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514B1 -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514B1
KR100256514B1 KR1019970042634A KR19970042634A KR100256514B1 KR 100256514 B1 KR100256514 B1 KR 100256514B1 KR 1019970042634 A KR1019970042634 A KR 1019970042634A KR 19970042634 A KR19970042634 A KR 19970042634A KR 100256514 B1 KR100256514 B1 KR 10025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luid transfer
transfer pipe
pack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216A (ko
Inventor
조용래
Original Assignee
조용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래 filed Critical 조용래
Priority to KR101997004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51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 F16L55/17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the ring, band or sleeve being tightened by a tangentially arranged threaded pin and a nut
    • F16L55/172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the ring, band or sleeve being tightened by a tangentially arranged threaded pin and a nut in which the threaded pin is rigid with the hose encircl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유체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접속하고자 하는 양측 유체이송관과 체결되는 접속구 사이에 생긴 틈새를 밀봉하는 누수방지 구조를 보다 완벽하게 구성한 것이다.
반원형 상하 접속구(4)(4)의 체결부(4a)(4a)내측면에 반씩 물리도록 접속단부의 감합대와 감합대 사이의 요입부(1b)(1b)내에 패킹(5)(5)을 끼워 접속 체결부(4a)(4a)의 틈새(C1)를 밀봉시켜서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며, 외주면이 평활한 일반 관체(10)(10)의 접속단부에는 패킹 링(11)(11)을 각각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패킹 링(11)(1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반원형 상하 접속구(4)(4)의 체결부( 4a) (4a)내측면에 패킹(5)(5)을 반씩 물리게 끼워 양측 체결부위 틈새(C1)를 밀봉시켜 접속부위의 누수를 방지토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LEAKAGE PREVENTING STRUCTURE FOR CONNECTED PORTION OF FLUID PASSAGE PIPE}
본 발명은 각종 합성수지제 유체이송관, 즉 외주면에 돌출륜부와 요입부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나선파형관(Corrugated pipe)이나 외주면이 평활한 일반 관체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접속되는 유체이송관과 이를 체결시키는 접속구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확실하게 밀봉하여 완벽한 누수방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유체이송관 중에서 나선 돌출륜부와 요입부가 형성된 나선파형관의 경우, 이들을 접속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연결구조로는 외주면과 거의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나선파형을 내주면에 형성시킨 원통형 나선접합구나 소켓, 반원형 접합구 등으로 접속하여 왔으며, 이중 반원형 접속구는 비교적 그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확실하게 체결된다는 점에서 선호하여 왔던 것이다.
따라서, 접속되는 양측 나선파형관의 접속단부에 해당되는 요입부에 물막이용 고무돌편이 각각 끼워지고, 그 위에 원통형 튜브 패킹을 씌운 후 반원형 상하 접속구를 마주보게 체결하므로서 접속부위의 수밀을 기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그 구조상 원통형 튜브 패킹을 관 접속단부에 끼워야 하는 작업이 대단히 어렵고 문제가 많아 어렵게 시공을 하더라도 완벽한 수밀효과를 얻을 수는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유체이송관의 접합에 있어 비교적 그 체결이 간편한 반원형 접속구를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누수방지 수단을 시험하여 본 결과 보다 완벽한 수밀효과를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접속부 누수방지 구조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즉, 합성수지 관체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접합면을 용접하는 것이기는 하나, 합성수지재질은 연결부위가 취약하므로 일정한 접속구로 이를 보강해야 할 필요가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나선파형관을 연결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접속단부인 요입부에 끼워지는 물막이용 고무 돌편이 일체로 연설된 물막이용 감합대를 나선파형관의 돌출륜부에 돌려감은 상태로 끼우고, 상기의 양 감합대 및 고무 돌편 표면을 한쌍의 반원형 접속구로 눌러 체결시킬 때 접속단부 틈새를 통해 누출된 유체가 반원형 접속구의 양측 체결부 틈새로 누수되지 않도록 접속단부와 양측 체결부 틈새를 막아주는 별도의 패킹을 요입부에 끼워주는 것 만으로 나선파형관의 접속부위가 밀봉되도록 하고, 파형관이 아닌 일반 관체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양 관체의 접속부위 단부에 패킹 링을 각각 끼우고, 상기 패킹 링을 한쌍의 