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297B1 - 복합관 이음 커플링 - Google Patents

복합관 이음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297B1
KR102623297B1 KR1020220189281A KR20220189281A KR102623297B1 KR 102623297 B1 KR102623297 B1 KR 102623297B1 KR 1020220189281 A KR1020220189281 A KR 1020220189281A KR 20220189281 A KR20220189281 A KR 20220189281A KR 102623297 B1 KR102623297 B1 KR 102623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ipe
pipe
joint
expansi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기
이정인
조규홍
박준하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주)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보텍 filed Critical (주)뉴보텍
Priority to KR102022018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관 이음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복합관에서, 이웃하는 복합관의 이음부분에 구성되어, 이음부분에 대한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시켜 상기 복합관의 연속 이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음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음 커플링은 이음부분인 이웃하는 복합관의 확관부에 구성되어, 상기 확관부를 압박시켜 복합관의 이음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압박부; 상기 이웃하는 확관부의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내부소켓; 및 상기 확관부와 내부소켓 사이에 구성되어, 기밀성 및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관 이음 커플링{Composite pipe joint coupling}
본 발명은 복합관 이음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관과 같은 고내식성 금속관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고가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수지관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누수가 발생되기도 하고, 압력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금속관과 수지관을 일체화시킨 복합관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복합관은 인발성형방식 등에 의해 연속적인 길이로 성형됨에 따라, 적정길이 예컨대, 5m ~ 20m 길이별로 절단하여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일정길이로 절단된 복합관은 현장에 운송된 후 분리된 양단 각각에 커플링 또는 플랜지 등을 고정시킴에 따라 연속적인 복합관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관은 커플링 또는 플랜지 등을 이용한 연결부분에 의해 돌출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현장 매설이 이루어지면 돌출부분에 응력집중이 발생됨에 따라 복합관에 대한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이 복합관에 작용할 경우, 진동파가 복합관의 돌출된 연결부분에서 충돌이 이루어지는 응력집중이 발생되고, 이러한 응력집중이 장시간 이루어짐에 따라 결국, 복합관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복합관은 연결부분에 구성되는 커플링 또는 플랜지 등이 기구적인 결합으로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빗물 등의 침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관에 작용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내구성이 약하됨에 따라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166886호(2012.07.18.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하는 복합관의 이음부분에 구성하여, 이음부분에 대한 확고한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함으로써, 복합관의 연속 이음이 가능함과 함께, 이음부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복합관 이음 커플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복합관에서, 이웃하는 복합관의 이음부분에 구성되어, 이음부분에 대한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시켜 상기 복합관의 연속 이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음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음 커플링은 이음부분인 이웃하는 복합관의 확관부에 구성되어, 상기 확관부를 압박시켜 복합관의 이음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압박부; 상기 이웃하는 확관부의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내부소켓; 및 상기 확관부와 내부소켓 사이에 구성되어, 기밀성 및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박부는, 양분되게 구성되어, 복합관의 외주에 위치되되, 상호 계합에 의해 복합관의 확관부를 압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박하우징; 및 양분되게 구성된 압박하우징을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압박하우징에서 압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박하우징은, 외주면; 상기 외주면의 양단 각각에서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외주면의 내측에 구성되어 이웃하는 복합관이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은 외주면의 양단 각각에 일정폭에 형성되어, 복합관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내측에 이웃하는 확관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삽입공의 직경 차이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소켓은 내부에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유입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링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주에서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확관부와 내부소켓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밀폐돌기는, 최초 확관부의 내부로 삽입될 때 점접촉이 이루어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압박부의 압박력에 의해 눌림됨에 따라 확관부의 내부에 면접촉이 이루어져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반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웃하는 복합관의 이음부분에 구성하여, 이음부분에 대한 확고한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함으로써, 복합관의 연속 이음이 가능함과 함께, 이음부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관 이음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관 이음 커플링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관 이음 커플링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부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소켓의 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링의 반 단면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관 이음 커플링의 작용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합관 이음 커플링은 이웃하는 복합관의 이음부분에 구성하여, 이음부분에 대한 확고한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함으로써, 복합관의 연속 이음이 가능함과 함께, 이음부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복합관 이음 커플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10)와, 내부소켓(20), 및 밀폐링(30)을 포함한다.
