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682Y1 - 강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682Y1
KR200251682Y1 KR2020010023256U KR20010023256U KR200251682Y1 KR 200251682 Y1 KR200251682 Y1 KR 200251682Y1 KR 2020010023256 U KR2020010023256 U KR 2020010023256U KR 20010023256 U KR20010023256 U KR 20010023256U KR 200251682 Y1 KR200251682 Y1 KR 200251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steel pipe
rubber
ben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람테크
Priority to KR2020010023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682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로 만들어진 고무링을 끼워 상기 고무링을 고무판으로 감싼 다음 벤드로서 간편하게 조여주므로서 고무링과 강관 사이는 물론 고무링과 고무링 사이도 완벽하게 밀폐되도록 함에 따라 강관의 연결작업시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해지도록 함과 함께 고무링의 우수한 신축력으로 인해 두 강관의 연결부분 수밀성이 확실하게 보장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각각 끼워져 자체 신축력에 따라 강관을 향해 조임력을 갖는 고무링(11)과, 상기 각 고무링의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 안쪽 둘레에 형성되어 두 강관(1)을 연결하기 위해 각 고무링(11)을 서로 접촉시킬 때 상기 두 강관(1)의 서로 마주보는 끝단이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날개편(12)과, 상기 각 고무링(11)을 일체로 감싸도록 고무링의 외경부에 감겨져 각 고무링 사이의 접촉부분 틈새를 커버한 상태로 그 양 끝단부분이 중첩되는 고무판(13)과, 상기 고무판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각 고무링(11)을 다시 일체로 감싸도록 상기 고무링의 외경부에 끼워져 그 양 끝단부분이 중첩되는 금속제의 벤드(14)와, 상기 벤드의 외측둘레중 서로 중첩되는 부위의 외측둘레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일체 고정된 한쌍의 고정브라켓(15)과,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고정브라켓을 고정시켜 주는 볼트(16) 및 너트(17)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16) 및 너트(17)의 나사체결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두고정브라켓(15)이 고정될 때 벤드(14)가 조여지면서 고무판(11)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각 고무링(11)이 강관(1)의 중심을 향해 동일한 힘으로 가압되도록 한 강관 연결장치이다.

Description

강관 연결장치{device for coupling of steel pipe}
본 고안은 강관 연결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 일정길이로 성형한 복수개의 강관을 흄관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덕트로 사용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steel piate)을 나선상으로 말아 일정길이로 성형한 강관(steel pipe)(1)은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생활오수 등의 배출을 안내하는 흄관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공기를 포함한 각종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로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그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강관은 시공될 길이에 따라 여러개를 필요로 하므로 실제 시공시에는 상기 여러개의 강관을 일단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상기 강관의 연결을 위해서는 하나의 강관 연결장치를 필요로 한다.
종래 강관 연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연결부위인 서로 마주보는 끝부분에 합성수지재로 된 원통형의 연결부재(101)가 상기 강관(1)을 감싼상태로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101)의 바깥쪽 끝단에는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빙둘러지게 플랜지(10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101)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두 플랜지(102)는 복수개의 볼트(103) 및 너트(104)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에는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기 위해 링형상의 고무패킹(105)이 끼워진 구조이다.
따라서 두개의 강관을 종래의 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합성수지재로 된 원통형의 연결부재(101)를 끼워 상기 연결부재가 강관(1)을 감싸도록 한 다음 금속재인 강관(1)의 내경부에 고온의 열을 일정시간 동안 가하면, 상기 연결부재(101)의 강관(1) 접촉부가 열에 의해 녹아 내리므로 결국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연결부재(101)가 열융착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는 강관(1)과 연결부재(101)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밀폐된다.
