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753Y1 - 파형강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강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753Y1
KR200207753Y1 KR2020000017011U KR20000017011U KR200207753Y1 KR 200207753 Y1 KR200207753 Y1 KR 200207753Y1 KR 2020000017011 U KR2020000017011 U KR 2020000017011U KR 20000017011 U KR20000017011 U KR 20000017011U KR 200207753 Y1 KR200207753 Y1 KR 200207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straight
connecting member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람테크
Priority to KR2020000017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7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로서 사출성형된 연결부재를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끝단부인 일자형 파형부에 끼워 직접 고정하고,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일자형 파형부에 직접 고정된 연결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밀착 고정함에 따라 파형강관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데 따른 비용이 감소되도록 함과 함께 연결된 파형강관 사이의 틈새 밀폐력도 완벽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1)의 연결부위인 끝부분에 형성된 일자형 파형부(101)와, 상기 파형강관(1)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파형강관(1)에 직접 고정되어 한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원통형을 이루면서 그 내측둘레면에는 파형강관(1)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와 동일한 파형의 연결부재 파형부(102)를 갖는 합성수지재로된 연결부재(103)와, 상기 연결부재의 원주방향 분할부분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된 직선형 플랜지(104)와, 상기 연결부재(103)의 길이방향 바깥쪽 끝단에 상기 직선형 플랜지(104)와 직교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 원주형 플랜지(105)와, 상기 연결부재(103)에 형성된 직선형 플랜지(104)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개의 제1볼트(106) 및 제1너트(107)와,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1)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에 접착 고정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3)의 원주형 플랜지(105)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개의 제2볼트(108) 및 제2너트(109)와,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3) 사이에 끼워져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는 링형상의 패킹(110)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파형강관 연결장치{device for coupling of corrugated steel pipe}
본 고안은 파형강관의 연결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 성형한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일정길이가 되도록 서로 연결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steel piate)에 나선형 파형부(1a)를 형성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 성형한 파형 강관(corrugated steel pipe)(1)은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생활오수 등의 배출을 안내하는 흄관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공기를 포함한 각종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로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그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파형강관은 시공될 길이에 따라 여러개를 필요로 하므로 실제 시공시에는 상기 여러개의 파형강관을 일단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상기 파형강관의 연결을 위해서는 하나의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필요로 한다.
종래 파형강관 연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1)의 연결부위인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에 일자형 파형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각 파형강관(1)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1)에는 고무나 스폰지로된 패킹부재(12)가 감싸여 지며, 파형강관(1)의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을 감싸고 있는 패킹부재(12)는 한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원통형을 이루는 금속재의 연결밴드(13)에 의해 감싸여 지고, 상기 연결밴드의 분할부분인 원주방향 양 끝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직선형 플랜지(1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직선형 플랜지는 볼트(15)와 너트(16)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연결밴드(13)의 둘레에는 파형강관(11)의 일자형 파형부(11)와 동일한 파형의 밴드 파형부(17)가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두개의 파형강관을 종래의 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하고자 하는 두 파형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1)에 고무재나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패킹부재(12)를 감거나 씌워 상기 패킹부재가 각 파형강관(1)의 일자형 파형부(11)를 감싸도록 한다.
이후 한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원통형을 이루는 금속재의 연결밴드(13)를 연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파형강관(1)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두 파형강관의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1)를 양측에서 연결밴드(13)의 내측 둘레로 각각 끼워 상기 하나의 연결밴드가 두 파형강관(1)의 일자형 파형부(11)를 각각 감싸고 있는 패킹부재(12)를 다시 감싸도록 한다.