압박부(10)는 복합관(1)의 확관부(2)의 외주에 구성되어, 이웃하는 복합관(1)의 확관부(2)를 압박시켜 확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압박부(10)는 압박하우징(110), 및 체결수단(120)을 포함한다.
상기 압박하우징(110)은 내측에 이웃하는 복합관(1)의 확관부(2)이 위치되어, 상기 확관부(2)를 실질적으로 압박시켜 이웃하는 복합관(1)에 대한 연결 이음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압박하우징(11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양분되게 구성되어, 확관부(2)의 외측에서 계합되도록 한다.
상기 압박하우징(110)은 외주를 형성하는 외주면(1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주면(112)의 끝단에서 일정길이의 플랜지(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14)에는 체결수단(120)이 삽입되어, 양분되게 형성된 압박하우징(110)이 체결수단(120)의 체결력에 의해 압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15)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공(115)은 상기 플랜지(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3개소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체결공(115)은 중앙에 하나, 그리고 양측 각각에 1개소가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결공(115)은 플랜지(114)의 길이 및 체결력을 고려하여 적정한 개소로 형성된다.
또한, 압박하우징(110)은 내측 즉, 외주면(112)의 내측에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복합관(1)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은 압박하우징(110)의 양단 각각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복합관(1)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공(116)은 복합관(1)의 외경과 동일 또는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간은 압박하우징(110)의 내측에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복합관(1)의 확관부(2)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확관부(2)에 대한 실질적인 압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제2삽입공(118)이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공(118)은 확관부(2)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양분된 압박하우징(110)이 체결수단(120)에 의해 체결될 때 확관부(2)를 압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삽입공간은 압박하우징(110)의 양단 각각에 일정깊이의 제1삽입공(116)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2삽입공(118)이 형성된다. 이 경우, 삽입공간에는 제1 및 제2삽입공(116)(118)의 직경 차이에 의해 단턱(119)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단턱(119)은 제1삽입공(116)에 복합관(1)이 위치되고, 제2삽입공(118)에 확관부(2)가 위치된 상태에서, 내, 외부에서 작용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복합관(1)이 외측으로 밀림될려고 할 경우 단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결수단(120)은 압박하우징(110)에 구성된 체결공(115)에 구성되어, 양분되게 구성된 압박하우징(110)을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압박하우징(110)의 계합 및 고정이 확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체결력에 의해 압박하우징(110)이 확관부(2)를 압박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체결수단(120)은 육각홈붙이 볼트와 너트, 육각볼트와 너트, 또는 스테이볼트와 너트 등으로 구성된다.