한편 종래 장치에 의해 연결하고자 할 강관(1)이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파형을 갖는 파형강관일 경우에는 상기 강관(1)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부재(101)의 내경부분이 파형강관의 파형에 맞는 굴곡을 갖도록 되어 있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끝부분에 연결부재(101)가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나면,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끝단부에 고정된 연결부재(101)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두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시킨 다음 계속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에 링형상의고무패킹(105)을 끼우면서 상기 두 연결부재(101)에 형성된 플랜지(102)를 복수개의 볼트(103)와 너트(104)로서 여러곳에서 서로 고정하면, 결국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가 고무패킹(105)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므로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의 틈새도 완벽하게 밀폐되면서 두 강관(1)이 도 2 및 도 3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결 완료된다.
한편 종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이 그 둘레면에 나선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파형 강관일 경우에는 상기 강관(1)에 끼워져 융착 고정될 연결부재(101)의 내경부는 파형 강관의 주름에 맞도록 굴곡지게 하여야 함이 바람직 하므로 상기 연결부재의 성형시 이를 충분히 감안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강관 연결장치는 두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끝부분에 연결부재(101)를 끼워 고정할 때 상기 강관(1)의 내경부에서 열을 가해 상기 연결부재(101)가 강관(1)에 융착 고정되도록 하여야 하고,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에 형성된 플랜지(102)를 서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복수개의 볼트(103)와 너트(104)를 사용하여야 하며, 연결부재(101)와 연결부재 사이의 밀폐를 위해서는 상기 연결부재가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 별도로 만들어진 링형상의 고무패킹(105)을 상기 연결부재(101) 사이에 반드시 끼워야 하므로 작업성 저하로 인해 작업 능률이 떨어짐은 물론 작업비용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강관(1)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두 강관에 융착 고정된 연결부재(101)의 플랜지(102)를 복수개의 볼트(103)와 너트(104)로서 서로 고정할 때 각 볼트(103) 및 너트(104)의 조임량이 각기 동일하여야 만 연결된 상태에서의두 연결부재(101) 사이가 전부분 기밀 유지되지만 실제로 작업시에는 상기 각 볼트(103) 및 너트(104)의 조임량을 모두 동일하게 맞춘다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처음 연결된 상태에서 상수관 및 하수관으로 사용한 직후에는 연결된 두 강관(1)의 연결부 사이로 누수가 일어나지 않더라도 계속적인 사용시에는 누수가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로 만들어진 고무링을 끼워 상기 두 고무링을 고무판으로 감싼 다음 상기 고무판에 의해 감싸여진 고무링을 벤드로서 간편하게 조여주므로서 고무링과 강관 사이는 물론 고무링과 고무링 사이도 완벽하게 밀폐되도록 함에 따라 강관의 연결작업시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해지도록 함과 함께 고무링의 우수한 신축력으로 인해 두 강관의 연결부분 수밀성이 확실하게 보장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종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강관 11. 고무링
12. 날개편 13. 고무판
14. 벤드 15. 고정브라켓
16. 볼트 17. 너트
18. 벤드 돌기 19. 고무링 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각각 끼워져 자체 신축력에 따라 강관을 향해 조임력을 갖는 고무링과, 상기 각 고무링의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 안쪽 둘레에 형성되어 두 강관을 연결하기 위해 각 고무링을 서로 접촉시킬 때 상기 두 강관의 서로 마주보는 끝단이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날개편과, 상기 각 고무링을 일체로 감싸도록 고무링의 외경부에 감겨져 각 고무링 사이의 접촉부분 틈새를 커버한 상태로 그 양끝단부분이 중첩되는 고무판과, 상기 고무판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각 고무링을 다시 일체로 감싸도록 상기 고무링의 외경부에 끼워져 그 양 끝단부분이 중첩되는 금속제의 벤드와, 상기 벤드의 외측둘레중 서로 중첩되는 부위의 외측둘레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일체 고정된 한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고정브라켓을 고정시켜 주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 및 너트의 나사체결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두 고정브라켓이 고정될 때 벤드가 조여지면서 고무판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각 고무링이 강관의 중심을 향해 동일한 힘으로 가압되도록 한 강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는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자체 