계속해서 연결밴드(13)의 분할부분인 원주방향 양 끝단에 서로 마주보게 일체로 돌출 형성된 직선형 플랜지(14)를 볼트(15)와 너트(16)로서 고정하면, 그 과정에서 상기 연결밴드(13)는 파형강관(1)의 중심을 향해 조여지게 되므로 결국 두개의 파형강관(1)이 도 2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두개의 파형강관이 연결밴드(13)의 조임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밴드의 둘레에 파형강관(1)의 일자형 파형부(11)와 동일한 파형의 밴드 파형부(17)가 형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패킹부재(1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관(11)의 일자형 파형부(11)와 연결밴드(13) 사이에 위치되면서 밀폐역할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된 두 파형강관(1) 사이의 틈새가 수밀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파형강관의 연결장치는 연결부재인 연결밴드가 금속재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상기 금속재의 연결밴드는 사출성형이 안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함에 따라 연결밴드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상승되어 결국 파형강관의 연결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의 연결밴드가 패킹부재를 사이에 두고 파형강관에 조여짐에 따라 두개의 파형강관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킹부재가 파형강관에 기밀 접촉되면서 상기 두 연결부재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주므로 상기 파형강관의 재질은 금속재이고 패킹부재의 재질은 고무재이거나 합성수지재임을 감안할 때 상기 파형강관과 패킹부재의 친화력이 떨어져 결국 두개의 파형강관 연결부위인 틈새 밀폐력이 완벽하게 유지되지 못함에 따라 수밀성 저하로 인해 시공후 사용과정에서 파형강관에 안내되는 이동 유체의 일부가 연결부위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쉽게 새어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로서 사출성형된 연결부재를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끝단부인 일자형 파형부에 끼워 직접 고정하고,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일자형 파형부에 직접 고정된 연결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밀착 고정함에 따라 파형강관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데 따른 비용이 감소되도록 함과 함께 연결된 파형강관 사이의 틈새 밀폐력도 완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파형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종래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파형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파형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파형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파형강관 101. 일자형 파형부
102. 연결부재 파형부 103. 연결부재
104. 직선형 파형부 105. 원주형 파형부
106. 제1볼트 107. 제1너트
108. 제2볼트 109. 제2너트
110. 패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연결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연결부위인 끝부분에 형성된 일자형 파형부와, 상기 파형강관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파형강관에 직접 고정되어 한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원통형을 이루면서 그 내측둘레면에는 파형강관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와 동일한 파형의 연결부재 파형부를 갖는 합성수지재로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원주방향 분할부분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된 직선형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 바깥쪽 끝단에 상기 직선형 플랜지와 직교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 원주형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직선형 플랜지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개의 제1볼트 및 제1너트와,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에 접착 고정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의 원주형 플랜지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개의 제2볼트 및 제2너트와,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 사이에 끼워져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는 링형상의 패킹으로 구성하여서 된 파형강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파형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파형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1)의 연결부위인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에 일자형 파형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파형강관(1)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에는 한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원통형을 이루며 그 내측둘레면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1)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와 동일한 파형의 연결부재 파형부(102)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연결부재(103)가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103)의 원주방향 분할부분 양단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직선형 플랜지(104)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03)의 길이방향 바깥쪽 끝단에는 상기 직선형 플랜지(104)와 직교된 상태로 원주형 플랜지(10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103)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직선형 플랜지(104)는 복수개의 제1볼트(106) 및 제1너트(107)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파형강관(1)의 끝부분에 열융착 고정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3)의 원주형 플랜지(105)는 복수개의 제2볼트(108) 및 제2너트(109)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3) 사이에는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기 위해 링형상의 패킹(110)이 끼워진 구조이다.
