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68Y1 - 강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68Y1
KR200220068Y1 KR2020000031373U KR20000031373U KR200220068Y1 KR 200220068 Y1 KR200220068 Y1 KR 200220068Y1 KR 2020000031373 U KR2020000031373 U KR 2020000031373U KR 20000031373 U KR20000031373 U KR 20000031373U KR 200220068 Y1 KR200220068 Y1 KR 200220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members
facing
connecting member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람테크
Priority to KR2020000031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68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끝부분에 열융착 고정된 연결부재를 서로 대향된 두개의 조임부재로서 조여 주기만 하면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면서 강관이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함께 연결시에는 그 조임량이 전부분 동일하도록 함에 따라 연결된 상태에서의 기밀 유지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연결부위인 끝부분에 상기 강관을 감싼상태로 원통형의 연결부재(11)를 열융착 고정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연결함에 따라 강관(1)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1)의 바깥쪽 끝단에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빙둘러지게 돌출 형성되어 그 두께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두꺼워지도록 후방면이 경사진 플랜지(12)와,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1) 사이에 끼워져 두 연결부재를 연결할 때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는 패킹(13)과, 상기 서로 연결하기 위한 두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를 서로 마주보면서 일체로 감싸도록 그 내측 둘레부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넓어지는 형태로 요입홈(14)을 갖는 한쌍의 조임부재(15)와, 상기 각 조임부재의 외측 둘레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조임부재(15)가 두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는 고정편(16)과, 상기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는 고정편을 조임상태로 고정시켜 주는 볼트(17) 및 너트(18)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강관 연결장치{device for coupling of steel pipe}
본 고안은 강관의 연결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 일정길이로 성형한 복수개의 강관을 흄관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덕트로 사용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steel piate)을 나선상으로 말아 성형한 강관(steel pipe)(1)은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생활오수 등의 배출을 안내하는 흄관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공기를 포함한 각종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로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그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강관은 시공될 길이에 따라 여러개를 필요로 하므로 실제 시공시에는 상기 여러개의 강관을 일단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상기 강관의 연결을 위해서는 하나의 강관 연결장치를 필요로 한다.
종래 강관 연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연결부위인 끝부분에 합성수지재로 된 원통형의 연결부재(101)가 상기 강관(1)을 감싼상태로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101)의 바깥쪽 끝단에는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빙둘러지게 플랜지(10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101)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두 플랜지(102)는 복수개의 볼트(103) 및 너트(104)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에는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기 위해 링형상의 패킹(105)이 끼워진 구조이다.
따라서 두개의 강관을 종래의 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합성수지재로 된 원통형의 연결부재(101)를 끼워 상기 연결부재가 강관(1)을 감싸도록 한 다음 금속재인 강관(1)의 내경부에 고온의 열을 일정시간 동안 가하면, 상기 연결부재(101)의 강관(1) 접촉부가 열에 의해 녹아 내리므로 결국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연결부재(101)가 열융착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는 강관(1)과 연결부재(101)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밀폐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끝부분에 연결부재(101)가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나면,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끝단부에 고정된 연결부재(101)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두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시킨 다음 계속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에 링형상의 패킹(105)을 끼우면서 상기 두 연결부재(101)에 형성된 플랜지(102)를 복수개의 볼트(103)와 너트(104)로서 여러곳에서 서로 고정하면, 결국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가 패킹(105)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므로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의 틈새도 완벽하게 밀폐되면서 두 강관(1)이 도 2 및 도 3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결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강관 연결장치는 두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끝부분에 열융착 고정된 연결부재(101)의 플랜지(102)를 서로 고정할 때 반드시 복수개의 볼트(103)와 너트(104)를 사용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두 강관(1)에 융착 고정된 연결부재(101)의 플랜지(102)를 볼트(103)와 