내부소켓(20)은 이웃하는 확관부(2)의 내측에 구성되어, 복합관(1)의 이음부분에 대한 내부 기밀성 및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소켓(20)은 복합관(1)의 내부관과 동일한 재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부소켓(20)은 복합관(1)의 사용목적 또는 이송유체의 종류 등에 따라 내화학성,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소켓(20)은 도 6과 같이,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도록 유입공(2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소켓(2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소켓(20)의 외주연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밀폐링(30)이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안착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20)은 상기 내부소켓(20)의 외주연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밀폐링(30)이 안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내부소켓(20)에 밀폐링(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안착홈(220)은 내부소켓(20)의 길이방향을 따라 3개소가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홈(220)은 내부소켓(20)의 중앙에 1개소 및 양측 각각에 1개소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홈(220)은 내부소켓(20)의 길이 또는 복합관(1)의 사용목적, 유체 등에 따라 밀폐링(30)의 구성 갯수에 맞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220)의 깊이는 밀폐링(30)의 안착 및 내부소켓(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밀폐링(30)은 내부소켓(20)의 안착홈(220)에 안착되어, 확관부(2)와 내부소켓(20) 사이에 밀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합관(1)의 내부에 대한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밀폐링(30)은 도 7과 같이, 내부소켓(20)의 안착홈(220)에 안착되어, 내부소켓(20)에 밀폐링(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안착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310)는 안착홈(220)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소켓(20)에 밀폐링(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310)의 두께는 안착홈(220)에 안착되되, 내부소켓(20)의 외주연에서 다소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압박하우징(110)의 압박에 의해 밀폐링(30)이 압박될 때 내부소켓(20)의 외주연에 펼쳐짐에 따라 안착홈(220)에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310)의 외주연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확관부(2)와 내부소켓(20)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복합관(1)에 대한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지지하는 밀폐돌기(320)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돌기(320)는 안착부(310)의 외주연에서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확관부(2)와 내부소켓(20) 사이에 밀폐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밀폐돌기(320)는 안착부(310)에 위치되는 부분이 넓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안착부(310)에 확고하게 고정되고, 상단 즉, 확관부(2)의 내부에 점접촉이 이루어져 확관부(2)의 내부에 내부소켓(20)을 삽입시킬 때 최소의 접촉면적에 의해 삽입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밀폐돌기(320)는 반원형 또는 삼각형 등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밀폐돌기(320)는 확관부(2)와 내부소켓(2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밀폐돌기(320)는 안착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형성되어,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폐링(30)은 연질이면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어, 확관부(2)와 내부소켓(20) 사이에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밀폐링(30)은 확관부(2)와 내부소켓(20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관 이음 커플링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도 8a와 같이, 이웃하는 복합관(1)의 일단에 형성된 확관부(2)의 내측에 밀폐링(30)이 안착된 내부소켓(20)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밀폐링(30)의 밀폐돌기(320)가 확관부(2)의 내부면에 점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확관부(2)의 내부에 내부소켓(20)의 안정적인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b와 같이, 이웃하는 확관부(2)의 내부에 내부소켓(20)이 구성되면, 상기 확관부(2)를 포함한 복합관(1)의 외주에 압박부(10)를 구성한다.
즉, 이웃하는 복합관(1)의 외주에 양분된 압박하우징(110)을 위치시킨 후 계합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박하우징(110)의 내측 즉, 삽입공간에 복합관(1)의 확관부(2)가 위치된다.
도 8c의 아래쪽 확대도와 같이, 복합관(1)의 외주에 계합된 압박하우징(110)을 체결수단(120)을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체결수단(120)의 체결력에 의해 양분된 압박하우징(110)이 고정된다. 이때, 체결수단(120)의 체결력에 의해 양분된 압박하우징(110)이 상호 압박되고, 이러한 압박하우징(110)의 압박력이 확관부(2)에 작용함으로써, 압박하우징(10)과 확관부(2) 및 내부소켓(20)이 상호 압박된다.