따라서 두개의 파형강관을 본 고안의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하고자 하는 두 파형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에 한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원통형을 이루며 그 내측둘레면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1)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와 동일한 파형의 연결부재 파형부(102)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연결부재(103)를 끼운 다음 상기 연결부재의 분할부분인 원주방향 양 끝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직선형 플랜지(104)를 복수개의 제1볼트(105) 및 제1너트(106)로서 고정하면, 상기 연결부재(103)가 파형강관(1)의 중심을 향해 조여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파형강관의 내측둘레면중 연결부재(103)가 끼워진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를 일정시간동안 가열하면 어느 순간 금속재로 된 파형강관(1)의 일자형 파형부(101)가 열에 의해 뜨거워 지므로 상기 연결부재(103)의 내측둘레면인 연결부재 파형부(102)가 적정두께 만큼 녹아내리고,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상기 연결부재(103)가 파형강관(1)에 열융착 고정되어 결국 파형강관(1)과 연결부재(103)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밀폐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1)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101)에 연결부재(103)가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나면 연결하고자 하는 두 파형강관(1)의 일자형 파형부(101)에 열융착 고정된 연결부재(103)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두 파형강관을 길이방향으로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계속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3) 사이에 링형상의 패킹(110)를 끼우면서 상기 두 연결부재(103)에 형성된 원주형 플랜지(105)를 복수개의 제2볼트(108)와 제2너트(109)로서 서로 고정하면, 결국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3)가 패킹(110)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므로 도 7과 같이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3) 사이의 틈새도 완벽하게 밀폐되면서 두 파형강관(1)이 도 6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결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 실시예의 연결장치에서는 원통형을 이루며 그 내측둘레면에 연결부재 파형부(102)를 갖는 연결부재(103)를 연결하고자 하는 두 파형강관(1)의 끝단부인 일자형 파형부(101)에 끼워 열융착 고정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재(103)를 연결하고자 하는 두 파형강관(1)의 끝단부인 일자형 파형부(101)에 접착 고정하여도 됨은 물론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재(103)를 연결하고자 하는 두 파형강관(1)의 끝단부인 일자형 파형부(101)에 접착 고정하여도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파형강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금속재가 아닌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상기 합성수지재의 연결부재는 사출기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연결부재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절감으로 인해 파형강관의 연결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큰 폭으로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파형강관에 직접 열융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파형강관의 재질이 금속재이고 연결부재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라고 하더라도 연결부위인 틈새 밀폐력이 완벽하게 유지됨에 따라 수밀성의 향상으로 인해 시공후 사용과정에서 파형강관에 안내되는 이동 유체의 일부가 연결부위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쉽게 새어나오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연결부위인 끝부분에 형성된 일자형 파형부와,
    상기 파형강관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파형강관에 직접 고정되어 한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원통형을 이루면서 그 내측둘레면에는 파형강관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와 동일한 파형의 연결부재 파형부를 갖는 합성수지재로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원주방향 분할부분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된 직선형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 바깥쪽 끝단에 상기 직선형 플랜지와 직교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 원주형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직선형 플랜지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개의 제1볼트 및 제1너트와,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에 접착 고정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의 원주형 플랜지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개의 제2볼트 및 제2너트와,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 사이에 끼워져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는 링형상의 패킹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파형강관의 끝부분인 일자형 파형부에 끼워진 연결부재가, 열융착에 의해 상기 파형강관에 직접 고정되거나,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파형강관에 직접 고정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파형강관에 직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20000017011U 2000-06-15 2000-06-15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207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11U KR200207753Y1 (ko) 2000-06-15 2000-06-15 파형강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11U KR200207753Y1 (ko) 2000-06-15 2000-06-15 파형강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753Y1 true KR200207753Y1 (ko) 2000-12-15

Family

ID=1966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011U KR200207753Y1 (ko) 2000-06-15 2000-06-15 파형강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75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04B1 (ko) 2010-08-30 2012-05-09 한국전력공사 파형관 이음재
KR101663260B1 (ko) 2015-12-24 2016-10-07 서상모 파형강관 커플러
KR20180132318A (ko) 2017-06-02 2018-12-12 서명호 파이프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04B1 (ko) 2010-08-30 2012-05-09 한국전력공사 파형관 이음재
KR101663260B1 (ko) 2015-12-24 2016-10-07 서상모 파형강관 커플러
KR20180132318A (ko) 2017-06-02 2018-12-12 서명호 파이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332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US4564220A (en) Elastic gasket pipe coupling for pressurized plumbing systems
US5664791A (en) Spiral wound gasket bridged to guide ring
US11193611B2 (en) Pipe coupling apparatus
KR101663260B1 (ko) 파형강관 커플러
KR200207753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9980042077A (ko) 나선 권취형 가스켓
JPH1182853A (ja) 流体輸送管の外套管構造
KR102384492B1 (ko)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100532555B1 (ko) 배관 연결장치
KR200251682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277282Y1 (ko) 강관 연결구조
KR200220068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239289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10112976A (ko) 파형강관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JPH09112761A (ja) 波付管の継手
JPH10132169A (ja) 管継手
KR20080037200A (ko) 수지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20200017023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구조 및 그 방법
KR200237783Y1 (ko)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JP2022116752A (ja) 管継手構造
KR20050008349A (ko) 수밀 벨트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