의 길이에 대응한다.
실링플레이트(152) 역시 상기 경사구간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보조커버부재(150)와 체결본체(110)를 장착하고 밴딩부(111)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견인하면 상기 실링플레이트(152)의 단부와 실링밴드(120)의 단부가 상호 경사진 부분에서 겹쳐진상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겹침 영역에서 어느 일측이 들떠 유체가 누출되는 누출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체결본체(110)의 양 단부 가장자리에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향해 소정 각도로 절곡된 밴딩부(111)를 형성하여, 체결본체(110)와 실링밴드(120)를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압착 및 가압하는 과정에서 체결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밴드(120)의 돌출부분이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해 두어 실링밴드(120)에 의한 밀폐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이음관(1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는 상기 밴딩부(111)를 체결 및 견인하는 체결·견인구조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일측의 밴딩부(111)에는 상기 밴딩부(11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체(142)가 설치되고, 타측의 밴딩부(111)에는 상방으로 개구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타측 밴딩부(111)에 설치되는 고정지지체(143) 역시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홈(144)을 갖는다.
회전지지체(142)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31)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회전지지체(142)가 밴딩부(111)에서 자축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볼트(131)의 연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데, 볼트(131)가 상기 삽입홈(113)과 고정홈(144)에 삽입되도록 회전지지체(142)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볼트(131)의 헤드부(133)가 밴딩부(111) 또는 고정지지체(143)에 걸려 볼트(131)를 회전시켜 회전지지체(142)로 나사결합시키면 양 측 밴딩부(111)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견인이 이루어진다.
회전지지체(142)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131)가 타측 밴딩부(111)와 고정지지체(143)로부터 분리되게 하면 밴딩부(111) 사이의 개방부가 개방되어 체결본체(110)를 파이프(10)에 탈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 및 견인구조는 볼트(131)를 지지체(14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체결본체(110)의 탈부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부분은 제1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폴리에틸렌 이음관(100)의 제3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폴리에틸렌 이음관(100)은 밴딩부(111)를 상호 견인 및 고정하는 체결유닛(160)을 더 구비하며, 체결유닛(160)을 제외한 체결본체(110), 실링밴드(120) 및 보조커버부재(15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체결유닛(160)은 결합부재(161)와, 결합부재(161)의 일단을 감싸는 하우징(165)과, 하우징(165)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166)을 구비한다.
결합부재(161)는 일측 지지체(140)의 결합공(141)을 관통해 연장되고 타측 지지체(14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162)와, 스크류부(16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163)와, 확장부(163)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웜기어부(164)를 구비한다.
스크류부(162)는 단부가 타측 지지체(140)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부(162)가 회전하여 나사결합되는 깊이가 깊어지게 되며, 상기 확장부(163)가 일측지지체(140)에 걸리게 됨으로써 스크류부(162)의 회전이 이루어질수록 일측 지지체(140)와 타측 지지체(140)의 사이 거리가 좁혀지면서 밴딩부(111)들의 견인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161)는 웜기어부(164)가 형성된 후방 단부가 하우징(16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165)에는 결합부재(16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166)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66)에는 상기 웜기어부(164)와 치합될 수 있는 웜(167)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웜기어부(164)와 치합될 수 있게 다수개의 웜(167)이 결합부재(161)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회전축(166)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66)과 웜(167)은 각각의 결합부재(161)들을 동시에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회전축(166)은 양 단이 하우징(16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특히 일측 단부는 하우징(165)의 외부로 단부가 노출되어 있고, 렌치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에 렌치홈(166a)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회전축(166)에 회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공구는 드라이버와 같은 다양한 공구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해당 공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166)의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공구를 통해 회전축(166)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66)에 설치된 각각의 웜(167)들이 회전하면서 결합부재(161)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체결유닛(160)은 회전축(166)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수개의 결합부재(161)들을 동시에 회전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부재(161)들을 동시에 체결시킬 수 있는 이점과 더불어 각각의 결합부재(161)들이 회전되는 회전량이 동일하므로 각각의 결합부재(161)들에 걸리는 인장력이 동일하여 어느 일측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폴리에틸렌 이음관
110; 체결본체
120; 실링밴드
130; 결합부재
140; 지지체
150; 보조커버부재
160; 체결유닛
161; 결합부재 162; 스크류부
163; 확장부 164; 웜기어부
165; 하우징 166; 회전축
167; 웜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의 연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호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외주면 측으로 밴딩된 밴딩부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고리형태로 형성된 체결본체와;
    상기 체결본체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들의 연결지점을 통한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실링밴드와;
    상기 체결본체가 상기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상기 밴딩부들을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견인하여 지지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밴딩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양 단부가 결합 및 지지되는 것으로 상호 마주보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유(U)"자 형으로 형성된 지지체와;
    파이프와의 체결을 위해 이격되어 있는 밴딩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본체가 감싸지 못하는 파이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체결본체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부착된 상태로 지지되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파이프의 연결부분으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실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커버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실링밴드의 단부와 상기 실링플레이트의 단부는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이 상기 체결본체의 직경축소시에도 접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링밴드 및 상기 실링플레이트에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차단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딩부가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견인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체결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일측 지지체를 관통하여 타측 지지체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단부에 상기 일측 지지체의 관통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웜기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웜기어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결합부재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공구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웜기어부에 치합되어 상기 웜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이음관.