반원형 접속구로 눌러 체결시킬 때 접속단부 틈새를 통한 누출유체가 반원형 접속구의 양측 체결부 틈새로 누수되지 않도록 접속단부와 양측 체결부 틈새를 막아주는 별도의 패킹을 양 관체의 패킹 링 사이에 끼워주므로서 관체의 접속부위가 밀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나선파형관이나 일반 관체의 접속단부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가 파형관의 경우에는 물막이용 감합대 및 고무 돌편의 표면을 반원형 접속구가 눌러 체결됨으로 해서 생기는 감합대와 감합대사이의 요입부(접속단부의 틈새가 형성된 부분)내에 들어차게 되며, 일반 관체의 경우에는 접속단부의 양측 패킹 링과 패킹 링 사이의 요입부에 들어차게 되면서 상하 반원형 접속구의 체결부위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수케 되는데, 이때 체결부 틈새를 막아주는 패킹을 상하 반원형 접속구의 체결부위 내면에 절반씩 물리는 상태로 양측 접속단부 틈새에 끼워주므로서 접속부위의 누수를 방지토록 한 누수방지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구성요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패킹 삽입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a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제4b도는 제2실시예의 패킹 삽입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5a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5b도는 제2실시예의 패킹 삽입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나선파형관 1a : 돌출륜부
1b : 요입부 2 : 고무 돌편
3 : 감합대 4 : 반원형 접속구
4a : 체결부 5 : 패킹
10 : 일반 관체 10a : 요입홈
11 : 패킹 링 C : 접속틈새
C1: 체결부 틈새
[제1실시예]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구성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돌출편부 (1a)와 요입부(1b)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양 나선파형관(1)(1)을 접속하는 경우 그 접속단부에 해당되는 요입부(1b)(1b)에는 물막이용 고무 돌편(2)(2)이 각각 끼워지고, 돌출륜부(1a)(1a)에는 감합대(3)(3)를 각각 돌려감은 상태로 끼워서 되는 접속부위를 반원형 접속구(4)(4)로 대향지게 체결 조립시킬 때, 상하 반원형 접속구 (4)(4)의 체결부(4a)(4a)내측면에 절반씩 물리는 상태로 접속단부 양측의 요입부 (1b)(1b)내에 패킹(5)(5)을 끼워주므로서 접속 체결부(4a)(4a)의 틈새(C1)를 밀봉시켜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인 것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 제2실시예의 구성은 제4도에서와 같이, 외주면이 평활한 일반 관체(10)(10)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접속단부에 패킹 링(11)(11)을 각각 끼운 접속부위를 반원형 접속구(4)(4)로 대향지게 체결 조립시킬 때 상하 반원형 접속구 (4)(4)의 체결부(4a)(4a)내측면에 절반씩 물리는 상태로 별도 제작한 패킹(5)(5)을 패킹링(11)(11)사이에 끼워즈므로서 접속 체결부(4a)(4a)의 틈새(C1)를 밀봉시켜 누수를 방지토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제5도에서와 같이, 외주면이 평활한 일반 관체(10)(10)의 접속단부에 요입홈(10a(10a)을 형성하여 여기에 패킹 링(11)(11)을 끼워 그 위치를 고정시켜 주므로서 수압(水壓)에 의해 패킹 링(11) (11)이 제 위치에서 밀려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하고, 그 접속부위를 반원형 접속구 (4)(4)로 대향지게 체결 조립시킬 때 상하 반원형 접속구(4)(4)의 체결부(4a)(4a)내측면에 절반씩 물리는 상태로 패킹 링(11)(11)사이에 별도 제작된 패킹(5)(5)을 끼워 주므로서 접속 체결부(4a)(4a)의 틈새(C1)를 밀봉시켜 완벽한 누수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4b는 나선관 이탈방지용 걸림턱, 6은 체결볼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 상태를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파형관(1)(1)을 접속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물막이용 고무 돌편(2)은 나선파형관(1)의 돌출륜부(1a)와 돌출륜부(1a)사이에 해당되는 요입부(1b)에 끼워진 상태에서 접속단부 틈새(C)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가 돌출륜부(1a)(1a)를 타고 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접속틈새(C)를 통해 누출되어진 유체는 고무 돌편(2)과 감합대(3)에 의해 둘러싸인 요입부(1b)내에 갇히게 되면서 상하 접속구(4)(4)에 의해 생기게 되는 양측 체결부(4a)(4a) 틈새(C1)를 통해 누출되려고 하는데, 이때 양측 체결부 (4a)(4a) 틈새(C1)에는 상하 반원형 접속구(4)(4)의 체결부(4a)(4a)내측면에 절반씩 물리는 상태로 접속단부 양측의 요입부(1b)(1b)내에 패킹(5)(5)을 각각 끼워주므로서 접속부위에서 접속틈새(C)를 통해 요입부(1b)(1b)내에 들어찬 유체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양측 체결부(4a)(4a) 틈새(C1)을 밀봉하게 되어 완벽한 누수방지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패킹(5)(5)은 탄성이 좋은 고무 또는 합성고무등의 재질을 가지며, 그 단면형상은 여러형상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요입부(1b)의 형상과 같은 단면형상을 갖도록 하여 빈틈없이 끼워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누수방지 접속구조이므로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 나선파형관(1)(1)의 각 접속부위에 물막이용 고무 돌편(2) 및 감합대(3)를 착설하기가 극히 간편하고, 종래의 경우처럼 접속부위 전체를 원통형 튜브패킹으로 넓게 필요없이 상하 