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056Y1 - 파이프 커플링 - Google Patents

파이프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056Y1
KR200368056Y1 KR20-2004-0023278U KR20040023278U KR200368056Y1 KR 200368056 Y1 KR200368056 Y1 KR 200368056Y1 KR 20040023278 U KR20040023278 U KR 20040023278U KR 200368056 Y1 KR200368056 Y1 KR 200368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pipe coupling
tension
pipe
ten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충원
Original Assignee
백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412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68056(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충원 filed Critical 백충원
Priority to KR20-2004-0023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0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들을 일직선으로 연결시키는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이음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누설되거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개량한 실링부를 제공하고, 금속판을 가공하여 파이프 커플링을 제조하는 공정이 간단한 설비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이프 커플링 양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인장판을 따로 제작하여 용착시킨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판의 양단부가 굴곡성형되어 인장판이 형성된 원통형의 재킷과, 재킷의 내측에 설치된 실링부와, 인장판에 삽입된 인장봉과, 상기 인장봉에 체결되어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재킷은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조가 원주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삼각홈이 중앙에 형성된 밀착돌조가 상기 가압돌조와 같은 위치상에 다수개 형성된 파이프 커플링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커플링{A pipe coupling}
본 고안은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들을 일직선으로 연결시키는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이음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누설되거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개량한 실링부를 제공하고, 금속판을 가공하여 파이프 커플링을 제조하는 공정이 간단한 설비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이프 커플링 양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인장판을 따로 제작하여 용착시킨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커플링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파이프를 내측으로 삽지하고, 볼트, 너트로서 커플링의 재킷을 원주방향으로 인장시켜 이로부터 발생하는 인장력으로 두개의 파이프를 긴밀하게 연결하고, 두개의 파이프의 이음부의 틈새로 유체가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이음부 를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등으로 된 실링부로 밀봉하는 기구이다.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는 파이프에 압력을 가하므로 파이프의 이음부의 틈새로 유체가 누출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은 이음새 틈새부를 합성수지재질의 실링부로 탄성적으로 밀폐시킴으로서 유체가 더이상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성수지의 탄성이 약화됨으로써 이음부 틈새로 누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실링부에 틈새가 생겨 유체가 파이프 커플링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성이 약해진 실링부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다시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기도 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파이프 커플링을 제작할시 재킷은 금속판을 원통형으로 구부려 형성시키고, 인장판은 상기 금속판의 양측 끝단부를 재킷과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서 재킷과 인장판이 일체가 되게 형성시켰다. 특히 인장판 형성작업에서, 인장판이외의 부분을 변형시키지 않고 금속판을 구부리기 위해 인장판이외의 넓은 범위의 면적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는 규모가 큰 설비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이음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누설되거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개량한 실링부를 제공하고, 금속판을 가공하여 파이프 커플링을 제조하는 공정이 간단한 설비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이프 커플링 양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인장판을 따로 제작하여 용착시킨 파이프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인장판과 재킷의 결합구성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링부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링부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킷 2 : 실링부
4 : 인장판 5 : 인장봉
7 : 볼트 8 : 너트
9 : 밀착돌조 10 : 삼각홈
11 : 가압돌조 12 : 파이프