신축력에 따라 상기 강관을 향해 조임력을 갖도록 각각 고무링(11)이 끼워지고, 상기 각 고무링의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 안쪽 둘레에는 두 강관(1)을 연결하기 위해 각 고무링(11)을 서로 접촉시킬 때 상기 두 강관의 서로 마주보는 끝단이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각각 날개편(12)이 형성되며, 상기 각 고무링(11)의 외경부에는 각 고무링 사이의 접촉부분 틈새를 커버하도록 그 양 끝단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고무판(13)이 감겨지고, 상기 각 고무링(11)의외경부에는 고무판(13)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각 고무링(11)을 다시 일체로 감싸도록 그 양 끝단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금속제의 벤드(14)가 끼워지며, 상기 벤드의 외측둘레중 서로 중첩되는 부위의 외측둘레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고정브라켓(15)이 고정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고정브라켓(15)은 벤드(14)에 조임력이 가해지도록 볼트(16)와 너트(17)의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에서 벤드(14)의 내측둘레면인 고무링(11) 접촉부분에는 그 내경부를 따라 벤드 돌기(19)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고무판(13)이 일체로 감싸여져 있는 고무링(11)을 강관(1) 쪽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벤드(14)를 조일 때 상기 벤드의 조임력이 각 벤드 돌기(18)를 통해 집중되면서 고무링(11)으로 전달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각 고무링(11)의 내측둘레면인 강관(1) 접촉부분에는 그 내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고무링 돌기(19)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각 고무링(11)이 고무판(13)에 의해 일체로 감싸여진 상태에서 벤드(14)의 조임에 의해 강관(1)쪽으로 가압될 때 상기 고무링(11)의 가압력이 각 고무링 돌기(19)를 통해 집중되면서 강관(1)으로 전달되도록 함에 있다.
따라서 두개의 강관(1)을 본 고안 실시예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각각 고무링(11)을 끼우는데, 상기 고무링(11)이 강관(1)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는 고무링(11)은 재질 자체의 우수한 신축력으로 인해 강관(1)을 향해 어느 정도의 조임력을 갖게된다.
상기에서 고무링(11)을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각각 끼울 때는 상기 고무링(11)을 별도의 기구물을 사용해 약간 벌려 그 내경이 강관(1)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한 다음 그 벌린 상태를 해제하면 되므로 상기 고무링(11)의 내경이 강관(1)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하고자 할 강관(1)이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파형을 갖는 파형강관일 경우에는 상기 강관(1)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고무링(11)의 내경부분이 파형강관의 파형에 맞는 굴곡을 갖도록 되어 있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각각 고무링(11)이 끼워지고 나면, 상기 두 강관(1)을 고무링(11)이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시킨 다음 근접되는 방향으로 밀어 넣는데, 이때 두 강관에 끼워진 고무링(11)이 서로 접촉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두 강관(1)을 근접되는 방향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상기 두 강관(1)에 끼워진 각 고무링(11)이 서로 접촉될 때 상기 각 고무링의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 안쪽 둘레에는 각각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두 강관(1)은 날개편(13)에 의해 이격되어 서로 접촉되지는 않는데, 이는 상기 두 강관(1)에 끼워진 고무링(11)의 상호 접촉력이 강화되도록 하여 상기 고무링 접촉부분 사이의 틈새가 가급적 기밀상태에 가깝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후 서로 접촉되어 있는 고무링(11)의 외경부에 역시 고무로된 고무판(13)을 감아 상기 고무판의 양 끝단부를 중접시키면 각 고무링(11)이 고무판(13)에 의해 일체로 감싸여 지면서 그 접촉부분 틈새가 커버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고무판(13)에 의해 감싸여진 각 고무링(11)의 외경부를 다시 일체로 감싸도록 상기 각 고무링의 외경부에 금속제로 된 벤드(14)를 끼워 상기 벤드의 양 끝단부를 중첩시킨 다음 상기 벤드(14)의 외측둘레중 서로 중첩되는 부위의 외측둘레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브라켓(15)을 볼트(16)와 너트(17)의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시키면 상기 볼트(16)와 너트(17)의 조임량에 비례된 만큼 벤드(14)가 고무링(11)을 향해 조여짐과 함께 상기 각 고무링이 강관(1)쪽을 향해 가압되므로 결국 서로 접촉된 고무링(11) 사이가 기밀상태로 유지됨은 물론 고무링과 강관(1) 사이가 기밀상태로 유지되면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두개의 강관이 연결 완료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두개의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끼워진 