너트(104)로서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부재(101)의 플랜지(102)에 볼트삽입용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작업성 저하로 인해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작업비용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강관(1)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두 강관에 융착 고정된 연결부재(101)의 플랜지(102)를 복수개의 볼트(103)와 너트(104)로서 서로 고정할 때 각 볼트(103) 및 너트(104)의 조임량이 각기 동일하여야 만 연결된 상태에서의 두 연결부재(101) 사이가 전부분 기밀 유지되지만 실제로 작업시에는 상기 각 볼트(103) 및 너트(104)의 조임량을 모두 동일하게 맞춘다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처음 연결된 상태에서 상수관 및 하수관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연결된 두 강관(1)의 연결부 사이로 누수가 일어나지 않더라도 계속적인 사용시에는 누수가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끝부분에 열융착 고정된 연결부재를 서로 대향된 두개의 조임부재로서 조여 주기만 하면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면서 강관이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함께 연결시에는 그 조임량이 전부분 동일하도록 함에 따라 연결된 상태에서의 기밀 유지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종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강관 11. 연결부재
12. 플랜지 13. 패킹
14. 요입홈 15. 조임부재
16. 고정편 17. 볼트
18.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연결부위인 끝부분에 상기 강관을 감싼상태로 원통형의 연결부재를 열융착 고정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연결함에 따라 강관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바깥쪽 끝단에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빙둘러지게 돌출 형성되어 그 두께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두꺼워지도록 후방면이 경사진 플랜지와,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 사이에 끼워져 두 연결부재를 연결할 때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는 패킹과, 상기 서로 연결하기 위한 두 연결부재의 플랜지를 서로 마주보면서 일체로 감싸도록 그 내측 둘레부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넓어지는 형태로 요입홈을 갖는 한쌍의 조임부재와, 상기 각 조임부재의 외측 둘레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조임부재가 두 연결부재의 플랜지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는 고정편과, 상기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는 고정편을 조임상태로 고정시켜 주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하여서 된 강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실시예는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연결부위인 서로 대향되는 끝부분에 상기 강관을 감싼상태로 합성수지재로 된 원통형의 연결부재(11)가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 둘레면 끝단에는 그 두께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두꺼워지도록 후방면이 경사진 형태의 플랜지(12)가 연결부재(11)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빙둘러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1) 사이에는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기 위해 링형상의 패킹(13)이 끼워지고,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를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그 내측 둘레부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넓어지게 요입홈(14)을 갖는 한쌍의 조임부재(15)가 구비되며, 상기 각 조임부재의 외측 둘레면 양단부에는 상기 각 조임부재(15)가 두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도록 고정편(16)이 형성되고, 상기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는 고정편은 볼트(17) 및 너트(18)에 의해 조임상태가 되도록 서로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두개의 강관(1)을 본 고안 실시예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원통형의 연결부재(11)를 끼워 상기 연결부재가 강관(1)을 감싸도록 한 다음 금속재인 강관(1)의 내경부에 고온의 열을 일정시간 동안 가하면, 상기 연결부재(11)의 강관(1) 접촉부분인 내경부가 열에 의해 녹아 내리므로 결국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연결부재(11)가 열융착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는 강관(1)과 연결부재(11)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밀폐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끝부분에 연결부재(11)가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나면,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끝단부에 고정된 연결부재(11)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두 강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시킨 다음 계속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1) 사이에 링형상의 패킹(13)를 끼우면서 상기 두 연결부재(11)를 최대한 근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11)의 외측 둘레면 끝단에 상기 연결부재(11)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빙둘러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조임부재(15)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각 조임부재를 플랜지(12)를 향해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어느 순간 상기 서로 마주보는 각 조임부재(15)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요입홈(14)으로 각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가 동시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각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를 한쌍의 조임부재(15)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감싸게 되는데, 이때에는 각 조임부재의 외측 둘레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16)이 서로 근접된 상태로 마주보게 된다.