13 : 단부벽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은 원통형의 재킷(1)과, 상기 재킷(1) 내측에 설치된 실링부(2)와, 상기 재킷(1) 양단부 외측에 형성된 인장판(4)과, 상기 인장판(4)에 삽입된 인장봉(5)과, 상기 인장봉(5)에 체결되어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볼트(7) 및 너트(8)로 구성된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재킷(1)에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조(11)가 원주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양단부에 실링부(2)의 두께만큼의 높이로 단부벽(13)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2)는 삼각홈(10)이 중앙에 형성된 밀착돌조(9)가 상기 가압돌조(11)와 같은 위치상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인장판(4)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재킷(1)의 양단에 스폿용접 등으로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물론 상기 인장판(4)과 인장봉(5)에는 볼트(7)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 커플링은 금속판을 굴곡시켜 원통형의 재킷(1)을 형성시키고, 이의 외측 양단부에 별도로 제작된 인장판(4)을 각각 고정시킨 다음, 인장봉(5), 볼트(7), 너트(8)로 조립하며, 상기 재킷(1)의 내측면으로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재질의 실링부(2)를 삽지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상기의 인장판(4)은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원통형 재킷(1)의 일측 끝단부에서는 재킷(1)과 인장판(4)의 끝단을 서로 마주대고 스폿용접하여 재킷(1)과 인장판(4)이 서로 일면으로 연결된 곡면이 되도록 하고, 재킷(1)의 타측 끝단부에서는 재킷(1)의 외측표면에 인장판(4)의 하측표면을 일정면적으로 접하게 한 다음 스폿용접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재킷(1)의 개방되어 있는 끝단은 상기의 일측 끝단부에서 연결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재킷(1)과 인장판(4)의 하측 표면과 실링부(2)의 상측표면에 일정면적으로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볼트(7)와 너트(8)가 인장판(4)을 조임으로서 발생되는 인장력에의해 상기의 재킷(1)은 재킷(1)과 연결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장판(4)을 가이드로 하여 재킷(1)의 끝단이 인장되게 되므로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과는 달리 별도의 가이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인장판(4)은 별도로 제작된 다음, 상기와 같이 재킷(1)에 스폿용접하게 되는데, 이는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의 제조과정에서는 하나의 재킷(1)을 가공하여 재킷(1)과 일체로 인장판(4)을 형성시키는데 있어서, 인장판(4) 이외의 부분을 변형시키지 않도록 넓은 범위의 면적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는 규모가 큰 설비를 필요로 하는 것과는 달리 금속의 판재를 원통형이나 곡선으로 구부리는 단순한 설비로 파이프 커플링의 재킷(1)과 인장판(4)을 형성시킬수 있게 한다.
파이프 커플링은 두개의 파이프(12)를 긴밀하게 연결하고, 두개의 파이프(12)의 이음부의 틈새로 유체가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을 좋은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링부(2)로 밀봉하게 된다.
본 고안의 파이프 커플링에 형성되는 실링부(2)는 중앙에 삼각홈(10)이 형성된 밀착돌조(9)를 다수개 가지는데, 상기의 밀착돌조(9)가 파이프 커플링에 고정되는 두개의 파이프(12)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접하게 됨으로써 파이프간의 이음부를 여러겹으로 내부로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재킷(1)에 연결된 인장판(4)을 볼트(7)와 너트(8)로 조여줌에 따라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재킷(1)이 원주방향으로 인장되면, 재킷(1)의 곡면 내측 반지름방향으로는 압축력이 발생하므로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재킷(1)이 실링부(2)를 압축하게 되고, 상기의 밀착돌조(9)도 파이프(12) 표면으로 압축된다.
여기서 실링부(2)를 압축하는 재킷(1)에는 상기의 밀착돌조(9)의 삼각홈(10)와 동일한 위치에 가압돌조(11)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착돌조(9)를 압축시킬 때 밀착돌조(9)의 삼각홈(10)의 양끝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링부(2)는 삼각홈(10)의 양끝단이 원래의 삼각홈(10)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과 상하방향의 탄성력을 동시에 가지게 됨으로써 실링부(2)와 파이프(12) 표면과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실링부(2)의 기밀성이 강화되게 된다.
상기의 실링부(2)에 있어서, 밀착돌조(9)의 형상은 도 4와 같이 호형 밀착돌조으로 형성시키거나, 도 5와 같이 각형 밀착돌조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링부(2)는 재킷(1)에 의해 압축되어 재킷(1) 끝단의 단부벽에 삽지되고, 한편으로 재킷(1)의 형성된 다수개의 가압돌조(11)에 압지됨으로써 재킷(1)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파이프 커플링의 실링부(2)에 중앙에 홈을 가진 밀착돌조(9)가 파이프(12)의 이음부 상단 양측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파이프(12) 표면에 밀착되므로 파이프(12)로 이송되는 유체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인장판(4)을 따로 제작한 후 파이프 커플링의 재킷(1)에 결합시킴으로써 종래기술에서 하나의 재킷(1)을 가공하여 재킷(1)과 일체로 인장판(4)을 형성시키기 위해 인장판(4) 이외의 부분을 변형시키지 않도록 넓은 범위의 면적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는 규모가 큰 설비를 필요로 하는 것과는 달리 금속의 판재를 원통형이나 곡선으로 구부리는 단순한 설비로 파이프 커플링의 재킷(1)과 인장판(4)을 형성시키게 하여 커플링의 제작이 간편해지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Claims (3)