고무링(11)을 고무판(13)으로 일차 감싼 다음 다시 벤드(14)로서 감싼 상태에서는 상기 벤드의 내측둘레면인 고무링(11) 접촉부분에 그 내경부를 따라 벤드 돌기(18)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벤드(14)에 형성된 각 벤드 돌기(18)가 고무링(11)의 외경부와 접촉된 상태에 있고, 이에 따라 고무링(11)의 외경부를 감싼상태로 끼워져 있는 벤드(14)를 볼트(16)와 너트(17)의 나사체결에 의해 조일 때 그 조여지는 힘이 각 벤드 돌기(18)를 통해 고무링(11)으로 집중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두개의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링(11)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각 고무링(11)의 내측둘레면인 강관(1) 접촉부분에 그 내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고무링 돌기(19)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고무링(11)에 형성된 각 고무링 돌기(19)가 강관(1)의 외경부와 접촉된 상태에 있고, 이에 따라 외경부에 고무판(13)이 감싸여져 있는 고무링(11)을 다시 벤드(14)로서 일체 감싼 다음 상기 벤드를 볼트(16)와 너트(17)의 나사체결에 의해 조임에 따라 고무링(11)이 강관(1)쪽으로 가압될 때 그 가압력이 고무링(11)의 각 고무링 돌기(19)를 통해 강관(1)으로 집중되어 상기 강관과 고무링(11) 사이의 밀폐에 의한 기밀유지가 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두개의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링(11)을 끼울 때 상기 고무링의 내경부인 강관(1) 접촉부와 상기 강관(1)의 외경부인 고무링(11)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접착제를 도포한다면, 두개의 강관(1)이 연결 완료된 상태에서 고무링(11)과 강관(1) 사이의 기밀유지가 더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질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 실시예의 도면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을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관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형의 형성과는 관계없이 모든 강관도 다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는 연결하고자 할 두 강관(1)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로 된 고무링(11)을 각각 끼워 상기 두 고무링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무판(13)으로 일차 감싼 다음 상기 고무판이 감싸여진 고무링(11)을 다시 벤드(14)로서 이차적으로 감싸면서 주여주기만 하면 되므로 연결작업시 공정의 단순하여 작업 능률이 올라가고, 작업비용도 크게 줄어들게 되며, 고무링(11)의 우수한 신축력으로 인해 강관(1)의 연결부분 수밀성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이 고무재로 된 고무링(1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된 상태의 강관(1)을 사용하기 위해 특정 장소에 설치할 때 그 설치면이 수평되지 못하고 다소 굴곡져 있더라도 상기 연결된 강관(1)의 연결부분은 어느 정도 휨이 일어나게 되어 연결된 강관의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각각 끼워져 자체 신축력에 따라 강관을 향해 조임력을 갖는 고무링과,
    상기 각 고무링의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 안쪽 둘레에 형성되어 두 강관을 연결하기 위해 각 고무링을 서로 접촉시킬 때 상기 두 강관의 서로 마주보는 끝단이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날개편과,
    상기 각 고무링을 일체로 감싸도록 고무링의 외경부에 감겨져 각 고무링 사이의 접촉부분 틈새를 커버한 상태로 그 양 끝단부분이 중첩되는 고무판과,
    상기 고무판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각 고무링을 다시 일체로 감싸도록 상기 고무링의 외경부에 끼워져 그 양 끝단부분이 중첩되는 금속제의 벤드와,
    상기 벤드의 외측둘레중 서로 중첩되는 부위의 외측둘레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일체 고정된 한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고정브라켓을 고정시켜 주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 및 너트의 나사체결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두 고정브라켓이 고정될 때 벤드가 조여지면서 고무판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각 고무링이 강관의 중심을 향해 동일한 힘으로 가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벤드의 내측둘레면인 고무링 접촉부분에 그 내경부를 따라 벤드 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고무판이 일체로 감싸여져 있는 고무링을 강관 쪽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벤드를 조일 때 상기 벤드의 조임력이 각 벤드 돌기를 통해 집중되면서 고무링으로 전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고무링의 내측둘레면인 강관 접촉부분에 그 내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고무링 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고무판이 일체로 감싸여져 있는 각 고무링이 벤드의 조임에 의해 강관쪽으로 가압될 때 상기 고무링의 가압력이 각 고무링 돌기를 통해 집중되면서 강관으로 전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장치.
