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268Y1 - 합성수지제 접속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접속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7268Y1 KR0137268Y1 KR2019960004105U KR19960004105U KR0137268Y1 KR 0137268 Y1 KR0137268 Y1 KR 0137268Y1 KR 2019960004105 U KR2019960004105 U KR 2019960004105U KR 19960004105 U KR19960004105 U KR 19960004105U KR 0137268 Y1 KR0137268 Y1 KR 013726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synthetic resin
- connecting plate
- flange portions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외주면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나선파형관의 합성수지제 접속구
[고안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철재로 되는 접속구를 사용하면 합성수지관보다 먼저 산화되어 관 접속의 체결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므로, 철재보다 산화부식이 강한 합성수지제로 반원형 접속구를 형성하는 경우 그 접속구의 접속판 두께와 같은 두께로 플랜지부를 형성하면 그 체결상태가 취약하여 누수방지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체결을 유지하니 못하여 접속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던 것을 해결한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반원형 접속판(2) 양측에 그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는 4각동체의 플랜지부(3)(4)를 일체로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3)(4)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체결공(5)의 사이를 요입시킨 요입부(6)를 형성하는 것이다.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반원형 접속판의 양측연에 그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는 체적의 플랜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우선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그 시공이 간편하고, 체결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뿐만아니라 내구력이 우수한 나선파형관의 접속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일부단면 사시도.
제4도는 접속판의 두께와 동일한 플랜지의 체결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구 2 : 접속판
3, 4 : 플랜지부 5 : 체결공
6 : 요입부 6a : 접속면
본 고안은 외주면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나선파형관을 접속하는 합성수지제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돌출부를 나선형으로 요철되게 형성한 나선파형관의 외주면과 거의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나선파형을 내주면에 형성한 원통형 카우스(접합구)의 양단부에 상기 나선파형관을 회전시켜 끼워넣어서 생긴 양 요철파형의 틈새에 발포수지등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되는 관 접속구조 및 방법이 특허공고 제93-2536호로 제안되었으나, 이 카우스의 양단에 나선파형관을 회전시켜 체결하기가 용이한 반면 충진재는 비교적 고가이고, 충진작업은 이동식 충진설비 및 기구 등을 이용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이 작업 수행에는 그 충진설비 및 숙련된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기 때문에 관 매설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어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 외주면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나선파형관의 합성수지제 접속구로서, 양측에 설치한 결속편을 체결할 때 양 결속편 사이에 Y자형의 패킹을 끼우고 볼트로 체결되는 체결구가 실용신안공고 제93-6055호로 제안되어 있으나, 이 제안에 의하면 그 접속구조는 접속하고자하는 양 나선파형관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접속부의 내면이 평면이므로, 나선파형관의 요입부에 발포물질 등으로 몰딩하여 패킹처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제안에서 발포물질등의 몰딩으로 패킹을 형성한다는 것을 궁극적으로 누수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 패킹의 형성없이는 고안의 목적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발포물질등을 몰딩하여 패킹처리한다는 것은 발포물질이 비교적 그 가격이 고가이고, 그 작업에 적합한 새로운 몰딩 설비 및 숙련된 조작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기 때문에 관 연결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어서 지금까지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각종 관체의 접속 연결구조는 그 관체의 재질 및 용도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소켓, 플랜지, 분할식 접속구 등으로 접속하여 왔으나, 분할식 접속구는 비교적 그 사용이 간편하다는 점에서 더욱 선호하여 온 것이다. 그러나 접속연결하고자 하는 관이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일때 철재로 되는 분할식 접속구를 사용하면 합성수지관보다 먼저 산화부식되어 관 접속의 체결력을 상실하게 되어 그 접속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자는 상기 문제접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과 같은 합성수지제로 비교적 그 체결이 간편한 종래에 철재로 되는 분할식 접속구와 같이 반원형 접속판과 플랜지부의 두께를 동일하게 성형하여 시험해본 바, 제4도에서와 같이 접속구의 반원형 접속판(02)과 같은 두께(h)로 플랜지부(03)의 두께(h)를 형성한 경우 양 플랜지부(03)(03)를 볼트로 체결하였을 때, 그 사이가 벌어져서 패킹 전체가 균일하게 압착되지 않아 누수를 방지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접속하는 양 나선파형관을 이어놓고 그 요입부 및 돌출부에 착설한 패킹을 압착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반원형 접속판(02) 체결력을 지탱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을 알게되어 시험을 계속한 결과 접속판(02)의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는 정도로 플랜지부(03)의 체적을 증대하였을 때에 비로서 양 플랜지부(03)(03)를 체결한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패킹전체도 균일하게 압착되어 완전하게 누수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알게되었다.
