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783Y1 -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 Google Patents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783Y1
KR200237783Y1 KR2020010006076U KR20010006076U KR200237783Y1 KR 200237783 Y1 KR200237783 Y1 KR 200237783Y1 KR 2020010006076 U KR2020010006076 U KR 2020010006076U KR 20010006076 U KR20010006076 U KR 20010006076U KR 200237783 Y1 KR200237783 Y1 KR 200237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jacket
pipe coupl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to KR2020010006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7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783Y1/ko

Links

Landscapes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이어주는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재킷을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그 양단부의 외측에 인장판, 인장봉, 볼트 및 너트로서 인장부를 구성하고 원통형 재킷의 내부에는 시일링부를 구성하여 관과 관을 재킷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인장부의 볼트 및 너트를 조여주어 인장력을 발생시켜 관과 관의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어 관을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관과 관이 맞닿는 부분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커플링은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에서 파이프의 외주면과 맞닿는 단부벽(에지, edge)을 형성하지 아니하여 제작공정을 줄이면서 시일링부가 관이 외주면에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며, 시일링부에 있어서는 복원력과 탄성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형상 즉, 벌집모양, 요철형, 파형 또는 역삼각형 등의 형상이 관의 외주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Edgeless type pipe coupling}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이어주는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재킷을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그 양단부의 외측에 인장판, 인장봉, 볼트 및 너트로서 인장부를 구성하고 원통형 재킷의 내부에는 시일링부를 구성하여 관과 관을 재킷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인장부의 볼트 및 너트를 조여주어 인장력을 발생시켜 관과 관의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어 관을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관과 관이 맞닿는 부분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커플링은 유체 또는 기체를 이송하는 관과 관의 맞닿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고 볼트 및 너트로서 커플링의 재킷을 조여주어 이로부터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두 관을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고, 두 관이 연결되어 맞닿은 부분의 틈새로 유체 또는 기체가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과 관의 이음새 부분을 고무, 합성수지 등의 시일링(sealing)재로 밀봉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 커프링은 두개의 관이 충격을 받거나 또는 관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 또는 흐름 변화에 따라 관이 요동을 하더라도 관의 연결이 탈관(脫棺)되지 아니하도록 긴밀하게 압착하고 있어야 하며, 두개의 관이 연결되는 관의 단부(斷部)의 틈새로 관을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누출이 되지 아니하도록 파이프 커플링의 내부에 밀봉성이 강한 시일링재를 구성하여, 관의 내부로 압력을 가지고서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관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긴밀한 시일링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커플링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파이프 커플링(10)은 금속 재킷(20)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그 내부에는 재킷(20)이 조여지면서 서로 엇갈리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조여 지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판(22)을 그 너비와 길이가 재킷(20)보다 작게 하여 재킷(20)의 내부에 스폿용접하여 구성하고, 상기 재킷의 양 끝단부에 볼트(24)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볼트 구멍(26)을 형성하고 재킷(20)의 양 끝단부를 상기 재킷의 외부로 절곡하여 인장판(28)을 구성한 후에 상기 인장판의 끝단부를 재킷(20)의 외면에 스폿용접을 하여 고정한다.