KR2020010023256U 2001-07-31 2001-07-31 강관 연결장치 KR200251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56U KR200251682Y1 (ko) 2001-07-31 2001-07-31 강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56U KR200251682Y1 (ko) 2001-07-31 2001-07-31 강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682Y1 true KR200251682Y1 (ko) 2001-11-22

Family

ID=7310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256U KR200251682Y1 (ko) 2001-07-31 2001-07-31 강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68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96B1 (ko) * 2006-10-20 2007-01-04 대한강관 주식회사 금속 리브관 연결장치
KR101056929B1 (ko) 2011-03-30 2011-08-12 김한곤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1458394B1 (ko) * 2012-11-30 2014-11-05 (주) 영남메탈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941818B1 (ko) * 2018-05-08 2019-01-23 유승열 강관버팀보의 이음 및 결합구조체
KR102219004B1 (ko) 2020-08-26 2021-02-23 동원철강 주식회사 파형강관용 연결장치
KR102466141B1 (ko) * 2021-08-20 2022-11-11 김자연 파형강관 연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96B1 (ko) * 2006-10-20 2007-01-04 대한강관 주식회사 금속 리브관 연결장치
KR101056929B1 (ko) 2011-03-30 2011-08-12 김한곤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1458394B1 (ko) * 2012-11-30 2014-11-05 (주) 영남메탈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941818B1 (ko) * 2018-05-08 2019-01-23 유승열 강관버팀보의 이음 및 결합구조체
KR102219004B1 (ko) 2020-08-26 2021-02-23 동원철강 주식회사 파형강관용 연결장치
KR102466141B1 (ko) * 2021-08-20 2022-11-11 김자연 파형강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5623A (en) Pipe coupling with deformable outer sleeve
US4101151A (en) Clamp assembly
US3565468A (en) Band seal pipe coupling with adjustable fastening means
US3944265A (en) Exhaust system connector seal
US4564220A (en) Elastic gasket pipe coupling for pressurized plumbing systems
US4142743A (en) Clamping device
KR101545332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FI78633B (fi) Anordning att anvaendas vid hopsvetsning av roer.
US5706558A (en) Hose clamp
US5104159A (en) Threadless coupling for pipes and an air-tight inner cylinder therefor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663260B1 (ko) 파형강관 커플러
KR200251682Y1 (ko) 강관 연결장치
US3533650A (en) Pipe clamp for plastic or thin walled pipe
US5765876A (en) Pipe coupling requiring low closing force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GB211989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repair clamps
KR101847399B1 (ko) 이경유니온 커플링 연결장치
JP2544698B2 (ja) 管の継手
KR10092586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0239289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207753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US3635503A (en) Band clamp with service outlet
KR102000733B1 (ko) 조임력이 변경되더라도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KR200490588Y1 (ko) 통합형 조립식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