이후 상기 각 조임부재(15)의 외측 둘레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근접된 상태로 마주 보고있는 고정편(16) 끼리 볼트(17)와 너트(18)를 이용해 고정시키면, 이 과정에서 상기 볼트(17)와 너트(18)의 조임량에 따라 각 조임부재(15)가 더욱 가까워지는데, 상기 조임부재가 서로 가까워 질 때는 상기 각 연결부재(11)에 형성된 플랜지(12)는 후방면이 경사진 형태로서 그 두께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두꺼워져 있고, 상기 각 조임부재(15)에 형성되어 각 플랜지(12)가 끼워져 있는 요입홈(14)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넓어져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서로 마주보고 있는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는 전부분이 중심점을 향해 조여짐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1) 사이의 전부분 틈새도 완벽하게 밀폐되면서 두 강관(1)이 도 6 및 도 7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결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상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을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관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형의 형성과는 관계없이 모든 강관도 다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는 두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 상기 강관의 끝부분에 열융착 고정된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를 서로 마주보게 두개의 조임부재(15)로서 감싼 다음 상기 두 조임부재의 양단을 각각 볼트(17)와 너트(18)로서 고정시켜 주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성 향상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올라가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작업비용도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강관(1)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두 강관에 융착 고정된 연결부재(11)의 플랜지(12)를 서로 마주보게 두개의 조임부재(15)로서 감싼 다음 상기 두 조임부재의 양단을 각각 볼트(17)와 너트(18)로서 고정할 때 두 조임부재(15)의 전부분 조임량이 각기 동일하므로 상기 두 연결부재(11) 사이의 기밀 상태도 전부분 동일하게 기밀 유지되고, 이에따라 서로 연결된 상태의 강관(1)을 오랜기간 상수관 및 하수관으로 사용하였더라도 상기 연결된 두 강관(1)의 연결부 사이로 누수가 일어나는 일이 없게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연결부위인 끝부분에 상기 강관을 감싼상태로 원통형의 연결부재를 열융착 고정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연결함에 따라 강관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바깥쪽 끝단에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빙둘러지게 돌출 형성되어 그 두께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두꺼워지도록 후방면이 경사진 플랜지와,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 사이에 끼워져 두 연결부재를 연결할 때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는 패킹과,
    상기 서로 연결하기 위한 두 연결부재의 플랜지를 서로 마주보면서 일체로 감싸도록 그 내측 둘레부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더 넓어지는 형태로 요입홈을 갖는 한쌍의 조임부재와,
    상기 각 조임부재의 외측 둘레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조임부재가 두 연결부재의 플랜지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는 고정편과,
    상기 서로 근접되게 마주보는 고정편을 조임상태로 고정시켜 주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장치.
KR2020000031373U 2000-11-09 2000-11-09 강관 연결장치 KR200220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73U KR200220068Y1 (ko) 2000-11-09 2000-11-09 강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73U KR200220068Y1 (ko) 2000-11-09 2000-11-09 강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68Y1 true KR200220068Y1 (ko) 2001-04-16

Family

ID=7306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373U KR200220068Y1 (ko) 2000-11-09 2000-11-09 강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690B1 (ko) 2018-08-09 2019-11-14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690B1 (ko) 2018-08-09 2019-11-14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5293A (en) Glass pipe coupling
US4171142A (en) Leak repair clamp
JPH1182853A (ja) 流体輸送管の外套管構造
KR200220068Y1 (ko) 강관 연결장치
KR101803903B1 (ko)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JP2003014172A (ja) 管継手
KR200207753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251682Y1 (ko) 강관 연결장치
KR102319277B1 (ko) 밸브 접합관
JP2541271Y2 (ja) 装脱自在な配管継手部の漏洩補修装置
JPH11230441A (ja) 漏れ止め用密封シール治具とその密封シール方法
KR970005209B1 (ko) 관 이음쇠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175534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239289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206360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190091172A (ko) 파이프 배관용 2단 플랜지
JPH10132169A (ja) 管継手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CN221402128U (zh) 管道连接器
GB2129897A (en) Joining pipes
KR960010287Y1 (ko) 동파이프 연결구
JP3880166B2 (ja) 管とケースのシール構造
KR100256514B1 (ko)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KR200226235Y1 (ko) 법랑코어가삽입된코팅강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