상기 인장판(28)과 재킷(20)의 공간부에는 볼트(24)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반원주형의 인장봉(30)을 삽재(揷在)하고 볼트(24)를 상기 인장판의 볼트 구멍(26)과 상기 인장봉(30)의 볼트구멍으로 삽입하여 너트로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부(32)를 구성하고, 상기의 원통형으로 형성한 재킷(20)의 너비측은내측으로 구부려 단부벽(에지, edge)(34)을 형성하여 재킷의 내부에 삽재되어 시일링 역할을 하도록 하는 고무판(36)이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연결된 두개의 파이프(미도시 하였음)가 빠지지 않도록 관의 외주면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기능을 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10)에 전후방에서 파이프(미도시 하였음)를 끼우고, 볼트(24)와 너트로서 조여주게 되면 원통형 재킷(20)은 슬라이드판(22)의 가이드 궤적을 따라 조여지게 되고, 이와 같이 조여지면 재킷(20)의 내면에 구성된 고무판(36)과 단부벽(34)이 끼워진 파이프를 긴밀하게 압착하면서 양 파이프를 연결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두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였을 때, 고무판(36)이 두 파이프가 맞닿는 부분을 긴밀하게 압착하고 있으므로 관을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누설되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흐를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은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긴밀하게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어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누설이 되지 아니하고 두 개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잡고 있으므로 파이프가 이탈이 되지 아니하므로 연결 수단으로서 우수하나,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변화 또는 흐름변화에 따른 파이프의 요동 또는 장기간 파이프의 연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단부가 맞닿는 부분을 압착하고 있는 고무판의 압착력 및 복원력이 떨어지게 되어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누설이 되거나 파이프의연결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파이프가 이탈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에 의하여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압력을 가진 액체 또는 기체가 흐르게 되면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변함에 따라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접촉되어 있는 고무판이 열적변화를 겪게 되고 이러한 열적변화에 의하여 고무판의 탄성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고무판의 압축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누설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의 화학적 성질에 의하여 고무판이 경화되거나 변형이 되면 이로 인하여 고무판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파이프와의 긴밀한 접촉이 저하되어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누설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재킷에 단부벽을 형성하여야 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며, 관의 체결시 볼트와 너트를 조여주더라도 단부벽(에지, edge)의 두께로 인하여 단부벽이 관의 외주면에 맞닿게 되므로 시일링부의 접촉을 저해하게 되므로 시일링부가 관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지 아니하여 시일링부의 압착력이 저하되어 유체가 누설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시일링부가 관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시일링부의 압착력과 탄성복원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접촉부를 제공하며, 단부벽을 구성하지 않도록 하여 재킷의 제작공정을 간단하게 하면서 볼트와 너트의 작은 인장력에 의해서도 시일링부가 관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될 수 있는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기술적과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커플링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시일링부의 제2 실시예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시일링부의 제3 실시예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C-C선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시일링부의 제4 실시예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파이프 커플링 210 : 재킷
214 : 슬라이드판 230 : 인장부
232 : 볼트 236 : 인장판
240 : 인장봉 242 : 너트
250 : 시일링부 300 : 파형고무판
370, 372 : 파이프 380 : 틈
400 : 벌집형고무판 410, 510 : 철부
420, 520 : 요부 500 : 사각형고무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과제는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에서 파이프의 외주면과 맞닿는 단부벽(에지, edge)을 형성하지 아니하여 제작공정을 줄이면서 시일링부가 관이 외주면에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며, 시일링부에 있어서는 복원력과 탄성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형상 즉, 벌집모양, 요철형, 파형 또는 역삼각형 등의 형상이 관의 외주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과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시일링부의 제2 실시예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시일링부의 제3 실시예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파이프 커플링(200)은 원통형 재킷(210)과 인장부(230) 및 시일링부(2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원통형 재킷(210)과 인장부(230)는 일반적인 종래의 재킷 및 인장부로 구성되어 있거나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가능한 실시형태로서 구성되어 지는 것으로서, 재킷(210)에 있어서는 좌우 양단부에 단부벽(에지, edge)을 형성하지 않아 제조상 용이하도록 한 점과 단부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관계로 관과 관을 체결시 관의 외주면에는 시일링부(250)만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상이하다.
이러한 재킷(210)과 인장부(230)을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의 원통형 재킷(210)은 너비와 길이를 갖는 금속판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하며, 재킷(210)의 내주면에는 너비와 길이에 있어서 상기 재킷 보다 작게 제조한 슬라이드판(214)을 재킷(210)의 내주면에 스폿용접에 의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인장부(230)는 상기 금속판의 길이 부분의 양 끝단에 볼트(232)가 통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장방형의 볼트구멍(234)을 형성하고 재킷(210)의 외주면 측으로 자연스럽게 구부리어 스폿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인장판(236)을 구성하고, 인장판(236)과 재킷(2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볼트(232)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된 인장봉(240)을 삽재하고 상기 볼트구멍에 볼트(232)를 끼운 후 너트(242)로서 체결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주요부인 상기한 시일링부(250)는 슬라이드판(214)과 재킷(210)의 내주면에 구성하여 파이프(370)와 파이프(372)를 연결하였을 때 양 파이프(370, 372)의 내부를 흐르는 액체 또는 기체가 누설이 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일링부(2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파이프(370, 37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누설이 되지 아니하도록 파형고무판(300)을 마련하여 양 파이프(370, 372)를 커프링(200)의 내부로 삽재한 후 볼트(232)와 너트(242)로 조여주게 되면 파형고무판(300)이 양 파이프(370, 372)의 외주면을 긴밀하게 밀착하게 되고 고무판(300)에 형성된 파형무늬에 의하여 압착 및 복원탄발력이 증대하게 되므로 양 파이프(370,372)를 긴밀하게 잡아 줌은 물론 틈(380)사이로 누출되는 유체가 파이프의 외부로 누출이 되지 아니하도록 되는 것이다.