KR1020100037039A 2010-04-21 2010-04-21 폴리에틸렌 이음관 KR10100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39A KR101006563B1 (ko) 2010-04-21 2010-04-21 폴리에틸렌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39A KR101006563B1 (ko) 2010-04-21 2010-04-21 폴리에틸렌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563B1 true KR101006563B1 (ko) 2011-01-07

Family

ID=4361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039A KR101006563B1 (ko) 2010-04-21 2010-04-21 폴리에틸렌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5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15B1 (ko) * 2012-09-11 2013-06-11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하수관 연결구
KR102259918B1 (ko) * 2020-11-26 2021-06-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회전자 코일용 조임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78296A (ko) 2021-11-26 2023-06-02 유재현 범용 사용 가능한 파형관 연결용 멀티 이음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8690A (en) * 1954-04-26 1960-05-31 Alfred B Castle Instrument clamping assembly
KR960006176A (ko) * 1994-07-30 1996-02-23 김광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0163972Y1 (ko) * 1999-07-05 2000-02-15 주식회사정우카프링 관연결용클램프
KR20010063972A (ko) * 1999-12-24 2001-07-09 이계안 차량의 가스 공급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511414B1 (ko) * 2005-03-14 2005-08-30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 밀착수밀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8690A (en) * 1954-04-26 1960-05-31 Alfred B Castle Instrument clamping assembly
KR960006176A (ko) * 1994-07-30 1996-02-23 김광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0163972Y1 (ko) * 1999-07-05 2000-02-15 주식회사정우카프링 관연결용클램프
KR20010063972A (ko) * 1999-12-24 2001-07-09 이계안 차량의 가스 공급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511414B1 (ko) * 2005-03-14 2005-08-30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 밀착수밀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15B1 (ko) * 2012-09-11 2013-06-11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하수관 연결구
KR102259918B1 (ko) * 2020-11-26 2021-06-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회전자 코일용 조임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78296A (ko) 2021-11-26 2023-06-02 유재현 범용 사용 가능한 파형관 연결용 멀티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420B2 (en) Hose clamp
US4790574A (en) Apparatus for coupling tubular members
US9556989B2 (en) Pipe joint restraint
KR100904419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US8430432B2 (en) Pipe coupling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006563B1 (ko) 폴리에틸렌 이음관
KR100943986B1 (ko)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KR20100034172A (ko) 파이프 보조연결구 및 상기 파이프 보조연결구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구
KR20140072571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20100000013A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200451092Y1 (ko) 체결이 용이한 환봉 지지형 연결구
KR100956766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101847399B1 (ko) 이경유니온 커플링 연결장치
KR200314162Y1 (ko) 누수방지대
KR101020744B1 (ko) 배관연결구
KR101618831B1 (ko)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KR200251682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50008349A (ko) 수밀 벨트
KR102595044B1 (ko) 범용 사용 가능한 파형관 연결용 멀티 이음관
KR101833258B1 (ko) 유동형 이음관
KR200419768Y1 (ko) 파이프 커플링
KR200397996Y1 (ko) 파이프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