  1. 금속판의 양단부가 굴곡성형되어 인장판(4)이 형성된 원통형의 재킷(1)과, 재킷(1)의 내측에 설치된 실링부(2)와, 인장판(4)에 삽입된 인장봉(5)과, 상기 인장봉(5)에 체결되어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볼트(7) 및 너트(8)로 구성된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재킷(1)은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조(11)가 원주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2)는 삼각홈(10)이 중앙에 형성된 밀착돌조(9)가 상기 가압돌조(11)와 같은 위치상에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2. 제 1항에 있어서, 재킷(1)과 인장판(4)은 각각 독립된 구성부분으로 제조되어 융착된 구조를 가지는 파이프 커플링.
  3. 제 1항에 있어서, 재킷(1)의 양측 주연부에 실링부(2)의 두께만큼의 높이로 단부벽(13)이 형성된 파이프 커플링.
KR20-2004-0023278U 2004-08-14 2004-08-14 파이프 커플링 KR200368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278U KR200368056Y1 (ko) 2004-08-14 2004-08-14 파이프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278U KR200368056Y1 (ko) 2004-08-14 2004-08-14 파이프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056Y1 true KR200368056Y1 (ko) 2004-11-17

Family

ID=4944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278U KR200368056Y1 (ko) 2004-08-14 2004-08-14 파이프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0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754B1 (ko) * 2005-11-29 2006-03-21 백충원 합성수지관체 연결구
KR20080064922A (ko) * 2007-01-06 2008-07-10 백충원 합성수지관체 연결구
KR200486985Y1 (ko) * 2017-03-15 2018-08-16 주식회사 위스코 이경관 연결용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확관형 배관
KR102188156B1 (ko) * 2020-07-07 2020-12-08 주식회사 퍼팩트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754B1 (ko) * 2005-11-29 2006-03-21 백충원 합성수지관체 연결구
KR20080064922A (ko) * 2007-01-06 2008-07-10 백충원 합성수지관체 연결구
KR200486985Y1 (ko) * 2017-03-15 2018-08-16 주식회사 위스코 이경관 연결용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확관형 배관
KR102188156B1 (ko) * 2020-07-07 2020-12-08 주식회사 퍼팩트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75966A1 (ja) 管継手構造体
KR200368056Y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000075397A (ko) 내진성과 밀봉성을 향상시킨 관이음매
US5765876A (en) Pipe coupling requiring low closing force
KR20090026353A (ko) 튜브 커플링용 하우징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101074032B1 (ko) 관 연결장치
KR20060009805A (ko) 체결력이 유지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KR200237783Y1 (ko)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JPH1122826A (ja) ガスケット
KR101150212B1 (ko) 기밀성 파이프 연결부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100819949B1 (ko) 원형덕트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200251682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213650Y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150204B1 (ko) 기밀성 엘보 연결부
KR100694885B1 (ko) 관 연결 장치
KR200220068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140070165A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397996Y1 (ko) 파이프 커플링
KR200207753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5296653B2 (ja) パッキン及びパッキンの装着方法
US20070052238A1 (en)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KR200352829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023

Effective date: 200903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