또한, 도 8c의 윗쪽 확대도와 같이, 압박하우징(110)의 압박력에 의해 확관부(2)와 내부소켓(20) 사이에 구성된 밀폐돌기(30)에 눌림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확관부(2)의 내부에 점접촉이 이루어졌던 밀폐돌기(320)가 눌림력에 의해 눌림됨에 따라 확관부(2)의 내부에 면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밀폐돌기(320)가 확관부(2)의 내부면에 면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확관부(2)의 내부에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복합관 이음 커플링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압박부 110: 압박하우징
112: 외주면 114: 플랜지
115: 체결공 116: 제1삽입공
118: 제2삽입공 119: 단턱
20: 내부소켓 210: 유입공
220: 안착홈 30: 밀폐링
310: 안착부 320: 밀폐돌기

Claims (5)

  1. 금속관과 수지관을 일체화된 복합관에서, 이웃하는 복합관의 이음부분에 구성되어, 이음부분에 대한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시켜 상기 복합관의 연속 이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음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음 커플링은 이음부분인 이웃하는 복합관의 확관부에 구성되어, 상기 확관부를 압박시켜 복합관의 이음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압박부;
    상기 이웃하는 확관부의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상기 복합관의 내부관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내부소켓; 및
    상기 확관부와 상기 내부소켓 사이에 구성되어, 기밀성 및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밀폐링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양분되게 구성되어, 복합관의 외주에 위치되되, 상호 계합에 의해 복합관의 확관부를 압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박하우징; 및
    양분되게 구성된 압박하우징을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압박하우징에서 압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박하우징은,
    외주면;
    상기 외주면의 양단 각각에서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외주면의 내측에 구성되어 이웃하는 복합관이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은 외주면의 양단 각각에 일정폭에 형성되어, 복합관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내측에 이웃하는 확관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삽입공의 직경 차이에 따라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되, 상기 제1삽입공의 경우 상기 압박하우징의 양단 각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공의 경우 상기 확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제1삽입공 사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소켓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도록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유입공과, 외주연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관의 내부관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며;
    상기 밀폐링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주연에서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와 상기 내부소켓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돌기를 포함하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가지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부소켓의 외주연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는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압박하우징의 압박에 의해 상기 밀폐링이 압박될 때 상기 내부소켓의 외주연에 펼쳐지고;
    상기 밀폐돌기는 상기 확관부의 내부로 삽입될 때 점접촉이 이루어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압박부의 압박력에 의해 눌림됨에 따라 상기 확관부의 내부에 면접촉이 이루어져 기밀성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반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에 이음하고자 복합관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삽입공에 확관부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복합관을 상호 이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이음 커플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89281A 2022-12-29 2022-12-29 복합관 이음 커플링 KR10262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281A KR102623297B1 (ko) 2022-12-29 2022-12-29 복합관 이음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281A KR102623297B1 (ko) 2022-12-29 2022-12-29 복합관 이음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297B1 true KR102623297B1 (ko) 2024-01-10

Family

ID=8951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281A KR102623297B1 (ko) 2022-12-29 2022-12-29 복합관 이음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2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09A (ko) * 1995-07-21 1997-02-19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회전 브러쉬
KR20120050571A (ko) * 2010-11-11 2012-05-21 김우석 합성수지제 파이프의 연결 조립구조
KR101166886B1 (ko) 2012-04-23 2012-07-18 (주)금강 환형으로 권취가 용이한 금속 수지 복합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0165A (ko) * 2012-11-30 2014-06-10 (주) 영남메탈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200119025A (ko) * 2019-04-09 2020-10-19 방만혁 관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09A (ko) * 1995-07-21 1997-02-19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회전 브러쉬
KR20120050571A (ko) * 2010-11-11 2012-05-21 김우석 합성수지제 파이프의 연결 조립구조
KR101166886B1 (ko) 2012-04-23 2012-07-18 (주)금강 환형으로 권취가 용이한 금속 수지 복합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0165A (ko) * 2012-11-30 2014-06-10 (주) 영남메탈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200119025A (ko) * 2019-04-09 2020-10-19 방만혁 관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933B2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RU2484353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полимерной трубы
US3341232A (en) Pipe joint
FI73059C (fi) Roerfogtaetning.
US9976681B2 (en) Fluid sealing
KR101915492B1 (ko) 무용접 조립식 배관 플랜지 연결구
GB2349677A (en) Earthquake resistant pipe coupling
KR101866793B1 (ko)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2623297B1 (ko) 복합관 이음 커플링
US4614371A (en) Ring
CN101166929A (zh) 包括具有垫片的中心肋的管箍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KR20090010479A (ko) 파이프 연결구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RU2661202C1 (ru) Линейный элемент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144277B1 (ko)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2193546B1 (ko) 이탈방지용 씰링 이음관
RU2330207C1 (ru) Трубная муфта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RU2576748C1 (ru) Линейный элемент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386752B1 (ko) 가스이송용 주름신축관
KR200389185Y1 (ko)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
KR200237783Y1 (ko)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KR100627322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