접속구(4)(4)의 양층 체결부(4a)(4a) 틈새(C1)를 밀봉하는 별도의 패킹(5)(5)만을 끼워주므로서 상하 접속구(4)(4)의 체결압력을 받게 되는 고무 돌편(2)과 감합대(3) 및 패킹(5)(5)으로 하여금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접속부위의 틈새(C1)를 간단히 밀봉 차단시키므로서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완벽한 누수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외주면이 평활한 일반 관체(10)(10)의 접속에 있어서도 각 관체(10)(10)의 접속단부에 패킹 링(11)(11)을 끼우거나 각 관체(10)(10)의 접속단부에 요입홈(10a)(10a)을 형성시킨 것에 패킹 링(11)(11)을 끼운 후 그 사이에 해당하는 상하 접속구(4)(4)의 양측 체결부(4a)(4a) 틈새(C1)를 밀봉하는 별도의 패킹(5)(5)만을 끼워주므로서 상하 접속구(4)(4)의 체결 압력을 받게 되는 패킹 링(11)(11)과 패킹(5)(5)으로 하여금 양측 체결부(4a)(4a) 틈새(C1)를 간단히 밀봉 차단시킴으로서 확실한 누수방지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며, 그 구조가 단순하므로 필요시에는 언제나 손쉽게 이를 해체 보수한 뒤 재조립 할 수도 있어 장기간 그 사용이 가능한 유체이송관의 연결접속구 누수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나선형 돌출륜부(1a)와 요입부(1b)가 형성된 양 나선파형관(1)(1) 접속단부의 요입부(1b)(1b)에 위치하는 물막이용 고무 돌편(2)(2)이 일체로 연설된 감합대 (3)93)를 돌출륜부(1a)(1a)에 돌려감은 접속부위를 반원형 접속구(4)(4)로 상하 체결시키는 유체이송관의 접속부 누수방지 구조에 있어서, 반원형 상하 접속구(4)(4)의 체결부(4a)(4a)내측면에 반씩 물리도록 접속단부 양측의 요입부(1b)(1b)내에 패킹(5)(5)을 끼워 양측 체결부(4a)(4a) 틈새(C1)를 밀봉시킨 유체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2. 외주면이 평활한 일반 관체(10)(10)의 접속단부에 패킹 링(11)(11)을 끼워 상기 패킹 링(11)(11)사이에 해당하는 반원형 상하 접속구(4)(4)의 체결부(4a)(4a)내측면에 패킹(5)(5)을 반씩 물리게 끼워 양측 체결부(4a)(4a) 틈새(C1)를 밀봉시킨 유체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관체(10)(10)의 접속단부에 패킹 링(11)(11)의 안착을 위한 요입홈(10a)(10a)을 형성한 유체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KR1019970042634A 1997-07-18 1997-08-29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KR10025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634A KR100256514B1 (ko) 1997-07-18 1997-08-29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7-033589 1997-07-18
KR19970033589 1997-07-18
KR1019970033589 1997-07-18
KR1019970042634A KR100256514B1 (ko) 1997-07-18 1997-08-29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16A KR19990013216A (ko) 1999-02-25
KR100256514B1 true KR100256514B1 (ko) 2000-05-15

Family

ID=6603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634A KR100256514B1 (ko) 1997-07-18 1997-08-29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9691B2 (ja) * 2000-05-08 2010-01-20 東拓工業株式会社 螺旋管継ぎ手
CN107947060A (zh) * 2017-12-14 2018-04-20 北奔重型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装甲驾驶室线束防水密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16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533A (en) Gasket assembly with elastomer expansion area
CA1261897A (en) Connector assembly for fiber-reinforced plastic pipe members
EP0091254A2 (en) Pipe joint and seal
CA1244502A (en) Ring
KR100256514B1 (ko)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KR102384492B1 (ko)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200191230Y1 (ko) 합성수지 관체의 접속구
KR200175534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100627322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JP3880166B2 (ja) 管とケースのシール構造
KR20190091172A (ko) 파이프 배관용 2단 플랜지
KR19990030743A (ko) 나선파형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CN208268618U (zh) 环形接头
KR100294431B1 (ko) 나선파형관의 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KR200302177Y1 (ko) 나선관용 이음구 연결장치
KR100597262B1 (ko) 나선관용 이음구 연결장치
KR100246032B1 (ko) 이음구조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구조
KR0121939Y1 (ko) 조립용 맨홀
KR200298099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부재
KR200220068Y1 (ko) 강관 연결장치
KR920007770Y1 (ko) 조립용 맨홀
KR100271935B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100409037B1 (ko) 나선파형관의 누수방지 접속구조
KR0137268Y1 (ko) 합성수지제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