본 고안 시일링부의 제2 실시예로서 도 4에서는 벌집형고무판(400)을 도시한 것으로서 철부(410)와 요부(420)를 정육각형의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되는 모양으로 배열하여 양 파이프(370, 372)의 외주면과의 표면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로서 도 5에서는 사각형고무판(500)을 도시한 것으로서 철부(510)과 요부(520)를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되는 모양으로 배열하여 이 역시 양 파이프(370, 372)의 외주면과의 표면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로서 도 6에서는 역삼각형고무판(600)을 도시한 것으로서 철부(610)으로서 역삼각형상과 요부(620)로서 삼각형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되는 모양으로 배열하여 양 파이프(370, 372)의 외주면과의 표면접촉면적을 넓히면서 요부(620)의 형상으로 인하여 틈(380)으로 새어나오는 유체를 효율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 커플링을 구성함에 있어서, 재킷의 좌우 양단부에 단부벽(에지, edge)를 형성하지 않으므로써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커플링의 체결시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시일링부 만이 접촉을 하게 되므로 시일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시일링부로서 파형 또는 요철부가 형성된 벌집형, 사각형또는 역삼삭형의 시일링판을 마련하므로써 파이프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판의 탄발력을 증대시켜 더욱 긴밀한 접촉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시일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원통형 재킷(210)과 인장부(230)와 시일링부(250)로 구성되는 파이프 커플링(200)에 있어서, 상기 재킷(210)의 양단부에 단부벽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부분이 파형으로 형성된 파형고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부분이 벌집형태의 요철부를 가지는 벌집형고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부분이 사각형태의 요철부를 가지는 사각형고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부분이 역삼각형의 철부와 삼각형의 요부를 가지는 역삼각형고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KR2020010006076U 2001-03-07 2001-03-07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KR200237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76U KR200237783Y1 (ko) 2001-03-07 2001-03-07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76U KR200237783Y1 (ko) 2001-03-07 2001-03-07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783Y1 true KR200237783Y1 (ko) 2001-10-18

Family

ID=7306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076U KR200237783Y1 (ko) 2001-03-07 2001-03-07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7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62B1 (ko) * 2006-09-11 2007-05-08 벽진산업 주식회사 파이프 커플링
KR101150212B1 (ko) 2010-03-25 2012-06-12 주식회사 제이에스피 기밀성 파이프 연결부
KR20180084653A (ko) * 2017-01-16 2018-07-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62B1 (ko) * 2006-09-11 2007-05-08 벽진산업 주식회사 파이프 커플링
KR101150212B1 (ko) 2010-03-25 2012-06-12 주식회사 제이에스피 기밀성 파이프 연결부
KR20180084653A (ko) * 2017-01-16 2018-07-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정수기
KR102467975B1 (ko) * 2017-01-16 2022-11-1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1274A (en) Vortex gasket for automative exhaust system
US6378914B1 (en) Hose end fitting
KR101968589B1 (ko) 그루브드 커플러
US4564220A (en) Elastic gasket pipe coupling for pressurized plumbing systems
JP2006517648A (ja) プレートパック、プレート熱交換器、およびプレートモジュール
KR101915492B1 (ko) 무용접 조립식 배관 플랜지 연결구
KR200237783Y1 (ko)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US6769698B2 (en) Seal ring and seal structure at flange joint used for composite tanks and pipes
KR100371016B1 (ko) 열교환기용밀봉장치
KR101367655B1 (ko) 무용접 플렉시블 조인트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950011809A (ko) 좁은폭 타발 성형 머플러
KR19990014826A (ko) 파이프 시스템용 금속 팽창 조인트 및 진동 흡수 장치
KR200368056Y1 (ko) 파이프 커플링
KR102319277B1 (ko) 밸브 접합관
KR200213650Y1 (ko) 파이프 커플링
KR200209203Y1 (ko) 팽창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켓
KR102623297B1 (ko) 복합관 이음 커플링
KR101184921B1 (ko) 메탈 개스킷
KR200196870Y1 (ko) 가스켓
JPH09189361A (ja) フランジ継手の密封機構
KR200207753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220068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397996Y1 (ko) 파이프 커플링
US20070052238A1 (en)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