본 고안은 나선파형관의 분할식 접속구를 합성수지제로 성형함에 있어서 반원형 접소규판의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게 플랜지부의 체적을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합성수지제 접속구(1)의 분해사시도로서, 반원형 접속판(2)의 양측연에 그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는 4각동체의 플랜지부(3)(4)를 일체로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3)(4)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제결공(5)의 사이를 요입시킨 요입부(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접속구이다.
첨부도면 중 미설명부호 7은 접속관, 8 및 8a는 패킹을 각각 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부(3)(4)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3)(4)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접속판(2)의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는 플랜지부(3)(4)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체결공(5)의 사이를 요입시킨 요입부(6)를 형성시켜서 되는 것이며, 또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속판(2)의 양측연부에 제1도와 같이 일체로 형성시킨 플랜지부(3)(4)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체결공(5)의 사이를 요입시킨 요입부(6)의 상단, 즉 양 접속구(1)(1)를 접속하였을때 접하는 플랜지부(3)(4)의 요입부(6)에 일정한 두께의 접속면(6a)를 일체로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상기의 요입부(6)들의 형성은 합성수지제 접속구(1)에 있어서 접속판(2)의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는 플랜지부(3)(4)의 체적만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그 형성에 소요되는 재료 및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접속하고자 하는 양 나선파형관(7)(7) 단부의 요입부에 들어가 끼워지는 패킹(8a)과 그 외주를 감싸주는 패킹(8)을 각각 착설한 다음 한 쌍의 접속구(1)(1)를 체결하므로서 상기으 패킹(8)(8a)을 균일하게 압착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제 접속구(1)로서 반원형 접속판(2)에 가해지는 그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는 체적으로 4각동체의 플랜지부(3)(4)를 형성한 것으로서, 그 제작 및 시공이 간편하고, 그 체결상태가 견고할 뿐만 아니라 그 제작에 소요되는 원자재 및 에너지를 최소한도로 할 수 있고 지구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제 접속구를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 반원형 접속판(2) 양측연에 그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는 4각동체의 플랜지부(3)(4)를 일체로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3)(4)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체결공(5)의 사이를 요입시킨 요입부(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접속구.
-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3)(4)에 형성한 요입부(6)에 일정한 두께의 접속면(6a)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접속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04105U KR0137268Y1 (ko) | 1996-03-06 | 1996-03-06 | 합성수지제 접속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04105U KR0137268Y1 (ko) | 1996-03-06 | 1996-03-06 | 합성수지제 접속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5355U KR970055355U (ko) | 1997-10-13 |
KR0137268Y1 true KR0137268Y1 (ko) | 1999-02-18 |
Family
ID=1945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04105U KR0137268Y1 (ko) | 1996-03-06 | 1996-03-06 | 합성수지제 접속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726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13074A (zh) * | 2015-03-01 | 2015-05-13 | 张宏松 | 一种轻质牢固型套环 |
-
1996
- 1996-03-06 KR KR2019960004105U patent/KR013726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13074A (zh) * | 2015-03-01 | 2015-05-13 | 张宏松 | 一种轻质牢固型套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5355U (ko) | 1997-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235293A (en) | Glass pipe coupling | |
US4111234A (en) | Repair device for pipes | |
US5772253A (en) | Pipe repair or jointing collar | |
CA1263419A (en) | Pipe joint seal | |
US4026586A (en) | Plain end pipe joint | |
US5458380A (en) | Pipe joint | |
CA2117401A1 (en) | Gasket for a pipe joint | |
US6406067B1 (en) | Lateral pipe adaptor | |
US5765876A (en) | Pipe coupling requiring low closing force | |
KR0137268Y1 (ko) | 합성수지제 접속구 | |
US4147383A (en) | Pipe coupling | |
KR960002850Y1 (ko) | 합성수지제 접속구 | |
KR101458394B1 (ko) | 나선관용 연결장치 | |
KR100925867B1 (ko) |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 |
KR100226531B1 (ko) |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의 수밀용 접속구조 | |
KR200384217Y1 (ko) | 파형강관 연결장치 | |
JPH0231669Y2 (ko) | ||
KR200365425Y1 (ko) |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 |
KR100256514B1 (ko) |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 |
KR200207753Y1 (ko) | 파형강관 연결장치 | |
KR100409037B1 (ko) | 나선파형관의 누수방지 접속구조 | |
KR200302177Y1 (ko) | 나선관용 이음구 연결장치 | |
JPH0514071Y2 (ko) | ||
KR102623297B1 (ko) | 복합관 이음 커플링 | |
KR0111688Y1 (ko) | 피복강관의 이음관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12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2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